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284A -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284A
KR20180055284A KR1020160152938A KR20160152938A KR20180055284A KR 20180055284 A KR20180055284 A KR 20180055284A KR 1020160152938 A KR1020160152938 A KR 1020160152938A KR 20160152938 A KR20160152938 A KR 20160152938A KR 20180055284 A KR20180055284 A KR 20180055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hologram
real
space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미
이승재
김남우
정도운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 에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 에핀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284A/ko
Publication of KR2018005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94Addressing the hologram to an active spatial light modula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사 배경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은,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시스템의 후방에 원근감이 있는 실사이미지를 인쇄하여 배치하고, 생성된 홀로그램이 영상의 크기를 변화함으로서 배경의 실사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의 크기 비례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홀로그램 영상이 공간상에서 깊이 값을 변화하며 이동하는 듯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것으로,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시스템의 후방에 원근감이 있는 실사이미지를 인쇄하여 배치하고, 생성된 홀로그램이 영상의 크기를 변화함으로서 배경의 실사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의 크기 비례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홀로그램 영상이 공간상에서 깊이 값을 변화하며 이동하는 듯한 효과를 연출함으로써 공간의 정해진 특정 깊이 값에만 존재하지 않고, 생성된 홀로그램이 변화하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 creating method of virtual reality space by confusing real background image and holographic image }
본 발명은 실사 배경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근감이 있는 실사로 인쇄하여 출력한 배경이미지를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장치의 후방에 배치하고,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장치에 홀로그램을 출력하여 두 영상 간 합성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확인 시, 깊이 값을 갖는 가상의 공간을 생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이를 응용한 다양한 상품도 출시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오늘날 홀로그램은 분야를 막론하고 여러 산업분야에서 홀로그램 기술을 채용 및 적용하기 위해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대부분의 홀로그램 생성 기술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실의 한 공간에 착시효과를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가 융합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허공에 떠 있는 듯한 효과를 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45269호에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컬러 정보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3D 기하 획득부;상기 3D 포인트 클라우드에 메쉬 모델링 및 메쉬 에볼루션을 적용함으로써 3D 메쉬 정보를 생성하는 3D 메쉬 모델 생성부; 및 상기 3D 메쉬 모델에 기반하여 생성된 특정 시점의 2D 영상들을 결합함으로써 홀로그램 패턴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영상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96532호에는 K개의 제1깊이단계로 구성된 제1깊이맵 정보와 칼라영상 정보를 제공받아 L개의 제2깊이단계로 구성된 제2깊이 맵 정보를 생성하는 깊이정보 전처리부(pre-processer) 및 상기 제2깊이맵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K는 상기 L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램 생성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홀로그램이 공간의 정해진 특정 깊이 값에만 존재하고, 생성된 홀로그램이 고정되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성된 홀로그램 영상은 공간상의 깊이 값에 의한 이동이 발생할 경우, 그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는 현상을 보인다.
따라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대부분의 홀로그램은 공간의 특정 깊이 값, 즉 유클리디안 좌표계에서 특정 z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생성시켜 깊이 값의 변화를 주지 못하며, 회전하거나 좌우 및 상하의 이동정도로서 효과를 표현하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공간의 정해진 특정 깊이 값에만 존재하지 않고, 생성된 홀로그램이 변화하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면,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사 배경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은,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시스템의 후방에 원근감이 있는 실사이미지를 인쇄하여 배치하고, 생성된 홀로그램이 영상의 크기를 변화함으로서 배경의 실사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의 크기 비례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홀로그램 영상이 공간상에서 깊이 값을 변화하며 이동하는 듯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시스템의 후방에 원근감이 있는 실사이미지를 인쇄하여 배치하고, 생성된 홀로그램이 영상의 크기를 변화함으로서 배경의 실사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의 크기 비례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홀로그램 영상이 공간상에서 깊이 값을 변화하며 이동하는 듯한 효과를 연출함으로써 공간의 정해진 특정 깊이 값에만 존재하지 않고, 생성된 홀로그램이 변화하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사 배경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서 배경 실사 이미지와 홀로그램 생성의 융합에 의한 깊이 값 표현을 나타내는 실사 영상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서 배경 실사로 인쇄하여 홀로그램 생성 시스템의 후방에 배치할 실사 영상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서 홀로그램으로 생성시켜 투사할 3D 실사 영상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서 배경 실사 이미지와 홀로그램 생성 영상을 융합한 실사 영상
도 5a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기술의 실험을 위하여 실제 적용된 실사 이미지가 배치된 실사 영상
도 5b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기술의 실험을 위하여 홀로그램 영상을 생성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장착한 실사 이미지
도 5c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기술의 실험을 위하여 배경 실사 이미지와 생성된 홀로그램 영상의 융합을 실험한 실사 영상
본 발명은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사 배경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사 배경이미지는 원근감이 있는 실사로 인쇄하여 출력하여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장치의 후방에 배치하고,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장치에 홀로그램을 출력하여 두 영상 간 합성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확인 시, 깊이 값을 갖는 가상의 공간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성된 홀로그램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영상의 크기를 변화시키게 되며, 사용자는 배경을 이루는 실사 이미지와 홀로그램 간의 크기 비례에 의하여 영상이 깊이 값으로 이동하는 듯 한 착시 효과를 느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사 배경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서 배경 실사 이미지와 홀로그램 생성의 융합에 의한 깊이 값 표현을 나타내는 실사 영상,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서 배경 실사로 인쇄하여 홀로그램 생성 시스템의 후방에 배치할 실사 영상,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서 홀로그램으로 생성시켜 투사할 3D 실사 영상,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서 배경 실사 이미지와 홀로그램 생성 영상을 융합한 실사 영상, 도 5a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기술의 실험을 위하여 실제 적용된 실사 이미지가 배치된 실사 영상, 도 5b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기술의 실험을 위하여 홀로그램 영상을 생성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장착한 실사 이미지, 도 5c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기술의 실험을 위하여 배경 실사 이미지와 생성된 홀로그램 영상의 융합을 실험한 실사 영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사 배경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에서 배경 실사 이미지와 홀로그램 생성의 융합에 의한 깊이 값 표현을 나타내는 실사 영상이다.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시스템의 후방에 원근감을 가지는 실사 배경 이미지를 인쇄하여 배치하고,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시스템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투사시킨다.
생성된 홀로그램은 사용자의 관찰에 의해 자연스럽게 후방에 위치한 배경 실사 이미지와 합성이 되어 일정한 깊이 값에 놓여진 것으로 관찰되게 된다.
이때, 생성된 홀로그램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영상의 크기를 변화시키게 되며, 사용자는 배경을 이루는 실사 이미지와 홀로그램 간의 크기 비례에 의하여 영상이 깊이 값으로 이동하는 듯한 착시 효과를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시스템의 후방에 원근감이 있는 실사이미지를 인쇄하여 배치하고, 생성된 홀로그램이 영상의 크기를 변화함으로서 배경의 실사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의 크기 비례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홀로그램 영상이 공간상에서 깊이 값을 변화하며 이동하는 듯한 효과를 연출함으로써 공간의 정해진 특정 깊이 값에만 존재하지 않고, 생성된 홀로그램이 변화하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실사 인쇄 배경이미지
20: 홀로그램

Claims (3)

  1. 실사 배경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사 배경이미지는 원근감이 있는 실사로 인쇄하여 출력하여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장치의 후방에 배치하고, 홀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장치에 홀로그램을 출력하여 두 영상 간 합성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확인 시, 깊이 값을 갖는 가상의 공간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홀로그램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영상의 크기를 변화시키게 되며, 사용자는 배경을 이루는 실사 이미지와 홀로그램 간의 크기 비례에 의하여 영상이 깊이 값으로 이동하는 듯한 착시 효과를 느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KR1020160152938A 2016-11-16 2016-11-16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KR20180055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38A KR20180055284A (ko) 2016-11-16 2016-11-16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38A KR20180055284A (ko) 2016-11-16 2016-11-16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84A true KR20180055284A (ko) 2018-05-25

Family

ID=6229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938A KR20180055284A (ko) 2016-11-16 2016-11-16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2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347A (ko) 2018-05-28 2019-12-06 최준기 홀로그램을 이용한 차량용 가상 마네킹
KR20230155741A (ko) 2022-05-04 2023-11-13 박재홍 가상의 반려 객체와의 현실 교감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347A (ko) 2018-05-28 2019-12-06 최준기 홀로그램을 이용한 차량용 가상 마네킹
KR20230155741A (ko) 2022-05-04 2023-11-13 박재홍 가상의 반려 객체와의 현실 교감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28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image of a subject in a scene
US20200358996A1 (en) Real-time aliasing rendering method for 3d vr video and virtual three-dimensional scene
JP4836814B2 (ja) 3dディスプレイ用cg画像生成装置、3dディスプレイ用cg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3336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9031797A (ja) 集積映像背景を有する2次元−3次元兼用ディスプレイ方法及び装置
CN103337095A (zh) 一种真实空间三维地理实体的立体虚拟显示方法
JP2010154422A (ja) 画像処理装置
JP2006229725A (ja) 画像生成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方法
Takezawa et al. Material surface reproduction and perceptual deformation with projection mapping for car interior design
WO2012140397A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KR101299191B1 (ko) 3차원 모형에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55284A (ko) 실사 배경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을 융합한 가상의 실감 공간 생성 방법
JP3579683B2 (ja) 立体視用印刷物の製造方法、立体視用印刷物
JP2012120080A (ja) 立体写真撮影装置
US201401920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caricature using shape and texture of face
JP6786176B2 (ja) 錯覚装置、画像生成装置、オブジェクト生成装置、錯覚方法、画像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33397A (ja) 画像合成装置および方法
KR101860680B1 (ko) 3d 증강 프리젠테이션 구현 방법 및 장치
KR101567002B1 (ko) 컴퓨터 그래픽스 기반의 스테레오 플로팅 집적 영상생성시스템
Toda et al. Projection Mapped Gimmick Picture Book by Optical Illusion-Based Stereoscopic Vision
CN111127629A (zh) 一种动态三维可视化系统及方法
JP6562371B1 (ja) 表示装置、表示処理装置、およ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3640256B2 (ja) 立体視用印刷物の製造方法、立体視用印刷物
JP2000187679A (ja) パッケージ意匠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パッケージ意匠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パッケージ意匠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085722B2 (ja) 画像生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