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375A - 전자기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375A
KR20180054375A KR1020160152255A KR20160152255A KR20180054375A KR 20180054375 A KR20180054375 A KR 20180054375A KR 1020160152255 A KR1020160152255 A KR 1020160152255A KR 20160152255 A KR20160152255 A KR 20160152255A KR 20180054375 A KR20180054375 A KR 20180054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amera
fastening
tripo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6015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4375A/ko
Publication of KR2018005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장치는, 카메라의 체결부를 삼각대의 체결부재에 대고 누르면, 구름부재가 접하는 가이드홈에 의해 체결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에 체결됨으로써, 카메라를 삼각대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카메라를 당김으로써, 구름부재가 접하는 가이드홈에 의해 체결부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와 분리됨으로써, 삼각대에서 카메라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거치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전자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고정 및 분리시키는 전자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 다양한 전자기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에 부가되는 광학장치의 해상도 증가에 따라 보다 우수한 화질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에 구비되는 광학장치의 경우, 저조도의 환경에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면, 작은 손떨림에도 선명한 화질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흔들림 없이 고정시켜 줄 수 있는 보조장치인 삼각대에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과 같은 광학장치를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삼각대에 카메라를 고정시키기 위해 삼각대의 표준 나사를 카메라 밑면에 돌려 끼우게 되는데, 삼각대의 표준 나사를 돌려서 카메라를 장착할 경우, 장착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부주의로 인해 카메라 밑면에 상처가 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1469호 (2008.06.1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의 체결부를 삼각대의 체결부재에 대고 누르면, 구름부재가 접하는 가이드홈에 의해 체결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에 체결됨으로써, 카메라를 삼각대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카메라를 당김으로써, 구름부재가 접하는 가이드홈에 의해 체결부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와 분리됨으로써, 삼각대에서 카메라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장치는, 외주면 일측에 구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돌기부가 형성되는 지지받침부재; 및 상기 안내돌기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름부재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여 전자기기와 체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분리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안내돌기부가 수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체결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름부재가 접하는 가이드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전자기기의 체결부를 대고 누름으로써, 상기 구름부재가 접하는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거나, 상기 전자기기를 당김으로써, 상기 구름부재가 접하는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체결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받침부재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체결부재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고정돌기부와 이격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고정 해지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기 지지받침부재의 일부를 관통하며, 타측이 상기 지지받침부재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부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에 걸리거나 상기 고정돌기부와 이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장치에 의하면, 카메라의 체결부를 삼각대의 체결부재에 대고 누르면, 구름부재가 접하는 가이드홈에 의해 체결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에 체결됨으로써, 카메라를 삼각대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카메라를 당김으로써, 구름부재가 접하는 가이드홈에 의해 체결부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와 분리됨으로써, 삼각대에서 카메라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의 체결부를 삼각대의 체결부재에 대고 누르거나 카메라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카메라를 삼각대에 손쉽게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를 삼각대에 장착 또는 분리시키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카메라 밑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카메라를 삼각대에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규격 사이즈의 체결부재를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전자기기 거치장치가 구비된 삼각대에 결합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부분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거치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전자기기 거치장치가 구비된 삼각대에 결합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20)가 도시되어 있는데, 카메라(10)를 삼각대(20)에 장착시키기 위한 전자기기 거치장치(100)가 삼각대(20)의 상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카메라(10)는 정지영상 뿐만 아니라 동영상도 촬영할 수 있는 광학 장치일 수 있다.
삼각대(20)는 연결수단(20a) 및 지지수단(20b)을 포함하며, 연결수단(20a)은 지지수단(20b)에 의하여 지지된다.
연결수단(20a)은 카메라(10)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방향손잡이(22) 및 전자기기 거치장치(100)를 탈부착시 조임 및 풀림 정도를 조정하는 조임나사(23) 등이 구비된다.
지지수단(20b)은 수직축(24), 신축 가능한 복수의 지지대(25), 일단이 복수의 지지대(25)에 직접 연결되어 수직축(24)과 복수의 지지대(25)를 링크 연결시키는 지지링크(26) 및 수직축(24)을 따라 이동하며 지지링크(26)의 일단과 연결되는 수직 이동연결부(27) 등이 구비되며, 연결수단(20a)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장치(100)는, 삼각대(20)에 구비되어 카메라(10)를 탈부착시키는 것으로, 외주면 일측에 구름부재(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돌기부(112)가 형성되는 지지받침부재(110) 및 안내돌기부(112)가 수용되는 안착부(138)가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카메라(10)의 체결부(12)와 대응되는 나사부(134)가 형성되고, 안착부(138)의 내주면에는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가이드홈(132)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체결부재(130)를 포함한다.
지지받침부재(110)는 대략 평판형상으로 조임나사(23)를 통해 삼각대(2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부(111) 및 체결부재(130)가 결합되는 안내돌기부(112)를 포함한다.
안내돌기부(112)는 받침부(111)의 상부에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상부 일측에는 구름부재(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홈(118)이 형성된다.
구름부재(120)는 안내돌기부(112)의 수용홈(1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체결부재(130)의 가이드홈(132)에 접하게 된다.
이때, 받침부(111)는 측방향으로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되는 슬라이딩홀(116)이 형성되고, 안내돌기부(112)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홀(116)과 연통되는 가이드홀(114)이 형성되며, 슬라이딩홀(116)과 가이드홀(114)에 체결부재(130)를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지시키는 고정부재(150)가 구비된다.
고정부재(150)는 고정돌기부(136)의 걸림홈(137)에 걸려 체결부재(130)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돌기부(136)와 이격되어 체결부재(130)를 고정 해지시키는 것으로, 누름부(154)와 걸림부(152)를 포함한다.
누름부(154)는 슬라이딩홀(1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이 지지받침부재(110)의 일부를 관통하며, 타측이 지지받침부재(110)의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누름부(154)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타측 단부에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56)가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152)는 누름부(154)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안내돌기부(112)를 관통하여 고정돌기부(136)의 걸림홈(137)에 걸리거나 고정돌기부(136)와 이격되도록 상측 단부에 고정돌기부(136)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돌기(158)가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받침부(111)는 슬라이딩홀(116)의 밀폐된 일측에 지지홈(117)이 형성되고, 지지홈(117)에 걸림돌기(158)가 걸림홈(137)에 끼워지도록 고정부재(15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4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 거치장치(100)는 고정부재(150)의 손잡이부(156)를 누르게 되면, 걸림돌기(158)가 걸림홈(137)과 이격되어 체결부재(130)를 고정 해지시키게 되고, 고정부재(150)의 손잡이부(156)를 당기게 되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158)가 걸림홈(137)에 끼워져 체결부재(130)를 고정시키게 된다.
체결부재(130)는 안내돌기부(112)에 설치되며, 구름부재(120)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여 전자기기와 체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자기기와 분리되는 것으로,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안내돌기부(112)가 수용되는 안착부(138)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카메라(10)의 체결부(12)에 형성된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134)가 형성되며, 안착부(138)의 내주면에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가이드홈(132)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부재(130)는 안내돌기부(112)의 일부가 끼워진 상태로 지지받침부재(1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카메라(10)의 체결부(12)를 대고 누름으로써, 하부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가이드홈(132)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체결부(12)에 체결되게 된다.
이때,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34)와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32)은 동일한 피치로 이루어지며,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가이드홈(132)은 체결부재(130)가 하부로 이동시 오른쪽으로 돌며 하부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나사부(134)는 체결부재(130)가 오른쪽으로 돌며 하부로 이동시 카메라(10)의 체결부(12)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는 반대로 가이드홈(132)은 체결부재(130)가 하부로 이동시 왼쪽으로 돌며 하부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나사부(134)는 체결부재(130)가 왼쪽으로 돌며 하부로 이동시 카메라(10)의 체결부(12)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130)는 카메라(10)의 체결부(12)를 대고 누름으로써,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가이드홈(132)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체결부(12)에 체결되거나, 카메라(10)를 당김으로써,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가이드홈(132)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체결부(12)와 분리되게 된다.
즉, 카메라(10)의 체결부(12)를 삼각대(20)의 체결부재(130)에 대고 누르면,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가이드홈(132)에 의해 체결부재(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10)에 체결됨으로써, 카메라(10)를 삼각대(20)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카메라(10)를 당김으로써,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가이드홈(132)에 의해 체결부재(1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10)와 분리됨으로써, 삼각대(20)에서 카메라(10)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10)의 체결부(12)를 삼각대(20)의 체결부재(130)에 대고 누르거나 카메라(10)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카메라(10)를 삼각대(20)에 손쉽게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삼각대의 표준 나사를 돌려서 카메라를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카메라(10)를 삼각대(20)에 장착 또는 분리시키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카메라(10) 밑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카메라(10)를 삼각대(20)에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130)의 나사부(134)는 규격 사이즈로 형성되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체결부재(130)는 안착부(138)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걸림홈(137)이 형성되는 고정돌기부(136)를 포함한다.
고정돌기부(136)는 체결부재(130)의 안착부(138) 상부에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체결부재(130)가 하부로 이동시 고정부재(150)의 걸림돌기(158)가 끼워지는 걸림홈(13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 거치장치(100)는 고정부재(150)의 손잡이부(156)를 누르게 되면, 걸림돌기(158)가 걸림홈(137)과 이격되어 체결부재(130)를 고정 해지시키게 되고, 고정부재(150)의 손잡이부(156)를 당기게 되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158)가 걸림홈(137)에 끼워져 체결부재(130)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부재(230)는 카메라(10')에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는 체결부(12')의 내주면 일측 하부에 구름부재(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받침부재(210)는 안내돌기부(212)의 외주면에 나사부(234)가 형성되며, 체결부재(230)는 지지받침부재(210)의 안내돌기부(212)가 수용되는 안착부(238)가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카메라(10')의 구름부재(220)가 접하는 가이드홈(232)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안착부(238)의 내주면에는 체결부(12')와 대응되는 나사부(234)가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부재(230)는 체결부(12')에 일부가 끼워진 상태로 카메라(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체결부재(230)를 안내돌기부(212)에 대고 누름으로써, 상부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구름부재(220)가 접하는 가이드홈(232)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안내돌기부(212)에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10')에 결합된 체결부재(230)를 안내돌기부(212)에 대고 누르면, 구름부재(220)가 접하는 가이드홈(232)에 의해 체결부재(2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안내돌기부(212)에 체결됨으로써, 카메라(10')를 삼각대(20')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카메라(10')를 당김으로써, 구름부재(220)가 접하는 가이드홈(232)에 의해 체결부재(2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안내돌기부(212)와 분리됨으로써, 삼각대(20')에서 카메라(10')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지지받침부재 111 : 받침부
112 : 안내돌기부 114 : 가이드홀
116 : 슬라이딩홀 117: 지지홈
118 : 수용홈 120 : 구름부재
130 : 체결부재 132 : 가이드홈
134 : 나사부 136 : 고정돌기부
137 : 걸림홈 138 : 안착부
140 : 탄성부재 150 : 고정부재
152 : 걸림부 154 : 누름부
156 : 손잡이부 158 : 걸림돌기

Claims (5)

  1. 외주면 일측에 구름부재(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돌기부(112)가 형성되는 지지받침부재(110); 및
    상기 안내돌기부(112)에 설치되며, 상기 구름부재(120)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여 전자기기와 체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분리되는 체결부재(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30)는, 상기 안내돌기부(112)가 수용되는 안착부(138)가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체결부(12)에 형성된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38)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가이드홈(132)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30)는, 상기 전자기기의 체결부(12)를 대고 누름으로써, 상기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상기 가이드홈(132)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체결부(12)에 체결되거나, 상기 전자기기를 당김으로써, 상기 구름부재(120)가 접하는 상기 가이드홈(132)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체결부(12)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30)는, 상기 안착부(138)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걸림홈(137)이 형성되는 고정돌기부(136)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받침부재(110)는, 상기 걸림홈(137)에 걸려 상기 체결부재(130)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고정돌기부(136)와 이격되어 상기 체결부재(130)를 고정 해지시키는 고정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50)는,
    일측이 상기 지지받침부재(110)의 일부를 관통하며, 타측이 상기 지지받침부재(11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누름부(154); 및
    상기 누름부(154)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부(112)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137)에 걸리거나 상기 고정돌기부(136)와 이격되는 걸림부(1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장치.
KR1020160152255A 2016-11-15 2016-11-15 전자기기 거치장치 KR20180054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255A KR20180054375A (ko) 2016-11-15 2016-11-15 전자기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255A KR20180054375A (ko) 2016-11-15 2016-11-15 전자기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75A true KR20180054375A (ko) 2018-05-24

Family

ID=6229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255A KR20180054375A (ko) 2016-11-15 2016-11-15 전자기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43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5461A (zh) * 2019-09-24 2020-01-03 湖南文理学院 一种便于适应人体不同姿势的可旋转计算机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833U (ko) * 1995-09-19 1997-04-28 카메라 고정장치
JP2000097395A (ja) * 1998-09-22 2000-04-04 Takio Horasawa ワンタッチ固定器具及びこれに用いる脱着機構体
KR20130001974U (ko) * 2011-09-19 2013-03-27 양영희 수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833U (ko) * 1995-09-19 1997-04-28 카메라 고정장치
JP2000097395A (ja) * 1998-09-22 2000-04-04 Takio Horasawa ワンタッチ固定器具及びこれに用いる脱着機構体
KR20130001974U (ko) * 2011-09-19 2013-03-27 양영희 수평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5461A (zh) * 2019-09-24 2020-01-03 湖南文理学院 一种便于适应人体不同姿势的可旋转计算机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6897B2 (en) Plate for camera equipment
US9939713B2 (en) Imaging device and plate spring
US8817178B2 (en) Camera mount adapter for multiple devices
US8506181B2 (en) Imaging device and plate spring
JP3185803U (ja) スマートフォン用撮影補助具
JP2015148720A (ja) 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及びこの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に取り付け可能な支持台ユニット
US11256163B2 (en) Camera device with a clamping module
CN211780026U (zh) 具有夹持装置的摄像头
KR20180054375A (ko) 전자기기 거치장치
KR20140124272A (ko)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
WO2018126537A1 (zh) 连接装置和电子装置
US11082587B2 (en) Apparatus for different sized mobile devices that perform image capture
US20080310834A1 (en) Camera Holding Device
WO2015028101A1 (en) Camera collapsible behind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use with the same
EP2958830B1 (en) Receptacle for an image capture computing device
JP2010266545A (ja) 撮像装置
KR200390394Y1 (ko) 신체 지지형 촬영장치 거치대
KR200379660Y1 (ko) 휴대폰 고정구
KR200405430Y1 (ko) 휴대폰의 삼각대 탑재장치
KR101780060B1 (ko) 촬영이 용이한 캠코더식 휴대폰 거치대
KR101142378B1 (ko) 촬상장치용 액세서리
JP6435713B2 (ja) ポップアップ式装置及び撮影装置
KR20100079703A (ko) 모바일 기기용 그립 보조기구
JP2014123040A (ja) 電子機器
US20160227080A1 (en) Apparatus for different sized mobile devices that perform image cap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