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479A -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479A
KR20180050479A KR1020160147005A KR20160147005A KR20180050479A KR 20180050479 A KR20180050479 A KR 20180050479A KR 1020160147005 A KR1020160147005 A KR 1020160147005A KR 20160147005 A KR20160147005 A KR 20160147005A KR 20180050479 A KR20180050479 A KR 2018005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touch
sensing
driv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604B1 (ko
Inventor
배주한
박창민
장진석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7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604B1/ko
Priority to US15/798,196 priority patent/US10739901B2/en
Publication of KR2018005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과, 상기 구동 전극들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과, 상기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접히거나 휘어짐에 따라, 상기 구동 전극들에 상기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구동 전극들 중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 및 상업화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센서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방식의 터치 센서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capacitive touch sensor)는 사람의 손 또는 물체의 접촉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지점을 검출하여 터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서, 멀티 터치의 검출이 용이하고 정확도가 뛰어나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표시 장치가 대면적의 표시 영역을 갖더라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과, 상기 구동 전극들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과, 상기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접히거나 휘어짐에 따라, 상기 구동 전극들에 상기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구동 전극들 중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 중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에만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2 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 중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상기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대응하는 제2 구동 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2 면의 일부 및 상기 제2 면의 나머지 중 하나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에만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과, 상기 구동 전극들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과, 상기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접히거나 휘어짐에 따라, 상기 감지 전극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거나, 상기 감지 전극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기준 감지 전극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감지 전극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감지 전극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기준 감지 전극들 중 상기 제2 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감지 전극들 중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대응하는 감지 전극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2 면의 일부 및 상기 제2 면의 나머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지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과, 상기 구동 전극들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과, 상기 구동 전극들 또는 상기 감지 전극들이 휘어짐에 따라, 상기 다수의 구동 전극들에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거나, 상기 다수의 구동 전극들 중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구동 전극들 또는 상기 감지 전극들이 휘어짐에 따라, 상기 감지 전극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거나, 상기 감지 전극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구동 전극들의 개수는 상기 감지 전극들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감지 전극들의 개수는 상기 구동 전극들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구동 전극들 중 일부의 구동 전극들에만 구동 신호를 공급하거나,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하여, 구동 신호의 공급에 필요한 채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표시 면적이 증가하더라도, 터치 센서 구동을 위한 채널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감지 전극들 중 일부의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거나, 특정한 터치 감지 영역의 터치 위치만을 검출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연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빠른 속도로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와 표시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구동부와 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0A)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Tx), 다수의 감지 전극들(Rx), 및 터치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은 제1 및 제2 터치 감지 영역(TA1 및 TA2)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터치 감지 영역(TA1 및 TA2)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동 전극들(Tx)은 제1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전극들(Tx)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구동 전극(Tx1) 내지 제k 구동 전극(Txk)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구동 전극(Tx1) 내지 제k 구동 전극(Txk)은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감지 전극들(Rx)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전극들(Rx)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감지 전극(Rx1) 내지 제j 감지 전극(Rxj)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감지 전극(Rx1) 내지 제j 감지 전극(Rxj)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 전극들(Rx)은 구동 전극들(Tx)과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 사이에는 상호 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10A)에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터치에 대응하여 상호 정전 용량이 변화될 수 있다.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 각각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타이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 백금(Pt)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 각각은 은나노와이어(AgNW),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및 SnO2(Tin Oxide),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그래핀 (graph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 각각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은 서로 다른 레이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은 동일한 레이어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막이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의 교차 부위에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구동 전극들(Tx)의 개수는 감지 전극들(Rx)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의 형태를 간략히 바(bar)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터치 센서(10A)의 구동을 위하여 제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k)로 제1 내지 제k 구동 배선들(TL1 내지 TLk)을 통해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제어부(100)는 제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k) 중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제어부는 제1 및 제2 구동 전극들(Tx1 및 Tx2)에 제1 및 제2 구동 배선들(TL1 및 TL2)을 통해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하고, 제3 및 제4 구동 전극들(Tx3 및 Tx4)에 제3 및 제4 구동 배선들(TL3 및 TL4)을 통해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나머지 구동 전극들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제어부(100)는 제1 터치 감지 영역(TA1)과 제2 터치 감지 영역(TA2) 각각에 포함된 구동 전극들의 구동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제어부(100)는 제1 터치 감지 영역(TA1)에 포함된 제1 내지 제i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i)에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반면, 터치 제어부(100)는 제2 터치 감지 영역(TA2)에 포함된 제i+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i+1 내지 Txk)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즉, 터치 제어부(100)는 제i+1 및 제i+2 구동 전극들(Txi+1 및 Txi+2)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하고, 제i+3 및 제i+4 구동 전극들(Txi+3 및 Txi+4)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제어부(100)는 제1 터치 감지 영역(TA1)과 제2 터치 감지 영역(TA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에만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제어부(100)는 제1 내지 제i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i)과, 제i+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i+1 내지 Txk) 중 어느 하나의 구동 전극들에만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제1 내지 제j 감지 전극들(Rx1 내지 Rxj)로부터 제1 내지 제j 감지 배선들(RL1 내지 RLj)을 통해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터치 제어부(100)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통해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제어부(100)는 구동 전극들 또는 감지 전극들이 휘어짐에 따라 제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k)에 구동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거나, 제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k) 중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구동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제어부(100)는 전극 구동부(110) 및 위치 검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구동부(110)는 구동 배선들(DL)을 통해 제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k)로 제1 내지 제k 구동 신호들(SD1 내지 SDk)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극 구동부(110)는 제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k) 중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극 구동부(110)는 제1 및 제2 구동 전극들(Tx1 및 Tx2)에 제1 및 제2 구동 신호(SD1 및 SD2)를 동시에 공급하고, 제3 및 제4 구동 전극들(Tx3 및 Tx4)에 제3 및 제4 구동 신호들(SD3 및 SD4)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나머지 구동 전극들에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극 구동부(110)는 제1 및 제2 구동 전극들(Tx1 및 Tx2)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하고, 제3 및 제4 구동 전극들(Tx3 및 Tx4)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나머지 구동 전극들에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극 구동부(110)는 제1 터치 감지 영역(TA1)과 제2 터치 감지 영역(TA2) 각각에 포함된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를 서로 다르게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극 구동부(110)는 제1 터치 감지 영역(TA1)에 포함된 제1 내지 제i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i)에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i 구동 신호(SD1 내지 SDi)를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전극 구동부(110)는 제2 터치 감지 영역(TA2)에 포함된 제i+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i+1 내지 Txk)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극 구동부(110)는 제1 터치 감지 영역(TA1)과 제2 터치 감지 영역(TA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에만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극 구동부(110)는 제1 내지 제i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i)과, 제i+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i+1 내지 Txk) 중 어느 하나에만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극 구동부(110)는 제1 내지 제i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i)에 제1 내지 제i 구동 신호들(SD1 내지 SDi)를 공급하고, 제i+1 내지 제k 구동 전극들(Txi+1 내지 Txk)에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위치 검출부(120)는 감지 배선들(RL1 내지 RLj)을 통해 제1 내지 제j 감지 전극들(Rx1 내지 Rxj)로부터 제1 내지 제j 감지 신호들(SE1 내지 SEj)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j 감지 신호들(SE1 내지 SEj)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터치 감지 영역(TA1 및 TA2) 상의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0A)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Tx) 중 일부의 구동 전극들에만 구동 신호를 공급하거나,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하여, 구동 신호의 공급에 필요한 채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0A)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표시 면적이 증가하더라도, 상기 채널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10B)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터치 센서(10A)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0A)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터치 감지 영역(TA1)에는 구동 전극들(Tx)과 제1 감지 전극들(Rxa)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터치 감지 영역(TA2)에는 구동 전극들(Tx)과 제2 감지 전극들(Rxb)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극들(Tx)은 제1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Rxa 및 Rxb)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감지 전극들(Rxa)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a1 감지 전극(Rxa1) 내지 제aj 감지 전극(Rxaj)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감지 전극들(Rxb)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b1 감지 전극(Rxb1) 내지 제bj 감지 전극(Rxbj)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제1 감지 전극들(Rxa)로부터 제a1 내지 제aj 감지 배선들(RLa1 내지 RLaj)을 통해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감지 전극들(Rxb)로부터 제b1 내지 제bj 감지 배선들(RLb1 내지 RLbj)을 통해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제1 감지 전극들(Rxa) 및 제2 감지 전극들(Rxb)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들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10C)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터치 센서(10A)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0A)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0C)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Tx), 다수의 감지 전극들(Rx), 및 터치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은 제1 및 제2 터치 감지 영역(TA1 및 TA2)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극들(Tx)은 제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예컨대, y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전극들(Tx)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구동 전극(Tx1) 내지 제j 구동 전극(Txj)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구동 전극(Tx1) 내지 제j 구동 전극(Txj)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감지 전극들(Rx)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전극들(Rx)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감지 전극(Rx1) 내지 제k 감지 전극(Rxk)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감지 전극(Rx1) 내지 제k 감지 전극(Rxk)은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감지 전극들(Rx)의 개수는 구동 전극들(Tx)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터치 센서(10C)의 구동을 위하여 제1 내지 제j 구동 전극들(Tx1 내지 Txj)로 제1 내지 제j 구동 배선들(TL1 내지 TLj)을 통해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제1 내지 제k 감지 전극들(Rx1 내지 Rxk)로부터 제1 내지 제k 감지 배선들(RL1 내지 RLk)을 통해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제어부(100)는 제1 내지 제k 감지 전극들(Rx1 내지 Rxk) 중 미리 설정된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제어부(100)는 제1 내지 제k 감지 전극들(Rx1 내지 Rxk) 중 홀수 번째(Rx1, Rx3, …) 또는 짝수 번째 감지 전극(Rx2, Rx4, …)을 기준 감지 전극들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만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제어부(100)는 제1 터치 감지 영역(TA1)과 제2 터치 감지 영역(TA2) 각각에 포함된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제어부(100)는 제1 터치 감지 영역(TA1)에 포함된 제1 내지 제i 감지 전극들(Rx1 내지 Rxi) 중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터치 감지 영역(TA1)의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반면, 터치 제어부(100)는 제2 터치 감지 영역(TA2)에 포함된 제i+1 내지 제k 감지 전극들(Rxi+1 내지 Rxk)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제2 터치 감지 영역(TA2) 상의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제어부(100)는 제1 터치 감지 영역(TA1)과 제2 터치 감지 영역(TA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만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제어부(100)는 제1 터치 감지 영역(TA1)에 포함된 제1 내지 제i 감지 전극들(Rx1 내지 Rxi)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터치 감지 영역(TA1)의 터치 위치만을 검출하거나, 제2 터치 감지 영역(TA2)에 포함된 제i+1 내지 제k 감지 전극들(Rxi+1 내지 Rxk)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제2 터치 감지 영역(TA2) 상의 터치 위치만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제어부(100)는 구동 전극들 또는 감지 전극들이 휘어짐에 따라 제1 내지 제k 감지 전극들(Rx1 내지 Rxk)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거나, 제1 내지 제k 감지 전극들(Rx1 내지 Rxk) 중 미리 설정된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0C)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 중 일부의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거나, 특정한 터치 감지 영역의 터치 위치만을 검출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연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0C)는 빠른 속도로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10D)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10C)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0C)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터치 감지 영역(TA1)에는 제1 구동 전극들(Txa)과 감지 전극들(Rx)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터치 감지 영역(TA2)에는 제2 구동 전극들(Txb)과 감지 전극들(Rx)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 전극들(Txa 및 Txb)은 제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예컨대, y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구동 전극들(Txa)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a1 구동 전극(Txa1) 내지 제aj 구동 전극(Txaj)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구동 전극들(Txb)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b1 구동 전극(Txb1) 내지 제bj 구동 전극(Txbj)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전극들(Rx)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감지 전극들(Rx)로부터 제1 내지 제k 감지 배선들(RL1 내지 RLk)을 통해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00)는 감지 전극들(Rx)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들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과 터치 센서를 포함하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면은 제1 영역(AR1), 및 제1 영역(AR1)과 인접한 제2 영역(AR2)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가 접히거나 휘어지지 않은 상태일 때, 터치 제어부(100)는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TX) 중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제어부(10)는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터치 제어부(100)는 제1 영역(AR1)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TX) 중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제어부(100)는 제2 영역(AR2)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TX)에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터치 제어부(100)는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Tx)에만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제어부(100)는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감지 전극들(Rx)로부터 감지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터치 신호를 검출하고,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 중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7b, 및 도 7c에 도시된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과 터치 센서를 포함하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면은 제1 영역(AR1), 및 제1 영역(AR1)과 인접한 제2 영역(AR2)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가 접히거나 휘어지지 않은 상태일 때, 터치 제어부(100)는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TX)에 중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터치 제어부(100)는 상기 제2 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TX) 중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제어부(100)는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TX)에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2 면의 일부 및 상기 제2 면의 나머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에만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제어부(100)는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2 면의 일부 및 상기 제2 면의 나머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감지 전극들(Rx)로부터 감지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터치 신호를 검출하고,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 중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와 표시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200)는 표시 패널(300)상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300)에 입력되는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기판(310), 화소들(320) 및 봉지층(encapsulation layer; 3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10) 상에는 다수의 화소들(32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봉지층(330)은 화소들(320) 및 기판(3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기판(310)은 유리, 수지(resin) 등과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310)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기판(310)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310)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기판(310)은 유리 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들(320)은 표시 구동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발광할 수 있으며, 봉지층(330)은 화소들(320)에 수분, 산소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봉지층(330)은 유리, 유기물, 및 무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봉지층(330)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유기막의 재료로는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폴리에폭시, 벤조시클로부텐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무기막의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한 금속 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봉지층(330) 상에 위치한 별도의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되거나, 봉지층(330)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터치 센서(10A, 10B, 10C, 또는 10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구동부와 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300)의 화소들(320)을 도시하였고, 표시 패널(3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예컨대, 기판(310) 및 봉지층(330))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소들(320)은 데이터선들(D1 내지 Dq) 및 주사선들(S1 내지 Sp)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화소들(320)은 데이터선들(D1 내지 Dq)과 주사선들(S1 내지 Sp)의 교차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320) 각각은 데이터선들(D1 내지 Dq) 및 주사선들(S1 내지 Sp)을 통해 데이터 신호 및 주사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화소들(320)은 제1 전원(ELVDD) 및 제2 전원(ELVSS)과 연결될 수 있다.
화소들(320)은 발광 소자(예컨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발광 소자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빛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400)는 주사 구동부(410), 데이터 구동부(420), 및 타이밍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410)는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에 응답하여 주사선들(S1 내지 Sp)에 주사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주사 구동부(410)는 주사선들(S1 내지 Sp)에 주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주사선들(S1 내지 Sp)과의 연결을 위하여, 주사 구동부(410)는 화소들(320)이 형성된 기판(310) 상에 직접 실장되거나, 연성 회로 기판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 요소를 통해 기판(310)과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420)는 타이밍 제어부(450)로부터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와 영상 데이터(DATA)를 입력받아,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420)는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선들(D1 내지 Dq)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선들(D1 내지 Dq)과의 연결을 위하여, 데이터 구동부(420)는 화소들(320)이 형성된 기판(310) 상에 직접 실장되거나, 연성 회로 기판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 요소를 통해 기판(310)과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주사선으로 주사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특정 주사선과 연결된 일부의 화소들(320)은 데이터선들(D1 내지 Dq)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일부의 화소들(320)은 공급받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450)는 주사 구동부(410)와 데이터 구동부(4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신호들은 주사 구동부(410)를 제어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와, 데이터 구동부(42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이밍 제어부(450)는 외부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와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입력 신호는 도트 클럭(D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450)는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를 주사 구동부(410)로 공급하고,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420)로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45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420)의 사양에 맞는 영상 데이터(DATA)로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420)로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유효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간을 정의하는 신호이며 1 주기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같은 1 수평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주사 구동부(410), 데이터 구동부(420), 및 타이밍 제어부(450)를 개별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필요에 따라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주사 구동부(410), 데이터 구동부(420), 및 타이밍 제어부(450)는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칩 온 플라스틱(Chip On Plastic),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칩 온 필름(Chip On Film) 등과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730), 발광층(720), 및 캐소드 전극(71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720)은 애노드 전극(730)과 캐소드 전극(7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층(720)은 자체 발광을 위한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720)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과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애노드 전극(730)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캐소드 전극(710)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광층(720)에서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캐소드 전극(710)은 제2 전원(ELVSS)과 연결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710)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캐소드 전극(710)은 금속, 이들의 합금, 도전성 고분자,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캐소드 전극(710)은 상술한 구동 전극들(Tx)과 감지 전극들(Rx)을 구성할 수 있는 재료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10) 상에는 다수의 화소들(32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화소(320)는 구동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미도시)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구동 트랜지스터(Tr)만을 도시하였으나, 화소 회로(미도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r) 이외에 다른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r)는 기판(310) 상에 형성되며, 각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전극(610), 게이트 절연막(620), 반도체층(630), 소스/드레인 전극들(640a, 640b)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610)은 기판(3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620)은 게이트 전극(6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 절연막(620)은 실리콘 산화막(SiOx)이나 실리콘 질화막(SiNx) 등과 같은 절연 물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630)은 게이트 절연막(6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을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결정화한 폴리실리콘(poly silico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630)은 폴리실리콘 이외에도 비정질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oxide semiconducto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드레인 전극들(640a, 640b)은 반도체층(630)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호층(650)은 구동 트랜지스터(Tr)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소스 전극(640a) 또는 드레인 전극(640b)을 노출시키는 컨택홀(66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드레인 전극(640b)이 컨택홀(660)에 의해 노출된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다.
게이트 전극(610) 및 소스/드레인 전극들(640a, 640b)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이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호층(650) 상부에는 애노드 전극(730)이 형성되며, 상기 애노드 전극(730)은 상기 컨택홀(660)을 통해 소스 전극(640a) 또는 드레인 전극(640b)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애노드 전극(730)이 컨택홀(660)을 통해 드레인 전극(640b)과 연결된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다.
예컨대, 보호층(650)은 실리콘 산화막이나 실리콘 질화막 등과 같은 절연 물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670)은 보호층(65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화소 정의막(670)은 애노드 전극(7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노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화소 정의막(670)은 아크릴계 유기화합물,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유기 절연물질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의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33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소드 전극(7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봉지층(330)은 다수의 막들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봉지층(330)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331)과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3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봉지층(330)이 각각 하나의 유기막(331)과 무기막(332)을 포함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봉지층(330)은 다수의 유기막들(331)과 다수의 무기막들(332)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유기막들(331)과 무기막들(332)은 상호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예컨대, 유기막(331)은 8u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표시 패널(300)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4u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무기막(332)은 유기막(331)에 비하여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10)의 센서부(200)는 봉지층(3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A, 10B, 10C, 10D: 터치 센서
100: 터치 제어부
200: 센서부
300: 표시 패널
400: 표시 구동부

Claims (18)

  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
    상기 구동 전극들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 및
    상기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접히거나 휘어짐에 따라, 상기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구동 전극들 중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 중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에만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2 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 중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상기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대응하는 제2 구동 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2 면의 일부 및 상기 제2 면의 나머지 중 하나에 대응하는 구동 전극들에만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
  8.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
    상기 구동 전극들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 및
    상기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접히거나 휘어짐에 따라, 상기 감지 전극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거나, 상기 감지 전극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기준 감지 전극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감지 전극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감지 전극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기준 감지 전극들 중 상기 제2 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감지 전극들 중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대응하는 감지 전극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표시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제2 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면의 나머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질 때, 상기 제2 면의 일부 및 상기 제2 면의 나머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지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표시 장치.
  15. 다수의 구동 전극들;
    상기 구동 전극들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 및
    상기 구동 전극들 또는 상기 감지 전극들이 휘어짐에 따라, 상기 다수의 구동 전극들에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거나, 상기 다수의 구동 전극들 중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전극들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구동 전극들 또는 상기 감지 전극들이 휘어짐에 따라, 상기 감지 전극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거나, 상기 감지 전극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극들의 개수는 상기 감지 전극들의 개수보다 많은 터치 센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들의 개수는 상기 구동 전극들의 개수보다 많은 터치 센서.

KR1020160147005A 2016-11-04 2016-11-04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5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005A KR102659604B1 (ko) 2016-11-04 2016-11-04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5/798,196 US10739901B2 (en) 2016-11-04 2017-10-30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005A KR102659604B1 (ko) 2016-11-04 2016-11-04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479A true KR20180050479A (ko) 2018-05-15
KR102659604B1 KR102659604B1 (ko) 2024-04-23

Family

ID=6206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005A KR102659604B1 (ko) 2016-11-04 2016-11-04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39901B2 (ko)
KR (1) KR102659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3559B (zh) * 2016-11-03 2019-03-11 禾瑞亞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處理裝置、方法與電子系統
WO2019218361A1 (zh) * 2018-05-18 2019-11-2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触控装置、触控面板及触控面板的感应通道制造方法
KR20210018702A (ko) * 2019-08-09 2021-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유닛,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의 수분 측정 방법
US11144161B1 (en) 2020-09-08 2021-10-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otatably coupled touch screen displays
CN115458568A (zh) * 2022-09-22 2022-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072A (ko) * 2010-12-31 2012-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60092877A (ko) * 2015-01-28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7281A (ko) * 2015-04-24 2016-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597A (ko) * 2007-08-31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US8629842B2 (en) 2008-07-11 2014-01-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28157B1 (ko) * 2012-11-20 2019-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JP2014174851A (ja) 2013-03-11 2014-09-22 Japan Display Inc タッチセンサ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77453B1 (ko) 2015-02-05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19208B1 (ko) * 2015-06-17 2017-03-23 주식회사 하이딥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JP6813967B2 (ja) * 2016-06-30 2021-01-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072A (ko) * 2010-12-31 2012-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60092877A (ko) * 2015-01-28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7281A (ko) * 2015-04-24 2016-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39901B2 (en) 2020-08-11
US20180129341A1 (en) 2018-05-10
KR102659604B1 (ko)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312B1 (ko) 터치 센서
KR102659604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06519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135602A (ko)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16963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ime division multiplexing
US10564766B2 (en) Touch sens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 touch sensor
US11737323B2 (en) Display device
US11355447B2 (en) Electronic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24699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921917B2 (en) Input sensing circuit and display module having the same
US10671225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199698A1 (en) Display device
US11424314B2 (en) Display device
US20230380225A1 (en) Touch display device
CN107424558B (zh) 一种发光驱动电路及有机发光显示面板
CN115497414A (zh) 显示装置
CN115497419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