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268A - 튜브 용기 - Google Patents

튜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268A
KR20180055268A KR1020160152899A KR20160152899A KR20180055268A KR 20180055268 A KR20180055268 A KR 20180055268A KR 1020160152899 A KR1020160152899 A KR 1020160152899A KR 20160152899 A KR20160152899 A KR 20160152899A KR 20180055268 A KR20180055268 A KR 20180055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resent
curling member
tube container
discharg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지
신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52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268A/ko
Publication of KR2018005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 B65D35/1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for keeping body in rolled state after partial expulsion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0Body construction made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마련되는 배출수단; 및 상기 몸체에 부가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의 타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배출수단을 향해 말리는 복원력을 갖는 말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튜브 용기{tube vessel}
본 발명은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점점 말리도록 하여 내용물 배출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튜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이나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용기로 튜브 용기가 널리 사용된다. 튜브 용기는 일단에 배출수단이 마련되는 원통의 몸체를 형성한 뒤 몸체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몸체의 끝단을 납작하게 가열 압착하여 밀봉함으로써 제작된다.
이러한 튜브 용기는 몸체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과정에서 몸체의 형태가 비교적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몸체를 눌러서 내용물이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거의 다 소진되어 갈 경우, 사용자는 몸체를 납작하게 눌러 변형시키면서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튜브 용기는 내용물의 잔류를 방지하기 위해 몸체가 납작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몸체를 납작하게 누른다고 하더라도 몸체 내부에는 여전히 내용물이 잔류해있을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튜브 용기에 대해 내용물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의 끝단을 통해 끼워넣고 배출수단을 향해 밀면 몸체가 자동으로 납작해지도록 하는 도구(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20231호 등)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도구는 튜브 용기와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것이어서 번거롭고, 도구를 몸체 끝단에 끼우는 과정에서 몸체의 끝단의 폭이 넓을 경우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몸체를 끼운 상태에서 배출수단을 향해 슬라이딩시키는 도구 외에도, 몸체의 끝단을 고정한 뒤 손잡이 등을 돌리면 몸체가 말리도록 변형되면서 내용물이 배출수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하는 장치(일본 실용신안공보 평7-14202호 등)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앞서 설명한 도구와 마찬가지로 몸체의 끝단을 고정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며, 또한 장치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므로 편의성이 떨어진다.
또한 앞선 도구와 장치 모두, 튜브 용기와 별도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불러 일으키며, 또한 도구를 밀거나 장치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강한 외력을 가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몸체가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서서히 자동으로 말리도록 하는 구조를 가져서, 배출수단을 통한 내용물 배출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튜브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마련되는 배출수단; 및 상기 몸체에 부가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의 타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배출수단을 향해 말리는 복원력을 갖는 말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박판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말림부재는, 철, 아연,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수단은, 에어리스 펌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는, 타단이 가열 압착에 의해 밀봉되어 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말림부재는, 상기 몸체의 타단을 평행 이동시키는 방향의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말림부재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며 상기 몸체의 타단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 마련되는 면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말림부재는, 상기 몸체에 부가되며 상기 타단의 좌측 또는 우측에 마련되는 선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는, 배출수단을 향해 말리는 복원력을 갖는 부재가 몸체의 일부를 이루거나 몸체에 마련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채워진 경우에는 부재가 펴진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내용물이 배출되어 가면서 부재가 점점 말려 몸체가 말리도록 하여, 내용물의 잔류를 방지하고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말림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몸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말림부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1)는, 몸체(10), 배출수단(20) 및 말림부재(3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내용물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0)는 원 또는 타원 등의 단면을 갖는 통 형태일 수 있으며, 몸체(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화장품이거나 치약, 음식물 등 다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내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몸체(10)는 일단(11)에 배출수단(20)을 갖는 통 형태로 마련된 후,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된 뒤, 타단(12)이 가열 압착에 의해 밀봉되어 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0)는, 타단(12)에서 일단(11)으로 갈수록 단면이 확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몸체(10)는, 그 자체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지 못하고, 말림부재(30)와 함께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몸체(10)는, 몸체(1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말림부재(30)를 포함함에 따라 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후 가열 압착에 의해 선 형태를 갖는 타단(1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몸체(10)를 눌러서 몸체(10)의 내부 부피가 줄어들도록 함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수단(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배출수단(20) 자체가 몸체(10)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일 경우, 사용자는 몸체(10)를 압축하는 동작을 하지 않고도 배출수단(20)을 작동시켜서 내용물의 배출을 구현할 수 있다.
몸체(1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몸체(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다만 몸체(1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잔류 없이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선 형태로 가열 압착되어 있는 몸체(10)의 타단(12)부터 일단(11)을 향해가면서 몸체(10)를 눌러 납작하게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0) 내부의 내용물은 일단(11)에 마련되는 배출수단(20)에 가까이 몰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배출수단(20)을 이용하여 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거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몸체(10)를 납작하게 누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외력이 부가되어야 하므로,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몸체(1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말림부재(30)를 통해, 몸체(10) 자체가 내용물의 토출에 의하여 스스로 말리도록 함으로써, 몸체(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항상 배출수단(20)에 가까이 몰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몸체(10)에 가해지지 않더라도 내용물의 잔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배출수단(20)은, 몸체(10)의 일단(11)에 마련된다. 배출수단(20)은 몸체(10)가 형성하는 통 형태의 일단(11)에 마련되어 일단(11)을 밀폐하게 되며, 배출구(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배출수단(20)은 배출구 및 이를 커버하는 뚜껑(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뚜껑을 열고 배출구를 외부로 노출시킨 뒤,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배출수단(20)이 상기와 같이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외력이 필요한 구조일 경우, 사용자는 몸체(10)를 누르는 동작을 행해야 한다.
또는 배출수단(20)은, 몸체(10) 내부의 압력을 음압으로 하여 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에어리스 펌프일 수 있다.
배출수단(20)이 에어리스 펌프일 경우, 배출수단(20)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몸체(10)가 자동적으로 납작해질 수 있고, 이때 납작해지는 몸체(10)는 말림부재(30)에 의하여 점점 배출수단(20)을 향해 말릴 수 있다.
즉 배출수단(20)으로 에어리스 펌프를 채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몸체(10)를 굳이 누르지 않더라도 배출수단(20)을 작동시키는 동작만을 통해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배출수단(20)의 형태나 구조, 내용물 배출 방식 등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배출수단(20)은 밀폐된 몸체(10)의 일단(11)에 강제로 형성될 수 있는 구멍 등일 수도 있다.
말림부재(30)는, 몸체(1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며, 몸체(10)의 일단(11)에서 몸체(10)의 타단(12)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말림부재(30)는, 배출수단(20)을 향해 말리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용물이 몸체(10) 내부에서 배출수단(2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경우, 몸체(10)의 타단(12)이 배출수단(20)을 향해 말리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용물을 다소 배출한 경우, 선 형태를 갖는 몸체(10)의 타단(12)은 말림부재(30)의 복원력을 받아 배출수단(20)을 향해 말리게 되며,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거의 다 소진된 경우, 몸체(10)의 타단(12)은 몸체(10)의 일단(11)에 인접한 상태가 되도록 돌돌 말리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말림부재(30)에 의해 몸체(10)의 타단(12)이 말려 감에 따라, 몸체(10)의 내부 부피가 자연스럽게 줄어들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몸체(10)의 일단(11)에 마련되는 배출수단(20)에 가까이 몰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말림부재(30)를 둠에 따라,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몸체(10)를 납작하게 누르지 않더라도, 내용물의 잔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때 말림부재(30)는, 몸체(10)와 달리 철, 아연, 또는 구리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말리는 복원력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물질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말림부재(30)와 몸체(10)의 연결 방식은 접착, 용접, 및/또는 구조적 끼움 등일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말림부재(30)는, 몸체(1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면서 몸체(10)의 타단(12)에서 좌측(121)과 우측(122) 사이에 마련되는 면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말림부재(30)는, 몸체(10)의 타단(12)을 평행 이동시키는 방향의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말림부재(30)는, 몸체(10)의 일단(11)에서 타단(12)을 바라볼 때 선 형태를 이루는 타단(12)의 좌측(121) 끝단과 우측(122) 끝단 사이에 마련되는 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말림부재(30)는 몸체(10)의 타단(12)이 평행하게 말려가도록 할 수 있다.
즉 몸체(10)의 타단(12)은, 몸체(10)의 일단(11)에서 타단(12)을 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항상 유지하면서, 말림부재(30)에 의하여 몸체(10)의 일단(11)을 향해 말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의 부피는, 타단(12)에서 일단(11)으로 갈수록 효율적으로 납작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말림부재(30)의 배치를 상기로 한정하지 않는다. 일례로 말림부재(30)는, 경사면 또는 나선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몸체(10)의 타단(12)은 몸체(10)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감에 따라, 꼬이면서 말릴 수도 있다.
몸체(10)의 타단(12)이 꼬이면서 말리게 되면, 몸체(10)의 타단(12)이 평행하게 말리는 경우 대비 몸체(10) 내부가 상대적으로 더 압착될 수는 있지만, 몸체(10)의 타단(12)이 선 형태를 가짐을 고려할 때, 몸체(10)의 타단(12)이 몸체(10)의 일단(11)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제대로 꼬이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몸체(10)의 타단(12)이 꼬이면서 말리도록 하는 경우는, 몸체(10)의 타단(12)이 이루는 선의 길이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몸체(10)의 부피가 줄어들면 몸체(10)의 일부를 이루는 말림부재(30)에 의해 몸체(10)의 타단(12)이 배출수단(20)을 향해 말려가도록 하여, 내용물이 자연스럽게 몸체(10)의 내부에서 배출수단(20)을 향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잔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1)는, 말림부재(30)가 몸체(10)의 일부를 이루는 대신 몸체(10)에 부가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말림부재(30)는, 몸체(10)에 부가되어 몸체(10)의 일단(11)에서 타단(12)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말림부재(30)는, 몸체(10)의 좌측(121) 또는 우측(122)에 마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타단(12)의 좌측(121) 또는 우측(122)에 마련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말림부재(30)는 면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 말림부재(30)는 선 형태 또는 폭이 앞선 실시예 대비 상대적으로 좁은 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말림부재(30)는, 몸체(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몸체(10)의 좌우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의 내용물이 소진되어 가면, 몸체(10)의 좌우에 부가된 말림부재(30)는 몸체(10)의 타단(12)이 몸체(10)의 일단(11)을 향해 평행하게 이동하면서 점점 말리도록 할 수 있다.
말림부재(30)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타단(12)이 몸체(10)의 일단(11)을 향해 말려갈 때, 꼬이면서 말리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말림부재(30)는 경사선 또는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10)에 부가될 수 있지만, 몸체(10)의 타단(12)이 꼬이면서 말리는 경우는 몸체(10)의 타단(12)이 이루는 선의 길이가 짧은 경우로 한정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튜브 용기 10: 몸체
11: 일단 12: 타단
121: 좌측 122: 우측
20: 배출수단 30: 말림부재

Claims (8)

  1. 내용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마련되는 배출수단; 및
    상기 몸체에 부가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의 타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배출수단을 향해 말리는 복원력을 갖는 말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박판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림부재는,
    철, 아연,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에어리스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타단이 가열 압착에 의해 밀봉되어 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말림부재는,
    상기 몸체의 타단을 평행 이동시키는 방향의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말림부재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며 상기 몸체의 타단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 마련되는 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말림부재는,
    상기 몸체에 부가되며 상기 타단의 좌측 또는 우측에 마련되는 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KR1020160152899A 2016-11-16 2016-11-16 튜브 용기 KR20180055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99A KR20180055268A (ko) 2016-11-16 2016-11-16 튜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99A KR20180055268A (ko) 2016-11-16 2016-11-16 튜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68A true KR20180055268A (ko) 2018-05-25

Family

ID=6229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899A KR20180055268A (ko) 2016-11-16 2016-11-16 튜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2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6373B1 (en) Device for dispensing material from a deformable tube
US10531721B2 (en) Deodorant dispenser and refill cartridge therefor
TWI531512B (zh) Spare parts for exterior containers and hose containers
US3407974A (en) Dispensing container having piston-bag structure
US20170057697A1 (en) Thumb hole container with twist and lock lid storage and magnet
KR960040243A (ko) 화장품 포장 및 도포용 기구
US8690013B2 (en) Single-use applicator
US11383265B2 (en) Device for applying adhesive and/or sealant
KR200455838Y1 (ko) 화장품튜브용기의 캡
KR20180055268A (ko) 튜브 용기
US3199743A (en) Powder dispensing device
KR101451766B1 (ko) 화장용 브러시
JP5554613B2 (ja) 内容物押出容器
JPH0118111Y2 (ko)
US9896242B2 (en) Multipurpose dispenser for spreadable wall repair compound
KR20180010903A (ko) 공기가 빠지는 쓰레기봉투
KR200327824Y1 (ko)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KR200469996Y1 (ko) 화장품 용기
KR20220119268A (ko) 밀대가 내부에 있는 크림 통
US20240116681A1 (en) Adhesive sealant discharge cap for handheld adhesive sealant tubes
US20230371757A1 (en) Electronic Fluid Applicating Device
KR200491548Y1 (ko) 화장품 용기
KR20090016318A (ko) 튜브용기
JP5429618B2 (ja) 押出しガン
US20070090131A1 (en) Cosmetic 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