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064A - 배열회수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배열회수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064A
KR20180053064A KR1020160150416A KR20160150416A KR20180053064A KR 20180053064 A KR20180053064 A KR 20180053064A KR 1020160150416 A KR1020160150416 A KR 1020160150416A KR 20160150416 A KR20160150416 A KR 20160150416A KR 20180053064 A KR20180053064 A KR 2018005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 transfer
heat
heat exchanger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651B1 (ko
Inventor
정영식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이노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6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2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absorbed or adsorbed substances
    • F01N3/0842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킨 후 그 배가가스를 열교환하여 배기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배열회수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상기 배열회수 열교환기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전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열공간의 측면에는 냉각유체를 상기 통 내부의 전열공간로 공급하는 유체입구 및 상기 전열공간의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출구가 상하로 이격 형성되고, 저면에는 기체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부가 개구된 기체순환용 터브가 내부에 형성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전열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다수의 전열관들의 상부 및 하부는 상부격판과 하부격판을 관통하여 그 상면 및 하면으로 노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열공간에 결합되어 상부격판의 상부로 유입된 고온의 연소가스를 상기 다수의 전열관을 통해 하부격판의 저면에 위치된 상기 기체출구 측으로 배출하는 열교환기와; 상하 관통된 배럴과, 외부의 연소가스를 입력하는 기체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럴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부판과, 상기 배럴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된 전열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럴이 상기 기체순환용 터브에 넣어져 결합 시 상기 배럴의 하부에 순환공동을 형성하는 프리히트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열회수 열교환기{Heat Exchanger for Heat Recovery}
본 발명은 배열회수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를 연소시켜 열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내연기관(engine)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또는 연소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nitrogen oxide : NOx)을 저감시킨 후 그 배가가스를 열교환하여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배열회수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 가스 등과 같은 연료를 연소하여 동력을 얻는 내연 기관, 즉, 엔진은 다양한 분야에서 널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발전기 등은 연료를 연소시킨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연소를 연소 시에는 많은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지로 변환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필연적으로 질소산화물을 발생시키며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자동차 등에 탑재된 엔진의 배기가스 배출통로에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제거 또는 법적 기준치 이하로 저감시키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또는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예로서는 촉매컨버터(Catalytic Converter) · 백금 촉매(Platinkatalysator : platinum catalyst)가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에는 위 배기가스 저감장치 이외에도 엔진의 배기가스의 통로에 설치된 촉매 컨버터와 배기구(muffler)의 사이에 설치되어 대기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엔진, 워터펌프, 라디에이터, 히터 등에 사용되는 냉각수나 또는 변속기 오일 온도를 높여 연비 향상을 도모하는 배기가스 배열회수장치(또는 배열회수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내연기관의 배열회수 열교환기의 선행기술로서는 국개특허공보 제10-1619532호(2016. 5. 2. 등록) "차량의 엔진 배기열 회수장치'를 들 수 있다. 위 선행기술은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촉매컨버터와 머플러(소음기) 사이에 설치되어 대기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냉각수로 전열시켜 엔진, 워터펌프, 라디에이터 등에 사용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높여 연비 향상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위 특허문헌에 기재된 선행기술에 기재된 배열회수 열교환기는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만들어진 배기파이프의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파이프 및 냉각오일이 흐르는 오일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파이프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열이 파이프로 만들어진 냉각수통로 및 오일통로의 표면으로 전달되어 냉각수 및 냉각오일에 의해 회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배열회수 열교환기는 촉매컨버터를 배기통로상에 별도로 구비하는 차량에서는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수 있으나, 차량 이외의 장치,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발전기 등에서는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컨버터를 외부에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위 선행기술에 기재된 종래의 배열회수 열교환기는 배기가스와 냉각수 또는 냉각오일 간의 전열면적이 크지 않아 열회수율이 좋지 못하였다. 또한, 배기파이프의 내부에 배기가스 배출 방향으로 냉각통로를 단순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가 빠르게 배출됨으로써 배기가스와 냉각통로로 흐르는 냉각수간의 전열시간이 적어 열교환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10-1619532 B1 (2016. 5. 2.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소 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고, 상기 정화된 배기가스의 배열(排熱)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배열회수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촉매담체(catalyst carrier)에 연소 후의 배기가스를 확산(diffusion) 공급하여 NOx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킨 후, 전열핀(heat-transfer pin)에 축적된 높은 온도의 배기가스를 전열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전열관(heat-transfer pipe)으로 순환 공급하여 상기 배기가스의 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배열회수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열회수 열교환기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전열공간(heat-transfer area)을 형성하고, 상기 전열공간의 측면에는 냉각유체를 상기 통 내부의 전열공간으로 공급하는 유체입구 및 상기 전열공간의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출구가 상하로 이격 형성되고, 저면에는 기체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부가 개구된 기체순환용 터브(Tub for gas circulation)가 내부에 형성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전열관(heat-transfer pipe)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다수의 전열관들의 상부 및 하부는 상부격판(upper diaphragm)과 하부격판(bottom diaphragm)을 관통하여 그 상면 및 하면으로 노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열공간에 결합되어 상부격판의 상부로 유입된 고온의 연소가스를 상기 다수의 전열관을 통해 하부격판의 저면에 위치된 상기 기체출구 측으로 배출하는 열교환기와; 상하 관통된 배럴(barrel)과, 외부의 연소가스를 입력하는 기체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럴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부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골(fold groove)과 산(fold bump)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주름을 형성하여 상기 배럴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된 전열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럴이 상기 기체순환용 터브에 넣어져 결합 시 상기 배럴의 하부에 순환공동을 형성하는 프리히트커플러(preheat coupler)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격판과 하부격판 사이에는 상기 기체순환용 터브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전열관이 관통되는 다수의 끼움구멍들이 형성되고, 외측의 어느 한 부분이 개구되어 냉각유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구를 갖는 흐름억제판(baffle plate)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흐름억제판들의 유체이송구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히트커플러의 배럴의 내부에는 연소 후의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촉매담채(catalystcarrier)가 결합되어 상기 유체입구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NOx를 정화(저감) 시켜 상기 순환2공동으로 배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입구와 상기 촉매담체의 사이에는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체입구로 유입되는 연소 후의 가스를 상기 촉매담체의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분포판(Diffuser)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 열교환기(1)는, 유체입구(13)로 냉각유체, 예를 들면 냉각수가 입력되면, 상기 냉각수는 하우징(11)내의 전열공간(40)에 채워진 후 유체출구(14) 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기체입구(15)로 기체, 예를 들면, 엔진 등에서 연소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연소 가스는 상기 하우징(11)의 전열공간(40)에 설치된 프리히트커플러(30)를 통과함으로써 NOx가 저감 또는 제거된다. NOx가 저감 또는 제거된 고온의 연소가스는 프리히터커플러(30)의 전열핀(35)에 의해 전열관(23)으로 유입되어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전열공간(40)으로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되어 연소가스의 열에너지가 회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 열교환기는 한 공간에서 연소가스에 함유된 NOx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한 후, 전달핀에 의해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하우징의 전열관으로 전달하여 연소가스의 열에너지를 냉각유체로 전열시켜 효율적으로 회수함으로써 발전기 등에 사용되는 독립된 내연기관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정화와 배열회수를 동시에 할 수 있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열회수 열교환기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열회수 열교환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해판의 상세 구성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엠보(embo) 형성의 전열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열관의 다른 실시 예로서, 스타 형상으로 만들어진 구성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가스정화부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9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전열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분포판(Diffuser)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열회수 열교환기의 열교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열회수 열교환기(1)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전열공간(heat-transfer area)(40)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을 구비한다. 상기 전열공간(40)의 측면에는 냉각유체를 상기 통 내부의 전열공간(40)로 공급하는 유체입구(13) 및 상기 전열공간(40)의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출구(14)가 상하로 이격 형성되고, 저면에는 기체출구(16)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11)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하우징(11)의 형상은 이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각·사각기둥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 전열공간(40)에는 도 4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20)가 넣어져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20)는 상부가 개구된 기체순환용 터브(Tub for gas circulation)(27)를 중심부분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체순환용 터브(27)의 둘레측에는 한 쌍의 격판, 즉, 상부격판(21)과 하부격판(22)의 사이에 다수의 전열관(23)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상부격판(21)과 하부격판(22)에는 일정 간격으로 관통 구멍(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격판(21)과 하부격판(22)의 관통구멍(28)에는 중공이 형성된 전열관(heat-transfer pipe)(23)이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전열관(heat-transfer pipe)(23)들의 상단과 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격판(21) 및 하부격판(22)의 관통구멍(28)의 윗면과 하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상부격판(21) 및 하부격판(22)의 사이와 그 사이에 설치된 전열관(23)들의 이격 공간이 실질적인 전열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격판(21)과 하부격판(22)에는 도 4와 같이 구성된 흐름억제판(baffle plate)(25)들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흐름억제판(25)은 전열관(23)들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끼움구멍(25a)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의 어느 한 부분은 개구되어 유체이송구(25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전열관(23)에 끼워져 이격된 흐름억제판(25)의 유체이송구(25b)의 위치는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수 번째 및 우수 번째에 위치된 흐름억제판(25)의 유체이송구(25b)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열관(23)은 전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관체 표면에는 단면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엠보(23)가 상기 관체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엠보(23)는 관체 표면의 단면적을 넓혀 전열면적이 크게 함으로써 전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열관(23)은 도 7과 같이 관체의 단면이 움푹 들어간 부분(28)과 돌출된 부분이 연속된 스타 형상을 갖도록 하여 전열면적을 극대화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20)의 상부격판(21)은 하우징(11)의 측면에 형성된 유체출구(14)의 위 부분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하부격판(22)은 유체입구(13)의 아랫부분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11)내의 전열공간(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20)가 안착된 유체입구(13)의 아랫부분으로부터 유체출구(14)의 윗부분까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안착된 열교환기(20)의 기체순환용 터브(27)의 상부에는 도 8과 같이 구성된 프리히트커플러(30)가 결합된다. 상기 프리히트커플러(30)는 엔진 등과 같은 내연기관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배기가스)를 유입하여 그에 포함된 NOx를 제거 또는 저감한 후 열 에너지를 상기 열교환기(20)로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프리히트커플러(30)는 도 8과 같이 상하 관통된 배럴(barrel)(31)과, 외부의 연소가스를 입력하는 기체입구(15)가 형성되어 상기 배럴(3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의 상부를 덮는 상부판(33)과, 도 9과 같이 수직한 방향으로 골(fold groove)(35b)과 산(fold bump)(35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주름을 형성하여 상기 배럴(31)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된 전열핀(3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럴(31)의 상부와 그 윗부분에 결합된 상부판(33)의 기체입구(15)의 사이에는 도 10과 같이 다수의 구멍(37)이 형성된 분포판(3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분포판(36)은 타공판을 원뿔 형상으로 제작한 것으로, 구멍(37)의 직경은 1~2mm이며, 구멍(37)들의 간격은 중심을 기준으로 2~3mm 이다. 또한, 상기 배럴(31)의 내부에는 분포판(36)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촉매담체(32)가 넣어져 결합되어 있고, 상부판(33)의 윗면에는 엔진의 배기가스배출관이 연결되는 플랜지(36)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판(33)의 아랫부분과 상기 촉매담채(32) 사이의 공간이 일정한 압력으로 입력되는 연소가스가 처음으로 모아지는 유입공동(38)을 형성한다.
도 8과 같이 구성된 프리히트커플러(30)의 배럴(31)은 하우징(11)의 내부에 넣어져 결합된 열교환기(20)의 기체순환용 터브(27)에 도 3과 같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배럴(31)의 길이는 그 하단과 기체순환용 터브(27)의 내부 상면에 일정한 공간, 예를 들면, 순환1공동(60)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어야 한다. 도 3과 같이 프리히트커플러(30)의 배럴(31)이 열교환기(20)의 기체순환용 터브(27)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프리히트커플러(30)의 상부판(33)이 하우징(11)의 상부 개구를 완전히 막음으로써 상부판(33)의 저면과 열교환기(30)의 사이는 밀폐되어 순환2공동(60)을 형성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배별회수 열교환기(1)의 동작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1은 실제적으로 도 3과 같은 것으로, 배열회수 열교환기(1)의 열교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의 부호는 생략되었으며, 기체, 즉, 연소가스인 배기가스와 냉각유체인 냉각수의 흐름만을 나타낸 것이므로, 도면의 참조부호는 도 3을 참조 바란다. 도 11에서 노란색 화살표는 냉각수의 이동경로이며, 적색 화살표는 배기가스의 이동경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 열교환기(1)의 유체입구(13)로 냉각수가 입력되면, 상기 냉각수는 하우징(11)내의 전열공간(40)에 채워진 후 유체출구(14) 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엔진 등에서 연소된 고온의 배기가스가 하우징(11)의 상부에 마련된 기체입구(15)로 유입되면, 상기 배기가스는 분포판(36)에 의해 프리히트커플러(30) 내부의 배럴(31)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공동(38)으로 골고루 확산 분포된다.
상기 유입공동(38)의 압력이 일정량 이상으로 증가되면, 그에 채워진 배기가스는 촉매담체(50)를 통과함으로써 배기가스에 함유된 NOx가 제거 또는 저감된 후 순환1공동(50)으로 유입된다. NOx가 제거되어 상기 순환1공동(50)에 채워진 고온의 배기가스는 배럴(31)의 외주면에 결합된 전열핀(35)과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골(35a)을 통해 열교환기(20)의 상부에 형성된 순환2공동(60)으로 이송된다.
상기 전열핀(35)은 금속재로 만들어져 열전달계수가 매우 큼으로 열속(heat flux)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촉매담체(32)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순환2공동(60) 측으로 배기가스를 이송시킨다. 상기 순환2공동(60)으로 이송된 고온의 배기가스는 열교환기(20)의 상부격판(21)의 윗면과 하부격판(22)의 아래로 관체 구멍이 노출된 전열관(23)을 통해 배출공동(70)에 모아진 후 기체출구(14)로 배출된다.
따라서 엔진 등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도 10에 적색 화살표와 같은 경로로 이동되면, 전열관(23)의 열에너지가 하우징(11)의 전열공간(40)에 채워진 냉각수로 전달됨으로써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되어 연소가스의 열에너지가 회수된다. 이때, 전열관(23)의 전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도 10의 노란색 화살표와 같은 경로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열회수 열교환기는 한 공간에서 배기가스를 정화하고,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함으로써 냉각유체로 전열시켜 효율적으로 회수함으로써 발전기 등에 사용되는 독립된 내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열을 깨끗하게 하면서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1 : 배열회수 열교환기
11 : 하우징
12 : 상부개구
13 : 유체입구
14 : 유체출구
15 : 기체입구
16 : 기체출구
20 : 열교환기
21 : 상부격판
32 : 하부격판
23, 23a : 전열관
24 : 엠보
25 : 흐름억제판
25a : 끼움구멍
25b : 유체이송구,
26 : 결합구
27 : 기체순환용 터브(Tub for gas circulation)
30 : 프리히트커플러(preheat coupler)
31 : 배럴(consecration barrel)
32 : 촉매담체
33 : 상부판
34 : 플랜지
35 : 전열핀
35a, 37 : 골(fold groove)
35b, 38 : 산(fold bump)
36 : 분포판
37 : 구멍
38 : 유입공동
40 : 전열공간
50 : 순환1공동
60 : 순환2공동
70 : 배출공동

Claims (4)

  1. 배열회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전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열공간의 측면에는 냉각유체를 상기 통 내부의 전열공간로 공급하는 유체입구 및 상기 전열공간의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출구가 상하로 이격 형성되고, 저면에는 기체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부가 개구된 기체순환용 터브가 내부에 형성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전열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다수의 전열관들의 상부 및 하부는 상부격판과 하부격판을 관통하여 그 상면 및 하면으로 노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열공간에 결합되어 상부격판의 상부로 유입된 고온의 연소가스를 상기 다수의 전열관을 통해 하부격판의 저면에 위치된 상기 기체출구 측으로 배출하는 열교환기와; 상하 관통된 배럴과, 외부의 연소가스를 입력하는 기체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럴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부판과, 상기 배럴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된 전열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럴이 상기 기체순환용 터브에 넣어져 결합 시 상기 배럴의 하부에 순환공동을 형성하는 프리히트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격판과 하부격판 사이에는 상기 기체순환용 터브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전열관이 관통되는 다수의 끼움구멍들이 형성되고, 외측의 어느 한 부분이 개구되어 냉각유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구를 갖는 흐름억제판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흐름억제판들의 유체이송구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 열교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히트커플러의 배럴의 내부에는 연소 후의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촉매담채가 결합되어 상기 유체입구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NOx를 정화시켜 상기 순환2공동으로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입구와 상기 촉매담체의 사이에는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체입구로 유입되는 연소 후의 가스를 상기 촉매담체의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분포판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 열교환기.
KR1020160150416A 2016-11-11 2016-11-11 배열회수 열교환기 KR10186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16A KR101864651B1 (ko) 2016-11-11 2016-11-11 배열회수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16A KR101864651B1 (ko) 2016-11-11 2016-11-11 배열회수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64A true KR20180053064A (ko) 2018-05-21
KR101864651B1 KR101864651B1 (ko) 2018-06-05

Family

ID=6245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416A KR101864651B1 (ko) 2016-11-11 2016-11-11 배열회수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7420A (zh) * 2022-12-15 2023-01-13 四川大学(Cn) 一种交错逆流式预冷换热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2089A (ja) * 1999-04-06 2000-10-20 Nissan Diesel Motor Co Ltd 排気冷却器の構造
JP3891724B2 (ja) * 1999-03-04 2007-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触媒一体型排気熱交換器
JP4798655B2 (ja) * 2005-12-21 2011-10-19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排気ガス冷却装置用多管式熱交換器
KR101619532B1 (ko) 2010-06-29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배기열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1724B2 (ja) * 1999-03-04 2007-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触媒一体型排気熱交換器
JP2000292089A (ja) * 1999-04-06 2000-10-20 Nissan Diesel Motor Co Ltd 排気冷却器の構造
JP4798655B2 (ja) * 2005-12-21 2011-10-19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排気ガス冷却装置用多管式熱交換器
KR101619532B1 (ko) 2010-06-29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배기열 회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7420A (zh) * 2022-12-15 2023-01-13 四川大学(Cn) 一种交错逆流式预冷换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651B1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6130B2 (en) Flow devices and methods for guiding fluid flow
RU2717176C1 (ru) Труб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RU2009108217A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в особенности, для тепловых генераторов
MX2014009768A (es) Intercambiador de calor adaptado para producción de negro de carbón.
ES2494790T3 (es) Dispositivo de filtración de partículas
KR101864651B1 (ko) 배열회수 열교환기
CN201599817U (zh) 高温烟气与多介质间热量交换的整体列管式换热器
KR101433255B1 (ko) 폐열 회수 시스템의 열교환기
KR20120129648A (ko) 열교환기
KR101221514B1 (ko) 이지알 쿨러
US6772830B1 (en) Enhanced crossflow heat transfer
CN102434881B (zh) 多段式自预热燃烧器
CN214502105U (zh) 一种燃气式坩埚炉的尾气热利用装置
CN211781967U (zh) 一种翅片换热式模温机
RU2686357C1 (ru) Подогреватель газообразных сред
RU2294502C1 (ru) Кожухотруб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CN216644264U (zh) 一种用于空气预加热的换热结构
CN212962884U (zh) 丙烯火炬气加热器
RU126814U1 (ru) Пластин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CN211651313U (zh) 一种采用高换热面积换热管的换热器
JP5763927B2 (ja) 流体加熱用燃焼器付熱交換器
CN218972625U (zh) 一种改良型蒸发器
CN213019673U (zh) 一种预热器
CN212456946U (zh) 一种配合辐射管烧嘴使用的高效预热器
CN212362922U (zh) 一种安装在卧式容器内的换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