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915A -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915A
KR20180050915A KR1020160147532A KR20160147532A KR20180050915A KR 20180050915 A KR20180050915 A KR 20180050915A KR 1020160147532 A KR1020160147532 A KR 1020160147532A KR 20160147532 A KR20160147532 A KR 20160147532A KR 20180050915 A KR20180050915 A KR 20180050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hole
coating film
inline coating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현
박주용
강경문
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4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0915A/ko
Publication of KR2018005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915A/ko
Priority to KR1020210032609A priority patent/KR102367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4Pinho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투롤 방식으로 제공되는 인라인 코팅필름에 형성된 불량 핀홀을 식별 및 검출함에 있어서 핀홀 검출 시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한 위치를 자동으로 표시(MARKING)함으로써, 인라인 코팅필름의 생산 공정 및 핀홀 검출, 표시 공정을 병행하여 코팅 공정 및 후단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RKING THE PIN HOLE OF THE IN-LINE COATING FILM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롤투롤 방식으로 제공되는 인라인 코팅필름에 형성된 불량 핀홀을 식별 및 검출함에 있어서 핀홀 검출 시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한 위치를 자동으로 표시(MARKING)함으로써, 인라인 코팅필름의 생산 공정 및 핀홀 검출, 표시 공정을 병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후단 공정에 활용의 목적이 있는 불량 핀홀 표식을 포함해 전체적인 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투롤 방식으로 제공되는 인라인 코팅필름(예를 들어, 연료전지 막 필름, 수처리 막 필름, 이차전지 분리 막 필름 등)의 핀홀 검사에 있어서, 종래에는 이러한 핀홀 검출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핀홀 발생 여부를 직접 확인하여야 했는데, 특히 핀홀 검출 시 코팅필름의 전체 코팅 공정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거나 공정 조건을 변경하여야 했으며, 별도의 핀홀 검출 장비를 이용하여 핀홀을 자동으로 검출하더라도 코팅필름의 전체 코팅 공정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야 했기 때문에, 그에 따른 효율 및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이러한 핀홀의 개수가 다량에 해당할 경우, 그만큼 전체 공정 시간이 지연된다는 점에서, 코팅필름의 생산 공정 과정을 중단하지 않으면서 검출된 핀홀을 표시할 수 있는 자동화 설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검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핀홀 검출 시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한 위치를 자동으로 표시(MARKING)함으로써, 인라인 코팅필름의 생산 공정 및 핀홀 검출, 표시 공정을 병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10-1427976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롤투롤 방식으로 제공되는 인라인 코팅필름에 형성된 불량 핀홀을 식별 및 검출함에 있어서 핀홀 검출 시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한 위치를 자동으로 표시(MARKING)함으로써, 인라인 코팅필름의 생산 공정 및 핀홀 검출, 표시 공정을 병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코팅 제품의 제단 공정,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 등 후단 공정에 활용이 가능한 불량 핀홀을 표시가 목적하는 위치 및 형상을 갖고 있어, 인라인 코팅필름 제조 공정뿐만 아니라 후단 공정에 불량 표시를 인식해 회피하는 등의 활용을 통해, 코팅 공정뿐만 아니라 후단 공정에 활용해 전체적인 공정의 생산성과 작업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은 일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인라인 코팅필름 상의 핀홀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핀홀 검출부 및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의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MARKING)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홀 검출부는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진행 롤,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을 투과하는 상기 광의 투과율을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판단 결과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 결과 제공부는 포토 리시버(PHOTO RECEIVER)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 결과 제공부는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진행속도를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영역이 상기 표시부에 도달되는 도달 시간 혹은 도달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달 시간 혹은 도달 거리를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대한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에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대한 표시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에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대한 표시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의 선(LINE) 혹은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상응하는 점(DOT), 원(CIRCLE) 혹은 숫자(NUMBER)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잉크물질 분사 공정, 잉크물질 도포 공정, 레이저 식각공정 혹은 펀칭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정을 통해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방법은 핀홀 검출부를 통해, 일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인라인 코팅필름 상의 핀홀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의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MARK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홀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제공부에서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진행속도를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영역이 상기 표시부에 도달되는 도달 시간 혹은 도달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도달 시간 혹은 도달 거리를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대한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에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대한 표시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의 선(LINE)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에서 잉크물질 분사 공정, 잉크물질 도포 공정, 레이저 식각공정 혹은 펀칭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정을 통해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롤투롤 방식으로 제공되는 인라인 코팅필름에 형성된 불량 핀홀을 식별 및 검출한 후,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한 위치를 자동으로 표시함으로써, 인라인 코팅필름의 생산 공정 및 핀홀 검출, 표시 공정을 함께 병행하여 생산성 및 효율이 증가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후단 공정이 인라인 코팅필름의 커팅(CUTTING) 공정, 펀칭(PUNCHING) 공정 혹은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 일 경우, 해당 표시된 영역만을 인식 후 스킵(SKIP)하여 커팅, 펀칭 혹은 라미네이팅 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생산성 및 효율이 증가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핀홀 검출 공정 과정에서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2)에 대한 핀홀 발생영역(3)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표시부(120)에 의해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2)에 대한 핀홀 발생영역(3)이 선으로써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표시된 표시부(120)에 의해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2)에 대한 핀홀발생영역(3)이 점으로써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100)을 통해 핀홀 발생영역(3)을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100)은 크게 핀홀 검출부(110) 및 표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핀홀 검출부(110)는 일측 방향으로 진행하는(혹은 제공되는)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발생된(혹은 형성된) 핀홀(2)의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핀홀 검출부(110)는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제공되는 인라인 코팅필름(1)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진행 롤(110a), 제공되는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110b) 및 인라인 코팅필름(1)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1)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토대로 핀홀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표시부(120)에 제공하는 판단 결과 제공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진행 롤(110a)은 인라인 롤투롤 방식으로 제공되는 인라인 코팅필름(1)의 하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인라인 코팅필름(1)을 표시부(120)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진행 롤(110a)에 의하여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광이 균일한 면적 및 균일한 시간 조사될 수 있으며, 광이 조사된 인라인 코팅필름(1)은 표시부(120) 방향으로 자동 이송될 수 있다.
광 조사부(110b)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진행 롤(110a)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인라인 코팅필름(1)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혹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후술되는 판단 결과 제공부(110c)에서 상기 조사된 광에 대한 투과율을 산출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광 조사부(110b)를 통해 조사되는 광의 종류는 제한되지 아니하며, 인라인 코팅필름(1)을 투과하여 후술되는 판단 결과 제공부(110c)에서 상기 조사된 광을 근거로 투과율을 산출할 수 있는 한, 광 조사부(110b)를 통해 조사되는 광의 조사각, 조사 시간, 조사면적 등은 제한되지 아니함을 유의한다.
판단 결과 제공부(110c)는 상기 광 조사부(110b)와 대면되는 위치(예를 들어, 인라인 코팅필름(1)을 기준으로 하측부 혹은 상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1)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토대로 핀홀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 결과 제공부(110c)는 일종의 포토 리시버(PHOTO RECEIVER)로서, 인라인 코팅필름(1)의 진행속도를 토대로 핀홀(2)이 후술되는 표시부(120)에 도달되는 도달 시간 혹은 도달 거리를 산출한 후 이를 표시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공부(110c)에서는 상기 광 조사부(110b)로부터 조사되는 제1 광량에 대하여, 인라인 코팅필름(1)을 투과하는 제2 광량과 인라인 코팅필름(1)에 의해 산란되는 제3 광량 간의 비율을 토대로, 핀홀(2)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조사부(110b)로부터 조사되는 제1 광량이 100%이고, 인라인 코팅필름(1)을 투과하는 제2 광량이 30%이며, 인라인 코팅필름(1)에 의해 반사되어 산란되는 제3 광량이 70%에 해당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인라인 코팅필름(1)을 투과하여 판단 결과 제공부(110c)에 도달하는 광의 광량이 30%인 경우, 판단 결과 제공부(110c)는 현재 인라인 코팅필름(1)의 투과율은 30%이며 현재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아무런 핀홀이 발생되지 않은 양품의 인라인 코팅필름(1)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반대로, 인라인 코팅필름(1)을 투과하여 판단 결과 제공부(110c)에 도달하는 광의 광량이 30%를 초과한 50%인 경우, 판단 결과 제공부(110c)는 현재 인라인 코팅필름(1)의 투과율은 50%이며 현재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2)이 발생되어 투과율이 증가하였음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판단 결과 제공부(110c)는 이렇게 판단된 결과를 표시부(120)에 제공함과 동시에, 현재 하나 이상의 진행 롤(110a)에 의해 이송되는 인라인 코팅필름(1)의 진행속도를 토대로 상기 검출된 핀홀(2)이 표시부(120)에 도달되는 도달 시간 혹은 도달 거리를 산출하여 산출 결과값을 표시부(120)에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표시부(120)는 상기 판단 결과 제공부(110c)로부터 제공되는 산출 결과값을 토대로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2)을 포함하는 핀홀 발생영역(3)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0)는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 발생영역(3)을 표시함에 있어, 인라인 코팅필름(1)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의 선(LINE)을 표시할 수도 있고,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120)는 해당 핀홀(2)의 크기보다 큰 면적의 도형(예를 들어, 원형 등) 혹은 글자(예를 들어, 숫자 및 문자 등)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핀홀 발생영역(3)에 상응하는 점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1)의 폭 중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길이의 선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때 선의 두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120)는 잉크물질 분사 공정, 잉크물질 도포 공정, 레이저 식각공정 혹은 해당 핀홀(2)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펀칭하는 펀칭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공정을 통해 핀홀 발생영역(3)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표시부(120)가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2)의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 상기 공정의 종류는 제한되지 아니함을 유의한다.
그 후, 본 명세서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부(120)의 핀홀 발생영역(3) 표시가 완료된 인라인 코팅필름(1)은 별도의 리와인더 유닛(REWINDER UNIT, 미도시)에 의해 롤링될 수 있으며, 핀홀(2)의 위치에 해당하는 핀홀 발생영역(3)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후술되는 핀홀 인식부(130)를 통해 상기 핀홀 발생영역(3)이 자동인식됨으로써 후가공 공정(예를 들어, 핀홀 발생영역(3)부분을 펀칭, 절단 혹은 롤 라미네이팅 하는 공정 등)에 있어 해당 핀홀 발생영역(3) 만을 회피하여 제품 유효면적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핀홀 인식부(130)는 상기 이송되는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서 상기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된 핀홀 발생영역(3)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핀홀 인식부(130)는 후공정 설비(미도시), 예를 들어 펀칭 공정 설비, 절단 공정 설비 혹은 롤 라미네이팅 공정 설비 등과 연결되어 해당 핀홀 발생영역(3)을 회피 혹은 제외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핀홀 인식부(130)는 일종의 비전 카메라(VISION CAMERA)일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되는 핀홀 발생영역(3)의 잉크 등을 식별할 수 있는 한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 발생영역(3)이 표시되지 않았을 경우와 표시되었을 경우에 대한 개략적인 형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종래의 핀홀 검출 공정 과정에서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2)에 대한 핀홀 발생영역(3)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표시부(120)에 의해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2)에 대한 핀홀 발생영역(3)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도 3은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2)이 발생되었지만 이에 대한 핀홀 발생영역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은 채 별도의 리와인더 유닛(미도시)을 통해 롤링된 인라인 코팅필름(1)을 도시하고 있는데, 핀홀(2)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추후 해당 롤링된 인라인 코팅필름(1)을 권출한 후 후가공 공정을 수행할 경우, 핀홀(2)이 검출되는 시점에서 후가공 공정 설비를 일시적으로 중단시켜야 하며, 만약 중단시키지 않을 경우 롤 라미네이팅(Roll Laminating) 공정 등을 실시할 경우 불량이 발생되게 된다.
도 4를 살펴보면, 도 4는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2)의 위치에 대하여 핀홀 발생영역(3)이 선(LINE)으로써 표시되어 별도의 리와인더 유닛을 통해 롤링된 인라인 코팅필름(1)을 도시하고 있는데, 핀홀 발생영역(3)을 통해 핀홀(2)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해당 롤링된 인라인 코팅필름(1)을 권출한 후 후가공 공정을 수행할 경우, 해당 핀홀 발생영역(3)에 해당하는 면적을 인식하여 스킵(SKIP)함으로써(제품 유효면적에서 제외시킨다는 의미)생산성 및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6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100)을 통해 인라인 코팅필름(1) 상에 핀홀 발생영역(3)을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100)을 통해 핀홀 발생영역(3)을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먼저 하나 이상의 진행 롤(110a)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진행 롤(110a)을 통해 인라인 코팅필름(1)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된다(S601).
다음으로, 광 조사부(110b)에서는 상기 이송되는 코팅필름(1)의 상측에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하측에 위치한 판단 결과 제공부(110c)에서 투과되는 광의 투과율을 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S602).
다음으로, 판단 결과 제공부(110c)에서는 상기 투과되는 광의 투과율을 통해 이송되는 인라인 코팅필름(1) 상의 핀홀 발생여부를 검출하게 되며(S603), 핀홀(2)이 검출될 경우 해당 핀홀(2)의 위치와 인라인 코팅필름(1)의 이송속도, 도달 시간 및 도달 거리 등을 산출한 후 산출 결과값을 표시부(120)에 제공하게 된다(S604).
다음으로, 표시부(120)에서는 상기 산출 결과값을 토대로 인라인 코팅필름(1) 상의 핀홀(2) 위치에 핀홀 발생영역(3)을 표시하게 되며(S605), 핀홀 인식부(130)에서는 상기 핀홀 발생영역(3)을 인식한 후 이를 통해, 후공정(예를 들어, 펀칭 공정, 절단 공정, 롤 라미네이팅 공정 등) 과정에 있어 해당 핀홀 발생영역(3)을 제품 유효면적에서 제외시키게 된다(S606). 그 후, 별도의 리와인더 유닛을 통해 인라인 코팅필름(1)은 권취된다(S607).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인라인 코팅필름
2: 핀홀
3: 핀홀 발생영역
100: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110: 핀홀 검출부
110a: 진행 롤
110b: 광 조사부
110c: 판단 결과 제공부
120: 표시부
130: 핀홀 인식부

Claims (13)

  1. 일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인라인 코팅필름 상의 핀홀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핀홀 검출부;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의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MARKING)하는 표시부; 및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인식하는 핀홀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 검출부는,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진행 롤;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을 투과하는 상기 광의 투과율을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판단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제공부는,
    포토 리시버(PHOTO RECEIV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제공부는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진행속도를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영역이 상기 표시부에 도달되는 도달 시간 혹은 도달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달 시간 혹은 도달 거리를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대한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에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대한 표시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의 선(LINE) 혹은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상응하는 점(dot)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잉크물질 분사 공정, 잉크물질 도포 공정, 레이저 식각공정 혹은 펀칭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정을 통해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7. 핀홀 검출부를 통해, 일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인라인 코팅필름 상의 핀홀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의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MARKING)하는 단계; 및
    핀홀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의 핀홀 발생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 검출부는,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진행 롤;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을 투과하는 상기 광의 투과율을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판단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제공부는,
    포토 리시버(PHOTO RECEIV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제공부에서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진행속도를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영역이 상기 표시부에 도달되는 도달 시간 혹은 도달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도달 시간 혹은 도달 거리를 토대로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대한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 상에 상기 핀홀 발생영역에 대한 표시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인라인 코팅필름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의 선(LINE)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에서 잉크물질 분사 공정, 잉크물질 도포 공정, 레이저 식각공정 혹은 펀칭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정을 통해 상기 핀홀 발생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방법.
KR1020160147532A 2016-11-07 2016-11-07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0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532A KR20180050915A (ko) 2016-11-07 2016-11-07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032609A KR102367544B1 (ko) 2016-11-07 2021-03-12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532A KR20180050915A (ko) 2016-11-07 2016-11-07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609A Division KR102367544B1 (ko) 2016-11-07 2021-03-12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915A true KR20180050915A (ko) 2018-05-16

Family

ID=6245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532A KR20180050915A (ko) 2016-11-07 2016-11-07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09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2769B1 (fr) Contrôle de qualité de l'impression et du découpage dans une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mballages
US2010029441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unit and manufacturing system of optical display unit
CN207072166U (zh) 用于连续制造显示单元的设备
CN104302455B (zh) 切割线形成装置以及切割线形成方法
JP6012311B2 (ja) フィルムの歩留まり予測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531214B (zh) 用于跟踪片材中的缺陷的设备和方法
JP2016058179A (ja) 検査装置及び捲回装置
CN108713175B (zh) 用于操作直通式加工机的方法以及直通式加工机
KR20160107532A (ko) 광학 필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광학 필름 품질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301008A (zh) 一种接装纸质量检测警示系统及质量在线检测方法
JP2018170104A (ja) 検査装置及び巻回装置
JP2009053122A (ja) 透明フィルム外観検査システム
KR20170003214A (ko) 편광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제조 시스템
JP2018140403A (ja) 鋼板形状矯正装置
JP2013092469A (ja) ワーク検査システム
CN104290444B (zh) 不干胶标签检测设备停机控制方法
KR102367544B1 (ko)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0915A (ko) 인라인 코팅필름의 핀홀 자동화 표시 시스템 및 방법
TWI616654B (zh) 自動化檢驗系統及方法
TWI592653B (zh) 光學膜檢測裝置及光學膜檢測方法
KR20180123775A (ko) 강판의 표면 품질 판정 방법
US8740061B2 (en) Recording information for a web manufacturing process
JP4202707B2 (ja) 周期欠陥発生箇所の特定方法および検査システム
KR101937635B1 (ko) 권취 코일용 단부 검출장치
JP2014038013A (ja) 平判紙の積層状態不良検知方法および平判紙積層状態不良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