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045A - 복합 냉풍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 - Google Patents

복합 냉풍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045A
KR20180053045A KR1020160150386A KR20160150386A KR20180053045A KR 20180053045 A KR20180053045 A KR 20180053045A KR 1020160150386 A KR1020160150386 A KR 1020160150386A KR 20160150386 A KR20160150386 A KR 20160150386A KR 20180053045 A KR20180053045 A KR 20180053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temperature side
thermoelectric elemen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930B1 (ko
Inventor
윤상국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0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9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2Removal of heat by liquids or two-phase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풍기의 팬에서 방출되는 공기 유입구에서 열전소자 저온 측 방열판의 팬을 지나면서 냉풍이 되어 전면에 찬바람을 제공하고 고온 측을 냉각하는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팬(23), 팬을 회전하는 모터(21), 지지대(25),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26)가 구비된 받침대(27)로 구성되는 선풍기(20)에 상기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에 설치되며 교류/직류 컨버터(10)로 전류를 공급받는 열전소자(33)가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복합 냉풍기 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상기 열전소자(33)의 저온측면(33a)을 통해 냉풍을 제공하며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도록 유로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든 선풍기의 전면에 설치 가능하며, 하절기 가정의 에어컨 대체용으로 에너지 절약 효과가 매우 크다. 특히 아파트 관리실과 같은 1 ~ 2인 근무 환경 공간에서 적용하기 용이하며 에너지 절약 효과가 에어컨 보다 크다.

Description

복합 냉풍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MULTIPLE COOLED MODULES AND USING IT MULTIPLE COOLED THERMOELECTIC FAN}
본 발명은 선풍기 전면에 열전소자 블록을 가설하여 냉풍을 제공하는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선풍기의 팬에서 방출되는 공기 유입구에서 열전소자 저온 측 방열판의 팬을 지나면서 냉풍이 되어 전면에 찬바람을 제공하고 고온 측을 냉각하는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실내의 공기 온도 자체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며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끌어모아 내뿜는 기술로 장시간 사용시 선풍기의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에서 열이 발생하여 더운 바람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열전장치를 결합한 냉풍기 기술을 종래기술에서 제공하고 있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6138호 "냉온선풍기"는 실외기 및 압축기의 사용이 불필요한 냉온풍기를 제공하고 있으며 냉온선풍기의 기술은 일반적인 선풍기에 적용할 수 없는 기술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관련기술로는 열전소자 적용 에어컨, 냉온풍기 등이 있으나 실내 온도보다 낮은 찬바람을 제공하는 모든 냉풍기는 아래와 같은 문제를 보유하고 있다.
우선 압축기를 적용한 전력 소요가 큰 에어컨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둘째로, 오픈된 실외에 이동식으로 적용되는 냉풍기는 에어컨과 동일하게 압축기가 적용되며 압축기, 실내기, 실외기가 일체로 제작된 것으로 전력 에너지 소모가 매우 크다. 마지막으로, 실내의 냉풍기로 열전소자를 적용한 선풍기에 상변화 매체를 이용하며 유로를 분리한 형태의 선풍기는 제안하지 않고 있으므로 냉풍기의 적용에 있어서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선풍기에 결합가능하며 열전소자의 고온측면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열전소자의 고온측 면을 냉매(상변화 매체 혹은 물)에 의하여 냉각되면서 기화되어 상승하는 1차 냉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1차 냉각으로 열전소자의 발열을 제거하고 기화된 기체는 선풍기에서 제공되는 공기에 의하여 재액화되어 중력으로 하강하는 밀폐사이클로 2차 냉각하는 혼합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팬(23), 팬을 회전하는 모터(21), 지지대(25),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26)가 구비된 받침대(27)로 구성되는 선풍기(20)에 있어서, 상기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에 설치되며 교류/직류 컨버터(10)로 전류를 공급받는 열전소자(33)가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복합 냉풍기 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상기 열전소자(33)의 저온측면(33a)을 통해 냉풍을 제공하며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도록 유로를 분리할 수 있다.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에서 상기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상기 팬(2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32)와, 상기 입구부(32)를 관통하는 공기를 상기 저온측면(33a)으로 냉각시키는 열전소자(33)와, 상기 열전소자(33)를 관통하여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부(34)와, 상기 고온측면(33b)을 수용하고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액상 냉매를 수용하며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상변화 매체 용기(35)와, 상기 상변화 매체 용기(35)의 일 측에 구비되어 기화되는 냉매가 열교환 됨으로써 냉매를 응집하는 열교환튜브(37), 및 상기 열교환튜브(37)로 데워진 공기를 상기 팬(23)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배출하는 온풍 출구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에서 상기 열전소자(33)의 고온측면(33b)을 냉각하는 냉매는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기화하며 상기 열전소자(33)의 발열을 제거하고 상기 열교환튜브(37)에서 기화된 냉매가 방열하여 재 액화되어 중력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상변화 매체 용기(35)와 열교환튜브(37)는 밀폐사이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선풍기의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팬(2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32)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부(34)를 가지고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온측면(33a)과 고온측면(33b)으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32)를 관통하는 공기를 상기 저온측면(33a)으로 냉각시키는 열전소자(33)와; 상기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매를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고, 기화되는 냉매를 냉각하도록 냉각 유로(36)를 형성하는 상변화 매체 용기(35)와; 상기 상변화 매체 용기(35)의 일 측에 상기 냉각 유로(36)로 이동하는 공기와 접촉되고 기화된 냉매를 열교환하여 방열시키고 재액화 시키는 열교환튜브(37); 및 상기 열교환튜브(37)에서 상기 냉각 유로(36)로 이동한 공기가 열교환 되어 데워져 배출되는 온풍 출구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냉풍기 모듈에서 상기 열전소자(33)는 저온측면(33a)과 고온측면(33b)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온측면(33a)에서 상기 입구부(32)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게 되며, 상기 고온측면(33b)을 냉각하는 냉매는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기화할 수 있다.
복합 냉풍기 모듈에서 상기 냉매는 기화되어 상기 열전소자(33)의 발열을 제거하고 상기 열교환튜브(37)에서 기화된 냉매가 방열하여 재 액화되며 중력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상변화 매체 용기(35)와 열교환튜브(37)는 밀폐사이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선풍기의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팬(2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32)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부(34)를 가지고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온측면(33a)과 고온측면(33b)으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32)를 관통하는 공기를 상기 저온측면(33a)으로 냉각시키는 열전소자(33)와; 상기 케이스(31)의 외부에 상기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고온측면(33b)의 공기가 데워져 배출되는 온풍 출구부(38)를 포함하고, 상기 팬(23)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전소자(33)의 저온측면(33a)을 통해 냉풍을 제공하며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온풍이 상기 온풍 출구부(38)를 향하도록 냉풍과 온풍 유로가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에 따르면, 팬(23), 팬을 회전하는 모터(21), 지지대(25),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26)가 구비된 받침대(27)로 구성되는 선풍기(20)에 상기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에 설치되며 교류/직류 컨버터(10)로 전류를 공급받는 열전소자(33)가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복합 냉풍기 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상기 열전소자(33)의 저온측면(33a)을 통해 냉풍을 제공하며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도록 유로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든 선풍기의 전면에 설치 가능하며, 하절기 가정의 에어컨 대체용으로 에너지 절약 효과가 매우 크다. 특히 아파트 관리실과 같은 1 ~ 2인 근무 환경 공간에서 적용하기 용이하며 에너지 절약 효과가 에어컨 보다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의 복합 냉풍기 모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의 공기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풍기 모듈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풍기 모듈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풍기 모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의 복합 냉풍기 모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의 공기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풍기(20), 복합 냉풍기 모듈(30), 교류/직류 컨버터(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풍기(20)는 팬(23), 팬을 회전하는 모터(21), 지지대(25),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26)가 구비된 받침대(27)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선풍기(20)를 적용한다.
조절부(26)의 버튼으로 선풍기(20)의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21)가 작동하여 팬(23)을 회전시키케 된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선풍기(20)의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으로 복합 냉풍기 모듈(30)이 설치된다. 선풍기(20)는 스탠드 형, 탁상용, 날개 없는 선풍기 등에 적용 가능하며 선풍기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열전소자(33)로 공기의 온도를 낮추되 열전소자(33)의 저온측면(33a)으로 냉풍을 제공하며 고온측면(33b)에 발열을 냉각한다.
이와 같은 열전소자(33)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선풍기 받침대(27)의 일측에 설치되는 교류/직류 컨버터(10)를 설치하도록 한다. 열전소자(33)는 펠티에르(Peltier)효과로 직류전류를 가하면 한 면은 차가워지고 다른 면은 뜨거워지며, 차가운 면으로부터 저온을 지속적으로 얻기 위하여는 뜨거운 면이 지속적으로 냉각되어야 하고 이의 방열 성능이 냉풍의 성능을 좌우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선풍기의 전면에 열전소자(33)를 포함하는 복합 냉풍기 모듈(30)을 설치하여 팬(23)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열전소자(33) 저온측면(33a) 방열판을 지나 냉풍이 배출되고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켜 지속적인 냉풍을 제공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좀 더 구체적으로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입구부(32), 열전소자(33), 출구부(34), 상변화 매체 용기(35), 열교환튜브(37), 온풍 출구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팬(2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32)를 갖는다. 입구부(32)를 관통하는 공기를 열전소자(33)의 저온측면(33a)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열전소자(33)를 관통하여 냉각된 공기는 출구부(34) 배출하여 냉풍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면, 열전소자(33)의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열은 이를 냉각하는 냉매를 수용하는 상변화 매체 용기(35)가 설치되어 냉각 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변화 매체 용기(35)는 "ㄷ" 형상으로 팬(23)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기화되는 냉매를 냉각하도록 제공하는 냉각 유로(36)를 형성한다.
따라서, 팬(23)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저온측면(33a)으로 냉각하여 냉풍을 제공하게 되고 또 다른 일부는 상변화 매체 용기(35)에 부딪혀 냉각 유로(36)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승하게 된 공기는 상변화 매체 용기(35)의 일 측에 설치된 열교환튜브(37)를 향하여 가게 되고, 열교환튜브(37)를 관통한 유입된 공기가 데워져 온풍이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온풍은 팬(23)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온풍 출구부(38)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열전소자(33)의 고온측면(33b)은 상변화 매체 용기(35)와 맞닿아 있거나 삽입되어 용기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서 냉각하는 냉매는 에탄올, 아세톤, 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열전소자(33)의 고온측면(33b)이 약 40℃ 정도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상변화 매체의 비점이 40℃ 온도가 되도록 하여야 하며, 일 예로 에탄올이나 아세톤의 경우 대기압에서 비점이 56℃이므로 이를 낮추기 위해 진공을 500Torr로 가하여야 한다. 아세톤의 경우 약한 진공인 500torr 에서 40℃정도에 기화 및 재액화되며 이의 잠열은 124kJ/kg이 된다.
즉, 상변화 매체에 적용된 냉매는 기화잠열을 이용하여 열전소자(33)의 발열을 제거하고 기화된 기체는 열교환 튜브(37)를 향해 냉각 유로(36)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의하여 방열하면서 재액화되어 중력으로 하강하게 된다.
중력에 의해 하강한 냉매는 상변화 매체 용기(35)와 열교환튜브(37)로 밀폐사이클이 이루어져 지속적인 냉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풍기 모듈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풍기 모듈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풍기 모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복합 냉풍기 모듈(30)을 도시한 도면으로 선풍기의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에 설치되며, 팬(2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32)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부(34)를 가지고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31)로 형상을 가진다.
열전소자(33)는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온측면(33a)과 고온측면(33b)으로 형성되어 입구부(32)를 관통하는 공기를 저온측면(33a)으로 냉각시키고,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매를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고, 기화되는 냉매를 냉각하도록 냉각 유로(36)를 형성하는 상변화 매체 용기(3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변화 매체 용기(35)의 일 측에 냉각 유로(36)로 이동하는 공기와 접촉되고 기화된 냉매를 열교환하여 방열시키고 재액화 시키는 열교환튜브(37)를 설치하고, 열교환튜브(37)에서 냉각 유로(36)로 이동한 공기가 기화된 냉매와 열교환 되어 데워져 배출되는 온풍 출구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33)가 설치되고 입구부(32)에서 유입되어 출구부(34)로 향하는 공기방향으로 저온측면(33a)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변화 매체 용기(35)는 복합 냉풍기 모듈(30)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 적용 가능하며, 다채널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8개의 열전소자(33)가 적용되었으며, 열전소자(33) 4개는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온측면(33b)이 상변화 매체 용기(35)로 부터 열을 방출하게 되고, 이외의 열전소자(33) 4개는 케이스(3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내부 방향으로 저온측면(33a)이 적용되고 케이스(31) 외면으로 고온측면(33b)이 적용되어 방열 되도록 적용 하였다.
이와 같은 복합 냉풍기 모듈(30)로 유입되는 35℃공기에 열전소자(33)의 저온측면(33a)의 방열판에서 냉각되어 다른 공간의 찬공기와 합하여져 25℃ 내외의 찬바람으로 송출된다.
열전소자(33)의 고온측면(33b)은 1차 냉각용 상변화 액체 혹은 물에 의하여 냉각되면서 상변화 액체는 온도 40℃정도에서 기화되어 상승되고, 이 상승된 기체는 30~25℃공기에 의하여 2차로 냉각 액화되어 하강한다. 이를 냉각한 고온의 공기는 다른 공간의 고온 공기와 합체되어 상부로 유동된 후 선풍기 윗면인 온풍 출구부(38)로 방출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냉매를 사용하지 않고 유로를 분리하는 복합 냉풍기 모듈(30)을 적용할 수 있다.
케이스(31)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선풍기의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에 설치되며, 팬(2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32)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부(34)를 가진다.
이와 같은 케이스(31)의 내부에 열전소자(33)가 설치되고, 열전소자(33)는 저온측면(33a)과 고온측면(33b)으로 형성되어 입구부(32)를 관통하는 공기를 저온측면(33a)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케이스(31)의 외부에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반대방향으로 온풍 출구부(3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열전소자(33)의 고온측면(33b)에 의해 공기가 데워지면 온풍 출구부(38)를 통해 배출하도록 한다.
즉,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팬(23)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전소자(33)의 저온측면(33a)을 통해 냉풍을 제공하며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온풍이 온풍 출구부(38)를 향하도록 하여, 냉풍과 온풍 유로가 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는 기존의 선풍기에 결합가능하며 열전소자의 고온측면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열전소자의 고온측 면을 냉매(상변화 매체 혹은 물)에 의하여 냉각되면서 기화되어 상승하는 1차 냉각을 제공하며 또한, 1차 냉각으로 열전소자의 발열을 제거하고 기화된 기체는 선풍기에서 제공되는 공기에 의하여 재액화되어 중력으로 하강하는 밀폐사이클로 2차 냉각하는 혼합방식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 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직류/교류 컨버터
20 : 선풍기
21 : 모터
23 : 팬
25 : 지지대
26 : 조절부
27 : 받침대
30 : 복합식 냉풍 모듈
31 : 케이스
32 : 입구부
33 : 열전소자
34 : 출구부
35 : 상변화 매체 용기
36 : 냉각유로
37 : 열교환튜브
38 : 온풍 출구부

Claims (7)

  1. 팬(23), 팬을 회전하는 모터(21), 지지대(25),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26)가 구비된 받침대(27)로 구성되는 선풍기(20)에 있어서,
    상기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에 설치되며 교류/직류 컨버터(10)로 전류를 공급받는 열전소자(33)가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복합 냉풍기 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상기 열전소자(33)의 저온측면(33a)을 통해 냉풍을 제공하며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도록 유로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냉풍기 모듈(30)은
    상기 팬(2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32)와,
    상기 입구부(32)를 관통하는 공기를 상기 저온측면(33a)으로 냉각시키는 열전소자(33)와,
    상기 열전소자(33)를 관통하여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부(34)와,
    상기 고온측면(33b)을 수용하고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액상 냉매를 수용하며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상변화 매체 용기(35)와,
    상기 상변화 매체 용기(35)의 일 측에 구비되어 기화되는 냉매가 열교환 됨으로써 냉매를 응집하는 열교환튜브(37), 및
    상기 열교환튜브(37)로 데워진 공기를 상기 팬(23)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배출하는 온풍 출구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33)의 고온측면(33b)을 냉각하는 냉매는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기화하며 상기 열전소자(33)의 발열을 제거하고 상기 열교환튜브(37)에서 기화된 냉매가 방열하여 재 액화되어 중력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상변화 매체 용기(35)와 열교환튜브(37)는 밀폐사이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
  4. 선풍기의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팬(2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32)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부(34)를 가지고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온측면(33a)과 고온측면(33b)으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32)를 관통하는 공기를 상기 저온측면(33a)으로 냉각시키는 열전소자(33)와;
    상기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매를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고, 기화되는 냉매를 냉각하도록 냉각 유로(36)를 형성하는 상변화 매체 용기(35)와;
    상기 상변화 매체 용기(35)의 일 측에 상기 냉각 유로(36)로 이동하는 공기와 접촉되고 기화된 냉매를 열교환하여 방열시키고 재 액화시키는 열교환튜브(37); 및
    상기 열교환튜브(37)에서 상기 냉각 유로(36)로 이동한 공기가 열교환 되어 데워져 배출되는 온풍 출구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냉풍기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33)는 저온측면(33a)과 고온측면(33b)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온측면(33a)에서 상기 입구부(32)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게 되며, 상기 고온측면(33b)을 냉각하는 냉매는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기화하는 복합 냉풍기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기화되어 상기 열전소자(33)의 발열을 제거하고 상기 열교환튜브(37)에서 기화된 냉매가 방열하여 재 액화되며 중력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상변화 매체 용기(35)와 열교환튜브(37)는 밀폐사이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냉풍기 모듈.
  7. 선풍기의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팬(2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32)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부(34)를 가지고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온측면(33a)과 고온측면(33b)으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32)를 관통하는 공기를 상기 저온측면(33a)으로 냉각시키는 열전소자(33)와;
    상기 케이스(31)의 외부에 상기 팬(23)이 공기를 뿜어내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고온측면(33b)의 공기가 데워져 배출되는 온풍 출구부(38)를 포함하고,
    상기 팬(23)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전소자(33)의 저온측면(33a)을 통해 냉풍을 제공하며 고온측면(33b)에서 발생하는 온풍이 상기 온풍 출구부(38)를 향하도록 냉풍과 온풍 유로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냉풍기 모듈.
KR1020160150386A 2016-11-11 2016-11-11 복합 냉풍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 KR10187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86A KR101877930B1 (ko) 2016-11-11 2016-11-11 복합 냉풍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86A KR101877930B1 (ko) 2016-11-11 2016-11-11 복합 냉풍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45A true KR20180053045A (ko) 2018-05-21
KR101877930B1 KR101877930B1 (ko) 2018-07-13

Family

ID=6245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386A KR101877930B1 (ko) 2016-11-11 2016-11-11 복합 냉풍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1144A (zh) * 2019-08-23 2019-11-05 刘昌亚 一种升降式多拓展冷饭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865A (ko) 2020-11-05 2022-05-12 이희웅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온풍기
KR102522552B1 (ko) 2021-08-25 2023-04-14 구상건 헤드셋 타입의 송풍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41B1 (ko) * 2003-12-11 2005-09-05 최동각 냉난방기용 열교환장치
KR200371260Y1 (ko) * 2004-10-13 2004-12-30 이태성 열전소자가 구성된 날개를 이용한 냉온풍기
KR101605915B1 (ko) * 2010-10-25 2016-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KR20130003561U (ko) * 2011-12-07 2013-06-17 홍성위 펠티어 소자를 활용한 실외기가 별도로 있지 않은 일체형 냉각장치를 가진 선풍기 또는 냉풍기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1144A (zh) * 2019-08-23 2019-11-05 刘昌亚 一种升降式多拓展冷饭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930B1 (ko) 201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5081A1 (zh) 液冷装置和辅助散热装置结合的服务器机柜散热系统
CN203810612U (zh) 小型半导体空调器
JP3235997U (ja) 移動可能な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冷房方法
US10935258B2 (en) Fan with cooler
KR101877930B1 (ko) 복합 냉풍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냉각식 열전 선풍기
CN101922778B (zh) 一种半导体制冷空调装置
CN202231001U (zh) 一种变频空调器控制模块芯片降温装置
TWM287927U (en) Semi-conductor based electrical cooling/heating appliance
WO2020025043A1 (zh) 一种厨房空调系统
CN105737439A (zh) 一种利用太阳能和热电过冷装置的空调系统
CN104214854A (zh) 一种一体化机房空调系统
CN107809894B (zh) 一种数据中心机柜的冷却装置
CN113038804B (zh) 一种基于半导体制冷片的新风冷热交换系统
KR20020019787A (ko) 효율이 뛰어난 차량용 열전 냉·온장고
CN102393075A (zh) 吸收压缩机热量防结霜热泵热水器蒸发器室
CN114245679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1929799B1 (ko) 냉온풍 기능이 부가된 커튼월 프레임
CN2498558Y (zh) 环保旅游冰箱
KR101717378B1 (ko)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냉온풍기
CN220250191U (zh) 热量交换机组
CN213814589U (zh) 一种基于半导体制冷的新型可调节笔记本电脑散热器
KR102095060B1 (ko) 수냉식 냉풍기
CN220205943U (zh) 浴室空调器
CN220355605U (zh) 一种用于局部空间的半导体温控系统
CN211860931U (zh) 一种封闭箱式制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