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223A -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223A
KR20180053223A KR1020170138255A KR20170138255A KR20180053223A KR 20180053223 A KR20180053223 A KR 20180053223A KR 1020170138255 A KR1020170138255 A KR 1020170138255A KR 20170138255 A KR20170138255 A KR 20170138255A KR 20180053223 A KR20180053223 A KR 20180053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unction
self
rescu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551B1 (ko
Inventor
유상업
Original Assignee
유상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업 filed Critical 유상업
Priority to US15/792,93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15295B2/en
Publication of KR2018005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최루가스를 분사하여 타인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함은 물론 자동으로 구조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구조자가 구조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시 이를 구조요청자에게 알려주어 안심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위급 상황 시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실시간 구조요청을 하고 호신 기능을 하며, 평상시 CCTV 기능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호신장치, 휴대용 호신장치와 와이-파이(Wi-Fi) 다이렉트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설정하고, 휴대용 호신장치로부터 구조요청 정보가 발생하면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지도 정보와 구조요청 영상과 현재 일시정보 및 구조자 단말기 정보를 매핑하여 구조정보로 호신 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구조정보를 수신하고, 구조정보를 기초로 호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구조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호신 서버를 포함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Portable security device with rescue request function based internet of things and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루가스를 분사하여 타인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함은 물론 자동으로 구조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구조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시 이를 구조요청자에게 알려주어 안심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신용 장치는 위해를 가할 목적으로 접근하는 위해자(危害者)로부터 신변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경보음을 발생하여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요청하도록 하는 경보 발생기,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감전에 의한 일시적 충격을 주는 전기 충격기, 최루성이나 마취성 물질을 고압의 가스로 분사시켜 의식을 분산시키는 가스 분사기, 강한 빛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시력을 무력화시키는 플래셔 등이 이용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호신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배터리와 가스통을 수납하며, 고압방전용 전극을 포함한 다기능 호신기를 소형 및 휴대가 간편하도록 구현하여, 범죄를 예방하고 치한을 쉽게 제압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호신기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휴대용품으로 오인할 수 있도록 휴대용품과 동일한 외형을 가지도록 호신장치의 케이스를 구현하고, 경보음이나 최루액의 분사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보다 적절하게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호신용 경보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일반적인 휴대품의 형태로 케이스를 형성하여 전면에 시계를 확보하면서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도록 내부발광체를 구비하고, 스피커를 통해 경고를 발생하거나 라이트를 밝혀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위해자에게 최루액을 분사하여 신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호신용 경보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04826호(1999.03.30. 등록)(다기능 호신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70506호(2004.12.06. 등록)(호신용 경보 분사장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12111호(2009.11.27. 공개)(호신용 경보 분사장치)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경보발생, 전기충격, 가스분사, 섬광발생 등의 단편적인 기능만을 수행할 뿐, 구조요청 메시지를 송출하여 구조를 요청하거나 구조자의 응답을 구조요청자에게 알려주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호신장치들은 단순히 호신 기능만 가능하도록 작용할 뿐,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충전해주는 충전장치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최루가스를 분사하여 타인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함은 물론 자동으로 구조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자가 구조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시 이를 구조요청자에게 알려주어 안심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을 촬영하고, 위치정보와 함께 촬영된 영상을 구조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구조자에게 전송함으로써, 구조자가 현장의 위치 및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추후 사고 발생 시 용의자의 식별 및 검거에 용이함을 제공해주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하고,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기기를 충전해주는 보조 배터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원격 감시 및 관찰을 할 수 있는 추적용 휴대형 CCTV와 같은 사물인터넷 기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는,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구조요청을 하고 호신 기능을 하는 휴대용 호신장치로서, 위급 상황 시 구조요청 기능을 선택하고, 호신 기능 및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 상기 메인 스위치에 의해 호신 기능 선택 시 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메인 스위치의 촬영 선택에 따라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호신 기능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실행된 호신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한 음성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호신 정보를 포함하여 구조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조요청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호신 제어부;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호신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신된 구조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신 제어부에 전송하여 양방향 교신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는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조요청 정보 전송 시 또는 응답 신호 수신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충전 배터리가 내장된 전원부; 내장된 충전 배터리의 충전 상태, 촬영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구조 요청시 또는 응답 신호 수신시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휴대형 기기 접속 시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휴대형 기기에 충전하여 보조 배터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카메라는 상기 메인 스위치의 기능 입력에 따라 호신 기능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원격 감시 및 추적용 영상을 획득하며, 상기 호신 제어부는 비 호신기능 시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통신부를 통해 원격에 전송토록 제어하며, 내장된 메모리에 촬영된 영상과 일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는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 및 고휘도 라이트를 구동시켜 레이저 및 고휘도 라이트를 송출시키는 레이저/라이트 구동부; CCTV 기능 또는 긴급 경보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 스위치;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라이트 구동부는 비 호신기능 시 조명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경보음 발생부는 상기 긴급 경보기 기능이 동작하거나 방아쇠 "1단"이 조작되면 경보음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방아쇠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호신 제어부에 전달하는 방아쇠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신 제어부는 상기 방아쇠 스위치에 의해 "1단" 조작이 검출되면 최루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을 덮는 노즐 덮개의 개방 제어, 자동 구조 요청 정보의 송출 제어, 경보 발생 제어, 고휘도 라이트 송출 제어하고, 상기 방아쇠 스위치에 의해 "2단" 조작이 검출되면 최루액 발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호신 장치의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손잡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손잡이를 접었다 펴기 위한 손잡이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몸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폴딩(folding)되거나 언폴딩(unfol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은,
위급 상황 시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실시간 구조요청을 하고 호신 기능을 하며, 평상시 CCTV 기능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호신장치; 상기 휴대용 호신장치와 Wi-Fi 다이렉트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설정하고, 상기 휴대용 호신장치로부터 구조요청 정보가 발생하면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지도 정보와 구조요청 영상과 현재 일시정보 및 구조자 단말기 정보를 매핑하여 구조정보로 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구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조정보를 기초로 호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구조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호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휴대용 호신장치는 위급 상황 시 구조요청 기능을 선택하고, 호신 기능 및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 상기 메인 스위치에 의해 호신 기능 선택 시 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메인 스위치의 촬영 선택에 따라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호신 기능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충전 배터리가 내장된 전원부; 상기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실행된 호신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한 음성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호신 정보를 포함하여 구조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조요청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호신 제어부;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호신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 및 고휘도 라이트를 구동시켜 레이저 및 고휘도 라이트를 송출시키는 레이저/라이트 구동부; CCTV 기능 또는 긴급 경보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 스위치;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조요청 정보 전송 시 또는 응답 신호 수신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내장된 충전 배터리의 충전 상태, 촬영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구조 요청시 또는 응답 신호 수신시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 몸체; 호신 장치의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손잡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손잡이를 접었다 펴기 위한 손잡이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호신장치에서 최루가스를 분사하여 타인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함은 물론 자동으로 구조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구조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시 이를 구조요청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구조요청자가 안심하고 구조시까지 침착하게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을 촬영하고, 위치정보와 함께 촬영된 영상을 구조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구조자에게 전송함으로써, 구조자가 현장의 위치 및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추후 사고 발생 시 용의자의 식별 및 검거에 용이함을 도모해주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호신장치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기기를 충전해주는 보조 배터리 역할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원격 감시 및 관찰을 할 수 있는 추적용 휴대형 CCTV와 같은 사물인터넷 기기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100)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몸체(150)에 손잡이(120)를 폴딩(folding)하거나 언폴딩(unfolding)하기 위한 손잡이(120)가 몸체(150)에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120)가 몸체(150)에 접힐 경우에는 휴대용 호신장치의 전체 형상이 마치 스마트 기기와 같은 형상처럼 보이며, 손잡이(120)가 몸체(150)로부터 펴질 경우에는 권총 같은 형상이 되어, 위해자를 위협할 수 있는 호신용 무기 형상처럼 보인다.
상기 몸체(150)의 소정 위치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120)를 접었다 펴기 위한 손잡이 버튼(121)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휴대용 호신장치를 호신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손잡이 버튼(121)을 누르게 되고, 손잡이 버튼(121)이 눌러지면 손잡이(121)가 힌지 축을 중심으로 탄성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미끄러지면서 몸체(150)로부터 펴져 사용이 편리해지도록 된다. 손잡이(120)를 다시 몸체(150)에 접을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 버튼(121)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가압하여 밀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원래의 위치에 복귀된다.
또한, 상기 몸체(150)의 후면 부에는 호신 및 구조요청 기능을 선택하고,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101)가 설치된다. 이러한 메인 스위치(101)를 조작하여 호신 기능을 동작시키거나 구조요청 명령을 입력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50)의 후면 부에는 내장된 충전 배터리의 충전 상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는 표시부(107)가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107)는 액정표시장치(LCD)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시부(107)는 구조 요청시 또는 응답 신호 수신시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LED와 같은 표시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조 요청시에는 적색 LED를 이용하여 상태를 표시하고, 구조자에게 구조신호를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청색 LED를 이용하여 상태를 표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5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 스위치(101)에 의해 호신 기능 선택 시 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1), 마이크를 이용하여 외부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108)가 내장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50)의 전면부에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09)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150)에는 상기 카메라(109)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신호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110)가 내장된다. 이러한 카메라(109)는 상기 메인 스위치(101)의 기능 입력에 따라 호신 기능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원격 감시 및 추적용 영상을 획득하는 사물인터넷 기능으로 활용된다.
상기 몸체(150)에는 상기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1)에 의해 실행된 호신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카메라(109)에 의해 획득한 영상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호신 정보, 상기 음성 입력부(108)를 통해 획득한 음성을 포함하여 구조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조요청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호신 제어부(106)가 내장된다. 상기 호신 제어부(106)는 마이컴,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 컨트롤러와 같은 제어장치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호신 제어부(106)는 비 호신기능 시 상기 카메라(109)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통신부(117)를 통해 전송하여 CCTV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내장된 메모리에 촬영된 영상과 음성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50)에는 상기 호신 제어부(106)와 연동하여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와이 파이 다이렉트)을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기기에 전송하거나,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송신된 구조요청 메시지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신 제어부(106)에 전송하여 양방향 교신을 구현하는 통신부(117)가 내장된다. 이러한 통신부(117)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가능한 통신 모듈, CDMA나 LTE 방식의 원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50)의 내부에는 상기 호신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구조요청 메시지 전송 시 또는 응답 신호 수신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123)가 내장된다. 이렇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사용자는 구조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지 구조자가 구조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응답을 하였는지를 인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충전 배터리가 내장된 전원부(102)가 몸체(150)에 내장된다. 상기 전원부(150)는 평소에 호신장치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며, 휴대형 기기 접속 시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휴대형 기기에 충전하여 보조 배터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전원부(102)는 전원 공급부와 충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상기 호신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 및 고휘도 라이트를 구동시켜, 레이저 및 고휘도 라이트를 송출시키는 레이저/라이트 구동부(114)가 몸체(150)에 내장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레이저와 고휘도 광원을 송출하는 고휘도 라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라이트 구동부(114)는 비 호신기능 시 조명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별도의 레이저/라이트 스위치(105)를 몸체(105)의 외관에 설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호신 기능과 비 호신 기능에 알맞게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CCTV 기능 또는 긴급 경보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 스위치(103)가 몸체(150)의 외관에 마련되어, 위급 상황 시 다른 기능을 선택할 필요없이 상기 기능 선택 스위치(103)에 의해 긴급 경보기 기능이 선택되면 즉시 구조요청 정보를 자동으로 발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상기 호신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115)가 구비된다. 상기 경보음 발생부(115)는 상기 긴급 경보기 기능이 동작하거나 방아쇠 "1단"이 조작되면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경보음에 의해 사용자 주변에 위험 상황을 전파하여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위협자에게 경각심을 주어 위협으로부터 사용자가 스스로 벗어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방아쇠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호신 제어부(106)에 전달하는 방아쇠 스위치(104)가 구비된다. 방아쇠 스위치(104)는 방아쇠(124)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아쇠(124)는 1단 및 2단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최루액을 분사하는 노즐의 입구 측을 덮는 노즐 덮개(112)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덮개(112)를 개폐하는 노즐덮개 구동부(11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호신 제어부(106)는 상기 방아쇠 스위치(104)에 의해 "1단" 조작이 검출되면 최루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을 덮는 노즐 덮개(112)의 개방 제어, 자동 구조 요청 메시지 송출 제어, 경보 발생 제어, 고휘도 라이트 송출 제어하고, 상기 방아쇠 스위치(104)에 의해 "2단" 조작이 검출되면 최루액 발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최루액을 저장하는 최루액 저장 통이 내장되며, 최루액을 최루액 저장 통에 충전하기 위한 최루액 주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이하, "휴대용 호신장치"라고 명명한다)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휴대용 호신장치의 기능 선택 스위치(103)를 조작하여 긴급 경보기 기능을 선택하거나, 메인 스위치(101)를 조작하여 호신 기능을 선택한다.
여기서 기능 선택 스위치(103)는 메인 스위치(101)를 조작하여 호신 기능을 동작시키기 어려운 상황하에서 단순히 스위치만을 조작하여 긴급 경보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선택 스위치(103)의 조작에 따라 긴급 경보기 기능이 선택되면,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1)에 의해 호신 애플리케이션(APP)이 실행되고, 호신 제어부(106)는 실행된 호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호신을 위한 제어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호신 기능으로 동작을 시작하면, 주변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주변 모바일 기기와 연결을 설정한 상태에서, 카메라(109)를 동작시켜 피사체를 촬영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을 획득하고, 음성 입력부(108)를 통해 주변 음성을 획득한다. 이어, 획득한 영상, 음성 및 내부 메모리에 미리 등록된 호신 정보를 매핑하여 구조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영상 및 음성은 추후 용의자를 식별하거나 검거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한 구조요청 정보를 통신부(117)를 통해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를 한다.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통신부(117)를 통해 발신한 경우, 경보음 발생부(115) 및 레이저/라이트 구동부(114)를 동작시킨다.
상기 통신부(117)를 통해 구조요청 정보를 송출하면, 동시에 진동 발생부(123)가 동작을 하여 휴대용 호신장치의 몸체(150)가 진동을 하게 된다. 아울러 표시부(107)의 표시장치를 통해 적색 LED를 발광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조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음을 인지하게 되며, 이로써 정신적인 안정을 취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보음 발생부(115)는 동작하면 경보음을 출력하게 되고, 이렇게 출력되는 경보음은 몸체(15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스피커(116)를 통해 외부에 송출된다. 경보음이 발생하면 사용자 주변의 주위 사람도 경보음을 듣게 되고, 위급 상황을 인지하게 되며, 그에 따른 후속 조치를 취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경보음이 발생하면 위해자도 경각심을 갖게 되어, 쉽게 사용자를 위협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이저/라이트 구동부(114)는 동작하면, 레이저를 구동시켜 레이저빔을 발사하고, 동시에 고휘도 라이트를 구동시켜 고휘도 빛이 투사되도록 한다. 이때 레이저빔은 고휘도 라이트가 목적하는 위치에 비추어지도록 목표물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투사되는 고휘도 라이트를 위해자의 안면(특히, 눈)에 발사하여, 위해자가 일시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고, 피신하여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수신한 구조자는 수신한 구조요청 정보에 대해 응답을 발생한다. 응답 발생은 수신한 구조요청 메시지를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자동으로 응답 신호가 발신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발신된 응답 신호는 상기 통신부(117)를 통해 수신되어 호신 제어부(106)에 전달된다. 상기 호신 제어부(106)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 발생부(123)를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하도록 한다. 동시에 표시부(107)를 통해 청색 LED를 점등시킨다. 발생한 진동 및 점등된 청색 LED에 의해 사용자는 구조자가 자신이 전송한 구조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좀 더 정신적인 안정을 취하고, 침착하게 후속 조치를 취하여 위협으로부터 더욱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다른 방법으로서, 메인 스위치(101)에 의해 호신 기능이 선택되면, 호신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1)가 동작하여 호신 애플리케이션(APP)을 실행한다. 상기 호신 제어부(106)는 실행된 호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호신을 위한 제어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예컨대, 카메라(109)를 동작시켜 피사체를 촬영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을 획득하고, 음성 입력부(108)를 통해 사용자 주변의 음성을 획득한다. 이어, 획득한 영상과 음성 및 내부 메모리에 미리 등록된 호신 정보를 매핑하여 구조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 요청 정보를 통신부(117)를 통해 구조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를 한다.
상기 통신부(117)를 통해 구조요청 정보를 송출하면, 동시에 진동 발생부(123)가 동작을 하여 휴대용 호신장치의 몸체(150)가 진동을 하게 되며, 아울러 표시부(107)를 통해 구조요청 정보가 발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알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조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음을 인지하게 되며, 이로써 정신적인 안정을 취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구조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구조자는 수신한 구조요청 메시지에 대해 응답을 발생한다. 응답 발생은 수신한 구조요청 메시지를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자동으로 응답 신호가 발신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발신된 응답 신호는 상기 통신부(117)를 통해 수신되어 호신 제어부(106)에 전달된다. 상기 호신 제어부(106)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 발생부(123)를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며, 동시에 표시부(107)를 통해 청색 LED를 점등한다. 발생한 진동 및 청색 LED에 의해 사용자는 구조자가 자신이 전송한 구조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좀 더 정신적인 안정을 취하고, 침착하게 후속 조치를 취하여 위협으로부터 더욱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휴대용 호신장치로 호신을 위해, 손잡이 버튼(121)을 조작한다. 상기 손잡이 버튼(121)이 눌러지면 손잡이(121)가 힌지 축을 중심으로 탄성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미끄러지면서 몸체(150)로부터 언폴딩되어 사용이 편리해지도록 된다. 손잡이(120)를 다시 몸체(150)에 폴딩시킬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 버튼(121)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가압하여 밀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원래의 위치에 복귀된다.
손잡이(120)가 몸체(150)에 폴딩된 경우에는 휴대용 호신장치의 전체 형상이 마치 스마트 기기와 같은 형상처럼 보이나, 손잡이(120)가 몸체(150)에 언폴딩된 경우에는 권총 같은 형상이 되어, 위해자를 위협할 수 있는 호신용 무기 형상처럼 보인다.
이어, 방아쇠(124)를 살짝 당기면 방아쇠 스위치(104)에서 방아쇠 "1단"이 검출되고, 이것이 호신 제어부(106)에 전달된다.
상기 호신 제어부(106)는 방아쇠 "1단"이 검출되면, 노즐덮개 구동부(113)를 동작시켜, 최루액을 분사하는 노즐에 설치된 노즐 덮개(112)를 개방시킨다. 이어, 경보음 발생부(115) 및 레이저/라이트 구동부(114)를 동작시킨다.
상기 경보음 발생부(115)는 동작하면 경보음을 출력하게 되고, 이렇게 출력되는 경보음은 몸체(15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스피커(116)를 통해 외부에 송출된다. 경보음이 발생하면 사용자 주변의 주위 사람도 경보음을 듣게 되고, 위급 상황을 인지하게 되며, 그에 따른 후속 조치를 취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경보음이 발생하면 위해자도 경각심을 갖게 되어, 쉽게 사용자를 위협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이저/라이트 구동부(114)는 동작하면, 레이저를 구동시켜 레이저빔을 발사하고, 동시에 고휘도 라이트를 구동시켜 고휘도 빛이 투사되도록 한다. 이때 레이저빔은 고휘도 라이트가 목적하는 위치에 비추어지도록 목표물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투사되는 고휘도 라이트를 위해자의 안면(특히, 눈)에 발사하여, 위해자가 일시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고, 피신하여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실제 최루액을 이용하여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방아쇠를 완전히 당기면, 방아쇠 스위치(104)에 의해 방아쇠 "2단"이 검출되어, 호신 제어부(106)에 전달된다. 상기 호신 제어부(106)는 방아쇠 "2단"이 검출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최루액을 분사하는 최루액 분사장치를 동작시킨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최루액 저장 통에 저장된 최루액이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위해자를 공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휴대용 호신장치를 사물인터넷 기반의 감시 장비(CCTV)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통신부(117)를 통해 제어장치(스마트폰)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고, 카메라(109)를 통해 주변을 촬영하고, 음성을 통해 주변 음성을 입력받는다. 이어 촬영된 영상 및 음성을 매핑하여 감시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감시 정보를 상기 통신부(117)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호신장치를 사물인터넷 장비로 활용하여, 원격에서 감시 및 관찰 등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레이저/라이트를 일반적인 조명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몸체(15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레이저/라이트 스위치(105)를 온(on) 상태로 조작하면, 호신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라이트 구동부(114)가 동작을 하여 고휘도 라이트가 점등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조명 장치로 휴대용 호신장치를 사용할 경우, 레이저 빔은 투사하지 않고, 고휘도 라이트만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레이저/라이트 스위치(105)가 오프(off) 되면 상기 고휘도 라이트가 소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휴대용 호신장치를 보조 배터리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충전 단자에 충전 잭을 연결하면, 전원부(102) 내의 충전장치인 충전부가 동작을 하여, 내장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충전 잭으로 방전을 하여, 충전 잭에 연결된 스마트 기기를 충전하게 된다. 이로써 휴대용 호신장치를 마치 보조 배터리와 같은 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와 같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한 호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은, 위급 상황 시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실시간 구조요청을 하고 호신 기능을 하며, 평상시 CCTV 기능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호신장치(100), 상기 휴대용 호신장치(1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다이렉트)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설정하고, 상기 휴대용 호신장치(100)로부터 구조요청 정보가 발생하면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지도 정보와 구조요청 영상과 현재 일시정보 및 구조자 단말기 정보를 매핑하여 구조정보로 호신 서버(400)에 전송하는 스마트폰(200),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전송된 구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조정보를 기초로 호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구조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호신 서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폰(200)과 호신 서버(400)는 네트워크(300)를 매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도 1a, 도 1b, 도 2에 도시한 기술 구성과 작용이 동일하다.
위급 상황 시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주지한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실시간 구조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스마트폰(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녹화되는 영상 및 음성을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할 경우, 일정한 시간 간격(예를 들어, 5초 단위)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호신장치(1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식을 통해 연결이 설정된 스마트폰(200) 즉,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은 휴대용 호신장치(100)로부터 구조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내장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와 일시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지도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지도 정보는 구글 지도, 네이버 지도와 같은 지도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을 통해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구조자가 위치추적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어, 추출한 지도 정보, 실시간으로 입력받은 영상 및 음성 정보, 현재 일시정보(년, 월, 일, 시, 분, 초)를 구조정보로 매핑하고, 미리 등록된 구조자 단말기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구조자 단말기 정보는 사용자가 사전에 앱 상에서 등록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자 단말기 정보는 사용자가 구조를 요청하고자 하는 구조자가 사용하는 단말기 정보이다. 구조자는 개인이 될 수 있으며, 소방서나 경찰서와 같은 기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등록할 구조자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스마트폰(200)은 상기와 같이 구조 정보를 생성한 후, 네트워크(300)를 통해 이를 호신 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호신 서버(400)는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전송된 구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조정보를 기초로 호신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송되는 구조자 단말기 정보를 기반으로 구조자 단말기로 호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어, 구조자 단말기로부터 구조 요청에 대해 응답이 발생하면, 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200)은 구조 요청에 대해 응답을 수신하면 이를 근거리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고,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연결이 설정된 휴대용 호신장치(100)로 전송한다.
상기 휴대용 호신장치(100)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구조 요청에 대해 응답을 수신하면, 진동을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동시에 청색 LED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조 요청이 구조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었음을 인지하게 되며, 이후 안정을 도모하면서 위해자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다양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긴급 상황에서 호신 장치로 동작함과 동시에 구조요청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고휘도 조명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적용된다.
101: 메인 스위치
102: 전원부
103: 기능 선택 스위치
104: 방아쇠 스위치
105: 레이저/라이트 스위치
106: 호신 제어부
107: 표시부
108: 음성 입력부
109: 카메라
110: 영상 처리부
111: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112: 노즐 덮개
113: 노즐 덮개 구동부
114: 레이저/라이트 구동부
115: 경보음 발생부
116: 스피커
117: 통신부
118: 노즐
119: 레이저/라이트
120: 손잡이
121: 손잡이 버튼
122: 충전 단자
123: 진동 발생부
124: 방아쇠
200: 스마트폰
300: 네트워크
400: 호신 서버

Claims (9)

  1.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구조요청을 하고 호신 기능을 하는 휴대용 호신장치로서,
    위급 상황 시 구조요청 기능을 선택하고, 호신 기능 및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
    상기 메인 스위치에 의해 호신 기능 선택 시 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메인 스위치의 촬영 선택에 따라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호신 기능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실행된 호신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한 음성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호신 정보를 포함하여 구조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조요청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호신 제어부;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호신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신된 구조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신 제어부에 전송하여 양방향 교신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조요청 정보 전송 시 또는 응답 신호 수신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충전 배터리가 내장된 전원부; 내장된 충전 배터리의 충전 상태, 촬영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구조 요청시 또는 응답 신호 수신시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휴대형 기기 접속 시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휴대형 기기에 충전하여 보조 배터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메인 스위치의 기능 입력에 따라 호신 기능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원격 감시 및 추적용 영상을 획득하며, 상기 호신 제어부는 비 호신기능 시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통신부를 통해 원격에 전송토록 제어하며, 내장된 메모리에 촬영된 영상과 일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 및 고휘도 라이트를 구동시켜 레이저 및 고휘도 라이트를 송출시키는 레이저/라이트 구동부; CCTV 기능 또는 긴급 경보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 스위치;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라이트 구동부는 비 호신기능 시 조명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경보음 발생부는 상기 긴급 경보기 기능이 동작하거나 방아쇠 "1단"이 조작되면 경보음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6. 청구항 1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방아쇠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호신 제어부에 전달하는 방아쇠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신 제어부는 상기 방아쇠 스위치에 의해 "1단" 조작이 검출되면 최루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을 덮는 노즐 덮개의 개방 제어, 자동 구조 요청 정보의 송출 제어, 경보 발생 제어, 고휘도 라이트 송출 제어하고, 상기 방아쇠 스위치에 의해 "2단" 조작이 검출되면 최루액 발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7. 청구항 1에서,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호신 장치의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손잡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손잡이를 접었다 펴기 위한 손잡이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몸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폴딩(folding)되거나 언폴딩(unfol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8. 위급 상황 시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실시간 구조요청을 하고 호신 기능을 하며, 평상시 CCTV 기능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호신장치;
    상기 휴대용 호신장치와 와이-파이(Wi-Fi) 다이렉트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설정하고, 상기 휴대용 호신장치로부터 구조요청 정보가 발생하면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지도 정보와 구조요청 영상과 현재 일시정보 및 구조자 단말기 정보를 매핑하여 구조정보로 호신 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구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조정보를 기초로 호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구조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호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
  9. 청구항 1에서, 상기 휴대용 호신장치는 위급 상황 시 구조요청 기능을 선택하고, 호신 기능 및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 상기 메인 스위치에 의해 호신 기능 선택 시 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메인 스위치의 촬영 선택에 따라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호신 기능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충전 배터리가 내장된 전원부; 상기 호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의해 실행된 호신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한 음성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호신 정보를 포함하여 구조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조요청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호신 제어부;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호신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 및 고휘도 라이트를 구동시켜 레이저 및 고휘도 라이트를 송출시키는 레이저/라이트 구동부; CCTV 기능 또는 긴급 경보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 스위치;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 상기 호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조요청 정보 전송 시 또는 응답 신호 수신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내장된 충전 배터리의 충전 상태, 촬영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구조 요청시 또는 응답 신호 수신시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 몸체; 호신 장치의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손잡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손잡이를 접었다 펴기 위한 손잡이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


KR1020170138255A 2016-11-11 2017-10-24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 KR101967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92,936 US10115295B2 (en) 2016-11-11 2017-10-25 Portable security device having rescue request func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security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49989 2016-11-11
KR1020160149989 2016-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223A true KR20180053223A (ko) 2018-05-21
KR101967551B1 KR101967551B1 (ko) 2019-04-09

Family

ID=6245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255A KR101967551B1 (ko) 2016-11-11 2017-10-24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180B1 (ko) * 2018-10-16 2019-06-11 윤태소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 캐릭터 호신기
KR20210002147A (ko) * 2019-06-26 2021-01-07 주식회사 라이토리 손전등을 포함하는 영상저장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826B1 (ko) 1997-03-10 1999-06-15 윤종용 다기능 호신기
KR200370506Y1 (ko) 2004-09-08 2004-12-20 종 두 박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20090012111U (ko) 2008-05-24 2009-11-27 유병규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20100116029A (ko) * 2009-04-21 201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1481051B1 (ko) * 2013-09-12 2015-01-16 (주)유즈브레인넷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577690B1 (ko) * 2012-09-24 2015-12-15 김덕우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826B1 (ko) 1997-03-10 1999-06-15 윤종용 다기능 호신기
KR200370506Y1 (ko) 2004-09-08 2004-12-20 종 두 박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20090012111U (ko) 2008-05-24 2009-11-27 유병규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20100116029A (ko) * 2009-04-21 201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1577690B1 (ko) * 2012-09-24 2015-12-15 김덕우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
KR101481051B1 (ko) * 2013-09-12 2015-01-16 (주)유즈브레인넷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180B1 (ko) * 2018-10-16 2019-06-11 윤태소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 캐릭터 호신기
WO2020080679A1 (ko) * 2018-10-16 2020-04-23 윤태소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 캐릭터 호신기
KR20210002147A (ko) * 2019-06-26 2021-01-07 주식회사 라이토리 손전등을 포함하는 영상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551B1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10285B2 (en) Emergency call device
US20060201964A1 (en) Emergency personal protection system integrated with mobile devices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60192164A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CN106102031B (zh) 与智能手机壳联动的人身保护方法
KR101967551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
US20100039493A1 (en) Mobile video headset
US20170206763A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US20160196736A1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CN107067617A (zh) 一种基于无人机的安全监控方法及安全监控系统
KR101654181B1 (ko) 스마트폰 앱과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범용 cctv 비상벨 호출 시스템
CN109118710A (zh) 一种危险时辅助实现获得保护的方法和装置及其拓展
KR20180051149A (ko)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개인 안전 시스템
KR20160065784A (ko) 생체신호를 활용한 자동방범경보시스템
CN106557737A (zh) 一种便携式虹膜识别装置
KR20140053486A (ko) 휴대폰 케이스용 범죄 예방장치
WO2008113846A1 (en) Flash protection
US10115295B2 (en) Portable security device having rescue request func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security system using the same
KR20090126988A (ko) 위험 상황 알림용 영상 촬영 및 전송 장치
KR20130131511A (ko) 시각 장애인용 안내장치
KR101707906B1 (ko) 비상호출장치 및 비상호출시스템
KR102262325B1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EP3255619A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KR20170040974A (ko)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