KR20210135866A -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866A
KR20210135866A KR1020200054049A KR20200054049A KR20210135866A KR 20210135866 A KR20210135866 A KR 20210135866A KR 1020200054049 A KR1020200054049 A KR 1020200054049A KR 20200054049 A KR20200054049 A KR 20200054049A KR 20210135866 A KR20210135866 A KR 20210135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antine
person
confirmed
gat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188B1 (ko
Inventor
이장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트앤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트앤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트앤라이트
Priority to KR102020005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1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역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장소에 이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설치 가능한 시큐어 게이트를 기반으로 전염병 확진자나 유증상자가 특정 장소로 출입하는 것을 방역 당국과의 협력하에 사전에 통제할 수 있도록 현장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면서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특정장소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측에 배치되어 사람에 대해 안면 인식을 기초로 식별하고 발열상황을 체크하여 자동 개폐되며, 통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살균 소독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을 구비한 시큐어 게이트와; 감염병에 대한 확진자 및 감염병이 예상되어 자가 격리를 지시받은 자가격리 대상자가 등록되고, 상기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식별된 사람이 등록된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방역관리 서버와; 상기 방역관리 서버로부터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가 확인되었음을 피드백 받기 위한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DISINFECTION UTILIZING SECURE GATE OF INFECTION PREVENTION TYPE}
본 발명은 방역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장소에 이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설치 가능한 시큐어 게이트를 기반으로 전염병 확진자, 자가격리 대상자, 유증상자가 특정 장소로 출입하는 것을 방역 당국과의 협력하에 사전에 통제할 수 있도록 현장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면서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사스, 메르스, 신종플루, 코로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전염성이 높은 각종 질병이 전세계적으로 유행할 때마다 국가별로 방역 시스템을 가동하면서 질병 예방 및 확산 방지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의 경우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도시 봉쇄나 전국민 자가격리와 같은 강력한 폐쇄 정책을 시행하지 않고도 적극적인 확진자 동선확인, 자가격리 대상자 지정 및 자가격리 지시, 확진자 동선에 있던 사람들의 전수조사, 질병 확산 이전 검사키트 준비, 각종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투명하고 신속한 질병정보 공유, 사람간 사회적 거리두기 등과 같은 다양한 방안 마련을 통해 대응해 나가는 체계적인 방역 사례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가 질병본부나 관련 기관의 지시에 따르지 않으면서 질병을 확산시키거나, 확진자임에도 불구하고 큰 증상이 없어 일상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타인을 감염시키는 등 사회 곳곳에서 예측치 못하게 질병이 확산되는 상황까지 방지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은 전염성이 높은 질병의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 마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97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91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식/고정식 타입으로 여러 장소에 설치 가능한 시큐어 게이트를 기반으로 전염병 확진자, 자가 격리 대상자, 유증상자가 특정 장소로 출입하는 것을 방역 당국과의 협력하에 사전에 통제할 수 있도록 현장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면서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장소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측에 배치되어 사람에 대해 안면 인식을 기초로 식별하고 발열상황을 체크하여 자동 개폐되며, 통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살균 소독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을 구비한 시큐어 게이트와; 감염병에 대한 확진자 및 감염병이 예상되어 자가 격리를 지시받은 자가격리 대상자가 등록되고, 상기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식별된 사람이 등록된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방역관리 서버와; 상기 방역관리 서버로부터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가 확인되었음을 피드백 받기 위한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큐어 게이트에 대해 식별되는 사람을 포함한 주변의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출입자 정보를 통계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제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사람을 식별하기 위해 방역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식별모듈, 상기 식별모듈의 식별 여부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도어 및 통과하는 사람을 살균 소독하기 위한 살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관제서버는 원격으로 식별모듈, 도어 및 살균수단 각각을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방역관리 서버와 연계하여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가 입구측에서 확인된 상황을 중앙 관제서버로 통보하기 위한 출입제한자 알림모듈과, 식별모듈, 도어 및 살균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 발생 상황을 중앙 관제서버 또는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로 통보하기 위한 이상상황 알림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역관리 서버는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일정 범위 내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방역관리 서버와 연계하여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스마트폰이 확인되면 방역관리 서버,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 및 중앙 관제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서버는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스마트폰이 확인된 복수 개의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동선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동선정보 생성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방역관리 서버는 동선정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동선정보를 수신하여 그 동선정보로부터 일정반경 내 위치한 사람들에게 실시간으로 푸시 메시지 형태의 경고문구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발송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전염성이 강한 질병이 발생했을 때 관공서, 병원,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 극장, 백화점, 쇼핑몰 등을 포함한 공공장소와 주택 등에 이동식이나 고정식으로 시큐어 게이트를 설치함으로써 방역 당국과의 협력하에 출입자를 모니터링 하면서 전염병 확진자, 자가격리 대상자, 유증상자 등을 신속히 확인하여 최대한 대중들과 근거리에서 접촉하는 상황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
2. 중앙 통제 방식으로 여러 장소에 설치되는 시큐어 게이트를 통합적으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음
3. 게이트를 통과하는 무증상자에 대해서도 살균/소독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도록 하여 엄격한 개인 위생 관리에 따른 집단 감염이나 발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4. 전염병 확진자, 자가격리 대상자의 이동 동선을 최대한 수집하여 방역 당국에 통보하면서 주변 사람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음에 따라, 방역 당국에 정보 수집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중 시큐어 게이트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큐어 게이트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큐어 게이트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시큐어 게이트, 방역관리 서버 및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장소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측에 배치되어 사람에 대해 안면 인식을 기초로 식별하고 발열상황을 체크하여 자동 개폐되며 통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살균 소독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을 구비한 시큐어 게이트와, 감염병에 대한 확진자 및 감염병이 예상되어 자가 격리를 지시받은 자가격리 대상자가 등록되고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식별된 사람이 등록된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방역관리 서버와, 방역관리 서버로부터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가 확인되었음을 피드백 받기 위한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된 상기 방역관리 서버 및 중앙 관제서버는 일종의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모바일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방역관리 서버 또는 중앙 관제서버에 접속하여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식별된 확진자, 자가격리 대상자 정보를 수신하거나 시큐어 게이트의 이상 여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하게 되고, 이러한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는 데스크탑, 태블릿, 넷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웹 기반 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방역관리 서버, 중앙 관제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시큐어 게이트에 설치되는 안면 인식 카메라나 별도의 카메라를 통해 식별되는 사람을 포함한 주변의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시큐어 게이트로의 출입자 정보를 통계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제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중 시큐어 게이트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사람 및 그 사람의 체온을 식별하기 위해 방역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식별모듈(예: 안면 인식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식별모듈의 식별 여부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도어(예: 아래 상술될 제1 도어) 및 통과하는 사람을 살균 소독하기 위한 살균수단(예: 아래 상술될 제1, 제2 살균수단)을 구비하며, 여기서 중앙 관제서버는 원격으로 식별모듈, 도어 및 살균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로써, 상기 중앙 관제서버는 식별모듈, 도어 및 살균수단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아래 기술되는 시큐어 게이트의 살균수단 제어부를 통해 살균수단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경우 위치를 제어하거나, 살균수단이 소독제 분무 타입인 경우 분무량을 제어하는 등 다수의 시큐어 게이트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방역관리 서버와 연계하여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가 입구측에서 확인된 상황을 중앙 관제서버로 통보하기 위한 출입제한자 알림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가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확인되는 즉시 실시간으로 중앙 관제서버에서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긴급한 상황을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로 다시 통보하여 시큐어 게이트 주변에 있는 신속히 사람을 대피시키거나 해당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를 일반인들과 근거리에서 접촉하지 않토록 빠르게 격리시설로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는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로 확인된 사람의 얼굴 이미지를 수신하여 그 당사자를 찾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식별모듈, 도어, 살균수단 등 자체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이상 발생 상황을 중앙 관제서버 또는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로 통보하기 위한 이상상황 알림모듈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시큐어 게이트 각각의 전기적/기계적 구성요소에 대해 이상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상 발생 상황을 인지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종래 공지된 바와 같이 센서를 활용한 용기 내 소독제의 존재여부 확인, 전기적 구성요소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 불량 확인,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이나 전류의 오차범위 내 여부 확인 등을 일례로 들 수 있다.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정보를 방역관리 서버가 등록 관리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시큐어 게이트는 일정 범위 내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방역관리 서버의 연계하에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스마트폰이 확인되면 방역관리 서버,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 중앙 관제서버 등으로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상기 무선 통신모듈을 시큐어 게이트에 적용한 방식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같은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무선 통신모듈에 의해 시큐어 게이트 일정 범위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때 인식된 무선 단말기가 방역관리 서버에 등록된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면 방역관리 서버,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 중앙 관제서버에 통보하여 즉각적인 대처, 즉 일반인과 확진자/자가격리 대상자 근거리 접근 방지, 확진자/자가격리 대상자의 격리, 시큐어 게이트 주변 방역작업 등이 수행되도록 하게 된다.
참고로, 스마트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동의나 이동 통신사 서버를 통한 스마트폰 조회 동의 등과 같이 부수적인 절차가 사전에 준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시큐어 게이트가 여러 장소에 분산 설치되어 곳곳에서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스마트폰을 무선 통신모듈에 의해 인식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스마트폰이 확인된 복수 개의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동선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동선정보 생성모듈을 중앙 관제서버가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예로써 동일한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가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시간 및 위치별로 이동한 동선을 연결한 동선정보를 생성하여 방역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게 되고, 이를 수신한 방역 당국에서는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가 이동한 동선을 파악하는데 소중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방역관리 서버는 동선정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동선정보를 수신하여 그 동선정보로부터 일정반경 내 위치한 사람들에게 실시간으로 푸시 메시지 형태의 경고문구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발송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이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와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위치에 있을 경우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 빠르게 그 위치를 떠나거나 타인과 일정 거리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등으로 접촉에 의한 질병 전염을 최대한 방지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큐어 게이트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큐어 게이트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시큐어 게이트 구조의 일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로 하면, 안면 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출입이 허가된 사람을 확인하고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사람의 발열 여부를 체크하여 개폐 상태가 자동 제어되는 제1 도어를 구비한 입구부와, 입구부로부터 연속하게 설치되면서 형성된 밀폐 공간에 제1 살균수단을 구비하고 사람의 보행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본체부와, 입구부 반대 방향으로 본체부에 배치되고 사람 위치를 확인하여 외부로 진출 가능하게 자동 제어되는 제2 도어 및 외부로 노출된 제2 살균수단을 구비한 출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는 상술된 바와 같이 출입하고자 하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안면 인식용 카메라, 사람의 발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 사람의 얼굴 인식 정보 및 발열 여부 확인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제1 도어를 구비하는 것에 더하여, 사람의 체중 및 키를 전자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신체 측정기를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 안면 인식용 카메라는 확진자, 자가격리 대상자의 얼굴 이미지, 거주지, 나이, 연령, 성별, 가족 구성원, 연락처 등을 등록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역관리 서버와 연계하여 안면 인식 기술을 통해 출입하려는 사람이 확진자나 자가격리 대상자일 경우를 확인하게 되면 제1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출입을 자동으로 불허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카메라 자체 센서에 의한 발열 확인 후 사람의 체온이 기준점(예: 37.5℃) 이하의 경우에만 제1 도어가 열리도록 하여 유증상자로 예측되는 사람이 게이트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며,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와 별개로 입구부에 설치되는 비접촉 체온계를 통해 단독으로 또는 열화상 카메라와의 조합으로 게이트를 통과하려는 사람 스스로 온도 측정 후 기준점 이하일 경우에만 제1 도어를 개방하여 게이트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신체 측정기는 입구부에서 사람의 키 및 체중을 함께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전자적으로 키/체중을 측정하여 해당 신체정보를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것도 무관하며,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생성된 신체정보에 따라 제1 살균수단이 제어되도록 기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구부는 게이트를 통과하는 절차, 방식 등을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영상 스크린이나 안내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사람의 보행방향으로 입구부로부터 연속하게 설치되면서 형성된 밀폐 공간에 제1 살균수단을 구비하는 한편, 2차 감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외부에 항균 필름을 부착하거나 항균 코팅 처리하거나 항균성이 우수한 구리를 주요 소재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살균수단은 소독제 분무기, 과산화수소 증기 멸균기, 플라즈마 살균기, 자외선 램프, 훈증 소독기, 공기 청정기 등을 포함하고,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제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제1 도어 앞에 있는 사람의 안면 인식, 발열 상태, 키, 몸무게를 동시에 체크한 이후로 출입이 허가된 사람의 신체정보에 따라 적정량의 소독제, HOCL(미산성 차아염소산수) 등을 조절하여 분무하거나 증기로 내보낼 수 있고, 플라즈마 살균기, 자외선 램프, 살균 기능이 있는 공기 청정기 등을 유행하는 바이러스나 전염병에 맞게 선택적 또는 종합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레일, 체인, 기어 등에 제1 살균수단을 배치하여 상하좌우로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살균수단이 분무 타입인 경우 분무입자의 크기를 에어컴프레셔, 초음파, 피에조 부품 등을 통해 미세 입자화함으로써 사람이 착용한 옷이 젖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소독 살균 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살균수단을 통해 이전 사람이 게이트를 통과한 후 다음 사람이 출입하기 이전에 본체부 내부 공간에 대한 자동 소독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신체 측정기에 의해 확인된 체중 및 키에 따라 제1 살균수단을 제어하거나 사람이 지나간 이후로 자동 소독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살균수단 제어부를 포함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부에는 사람에게 에어를 분사하여 미세먼지/초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 분사기와, 밀폐공간의 공기 정화를 위한 집진기 및 포집기와, 제2 도어 개방 전 사람의 청결한 손 소독 작업을 수행 및 확인하기 위한 손 소독기 및 손 소독 확인수단과, 오염된 본체부 실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미연의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운반이 간편한 이동용 음압기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게이트를 통과한 사람의 살균 소독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손 소독 확인수단은 손 소독기에서 소독제가 배출되었는지의 여부나 UV 램프 및 손 소독 촬영 영상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서 사람이 손 소독을 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며, 손 소독 확인수단에 의해 손 소독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된 이후에만 제2 도어를 개방하여 특정 장소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때 제2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제2 살균수단(예: 소독제 분사식, 자외선 조사식 등)도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특정장소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측에 배치되어 사람에 대해 안면 인식을 기초로 식별하고 발열상황을 체크하여 자동 개폐되며, 통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살균 소독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을 구비한 시큐어 게이트와;
    감염병에 대한 확진자 및 감염병이 예상되어 자가 격리를 지시받은 자가격리 대상자가 등록되고, 상기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식별된 사람이 등록된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방역관리 서버와;
    상기 방역관리 서버로부터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가 확인되었음을 피드백 받기 위한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큐어 게이트에 대해 식별되는 사람을 포함한 주변의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출입자 정보를 통계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제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사람을 식별하기 위해 방역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식별모듈, 상기 식별모듈의 식별 여부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도어 및 통과하는 사람을 살균 소독하기 위한 살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관제서버는 원격으로 식별모듈, 도어 및 살균수단 각각을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방역관리 서버와 연계하여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가 입구측에서 확인된 상황을 중앙 관제서버로 통보하기 위한 출입제한자 알림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식별모듈, 도어 및 살균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 발생 상황을 중앙 관제서버 또는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로 통보하기 위한 이상상황 알림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역관리 서버는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시큐어 게이트는 일정 범위 내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방역관리 서버와 연계하여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스마트폰이 확인되면 방역관리 서버, 게이트 관리자 단말기 및 중앙 관제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서버는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스마트폰이 확인된 복수 개의 시큐어 게이트를 통해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의 동선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동선정보 생성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역관리 서버는 동선정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동선정보를 수신하여 그 동선정보로부터 일정반경 내 위치한 사람들에게 실시간으로 푸시 메시지 형태의 경고문구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발송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KR1020200054049A 2020-05-06 2020-05-06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KR102355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49A KR102355188B1 (ko) 2020-05-06 2020-05-06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49A KR102355188B1 (ko) 2020-05-06 2020-05-06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66A true KR20210135866A (ko) 2021-11-16
KR102355188B1 KR102355188B1 (ko) 2022-01-25

Family

ID=7871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049A KR102355188B1 (ko) 2020-05-06 2020-05-06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034B1 (ko) * 2022-01-17 2022-06-30 전명철 소독 장치를 통해 수집된 정보 기반 이용자 동선 관리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266A (ko) * 2015-07-22 2017-02-02 진준태 열감지식 차단도어를 구비한 감염원 살균 자동 게이트
KR101779705B1 (ko) 2016-03-16 2017-09-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기반 신종 감염병 예측 대응 플랫폼 시스템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101789197B1 (ko) 2017-05-24 2017-10-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염예방거점 관리시스템
KR101845373B1 (ko) * 2017-03-17 2018-04-05 렉스젠(주) 방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55955A (ko) * 2016-11-16 2018-05-28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KR20190136815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에스원 영상 정보를 이용한 감염의심자의 동선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선 분석 방법
KR20200041458A (ko) * 2018-10-12 2020-04-22 센시(주)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266A (ko) * 2015-07-22 2017-02-02 진준태 열감지식 차단도어를 구비한 감염원 살균 자동 게이트
KR101779705B1 (ko) 2016-03-16 2017-09-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기반 신종 감염병 예측 대응 플랫폼 시스템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20180055955A (ko) * 2016-11-16 2018-05-28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KR101845373B1 (ko) * 2017-03-17 2018-04-05 렉스젠(주) 방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9197B1 (ko) 2017-05-24 2017-10-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염예방거점 관리시스템
KR20190136815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에스원 영상 정보를 이용한 감염의심자의 동선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선 분석 방법
KR20200041458A (ko) * 2018-10-12 2020-04-22 센시(주)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034B1 (ko) * 2022-01-17 2022-06-30 전명철 소독 장치를 통해 수집된 정보 기반 이용자 동선 관리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188B1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 et al. Sustainable practice of ophthalmology during COVID-19: challenges and solutions
KR102135633B1 (ko) 출입자의 id와 체온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2401364B1 (ko) 인스턴트 진단 및 감염 예방을 위한 시큐어 게이트 장치
Gostin et al. Responding to COVID‐19: how to navigate a public health emergency legally and ethically
Jaiswal et al. Smart solution for reducing the COVID‐19 risk using smart city technology
KR102169596B1 (ko)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KR101649600B1 (ko)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US10500016B2 (en) Compliance-based cleaning method
CN115943466A (zh) 用于减少疾病在建筑物中传播的风险的方法和系统
CN113808309A (zh) 用于维持健康建筑物的方法和系统
Singh et al. Preventing COVID-19 spread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KR102355188B1 (ko)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Yathiraju et al. The Implications of IoT in the Modern Healthcare Industry post COVID-19
World Health Organization National capacities review tool for a novel coronavirus, 10 January 2020
Singh et al. IoT implementation strategies amid COVID-19 pandemic
Rama Krishna et al. A role of emerging technologies in the design of novel framework for COVID-19 data analysis and decision support system
KR102238786B1 (ko) 전염병 감염자 선별방법
McKenzie et al. Releasing migrants from deten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ur et al. Current strategies for the control of COVID-19 in South Korea
KR102332185B1 (ko) 다수 사용자 출입 가능 시설에 관한 비대면 방식의 방역 조치를 지원할 수 있는 방역 게이트 시스템
US20220005592A1 (en) Methods for administering residential care facility
KR102271868B1 (ko) 손 소독장치를 이용한 방역관리 시스템
Agrawal et al. PREFACE on the Special Issue ‘Technologies for Fighting COVID-19’
Lokesh et al. Security based Contactless Covid-19 Doorbell using Internet of Things
Sharma et al. An integrated framework of socio-economic and technological interventions for COVID-19 in different econom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