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290A - Pressure sensor - Google Patents

Pressur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290A
KR20180055290A KR1020160152954A KR20160152954A KR20180055290A KR 20180055290 A KR20180055290 A KR 20180055290A KR 1020160152954 A KR1020160152954 A KR 1020160152954A KR 20160152954 A KR20160152954 A KR 20160152954A KR 20180055290 A KR20180055290 A KR 20180055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astening
levers
pressure sensor
sens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3502B1 (en
Inventor
장철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502B1/en
Publication of KR2018005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2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38Fluidic connecting means being part of the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10) having a connector part (12) for performing a signal connection between an inside and an outside and provided therein with a terminal (T); a second housing (30)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0) to form a shielded inner space (14′) and having a fluid path (39′) communicated with the inner space (14′) and a measurement space to deliver pressure variation in the measurement space; a det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4′) for detecting pressure variation in the measurement space by receiving the pressure variation through the fluid path (39′); and a fastening unit (35). The fastening unit (35)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levers (35A to 35C) which are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30) and inserted into fastening holes (S) of the first housing (1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pling levers (35A to 35C) are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constituting a pressure senso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so that the two housing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elastic deformation.

Description

압력센서{Pressure sensor}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정장소에 고정되어 측정장소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압력변화를 검출하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sure sensor that is fixed to a measurement site and detects a pressure change due to an impact applied to a measurement site.

최근에 자동차에서 자동차 주변의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압력의 변화로 검출하여 필요한 동작을 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압력센서가 있다. 이는 운전자 및 동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Recently, various sensors have been used to detect the situation around a car in a car. For example, there is a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by a change in pressure and provides data for taking necessary actions. This provides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airbag to protect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여기서, 자동차에 발생된 충격을 압력변화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감지소자까지 연결되는 유체유로가 있다. 이 유체유로에서 유체의 압력이 누설됨이 없이 감지소자까지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탄성재질의 가스켓이나 시일 등을 사용하게 된다.Here, in order to sense the impact generated in the automobile by the pressure change, there is a fluid passage connected to the sensing element. A gasket or seal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used in order to transmit the fluid pressure to the sensing element without leakage of the fluid from the fluid passage.

즉, 압력센서는 유체의 압력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하우징을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고,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커버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단순한 구조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구조는 압력누설 방지에는 유리하지만, 사출성형을 통해 세밀한 구조를 만들기 어렵다. That is, it is important that the pressure sensor does not leak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this end, a simple structure is conventionally used in which the housing is made as one component and the cover for shielding the inner space is coupled to the housing. Such a structure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pressure leakage, but it is difficult to make a fine structure through injection molding.

반대로, 하우징을 두 개의 부품으로 만들면 세밀한 내부구조의 설계가 가능하지만 두 하우징 사이의 밀폐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두 하우징 사이의 체결력을 높이는 방식을 택할 수 있으나, 이는 고장이나 부품교체를 위해 압력센서를 분해하기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하우징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체결부위가 부러지거나, 매우 큰 분리력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Conversely, if the housing is made of two parts, it is possible to design a fine internal structure, but it is difficult to seal between the two housing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two housings can be adopted. However, this disadvantageously makes it difficult to disassemble the pressure sensor for failure or replacement of parts. Actually, there is a problem that a fastening part is broken in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the housing, or a very large separating force is required, and the workability is greatly reduced.

또한 하우징을 분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소한 부분에서 제조상 오류가 발생해도 압력센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품 외면에 제품번호나 생산자 등을 표시하는 작업과 같이 사소한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해도 압력센서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Further, since the housing is difficult to disassemb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ntire pressure sensor must be replaced even if a manufacturing error occurs in a small area. For example, if an error occurs in a minor part, such as displaying a product number or producer on the outside of a product using a laser, the entire pressure sensor must be replaced, resulting in reduced productivit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981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981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483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1483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센서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두 부품 사이의 체결력을 높임과 동시에, 두 부품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ure sensor which can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wo components constituting a housing of a pressure sensor, will b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외부 사이의 신호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차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과 측정공간을 연통하여 상기 측정공간의 압력변화를 전하는 유체유로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측정공간의 압력변화를 상기 유체유로를 통해 전달받아 검출하는 검지소자와, 상기 제2하우징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측정공간에서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과,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다수개의 체결레버가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ttain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housing having a connector portion for performing signal connec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A second housing formed in the inner space to form a sealed inner space and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nd the measurement space to transmit a pressure change in the measurement space; A gasket inserted in the second housing to prevent pressure leakage in the measurement space, and a gasket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irst housing to be hooked And fastening means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lev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체결수단은 서로 이격된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에 걸리거나 분리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ans may includ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may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s of the first housing through elastic deformation.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커넥터부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제2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레버 및 제2체결레버와, 상기 커넥터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제2하우징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3체결레버로 구성된다.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first fastening lever and a second fastening lever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a second housing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portion extends, and a second fastening lever and a second fastening lever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a third locking lever provided.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 가장자리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걸림이 해제된다.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ar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irst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first fastening levers to the third fastening levers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s of the first housing to release the fastening.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됨으로써 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 주변에는 상기 파지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간섭회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is formed to protrude through the fastening hole and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to form a grip portion, and an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fastening hole so that the grip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

상기 제2하우징에서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밀착편이 돌출되고, 상기 밀착편은 상기 체결홀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체결력을 높인다. In the second housing, a contact piece is protruded at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and the contact pie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

상기 밀착편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홀 내면을 향해 밀착리브가 돌출된다. And an abutting rib protrude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piece.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는 서로 대응하는 조립채널 및 조립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조립방향을 안내한다.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provided with assembly channels and assembling ba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guide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상기 가스켓은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측정공간과 제2하우징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외부가스켓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유체유로 주변을 감싸 유체유로와 감지소자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내부가스켓부를 포함한다. The gasket includes an outer gasket protruding outside the second housing to prevent leakage of pressure between the measurement space and the second housing, and an outer gasket surrounding the fluid channel of the second housing to prevent pressure leakage between the fluid channel and the sensing element. And an inner gasket portion for preventing the gasket.

상기 감지소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유체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부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체결되면 상기 감지소자에 상기 터미널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Wherein the sensing element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uid passage of the second housing, the first housing is provided with a terminal protruding at least partly from the connector portion and a remain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pace,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coupled, the terminal contacts the sensing elemen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센서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다수개의 체결레버가 구비되어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통해 두 하우징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압력센서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쉬운 분리를 통해 일부 부품의 이상 발생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pling levers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ich constitute the pressure sensor, so that the coupling force can be increased and the two housings can be easily separated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upling lever.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pressure sensor can be enhanced, and the pressure sensor can be easily replace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some parts through easy separation.

특히, 상대커넥터와의 결합과정에서 외력이 쉽게 가해지는 커넥터부의 반대편에도 체결레버가 배치되어 체결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coupl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the fastening lever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or por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s easily applied, so that the fastening force is further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체결레버를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쉽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배치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fastening levers are arranged so that the operator can grasp the fastening levers with one hand and easily deform them,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회로기판이 생략되고, 감지소자와 터미널이 직접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줄어든다. Further, since the circuit board is omitted and the sensing element and the terminal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he number of parts and the number of assembling operations are reduced.

특히, 감지소자 및 터미널은 두 하우징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탄성접촉되므로, 조립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sensing element and the terminal are elastically contacted with each other naturally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two housings, the assembling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반대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각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I-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II-II' 선에 대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n an opposite direction;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n an exploded manne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housing that constitute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housing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는 차량의 내부 등과 같은 측정공간에 설치되어, 그 부분의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된 압력이 전기적 신호로 전달되면 차량에서 적절한 대응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발생된 충격을 압력변화로 감지하여 에어백이 터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 configuration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easurement space such as the inside of a vehicle and serves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portion. When the measured pressure is transmitted as an electrical signal, appropriate countermeasures can be made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impact of the vehicle is detected as a pressure change so that the airbag is blown.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크게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에 의해 그 골격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결합하여 하나의 압력센서를 구성한다.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라는 명칭은 임의로 정한 것이고,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순서가 바뀌거나 커버, 몸체 등 다양한 명칭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The skeleton of the pressur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formed by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combined to constitute one pressure sensor. The names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arbitrarily defined and the order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changed or may be changed to various names such as a cover and a body.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결합되면 그 내부에 내부공간(14',30')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검지소자와 터미널(T) 등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14',30')은 외부로부터 차폐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체결수단(35)을 통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체결력을 높인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coupled, internal spaces 14 'and 30' are formed therein. In the inner spaces 14 'and 30', a detecting element, a terminal T, and the like to be described below are positioned. The inner space 14 ', 30' must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means 35 betwe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

제1하우징(10)에 대해 설명하면,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하우징(10)은 대략 링형태의 외곽몸체(11)를 가지고 있고, 외곽몸체(11)의 일측에는 커넥터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부(12)는 상대커넥터(미도시)와 결합되어 검지소자에 검지된 압력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부(12)의 연결공간(12')에는 터미널(T)의 일부가 돌출된 상태가 된다. 3, the first housing 10 has a substantially ring-shaped outer shell body 11, and on one side of the outer shell body 11, a connector portion 12 . The connector 12 is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to transmit the pressur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ng element to the outside. A part of the terminal T is protruded in the connection space 12 'of the connector 12.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메인몸체부(14)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몸체는 외곽몸체(11)에 의해 둘러진 제1하우징(1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이고, 내부공간(14')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부(14)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터미널(T)의 일부가 위치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터미널(T)은 제1하우징(10)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데, 후술할 터미널(T)의 탄성접촉부(T')가 내부공간(14')에 위치하여 감지소자(60)와 탄성접촉된다. The first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ortion 14. The main body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housing 10 surrounded by the outer shell 11 and forms a part of the inner space 14 '. The main body portion 14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a portion of the terminal T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14. More precisely, the terminal 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0 through insert injection, in which the elastic contact T 'of the terminal T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14' 60).

제1하우징(10)의 저면 구성을 보인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메인몸체부(14)와 외곽몸체(11) 사이에는 다수개의 체결홀(S)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S)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30)의 체결수단(35)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체결수단(35)의 적어도 일부가 체결홀(S)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된다. 4,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S are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0 between the main body 14 and the outer shell 11, as shown in FIG. The fastening hole S is for engagement with the fastening means 35 of the second housing 30 to be described below and at least a part of the fastening means 35 protrudes to the opposite side through the fastening hole S do.

상기 체결홀(S)은 제1체결홀(S1)과 제2체결홀(S2)로 나눌 수 있는데, 제1체결홀(S1)은 체결수단(35)이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2체결홀(S2)은 제2하우징(30)의 밀착편(33)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들 제1체결홀(S1)과 제2체결홀(S2)은 메인몸체부(14)와 외곽몸체(11) 사이에 서로 번갈아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체결홀(S1)은 총 3개이고, 제2체결홀(S2)은 총 4개이다. 3개의 제1체결홀(S1)은 메인몸체부(14)를 중심으로 서로 9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1체결홀(S1)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는 상기 커넥터부(12)가 있다. The fastening hole S may be divided into a first fastening hole S1 and a second fastening hole S2. The first fastening hole S1 is a portion into which the fastening means 35 is inserted, (S2) is a portion into which the contact piece 33 of the second housing 30 is inserted. The first fastening hole S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S2 are alternately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14 and the outer shell body 11.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first fastening holes S1 is three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fastening holes S2 is four in total. The three first fastening holes S1 are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14 and the connector portion 12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fastening hole S1 is not formed.

상기 체결홀(S)에는 걸림단(16)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단(16)에는 체결수단(35)이 걸린다. 보다 정확하게는 체결수단(35)을 구성하는 체결레버(35A~35C)가 제1체결홀(S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되면 체결레버(35A~35C)의 체결돌부(36)가 상기 걸림단(16)에 걸린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인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The fastening hole (S) is provided with a latching end (16). A fastening means (35) is attached to the engaging end (16). More precisely, when the fastening levers 35A to 35C constituting the fastening means 35 ar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s S1 and then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the fastening projections 35A to 35C of the fastening levers 35A to 35C 36 are engaged with the latching end 16. This state is well shown in Fig. 6,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상기 걸림단(16)에는 경사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16')가 하향 경사진 형태이기 때문에 체결레버(35A~35C)가 제1체결홀(S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체결돌부(36)가 경사부(16')를 타고 넘으면서 체결레버(35A~35C)가 쉽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체결돌부(36) 역시 경사부(16')와 대응하도록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The engaging end 16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16 '. Since the inclined portion 16 'is inclined downward, the fastening protrusion 36 rides over the inclined portion 16' while the fastening levers 35A to 35C ar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S1, The levers 35A to 35C can be easily elastically deformed. Of course, the fastening protrusion 36 may also hav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16 '.

상기 제1체결홀(S1)에는 간섭회피부(17A~17C)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17A~17C)는 제1체결홀(S1) 주변이 요입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간섭회피부(17A~17C)는 제1체결홀(S1)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된 체결레버(35A~35C)의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체결레버(35A~35C)를 파지하여 이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간섭회피부(17A~17C)는 각 제1체결홀(S1) 마다 형성되므로, 제1회피부 내지 제3회피부(17A~17C)로 구성된다. 참고로 도 1에는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가 간섭회피부(17A~17C)를 통해 외부로 드러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Interference skin 17A to 17C are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hole S1. The interference fringes 17A to 17C are formed by being recessed around the first fastening hole S1. The interference fingers 17A to 17C allow a part of the coupling levers 35A to 35C protruded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S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us, the operator can grasp the clamping levers 35A to 35C and elastically deform the clamping levers 35A to 35C. Since the interference fringes 17A to 17C are formed for each of the first fastening holes S1, the interference fringes 17A to 17C are composed of the first skin to the third skin 17A to 17C. For reference,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ference fringes 17A to 17C.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조립채널(19)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채널(19)은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조립방향을 따라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메인몸체부(14)의 외면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립채널(19)은 제2하우징(30)의 조립바(34)에 대응하여,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4, an assembly channel 19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0. The assembly channel 19 is formed along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n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4. The assembly channel 19 serves to guide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in correspondence with the assembly bar 34 of the second housing 30.

다음으로 제2하우징(30)에 대해 설명하면, 도 3에서 보듯이 제2하우징(30)은 하우징몸체가 그 골격을 형성하고, 양쪽에는 장착편(31)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편(31)은 압력센서를 자동차의 고정부, 예를 들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편(31)을 관통하여서는 장착공(31')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31')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통과하여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the second housing 30, as shown in FIG. 3, the housing body of the second housing 30 forms the skeleton thereof, and the mounting pieces 31 are provided on both sides. The mounting piece 31 is for fixing the pressure sensor to the fixed part of the vehicle, for example, a panel. A mounting hole 31 'is formed through the mounting piece 31. A fastener such as a bolt may be passed through the mounting hole 31 'to be fixed to the panel.

도 5에는 제2하우징(30)의 저면구조가 나와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제2하우징(30)의 하우징몸체 중심은 안쪽으로 요입되어 내부공간(30', 도 6참조)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바닥에는 체결가이드(3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가이드(32)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결합되면 제1하우징(10)의 내부공간(14')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내부공간(30')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가이드(32)의 중심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몸체(39)가 위치한다. 5, the bottom surface structure of the second housing 30 is shown. As shown in FIG. 5, the center of the housing body of the second housing 30 is recessed inward to form the inner space 30 '(see FIG. 6) And a fastening guide 32 is provided on the bottom thereof. The fastening guide 32 is a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pace 14 'of the first housing 10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 At the center of the fastening guide 32, a channel body 39 to be described below is positioned.

상기 제2하우징(30)의 하우징몸체에는 다수개의 밀착편(33)이 구비된다. 상기 밀착편(33)은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2체결홀(S2)에 삽입되어 제2체결홀(S2)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것으로, 도 5에 보는 바와 같이 제2하우징(30)의 하우징몸체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돌출된다. 상기 밀착편(33)에는 밀착리브(33')가 돌출되는데, 상기 밀착리브(33')는 제2체결홀(S2)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실질적으로 제2체결홀(S2)에 접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밀착편(33)으로 인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 사이의 체결이 보다 견고해지고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ousing body of the second housing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 pieces (33). 5, the contact piece 3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S2 of the first housing 10 and closely attached to the edg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S2, In the form of a cantilever. A contact rib 33 'protrudes from the contact piece 33. The contact rib 33'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S2 and is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hole S2 . The tightening betwe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becomes more rigid and the clearance can be prevented by the close contact piece 33. [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체결수단(35)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35)은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 사이의 조리을 위한 것으로, 제1체결홀(S1)에 삽입되어 걸린다. 상기 체결수단(35)은 다수개의 체결레버(35A~35C)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로 구성된다.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는 외팔보 형태로 구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The second housing (30) i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35). The fastening means 35 is for cooking betwe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nd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S1. The fastening means 35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astening levers 35A to 35C.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means is composed of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are cantilevered and elastically deformable.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체결수단(35)은 서로 이격된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로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10)의 체결홀(S)에 걸리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수단(35)은 서로 이격된 3개의 체결레버(35A~35C)를 통해 체결력을 높인다. In more detail, the fastening means 35 is composed of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spac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fastening levers to the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are elastically deformed (S) of the first housing (10). That is, the fastening means 35 increases the fastening force through the three fastening levers 35A to 35C spaced from each other.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수단(35)에 의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은 제1체결부(A), 제2체결부(B) 및 제3체결부(C)를 갖는다. 제1체결부 내지 제3체결부(A~C)에서 각각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체결이 이루어져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방향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fastened by the fastening means 35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 the second fastening part B and the third fastening part C ).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fastened to each other at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portions A to C so that the assembled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In Fig. 1, arrows indicate directions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상기 체결수단(35)은 상기 커넥터부(12)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제2하우징(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레버(35A) 및 제2체결레버(35B)와, 상기 커넥터부(12)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제2하우징(30)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3체결레버(35C)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부(12)가 구비된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90도 간격으로 총 세 개의 체결레버(35A~35C)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커넥터부(12)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커넥터부(12)가 외력에 의해 들리거나 눌리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결합부위에 강한 분리력이 가해진다. 하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커넥터부(12)가 연장된 위치를 제외하고 3개의 체결레버(35A~35C)가 제2하우징(30)을 둘러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분리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고, 압력센서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fastening means 35 includes a first fastening lever 35A and a second fastening lever 35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30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12 extends, And a third locking lever 35C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housing 30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or portion 12. [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a total of three latching levers 35A to 35C are provid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except f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portion 12 is provided. The connector 12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engage with each other and therefore when the connector 12 is lifted or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A strong separating force is applied to the joint portion of the housing 30. [ 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hree fastening levers 35A to 35C except for the extended position of the connector portion 12 are provided around the second housing 30, they can sufficiently resist the separating for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rm coupling state.

특히, 커넥터부(12)가 외력이 작용하면 가장 큰 토크가 가해지는 반대위치, 즉 제3체결부(C)에도 제3체결레버(35C)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외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third engaging lever 35C is provided at the opposite position where the largest torque is applied, that is, the third engaging portion C, when the connector portion 12 is acted upon by an external force, .

도 6에서 체결수단(35)이 걸린 상태를 보면, 상기 체결레버(35A~35C)에는 체결돌부(36)가 구비되어 제1체결홀(S1)의 걸림단(16)에 걸린다. 따라서 제2하우징(30)은 제1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도 6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체결돌부(36)의 외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걸림단(16)의 경사부(16')를 타고 넘으면서 체결레버(35A~35C)의 탄성변형을 유도한다. 6, the fastening projections 36 are provided on the fastening levers 35A to 35C to engage with the fastening ends 16 of the first fastening holes S1. Therefore, the second housing 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in a direction separating from the first housing 10 (downward with reference to Fig. 6).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36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e fastening protrusion 36 rides over the inclined portion 16 'of the fastening end 16 to induc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levers 35A to 35C.

한편, 도 1과 같이,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체결홀(S1)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됨으로써 파지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홀(S1) 주변에는 앞서 설명한 간섭회피부(17A~17C)가 있으므로, 작업자는 쉽게 파지부를 파지하여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가 탄성변형되면 체결돌부(36)가 걸림단(16)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분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protrudes from the first fastening hole S1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S1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 Since the above-described interference fingers 17A to 17C are provided around the first fastening hole S1, the operator can easily grasp the grip portion to elastically deform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 When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are elastically deformed, the fastening protrusion 36 is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with the fastening end 16,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0 and 30 are separated .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조립바(34)가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10)의 조립채널(19)에 끼워진다. 상기 조립바(34)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조립과정에서 조립채널(19)에 삽입됨으로써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housing 30 is provided with an assembly bar 34 and is fitted into the assembly channel 19 of the first housing 10. The assembly bar 34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channel 19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to guide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It plays a role.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입구후드(37)가 있다. 상기 입구후드(37)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입구후드(37) 안쪽에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공간(30')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유체유로(39')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후드(37)는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유체유로(39')의 입구(38)가 있다. 상기 입구(38)를 통해 유체가 상기 유체유로(39')로 전달되어 압력변화를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소자(60)가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housing (30) has an inlet hood (37). The inlet hood 37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30. A fluid flow path 39 'is formed inside the inlet hood 37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body 30' . The inlet hood 37 is open to one side and has an inlet 38 of the fluid channel 39 '. Fluid is delivered to the fluid channel 39 'through the inlet 38 to allow the sensing element 60 to detect a pressure change as described below.

상기 유체유로(39')는 제2하우징(30)의 유로몸체(39)를 따라 형성된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유로몸체(39)는 제2하우징(30)의 내부공간(30') 쪽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중심에 유체유로(39')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몸체(39)는 후술할 가스켓(40)의 내부가스켓부(45)에 의해 감싸지고, 이를 통해 유체유로(39')와 감지소자(60) 사이의 압력누설이 방지된다. 참고로 도 6 및 도 7은 단면각도상 유로몸체(39)에 유체유로(39')가 드러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The fluid passage 39 'is formed along the flow passage body 39 of the second housing 30. As shown in FIG. 5, the channel body 39 protrudes toward the inner space 30 'of the second housing 30, and a fluid passage 39'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channel body 39 is surrounded by an inner gasket portion 45 of a gasket 4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pressure leakage between the fluid channel 39 'and the sensing element 60 is prevented. 6 and 7 are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passage 39 'is not exposed in the flow path body 39 in terms of the cross-sectional angle.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가스켓(40)이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40)은 밀폐를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스켓(40)은 제2하우징(30)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가스켓(40)은 제2하우징(30)과 다른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상대적으로 탄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As shown in FIG. 3, the gasket 40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30. The gasket 40 is for sealing. In this embodiment, the gasket 40 is integrally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30 through insert injection. The gasket 40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housing 30,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good elasticity.

상기 가스켓(40)은 외부가스켓부(41) 및 내부가스켓부(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가스켓부(41)과 내부가스켓부(45)은 연결부(43)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데, 외부가스켓부(41)은 제2하우징(30)의 바깥쪽으로 일부 노출되지만 내부가스켓부(45)은 내부공간(30')에 위치하여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외부가스켓부(41)은 상기 입구후드(37)의 주변을 둘러 위치되어 상기 유체유로(39')에서 유체의 압력이 누설되지 않고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외부가스켓부(41)은 고정부인 패널의 표면에 밀착되어 유체의 압력이 누설되지 않고 상기 입구(38)를 통해 유체유로(39')로 유체의 압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도면부호 47은 제2하우징(30)과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한 걸림돌부이다. The gasket 40 is composed of an outer gasket portion 41 and an inner gasket portion 45. The outer gasket portion 41 and the inner gasket portion 4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43. The outer gasket portion 41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30,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30 'and is not exposed. The outer gasket portion 41 is positioned around the inlet hood 37 so that the pressure of the fluid in the fluid channel 39 'can be transmitted without leakage. That is, the outer gasket 4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anel, which is the fixing part, so that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transmitted to the fluid passage 39 'through the inlet 38 without leakage of the fluid pressure. Reference numeral 47 denotes a locking protrusion for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with the second housing 30.

내부가스켓부(45)은 상기 유로몸체(39)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유로(39')의 출구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가스켓부(45)은 상기 외부가스켓부(41)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내부가스켓부(45)은 상기 유체유로(39')와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소자(60)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게 된다.The inner gasket portion 45 is formed to surround the flow path body 39 an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let edge of the fluid flow path 39 '. The inner gasket portion 45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gasket portion 41. The inner gasket portion 45 prevents pressure leakage between the fluid passage 39 'and the sensing element 60 described below.

상기 내부공간(30')에는 감지소자(60)가 설치된다. 상기 감지소자(60)는 제2하우징(30)의 유로몸체(39)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데, 감지소자(60) 가장자리가 제2하우징(30)의 내부공간(30') 내측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가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소자(60)는 상기 감지소자(60)는 압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A sensing element 6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30 '. The sensing element 60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ow path body 39 of the second housing 30 so that the edge of the sensing element 60 is pressed into the inner space 30 ' Can be fixed. The sensing element 60 performs a function of sensing a pressure of the sensing element 60.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감지소자(60)는 일측 표면이 상기 내측가스켓(40)의 선단에 밀착되어 감지소자(60)의 감지부분이 상기 유체유로(39')와 연통되고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다. 상기 감지소자(60)의 감지부분이 상기 유체유로(39')와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소자(60)는 압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별도의 회로기판이 생략되고 감지소자(60)가 직접 터미널(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6, one surface of the sensing element 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p of the inner gasket 40 so that the sensing portion of the sensing element 60 communicates with the fluid passage 39 ' . The sensing element 60 performs a function of sensing pressure when the sensing part of the sensing element 60 communicates with the fluid channel 39 '.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circuit board is omitted and the sensing element 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T directly.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터미널(T)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T)은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소자(60)와 커넥터부(12)를 통해 결합되는 외부커넥터 사이를 연결한다. 이를 통해 감지소자(60)의 전기신호를 외부커넥터를 통해 자동차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T)은 제1하우징(10)에 인서트사출되는데, 일부는 커넥터부(12)에 위치되고, 나머지는 내부공간(14')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소자(60)와 접한다. 상기 터미널(T)에는 탄성접촉부(T')가 구비되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감지소자(60)와 탄성접촉할 수 있다. A terminal (T) is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10). The terminal T is responsi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nects between the sensing element 60 and an external connector which is coupled through the connector part 12. The electric signal of the sensing element 60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through the external connector. The terminal T is insert-injected into the first housing 10, a part of which is located in the connector part 12 and the rest of which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14 'and contacts the sensing element 60. The terminal T may be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sensing element 60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with the elastic contact portion T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상기 제1하우징(10) 및 제2하우징(30)을 사출성형하는데, 이때 제1하우징(10)에는 터미널(T)이, 제2하우징(30)에는 가스켓(40)이 인서트사출되어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가스켓(40)을 구성하는 내부가스켓부(45)은 내부공간(14')에 위치하지만 외부가스켓부(41)은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드러난다. The pressur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jects and molds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0 and 30 into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with a gasket 40 ) Is injected into an insert. The inner gasket portion 45 constituting the gasket 40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14 ', bu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gasket portion 41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 상태에서 제2하우징(30)에는 감지소자(60)가가 가조립된다. 상기 감지소자(60)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유로몸체(39)의 유체유로(39')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조립되는데, 예를 들어 압입을 통해 제2하우징(30)의 내부공간(30') 안쪽에 가조립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sensing element 60 is assembled to the second housing 30. The sensing element 60 is glu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uid passage 39 'of the flow path body 39 of the second housing 30. The sensing element 6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30, (30 ').

그리고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서로 조립된다. 조립과정에서 제2하우징(30)의 조립바(34)가 제1하우징(10)의 조립채널(19)에 삽입되므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 조립방향이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assembled together. The assembling bar 34 of the second housing 30 is inserted into the assembling channel 19 of the first housing 10 during the assembly process so that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is accurately guided .

조립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하우징(10)의 제1체결홀(S1)에는 제2하우징(30)의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가 삽입되도록 방향을 맞추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가까워지면 3개의 제1체결홀(S1)에는 각각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가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에 각각 구비된 체결돌부(36)는 제1체결홀(S1)의 걸림단(16), 보다 정확하게는 걸림단(16)의 경사부(16')를 타고 넘게 되고, 이때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는 자연스럽게 걸림단(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The assembl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at the first fastening lever to the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of the second housing 3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s S1 of the first housing 10 do.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are inserted into the three first fastening holes S1, respectively. In this process, the fastening protrusions 36 provided in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end 16 of the first fastening hole S1, more precisely,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ar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atching end 16 naturally.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완전히 결합되면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는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체결돌부(36)가 걸림단(16)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completely engaged,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are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6 is caught by the fastening end 16 . This is illustrated in Figures 6 and 7 as well.

한편,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하우징(30)의 밀착편(33)은 제2체결홀(S2)에 삽입되어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밀착편(33)에 돌출된 밀착리브(33')는 제2체결홀(S2)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실질적으로 제2체결홀(S2)에 내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밀착편(33)으로 인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 사이의 체결이 보다 견고해지고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the close contact piece 33 of the second housing 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S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S2. The contact rib 33 'protruding from the contact piece 33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S2 and substantial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S2. The tightening betwe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becomes more rigid and the clearance can be prevented by the close contact piece 33. [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감지소자(60)는 터미널(T)의 탄성접촉부(T')에 밀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회로기판이 불필요 할 뿐 아니라, 터미널(T)과 감지소자(60)를 접촉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fully engaged, the sensing element 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contact portion T 'of the terminal 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ircuit board is unnecessary, and a separate process for contacting the terminal T and the sensing element 60 may be omitted.

조립이 완성된 압력센서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상기 장착편(31)이 체결구에 의해 자동차의 고정부인 패널에 고정됨에 의해 고정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하우징(30)의 입구후드(37)가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공간 내에 위치된다.The assembled pressure sensor is mounted on the fixing part by fixing the mounting piece 31 of the second housing 30 to the panel, which is a fixing part of the automobile, by means of a fastener. In this case, the inlet hood 37 of the second housing 30 is positioned in the measurement space in which the pressure is to be measured.

상기 압력센서의 커넥터부(12)는 자동차의 제어부와 연결된 상대 커넥터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부(12)에 상대커넥터가 장착되어 압력센서가 제어부와 연결된 상태가 되면, 상기 압력센서는 압력변화의 감지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The connector portion 12 of the pressure sensor is coupled with a mating connector connected to a control portion of the vehicle.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mounted on the connector 12 and the pressure sens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pressure sensor is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change can be detected.

이와 같이 압력센서가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 자동차에 해당되는 부분에 작용하면 상기 유체유로(39')와 연통된 공간의 압력이 변하면서, 상기 압력변화가 상기 유체유로(39')를 통해 상기 감지소자(60)로 전달되어 감지된다. 상기 감지소자(60)를 통해 감지된 압력변화는 상기 상대 커넥터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되어 이후의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In the state where the pressure sensor is mounted on the fixed part of the vehicle, when the external impact acts o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automobile, the pressure in the space communicated with the fluid passage 39 'changes, Is transmitted to the sensing element (60) through the sensing element (39 ') and sensed. The pressure change sensed by the sensing element 6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mating connector and used for subsequent operation.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부(12)가 구비된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90도 간격으로 총 세 개의 체결부가 구비된다. 커넥터부(12)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커넥터부(12)가 외력에 의해 들리거나 눌리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결합부위에 강한 분리력이 가해지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커넥터부(12)가 연장된 위치를 제외하고 3개의 체결부가 제2하우징(30)을 둘러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분리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고, 압력센서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three fastening portions are provid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apar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portion 12 is provided. The connector 12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engage with each other and therefore when the connector 12 is lifted or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A strong separating force is applied to the joint portion of the housing 30. 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hree fastening portions are provided around the second housing 30 except for the extended position of the connector portion 12, And the pressure sensor can maintain a rigid coupling state.

한편, 압력센서를 분리하는 작업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가 탄성변형되면서 체결돌부(36)가 걸림단(16)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을 분리할 수 있다. 작업자는 한 손으로 충분히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를 동시에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쉽게 분리작업이 이루어진다. When the operator applies an external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36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ends 16 ) Is released. In this state,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3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operator can easily deform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35A to 35C simultaneously with one hand, so that the separat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하우징 11: 외곽몸체
12: 커넥터부 14: 메인몸체부
16: 걸림단 17A~17C: 간섭회피부
19: 조립채널 30: 제2하우징
31: 장착편 32: 체결가이드
33: 밀착편 35: 체결수단
35A: 제1체결레버 35B: 제2체결레버
35C: 제3체결레버 36: 체결돌부
37: 입구후드 39: 유로몸체
39': 유체유로 40: 가스켓
41: 외부가스켓부 45: 내부가스켓부
60: 감지소자 S: 체결홀
S1: 제1체결홀 S2: 제2체결홀
T: 터미널 T': 탄성접촉부
10: first housing 11: outer shell body
12: connector portion 14: main body portion
16: Engagement stage 17A ~ 17C: Interference skin
19: assembly channel 30: second housing
31: mounting piece 32: fastening guide
33: close contact piece 35: fastening means
35A: first fastening lever 35B: second fastening lever
35C: third fastening lever 36: fastening projection
37: inlet hood 39: flow body
39 ': fluid channel 40: gasket
41: outer gasket part 45: inner gasket part
60: sensing element S: fastening hole
S1: first fastening hole S2: second fastening hole
T: Terminal T ': Elastic contact

Claims (11)

내외부 사이의 신호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차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과 측정공간을 연통하여 상기 측정공간의 압력변화를 전하는 유체유로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측정공간의 압력변화를 상기 유체유로를 통해 전달받아 검출하는 검지소자와,
상기 제2하우징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측정공간에서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과,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다수개의 체결레버가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압력센서.
A first housing having a connector portion for performing signal connec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A second housing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to form an inner space shielded therein, and a fluid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nd the measurement space to transmit a pressure change of the measurement space,
A detection element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to receive and detect a change in pressure of the measurement space through the fluid channel,
A gasket injected into the second housing to prevent pressure leakage in the measurement space,
And a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second housing and spaced apart from a plurality of fastening lever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of the first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서로 이격된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에 걸리거나 분리될 수 있는 압력센서.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means comprises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spac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are engaged with fastening holes of the first housing through elastic deformation Detachable pressure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커넥터부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제2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레버 및 제2체결레버와,
상기 커넥터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제2하우징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3체결레버로 구성되는 압력센서.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engaging lever and a second engaging lever provided on both sides of a second hous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section extends,
And a third locking lever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second housing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or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 가장자리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걸림이 해제되는 압력센서.
3.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ar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irst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levers to the third fastening levers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s of the first housing to release the fasten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됨으로써 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 주변에는 상기 파지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간섭회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는 압력센서.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levers are protruded to the opposite sid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to form a fastening part, and around the fastening hole, A pressure sensor formed by recessing the shrou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서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밀착편이 돌출되고, 상기 밀착편은 상기 체결홀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체결력을 높이는 압력센서.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cond housing is provided with a contact pie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levers, and the contact pie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 Pressure sensor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of the hou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편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홀 내면을 향해 밀착리브가 돌출되는 압력센서.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contact rib is protrud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는 서로 대응하는 조립채널 및 조립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압력센서.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provided with assembly channels and assembly ba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guide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측정공간과 제2하우징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외부가스켓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유체유로 주변을 감싸 유체유로와 감지소자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내부가스켓부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The gasket as claimed in claim 1,
An external gasket protruding outside the second housing to prevent pressure leakage between the measurement space and the second housing,
And an inner gasket portion surrounding the fluid channel of the second housing to prevent pressure leakage between the fluid channel and the sensing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소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유체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부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체결되면 상기 감지소자에 상기 터미널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압력센서.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element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uid passage of the second ho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ing element protruding from the connector portion, Wherein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coupled together, the terminal contacts the sensing elemen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탄성접촉부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소자에 탄성접촉되는 압력센서.










11.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n elastic contact portion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terminal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to elastically contact the sensing element.










KR1020160152954A 2016-11-16 2016-11-16 Pressure sensor KR102543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54A KR102543502B1 (en) 2016-11-16 2016-11-16 Pressur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54A KR102543502B1 (en) 2016-11-16 2016-11-16 Pressur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90A true KR20180055290A (en) 2018-05-25
KR102543502B1 KR102543502B1 (en) 2023-06-14

Family

ID=6229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954A KR102543502B1 (en) 2016-11-16 2016-11-16 Pressur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5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713A (en) 2019-08-13 2021-02-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esure sen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5460B2 (en) * 2007-08-08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Pressure sensor
KR20160019811A (en) 2014-08-12 2016-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essure Side Impact Sensor for Vehicle
KR20160114835A (en) 2015-03-25 2016-10-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essure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5460B2 (en) * 2007-08-08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Pressure sensor
KR20160019811A (en) 2014-08-12 2016-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essure Side Impact Sensor for Vehicle
KR20160114835A (en) 2015-03-25 2016-10-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essure sen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713A (en) 2019-08-13 2021-02-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esur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502B1 (en)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5495B2 (en) connector
US9281627B2 (en) Device connector with improved operability when connecting harness-side terminals and device-side terminals
US9954304B2 (en) Packing attachment structure and packing
JP2008001225A (en) Resin molded part with metallic plate
JP2014520376A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chamber block and contact position assurance member
KR20190031355A (en) Pressure sensing apparatus for air bag
JP6093323B2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99967A (en) Pressure sens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80055290A (en) Pressure sensor
US20130210256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2012090481A (en) Waterproof case and o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JP2010212136A (en) Joint connector
US8915130B1 (en) Battery-replaceable tire pressure sensor
JP5112451B2 (en) Sealable electrical connector
KR102270012B1 (en) Bundle Shielded Connector
JP6127009B2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JP2010519678A5 (en)
KR102277840B1 (en) Pressure sensor
WO2007110971A1 (en) Connector
KR20170060921A (en) Sensing apparatus
KR102002286B1 (en) Sensor apparatus
US20140335713A1 (en) Connector
JP7440456B2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KR101094036B1 (en) Hood switch for vehicle
KR101969460B1 (en) Sens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