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980A -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 - Google Patents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980A
KR20180050980A KR1020160147699A KR20160147699A KR20180050980A KR 20180050980 A KR20180050980 A KR 20180050980A KR 1020160147699 A KR1020160147699 A KR 1020160147699A KR 20160147699 A KR20160147699 A KR 20160147699A KR 20180050980 A KR20180050980 A KR 20180050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container
gel
main bod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400B1 (ko
Inventor
주한결
Original Assignee
주한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결 filed Critical 주한결
Priority to KR1020160147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4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8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air treatin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110);와, 상기 본체(10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외부로 배출구(123)가 형성되고, 흡기구(124)가 구비되어 있는 송풍기(120);와, 상기 흡기구(124)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 외측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하측 방향으로 하측 경사각(θ1)을 가지고 경사지도록 관통된 경사 흡기공(131)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흡기 연결 커넥터(130);와,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방향, 탈취 또는 살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젤 상 제재(G)가 수용되는 용기(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Diffuser for Gel}
본 발명은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110);와, 상기 본체(10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외부로 배출구(123)가 형성되고, 흡기구(124)가 구비되어 있는 송풍기(120);와, 상기 흡기구(124)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 외측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하측 방향으로 하측 경사각(θ1)을 가지고 경사지도록 관통된 경사 흡기공(131)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흡기 연결 커넥터(130);와,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방향, 탈취 또는 살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젤 상 제재(G)가 수용되는 용기(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일반 주거공간을 이루는 가정은 물론 냄새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공중 화장실, 대중이 이용하는 음식점, 오락실, 유흥업소 등과 같은 장소에는 향을 발산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향 발산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음식물 분리수거 시설이나 대중 교통 수단 등에서는 방향과 더불어 탈취 및 살균을 위한 제재를 발산하는 장치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사용되는 향료 또는 샬균 탈취제를 포함하는 제재의 발산 장치는 1.가스 주입 분사방식, 2.고체형 휘산 방식 3. 액체형 가열 휘산 방식, 4.액체형 분사방식, 등이 주지되어 왔다.
1.가스 주입 분사방식은 발산하고자 하는 제재를 가스와 함께 스틸이나 알루미늄 용기에 담아서 가스의 높은 압력을 이용하여 가스와 제재가 동시에 분사되게 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방식은 온도가 50℃ 이상이면 용기가 폭발할 위험이 있고 분사 시 분사액이 인체나 실내 장식 등에 직접 접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2.고체형 상온 휘산 방식은 고체화된 제재 또는 젤 상태의 제재를 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공기에 접촉하여 휘발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상온에 제재가 휘발되기 때문에 고온에서는 급속히 제재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3.액체형 가열 휘발 방식은 액체화된 제재를 용기에 담고 심지를 꽂아 놓은 형태로 용기 외부로 돌출된 심지에 열을 가하여 발향한다. 이 경우 원하지 않는 시간대의 조절 및 방향을 억제하고 싶을 시에도 계속 되는 작동으로 제재의 낭비는 물론 과도한 제재 발산에 노출되게 된다.
4.액체형 분사방식은 액체 제재를 물리력으로 가압 분사하는 방식으로 가압 분사하기 위한 전체 구성이 복잡하며 액상이 충진제 없이 분사를 하다 보니 제재의 비중을 가볍게 하기 위해 에탄올 등의 용제를 과도하게 배합하여 두통을 일으키기에 충분하며 그렇지 않을 시는 분사된 제재가 인체나 실내 장식에 직접 떨어져 닿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다양한 기존 제재의 발산 장치 중, 상온에서의 저장성 및 취급의 용이성 등에서 유리한 젤상 제재의 분사 장치로는 하기 특허문헌 1의 "향발산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1527호)"에,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투명재질의 방향제하우징과; 상기 방향제하우징의 상부영역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발산된 방향제의 향기를 분산시키는 방출팬을 갖는 방출팬부와; 상기 방출팬부와 결합되며 판면에 상기 방출팬을 통해 분산된 방향제의 향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발산 슬릿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방출팬의 구동을 단속하는 구동버튼이 형성된 발산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발명은 단순하게 방출팬을 구동하여 방향제 하우징 내에 휘산된 제재를 방출하는 데 불과하기에, 효율적인 휘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방출팬이 단순히 방향제 하우징의 상부영역에 결합되므로, 방향제 하우징의 내부에서 방출팬으로 방출되는 기류의 흐름과,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방향제 하우징 내주로 유입되는 기류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여 효율적인 휘산작동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1527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방향, 탈취 또는 살균을 위한 제재를 젤상으로 담고 있는 용기가 흡기 연결 커넥터를 통하여 송풍기에 연결되도록 하여, 용기에서 배출되는 유동과 용기로 인입되는 유동이 서로 분리되어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한 것은 물론, 유동이 젤상 제재의 표면을 빠른 속도로 지나가도록 하여 단위시간 당 휘산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0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외부로 배출구(123)가 형성되고, 흡기구(124)가 구비되어 있는 송풍기(120);와, 상기 흡기구(124)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 외측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하측 방향으로 하측 경사각(θ1)을 가지고 경사지도록 관통된 경사 흡기공(131)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흡기 연결 커넥터(130);와,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방향, 탈취 또는 살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젤 상 제재(G)가 수용되는 용기(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 내측에 교체 가능하게 더 설치되며,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통공(14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기류 조절판(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160)의 입구에 형성된 결합 나사산(161)의 규격에 맞는 용기 결합 나사홈(151)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결합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기 연결 커넥터(130)는, 결합 수단(133)을 통하여 상기 흡기구(12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 흡기공(131)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여 측면 경사각((θ2)을 가지면서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110)는 상기 용기(160)가 착탈될 수 있게 통과할 수 있는 용기 삽입공(111)이 그 하측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방향, 탈취 또는 살균을 위한 제재를 젤상으로 담고 있는 용기가 흡기 연결 커넥터를 통하여 송풍기에 연결되도록 하여, 용기에서 배출되는 유동과 용기로 인입되는 유동이 서로 분리되어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한 것은 물론, 유동이 젤상 제재의 표면을 빠른 속도로 지나가도록 하여 단위시간 당 휘산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입되는 유동이 상하 방향 중심축을 따라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인입되도록 하여, 인입 유동과 배출 유동의 분리가 더욱 효과적인 것은 물론, 휘산 효율도 더욱 극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의 전체 구성 모식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의 주요부 분해 결합 사시도.
도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의 흡기 연결 커넥터의 경사 흡기공의 상면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는 크게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110), 송풍기(120), 흡기 연결 커넥터(130) 및 용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체(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를 구성하는 외부 하우징의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용이한 용기(160)의 교체 또는 착탈을 위하여,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용기(160)가 착탈될 수 있게 통과할 수 있는 용기 삽입공(111)이 그 하측에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송풍기(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송풍기(12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외부로 배출구(123)가 형성되고, 흡기구(1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120)를 구현하는 실시예로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송풍량 및 먼 거리까지 송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작동 특성을 고려할 때, 시로코팬 타입의 송풍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12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송풍 구동 수단(121)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 블레이드(12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흡기 연결 커넥터(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에서 가장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고 k같이, 상기 흡기구(124)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 외측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하측 방향으로 하측 경사각(θ1)을 가지고 경사지도록 관통된 경사 흡기공(131)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에서 상기 흡기구(124)로 배출되는 유동과, 상기 경사 흡기공(131)을 통하여 용기로 인입되는 유동이 서로 분리되어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배출 유동과 인입 유동이 서로 분리되어 효율적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므로,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유동이 젤상 제재의 표면을 빠른 속도로 지나가도록 하여 단위시간 당 휘산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측 경사각(θ1)은 30~60°의 각도 범위 중에서 적절한 값이 선택되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내외의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 흡기공(131)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여 측면 경사각((θ2)을 가지면서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사 흡기공(131)을 통하여 용기로 인입되는 인입유동이 일종의 회오리 바람과 같은 싸이클론 기류의 특성을 가지면서 회전하여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싸이클론 기류 유동의 특성에 의하여 상기 인입유동은 원심력에 의하여 유동이 통과하는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밀착하려는 경향을 가지면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인입 유동과 배출 유동의 분리가 더욱 효과적인 것은 물론, 인입 유동에서 배출 유동으로 전환되는 후술할 젤상 제재(G)의 표면에서도 회오리의 형상으로 기류가 이동하므로, 휘산 효율도 더욱 극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는 사용하는 젤상 제재(G)의 휘산 특성 등을 고려하여 용이한 교체 장착이 가능하도록,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결합 수단(133)을 통하여 상기 흡기구(12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용기(16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용기(16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방향, 탈취 또는 살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젤 상 제재(G)가 수용된다. 이 경우, 상기 용기(160)는 당야한 규격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미 상기 젤 상 제재(G)가 담긴 상태로 판매되는 용기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는 휘산 되는 상기 젤 상 제재(G)의 휘산 특성등을 고려하여 그 휘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 내측에 교체 가능하게 더 설치되며,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통공(14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기류 조절판(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양한 규격의 상기 용기(160)를 교체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160)의 입구에 형성된 결합 나사산(161)의 규격에 맞는 용기 결합 나사홈(151)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결합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G: 젤상 제재
100: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
110: 본체
111: 용기 삽입공
120: 송풍기
121: 송풍 구동 수단 122: 송풍 블레이드
123: 배출구 124: 흡기구
130: 흡기 연결 커넥터 131: 경사 흡기공
132: 경사부 133: 결합 수단
140: 기류 조절판 141: 통공
150: 용기 결합부 151: 용기 결합 나사홈
160: 용기 161: 결합 나사산

Claims (5)

  1. 본체(110);
    상기 본체(10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외부로 배출구(123)가 형성되고, 흡기구(124)가 구비되어 있는 송풍기(120);
    상기 흡기구(124)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 외측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하측 방향으로 하측 경사각(θ1)을 가지고 경사지도록 관통된 경사 흡기공(131)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흡기 연결 커넥터(130);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방향, 탈취 또는 살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젤 상 제재(G)가 수용되는 용기(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 내측에 교체 가능하게 더 설치되며,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통공(14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기류 조절판(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연결 커넥터(130)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160)의 입구에 형성된 결합 나사산(161)의 규격에 맞는 용기 결합 나사홈(151)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결합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흡기 연결 커넥터(130)는, 결합 수단(133)을 통하여 상기 흡기구(12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
  5.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흡기공(131)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여 측면 경사각((θ2)을 가지면서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110)는 상기 용기(160)가 착탈될 수 있게 통과할 수 있는 용기 삽입공(111)이 그 하측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100).
KR1020160147699A 2016-11-07 2016-11-07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 KR101926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699A KR101926400B1 (ko) 2016-11-07 2016-11-07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699A KR101926400B1 (ko) 2016-11-07 2016-11-07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980A true KR20180050980A (ko) 2018-05-16
KR101926400B1 KR101926400B1 (ko) 2018-12-07

Family

ID=6245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699A KR101926400B1 (ko) 2016-11-07 2016-11-07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4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9747A (ja) * 2001-06-29 2003-01-14 Fumakilla Ltd 送風式薬剤揮散装置
JP4480618B2 (ja) 2005-04-22 2010-06-16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薬剤揮散装置
KR200409034Y1 (ko) 2005-12-07 2006-02-20 김영남 향 발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400B1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2368B1 (en) Electrical evaporator including fan and louver structure
US10918812B2 (en) Essential oils diffuser
EP2138725A2 (en) Device for distributing volatile fluids in air
US20080223953A1 (en) Mist Generator and Mist Emission Rendering Apparatus
US8876086B2 (en) Fragrance emitter
KR102545513B1 (ko) 디퓨징 장치 및 방법
TWM464620U (zh) 增濕裝置(四)
JP5868474B1 (ja) 噴霧装置および噴霧システム
KR200451527Y1 (ko) 향발산장치
US20190275188A1 (en) Electrical plug-incorporated aerosol perfume dispenser
KR101926400B1 (ko)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
US20080029614A1 (en) Mist-Spraying Apparatus
KR200421890Y1 (ko) 개선된 피톤치드 휘산장치
KR101569062B1 (ko) 천연 약초 향 발산기
US2696548A (en) Electric bulb apparatus for distributing substances suitable for ameliorating and/or disinfecting the air and/or insectides
KR100375889B1 (ko) 피톤치드 확산기
US20160158398A1 (en) Fragrance Dispensing Apparatus
US75272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posing air to an aromatic substance
US10919059B2 (en) Diffusing apparatus and methods
JP2005144096A (ja) 照明付き噴霧器
JP2004009040A (ja) 照明付き噴霧器
KR200494341Y1 (ko) 발향 용기
JPH0910641A (ja) 液体用の超微粒子噴霧装置
JP3163004U (ja) 気化成分放散容器
KR200216086Y1 (ko) 피톤치드 확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