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515A -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515A
KR20180055515A KR1020160153443A KR20160153443A KR20180055515A KR 20180055515 A KR20180055515 A KR 20180055515A KR 1020160153443 A KR1020160153443 A KR 1020160153443A KR 20160153443 A KR20160153443 A KR 20160153443A KR 20180055515 A KR20180055515 A KR 20180055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livery
information
cold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랑민
오재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아이
이랑민
오재석
주식회사 인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아이, 이랑민, 오재석, 주식회사 인스컴 filed Critical (주)에스엔아이
Priority to KR102016015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515A/ko
Publication of KR2018005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1Level gauges for beverage storage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의 생수통 교체시기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생수업체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생수 교체시기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생수업체가 자동으로 확인하여 생수통을 배달해주도록 하는 생수통의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수통의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는, 생수통을 상부에 얹어 생수를 공급하는 통상의 냉온정수기으로 하고, 상기 생수통에 설치되어 생수통의 배달위치와 배달수량을 체크하기 위한 무선태그; 상기 냉온정수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생수통의 무게를 감지하여 잔류량을 체크 함과 생수통의 터치에 따른 수량을 카운터 하는 압력센서; 상기 냉온정수기 내부 수조통의 출구에 설치되어 생수의 출수 압력을 감지하여 생수통의 잔류량을 세부적으로 체크하는 수압센서; 상기 냉온정수기의 어느 한 곳에 설치에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생수통에 설치된 무선태그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더;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리더, 압력센서, 수압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수신부;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생수업체의 관리서버에 연결되는 통신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정보, 관리업체의 정보, 관리기사의 정보, 생수통의 주문정보, 생수통의 교체정보가 저장되고, 감지신호수신부, 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설정 값으로부터 감지신호수신부의 감지에 따른 생수통의 사용에 내역을 비교분석하여서, 물 부족으로 판단 시 생수통 주문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생수업체의 관리서버로 자동 전송하는 MCU;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MCU를 관리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어모듈의 표면에 설치되어 MCU의 설정을 조작 및 상태를 표시하는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수통의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의 생수통 배달방법은, 상기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를 대상으로 하고, 그 냉온정수기를 관리하는 생수업체의 관리서버는, 이미 배달된 사용자의 생수통 개수와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냉온정수기에서 전송된 생수통 주문정보를 관리하는 주문정보관리부;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주문정보관리부에서 전송된 생수통 주문정보에 포함된 생수통의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생수통을 배달하고자 하는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인근에 위치하는 배달기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선정하는 배달위치확인부;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배달위치확인부를 통해 배달지역을 확인하고, 배달시간, 결제정보, 배달하고자 하는 생수통의 개수를 포함하는 배달정보를 생성하는 배달정보생성부;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배달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배달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배달기사의 스마트폰으로 송수신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방법{Cold water purifier capable of automatic ordering of water bottles and delivery method of the water bottles}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의 생수통 교체시기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생수업체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생수 교체시기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생수업체가 자동으로 확인하여 생수통을 배달해주도록 하는 생수통의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회사나 가정에서는 냉온정수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곳이 많으며, 특히 생수통을 직접 필요한 만큼 주문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항상 생수가 떨어진 것을 확인하여야 하며, 주문한 생수통을 모두 사용한 경우, 다시 필요한 만큼 생수를 주문하여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생수가 모두 사용된 것을 확인한 후, 주문을 함에 따라 생수통의 주문 후, 생수업체의 배달시간까지는 냉온정수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생수통의 주문시 위치와 개수 등을 일일이 전화로 전달함에 따른 불편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30798호, "냉온수기용 정수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8943호, "냉온정수기"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냉온정수기 생수통의 물 부족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를 생수업체에 전송하고, 생수업체는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연락이 없더라도 생수통의 주문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방법을 제공하려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생수통을 상부에 얹어 생수를 공급하는 통상의 냉온정수기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생수통에 설치되어 생수통의 배달위치와 배달수량을 체크하기 위한 무선태그; 상기 냉온정수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생수통의 무게를 감지하여 잔류량을 체크 함과 생수통의 터치에 따른 수량을 카운터 하는 압력센서; 상기 냉온정수기 내부 수조통의 출구에 설치되어 생수의 출수 압력을 감지하여 생수통의 잔류량을 세부적으로 체크하는 수압센서; 상기 냉온정수기의 어느 한 곳에 설치에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생수통에 설치된 무선태그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더;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리더, 압력센서, 수압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수신부;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생수업체의 관리서버에 연결되는 통신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정보, 관리업체의 정보, 관리기사의 정보, 생수통의 주문정보, 생수통의 교체정보가 저장되고, 감지신호수신부, 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설정 값으로부터 감지신호수신부의 감지에 따른 생수통의 사용에 내역을 비교분석하여서, 물 부족으로 판단 시 생수통 주문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생수업체의 관리서버로 자동 전송하는 MCU;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MCU를 관리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어모듈의 표면에 설치되어 MCU의 설정을 조작 및 상태를 표시하는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를 대상으로 하고, 그 냉온정수기를 관리하는 생수업체의 관리서버는, 이미 배달된 사용자의 생수통 개수와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냉온정수기에서 전송된 생수통 주문정보를 관리하는 주문정보관리부;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주문정보관리부에서 전송된 생수통 주문정보에 포함된 생수통의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생수통을 배달하고자 하는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인근에 위치하는 배달기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선정하는 배달위치확인부;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배달위치확인부를 통해 배달지역을 확인하고, 배달시간, 결제정보, 배달하고자 하는 생수통의 개수를 포함하는 배달정보를 생성하는 배달정보생성부;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배달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배달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배달기사의 스마트폰으로 송수신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의 생수통 배달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는 생수통에 물이 완전하게 떨어지기 전에 생수업체에 자동으로 주문함으로써 사용자가 생수통의 관리가 불필요한 편의성이 있고, 본 발명의 배달방법은 사용자와 가장 인근에 위치하는 배달기사를 선정하여 배달함으로써 유류비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위치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수통을 상부에 얹어 생수를 공급하는 통상의 냉온정수기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생수통에 무선태그를 설치하여 생수통을 관리함과 함께 냉온정수기에 생수통의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물 부족시 이를 감지하여 생수업체의 관리서버, 사용자의 스마트폰, 배달기사의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생수업체의 관리서버는 생수통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냉온정수기에서 전송된 생수통의 물 부족을 감지에 따른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비교하여 판단한 후, 배달기사의 배달위치를 확인한 한 다음,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배달기사에서 생수통의 배달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자동으로 생수통의 주문과 배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생수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통에는 배달된 생수통의 위치를 확인함과 함께 배달된 생수통의 개수를 확인하기 위해 무선태그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무선태그의 일 예로서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나 비콘(Beacon)을 설치할 수 있으며, RFID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냉온정수기에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RFID 리더를 설치하여 생수통의 착탈 여부 및 그 착탈여부에 따른 카운팅을 하여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냉온정수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정수기에는 생수통이 얹혀지는 냉온정수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생수통의 무게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생수통에 담긴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생수통의 터치에 따른 수량을 카운터 하는 압력센서와, 냉온정수기의 내부 수조통 밑의 출수밸브 내에 설치되어 출수 압력을 체크하여 생수통의 물 부족을 감지하는 수압센서가 설치된다.
또한, 냉온정수기의 어느 한 곳에 제어모듈이 설치되고, 그 제어모듈 내에 생수통에 설치된 무선태그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더와, 상기 리더, 압력센서, 수압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수신부와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설치된다.
또한, 제어모듈에는 사용자의 정보, 관리업체의 정보, 관리기사의 정보, 생수통의 주문정보, 생수통의 교체정보가 저장되고, 감지신호수신부, 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설정 값으로부터 감지신호수신부의 감지에 따른 생수통의 사용에 내역을 비교분석하여서, 물 부족으로 판단 시 생수통 주문정보를 통신모듈, 게이트웨이, 인터넷 및 인터넷을 통한 푸시서버를 통해 생수업체의 관리서버, 생수업체 배달기사의 스마트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하는 MCU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에는 MCU를 관리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모듈의 표면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MCU의 설정을 조작 및 상태를 표시하는 패널이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더욱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력센서는 냉온정수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생수통의 무게를 통해 생수통의 현재 남아 있는 물의 양과 사용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생수통의 무게에 의해 냉온정수기 상부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 및 카운터하고, 이를 통해 생수통의 무게, 즉 남은 물의 양을 확인함과 사용수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마지막 생수통 또는 미리 설정된 여분의 생수통의 무게가 설정된 생수통의 무게보다 작으면 MCU에서 이를 비교판단하여 생수업체의 관리서버로 생수통 주문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물 부족시에는 냉온정수기의 제어모듈 표면에 설치된 패널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물 부족을 램프나 스피커로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압센서는 압력센서와 함께 생수통의 물의 양을 더욱더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냉온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수조통의 출수 밸브에 설치되어 출수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생수통의 물의 양이 많은 경우, 출수되는 물의 압력이 높을 것이고, 물의 양이 적어질수록 물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출수되는 물의 수압을 통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감지신호수신부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한 수압센서는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배제할 수 있다. 그러나 수압센서가 존재하지 않으면 냉온정수기 내에 존재하는 수조통의 물 부족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가급적 둘 다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모듈은 연결단자를 가지는 케이스 형태로 되어 냉온정수기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기존의 냉온정수기에는 상기 제어모듈을 부착하는 형태로 설치하여 냉온정수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수압센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착탈 구성은 사용자가 알림서비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신규 냉온정수기에 제어모듈을 탑재함에 따른 원가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더는 생수통에 설치된 무선태그의 신호를 수신하여 생수통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서 생성된 생수통의 위치정보는 생수통이 현재 배달된 건물 내의 위치를 확인함과 함께 분실 등을 파악하고, 생수통의 주문정보 생성시 생수통의 위치정보가 포함되게 함으로써, 생수업체의 관리서버에서 생수통 배달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감시신호수신부는 리더, 압력센서, 수압센서를 통해 전송되어온 감지신호를 관리하며, 수신된 감지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MCU로 전송하여서 MCU에서 생수통 주문정보를 생성하는데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MCU는 사용자, 관리업체, 관리기사의 각종 정보가 저장되고, 주문정보, 사용정보가 저장되며, 감지신호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저장될 설정 값과 비교분석하고, 물 부족으로 판단 시 생수통 주문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모듈, 게이트웨이, 인터넷을 통해 생수업체의 관리서버로 전송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신모듈은 생수통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생수통 주문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단자로서, 냉온정수기 주변에 게이트와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단자 또는 LAN모듈이 직접 접속되는 유선통신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바로 연결되어 MCU를 제어하거나 알림을 받기 위함과, 사용자, 생수업체의 관리자, 배달기사의 관리 및 확인 그리고 원격제어를 위한 것으로, 각종 정보가 변경되거나 설정이 변경이 필요한 경우 또는 사용내역, 결제내역, 현 사용상태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패널은 터치패널디스플레이, 버튼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LED램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모듈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 배달기사가 수동으로 설정을 변경하고, 현상태를 확인하기 위함과, 현재의 각종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패널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함으로, 원가절감을 위해 필요에 따라 구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냉온정수기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정수기의 제어시스템은 냉온정수기를 관리하는 생수업체의 관리서버에 설치되어 관리하며, 생수업체의 관리서버는 이미 배달된 사용자의 생수통 개수와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냉온정수기에서 전송된 생수통 주문정보를 관리하는 주문정보관리부와, 상기 주문정보관리부에서 전송된 생수통 주문정보에 포함된 생수통의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생수통을 배달하고자 하는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인근에 위치하는 배달기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선정하는 배달위치확인부와, 상기 배달위치확인부를 통해 배달지역을 확인하고, 배달시간, 결제정보, 배달하고자 하는 생수통의 개수를 포함하는 배달정보를 생성하는 배달정보생성부와, 상기 배달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배달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배달기사의 스마트폰으로 송수신하는 전송부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냉온수기 제어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수통이 부족할 때 그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배달기사를 선정하여 즉각적인 배달을 가능하게 함과, 배달시간, 결제정보, 배달하고자 하는 생수통의 개수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조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더욱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생수업체에서 생수통을 배달한 위치와 생수통의 개수를 데이터로 저장하며, 생수통을 배달한 고객들을 관리함과 함께 생수통의 주문시 자동으로 배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주문정보관리부는 인터넷을 통해 냉온정수기의 자동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생수통 주문정보를 분석하게 되며, 전송받은 생수통 주문정보를 통해 생수통 주문정보가 송신된 위치, 결제정보, 주문한 생수통의 개수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확인하여 배달위치확인부로 전송한다.
상기 배달위치확인부는 분석된 생수통 주문정보 중에서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와 배달기사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실제 배달하여야 하는 지역을 확인하게 되며, 현재 배달기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서,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인근에 위치하는 배달기사를 선정한다.
상기 배달정보생성부는 생수통을 배달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배달위치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와 생수통의 배달시간 및 생수통 주문정보를 통해 분석된 결제정보, 주문된 생수통의 개수를 포함하는 배달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전송부는 배달정보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배달정보를 지역별로 설정된 배달기사 중에서 가장 인근에 있는 배달기사의 스마트폰에 알림메시지 형태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배달기사는 배달정보를 확인한 후, 이를 다시 관리서버에 배달가능여부, 배달소요시간 등을 전송하고, 그 전송메세지를 받은 전송부는 배달기사로부터 받은 전송메세지를 취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함과 냉온정수기의 패널에 표시한다.
만약, 배달기사의 배달이 불가능할 경우, 관리서버는 다른 배달기사를 물색하여 송수신하고, 사용자의 요청으로 배달시간이나 수량이 변경될 경우, 해당 정보를 배달기사과 조율하여 그 정보는 발송한다.
이하,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에 대한 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구성을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구체적인 구성은 추구하고자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나 형태, 모양, 배치, 방향, 구성물의 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구체적인 구성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응용한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의 구성이 다른 구성과 병행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에 대한 권리범위를 대한 청구항과 같이 다양하게 특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생수통을 상부에 얹어 생수를 공급하는 통상의 냉온정수기;
    상기 생수통에 설치되어 생수통의 배달위치와 배달수량을 체크하기 위한 무선태그;
    상기 냉온정수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생수통의 무게를 감지하여 잔류량을 체크 함과 생수통의 터치에 따른 수량을 카운터 하는 압력센서;
    상기 냉온정수기 내부 수조통의 출구에 설치되어 생수의 출수 압력을 감지하여 생수통의 잔류량을 세부적으로 체크하는 수압센서;
    상기 냉온정수기의 어느 한 곳에 설치에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생수통에 설치된 무선태그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더;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리더, 압력센서, 수압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수신부;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생수업체의 관리서버에 연결되는 통신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정보, 관리업체의 정보, 관리기사의 정보, 생수통의 주문정보, 생수통의 교체정보가 저장되고, 감지신호수신부, 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설정 값으로부터 감지신호수신부의 감지에 따른 생수통의 사용에 내역을 비교분석하여서, 물 부족으로 판단 시 생수통 주문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생수업체의 관리서버로 자동 전송하는 MCU;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어 MCU를 관리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어모듈의 표면에 설치되어 MCU의 설정을 조작 및 상태를 표시하는 패널;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2. 청구항 1의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상기 냉온정수기를 관리하는 생수업체의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이미 배달된 사용자의 생수통 개수와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냉온정수기에서 전송된 생수통 주문정보를 관리하는 주문정보관리부;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주문정보관리부에서 전송된 생수통 주문정보에 포함된 생수통의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생수통을 배달하고자 하는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인근에 위치하는 배달기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선정하는 배달위치확인부;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배달위치확인부를 통해 배달지역을 확인하고, 배달시간, 결제정보, 배달하고자 하는 생수통의 개수를 포함하는 배달정보를 생성하는 배달정보생성부;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되어 상기 배달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배달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배달기사의 스마트폰으로 송수신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의 생수통 배달방법.
KR1020160153443A 2016-11-17 2016-11-17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시스템 KR20180055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443A KR20180055515A (ko) 2016-11-17 2016-11-17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443A KR20180055515A (ko) 2016-11-17 2016-11-17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515A true KR20180055515A (ko) 2018-05-25

Family

ID=6229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443A KR20180055515A (ko) 2016-11-17 2016-11-17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51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7206A (zh) * 2018-08-29 2019-01-04 沈孆 一种智能食品安全净化屋的控制方法及系统
CN110390583A (zh) * 2019-07-23 2019-10-29 成都马上到科技有限公司 饮用水包装桶管理系统及方法
KR20200018073A (ko) * 2018-08-10 2020-02-19 (주)원봉 냉온수기용 물통 자동 주문 장치
KR20210047561A (ko) * 2019-10-22 2021-04-30 (주)더메리트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WO2022010478A1 (en) * 2020-07-07 2022-01-13 Henkel IP & Holding GmbH Commodity dispenser system with inventory monitor and use-based replenishment featur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073A (ko) * 2018-08-10 2020-02-19 (주)원봉 냉온수기용 물통 자동 주문 장치
CN109147206A (zh) * 2018-08-29 2019-01-04 沈孆 一种智能食品安全净化屋的控制方法及系统
CN109147206B (zh) * 2018-08-29 2020-11-24 沈孆 一种智能食品安全净化屋的控制方法及系统
CN110390583A (zh) * 2019-07-23 2019-10-29 成都马上到科技有限公司 饮用水包装桶管理系统及方法
KR20210047561A (ko) * 2019-10-22 2021-04-30 (주)더메리트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WO2022010478A1 (en) * 2020-07-07 2022-01-13 Henkel IP & Holding GmbH Commodity dispenser system with inventory monitor and use-based replenishment features
US11641984B2 (en) 2020-07-07 2023-05-09 Henkel Ag & Co. Kgaa Commodity dispenser system with inventory monitor and use-based replenishment fea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5515A (ko) 생수통 자동주문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및 그 생수통의 배달시스템
KR101729971B1 (ko) 스마트 플러그 기반 홈 에너지 정보 프로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44861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과금시스템
CN102460187B (zh) 功率监测系统
US10330368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 dispensing system of a refrigerated appliance
CN103080987B (zh) 安全系统
CN206541151U (zh) 一种饮水机智能控制系统
US8991649B2 (en) Keyed dispens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3209623B (zh) 用于监控和控制通过料包或包囊制备饮料、特别是咖啡的机器的操作模式的系统
KR102487948B1 (ko)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 디스펜싱 시스템
CN106327807A (zh) 一种饮水装置的预警系统
CN106691191A (zh) 一种智能即热式无内胆饮水机及其智能控制方法
KR101746223B1 (ko)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어댑터
US20220177292A1 (en) Connected and automated liquid dispensing attachment
CN106483854A (zh) 一种余量自动检测装置及其自动订购方法
CN104271494B (zh) 用于从容器分发液体的系统和方法
CN206910225U (zh) 智能饮水机系统
US20200241508A1 (en) Cleaning device with data acquisition unit
CN104793550A (zh) 智能饮水装置的操作系统和操作方法
CN201935793U (zh) 直饮水机在线漏水检测系统
JP5520039B2 (ja) 燃料供給装置
CN110944935B (zh) 用于饮水机的带有无线填充水平或消耗发送件的水容器的联接件
KR20090109451A (ko) 고객 무선호출 장치
KR101595296B1 (ko) Lpg 가스용기 관리 시스템
CN111561660A (zh) 瓶装液化石油气连续供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