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215A -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215A
KR20180050215A KR1020170135215A KR20170135215A KR20180050215A KR 20180050215 A KR20180050215 A KR 20180050215A KR 1020170135215 A KR1020170135215 A KR 1020170135215A KR 20170135215 A KR20170135215 A KR 20170135215A KR 20180050215 A KR20180050215 A KR 2018005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request
resource
base station
time
sched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999B1 (ko
Inventor
김기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6/347,57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349962A1/en
Priority to EP17867332.3A priority patent/EP3537823B1/en
Priority to PCT/KR2017/012003 priority patent/WO2018084500A1/ko
Priority to CN201780067633.6A priority patent/CN109891992A/zh
Publication of KR2018005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에서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라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Aethods of scheduling request based on multi-beam in wireless networks and Apparatuses thereof}
본 실시예들은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망(이하, "NR[New Radio]"라고도 함)을 위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을 위한 프레임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파형 및 다중 접속 방식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NR은 LTE/LTE-Advanced에 대비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고,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 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LTE/LTE-Advanced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NR에서 멀티 빔 기반의 MIMO 전송 기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상향링크에서도 그 적용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구체적인 채널들의 용도가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의 스케줄링 요청 동작이 정의되지 않은 상황이다.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에서 기지국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에서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라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에서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단말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라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부 및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도 1은 LTE의 프레임 구조 타입 1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프레임 구조 타입1의 슬롯과 심볼의 구성(노멀 CP의 경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노멀 CP에서 심볼 별 CP 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TDM 기반의 혼합 뉴머롤러지에서의 RB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실시예 1-1에 의한 순차적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특정 서브프레임 전반부 전송)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1에 의한 순차적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특정 서브프레임 후반부 전송)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1에 의한 순차적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연속 서브프레임 분산 전송)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실시예 1-2에 의한 동일 주파수-시간 자원을 이용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실시예 1-2에 의한 동일 주파수-시간 자원을 이용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1-2에 의한 동일 주파수-시간 자원을 이용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섹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에서 기지국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에서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 gNB, x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M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M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M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M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M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기존 프레임 구조]
이하 설명에서는 LTE의 프레임 구조 중 타입 1(FDD)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LTE의 프레임 구조 타입 1 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3GPP TS 36.212의 FDD 프레임 구조의 하이 레벨 구조는 도 1과 같다. 해당 구조는 주파수 영역은 생략되어 있고, 시간 영역에서의 구조만을 나타내고 있다.
전체적인 구조의 요약은 아래와 같다.
1) 하나의 프레임(또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one radio frame), 시스템 프레임(system frame))의 주기는 10ms이다. 즉 1초에 100 무선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2) 10ms,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307,200개의 시간 샘플(time sample)을 가지고, 초당 307,200 x 100 = 30.72 M 샘플임을 알 수 있다.
3)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20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슬롯은 6개 또는 7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OFDM 심볼은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CP))를 포함하고 있는데, CP는 두 가지 타입의 CP가 존재한다.
도 2는 프레임 구조 타입1의 슬롯과 심볼의 구성(노멀 CP의 경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노멀 CP에서 심볼 별 CP 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노멀 CP와 확장 CP(Extended CP)가 가 이에 속하며, 확장 CP가 노멀 CP보다 길다. 확장 CP 일 경우에는 6개의 OFDM 심볼들로 하나의 슬롯을 구성하고, 노멀 CP일 경우에는 7개의 OFDM심볼들로 하나의 슬롯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노멀 CP에서는 도 2와 같이 7개의 OFDM 심볼들이 한 개의 슬롯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멀 CP에서는 CP 길이가 심볼 별로 차이가 발생한다. 즉 타임 샘플 수를 기준으로 첫 번째 OFDM 심볼의 CP가 다른 6개 OFDM 심볼의 CP보다 약 16샘플 길게 된다. 시간으로 비교하면, 첫 번째 심볼의 CP가 '160 샘플들 = 5.2us'가 되고, 나머지 심볼의 CP는 '144 샘플들 = 4.7us'가 된다. 즉, 도 3과 같이 7개 심볼이 슬롯을 구성하게 된다.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망(5G NR(New Radio))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를 위한 프레임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파형 및 다중 접속 스킴(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 modulation, 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 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NR은 LTE/LTE-Advanced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TC)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었으며,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별 요구(requirements)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LTE-Advanced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3GPP에서 논의 중인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 mMTC, URLLC가 고려되고 있다.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s), 레이턴시(latency), 커버리지(coverage) 등에 대한 요구(requirements)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 요구(requirements)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numerology)(e.g.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etc.)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다중화(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LTE/LTE-Advanced와 동일하게 15kHz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기반의 1ms 서브프레임(혹은 0.5ms slot) 구조와 30kHz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기반의 0.5ms 서브프레임(혹은 0.25 ms slot) 구조 및 60kHz 기반의 0.25ms 서브프레임(0.125ms slot) 구조를 하나의 NR 주파수 대역을 통해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임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 즉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구조 내에서도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의 자원 할당 단위, 즉 시간(time domain)에서의 스케줄링 단위(scheduling unit)로서 X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된 서브프레임(e.g. X=14 혹은 7, 또는 그 외의 임의의 자연수)이나 혹은 Y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된 슬롯(Y=14 or 7 혹은 또는 그 외의 임의의 자연수)이 설정되거나, 혹은 해당 서브프레임이나 슬롯보다 작은 그래뉴래러티(granularity)를 갖는 Z개의 OFDM 심볼(i.e. Z<Y & Z<X를 만족하는 임의의 자연수)로 구성된 미니-슬롯(mini-slot)을 정의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TDM 기반의 혼합 뉴머롤로지에서의 RB 구조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NR 캐리어를 통해 복수의 뉴머롤로지가 지원되고, 각각의 뉴머롤로지 별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2n * 15kHz(n은 0 또는 0보다 큰 자연수)의 값을 가질 경우, 각각의 뉴머롤로지 별 서브캐리어들은 15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서브셋/슈퍼셋(subset/superset)형태의 네스티드 방식(nested manner)으로 주파수 도메인에서 매핑이 되도록 정의되었다.
도 4는 TDM 기반의 혼합 뉴머롤러지에서의 RB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추가적으로 해당 뉴머롤로지 간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으로 다중화되어 프레임 구조가 구성될 경우, 해당 NR 캐리어를 통한 주파수 축에서의 자원 할당 단위가 되는 RB(Resource Block)은 도 6와 같이 15kHZ 기반의 RB 그리드에 대해 서브셋/슈퍼셋 형태의 네스티드 방식으로 구성되도록 정의되었다.
단, 각각의 뉴머롤로지에서 하나의 RB를 구성하는 서브캐리어의 개수는 해당 뉴머롤로지에 관계 없이 특정한 갯수, 예를 들어 12 혹은 16 중 하나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NR에서 멀티 빔 기반의 MIMO 전송 기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상향링크에서도 그 적용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구체적인 채널들의 용도가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의 스케줄링 요청 동작이 정의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NR의 상향 링크 환경에서 멀티 기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위한 구체적인 자원 할당 및 방안을 제시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방식은 기존의 LTE에서 사용하는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방식을 따르고, 그 기존의 LTE에서 사용하는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방식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멀티 빔 기반 상향링크 운용 시에 필요한 스케줄링 요청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실시예 1. 멀티 빔 기반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한다.
기존 LTE에서는 기본적으로 단일 빔(Omi-beam) 기반의 비프리코딩(non-precoding) 기반의 스케줄링 요청 동작을 지원해왔다. 따라서 PUCCH의 일정 자원을 스케줄링 요청을 위해 구성(configuration)을 하고, 해당 자원의 온/오프 유무를 기지국이 인지하여 스케줄링 요청 절차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NR에서는 고주파 대역을 포함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MIMO 역시 논의가 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 빔 기반의 스케줄링 요청 동작을 제안한다.
기본적으로 멀티 빔은 단일 빔에 비하여 방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특정 방향에서는 빔 이득으로 인하여 신호의 수신 성능이 향상된다. 그러나 일정 범위 이상을 벗어나면 해당 빔의 엣지(edge)로 들어가기 때문에 빔포밍의 효과를 누릴 수 없다. 기본적으로 단말은 기지국에 비하여 방향에 대한 변경 범위가 클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빔포밍 후보를 몇 개 선택하여 해당 빔에 대하여 동시에 스케줄링 요청을 요청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단말은 보다 안정적인 스케줄링 요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스케줄링 요청 설정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 예를 들어 RRC 메세지를 활용하여 아래와 같이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 할당이 가능하다. 아래 RRC 메세지 구성(예를 들어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가 3개의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위한 메세지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1
[표 1]
Figure pat00002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s-TransMax는 3GPP TS 36.321[6,5.4.4]에 SR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n4 값은 총 4회 전송들에 대응되며, n8은 총 8회 전송들에 대응된다.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EUTRAN 또는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는 이 필드에서 설정된 모든 서빙 셀들에 대해 동일한 값을 설정한다.
sr-ConfigIndex는 파라미터 I SR 을 의미한다(3GPP TS 36.213[234,10.1] 참조).
sr-PUCCH-ResourceIndex, sr-PUCCH-ResourceIndexP1은 각각 안테나 포트 P0 및 P1에 대한
Figure pat00003
을 의미한다(3GPP TS 36.213[234,10.1] 참조).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EUTRAN 또는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는, sr-PUCCH-ResourceIndexP1이 설정될 경우에만 sr-PUCCH-ResourceIndex를 설정한다.
여기에서는 기본적으로 단말이 획득한 상향링크 전송 빔(UL tx beam) 후보를 고려한 동작이 가능하다. 만일 단말이 후보로 선택한 또는 기지국(gNB)이 지칭한 단말의 상향링크 빔 후보(UL beam candidate)가 'N'개라고 가정한다. 이때 스케줄링 요청 자원 역시 해당 빔에 1:1로 'N'개가 매핑이 된다. 전술한 경우는 N=3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안정적으로 검출이 가능하여 빠른 상향 데이터 자원 할당 및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스케줄링 요청 신호 수신 과정에서 동시에 단말의 상향 빔 미세 조정(refinement)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의 상향 빔이 멀티 빔, 예를 들어 P1, P2, P3(여기서 P는 상향 빔포밍 프로코더 또는 상향 빔 인덱스로 명시할 수 있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상향 빔이 P1, P2, P3라면 스케줄링 요청 자원 역시 3개가 개별적으로 할당되어 {P1,SRresoucrce1}, {P2,SRresoucrce2}, {P3,SRresoucrce3}과 같은 매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외에 단순한 반복 전송 및 특정 빔에 대한 수신 정확도를 위해서 스케줄링 요청을 여러 자원에 할당하는 방법 역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코드 자원 등 스케줄링 요청에 사용되는 물질적이거나 논리적인 자원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스케줄링 요청을 위해 ' N'개의 멀티 빔을 '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자원에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향 빔 'N'개에 대하여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서 시간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구분되는 자원으로 'N'개가 할당될 수 있다.
다중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고, 일정 시간 단위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일정 시간 단위는 무선 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서브-슬롯, 서브프레임 및 심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6는 실시예 1-1에 의한 순차적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특정 서브프레임 전반부 전송)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1에 의한 순차적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특정 서브프레임 후반부 전송)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1에 의한 순차적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연속 서브프레임 분산 전송)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6와 도 7과 같이 특정 상향링크 무선 프레임에서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 있으며, 주기 NP 서브프레임을 가지고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내 전송 위치 역시 서브프레임 전반부 또는 후반부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실제 기존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 역시 RRC 메세지에 그 전송 횟수가 명시되어 있으며, dsr - TransMax라 값이 n4로 설정되어 있으면 스케줄링 요청은 총 4번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 역시 비슷한 원리를 적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전송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유사하지만, 도 8과 같이 특정 서브프레임이 아닌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에 분산하여 연속적으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역시 가능하다. 여기에서 스케줄링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상향링크 시간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무선 프레임이 될 수 있으며, 슬롯/미니-슬롯/서브-슬롯 등의 단위로도 대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2. 스케줄링 요청을 위해 ' N'개의 멀티 빔을 '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자원에 할당하여 동시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1과 달리 특정 시간에서 동시에 다중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독립적인 자원을 할당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기존의 기존 PUCCH와 유사하게 특정 자원에 다중화되는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다중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자원이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구조를 말한다.
도 9은 실시예 1-2에 의한 동일 주파수-시간 자원을 이용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실시예 1-2에 의한 동일 주파수-시간 자원을 이용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1-2에 의한 동일 주파수-시간 자원을 이용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전송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9과 도 10와 같이 주파수-시간 자원에 다중화를 하여 스케줄링 요청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특정 심볼 위치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한정할 수 있다.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다중화를 수행하여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FDM 구조를 이용한 독립적인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동일 시간에 전송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스케줄링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상향링크 시간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무선 프레임이 될 수 있으며, 슬롯/미니-슬롯/서브-슬롯 등의 단위로도 대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섹터 빔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은 좁은 빔(sharp beam 또는 fine beam)보다는 브로드 빔(broad-beam)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요청신호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여기에서는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빔 형성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 빔 브로드닝(Beam broadening)
- 빔 합성
- 섹터 빔
즉 단말은 최종 좁은 빔을 전송하지 않고 보다 넓은 섹터 빔 형태의 브로드 빔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수행한다. 이때 브로드 빔은 단말의 상향 후보 빔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 스케줄링 요청 자원에 해당 단일 섹터 빔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링 요청은 기존의 단일 스케줄링 요청 자원 할당 프로시저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스케줄링 요청 전송 시에 사용한 섹터 빔은 최종 빔을 포함하는 아래와 같은 빔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은 자신의 최선 빔(best-beam)이 포함된 섹터 빔을 생성하여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 부족한 빔 이득을 위해서 'NX'만큼 반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섹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스케줄링 요청은 그룹형 빔(group-wise beam) 또는 섹터 빔(sector beam) 형태로 특정 방향성을 가지고 스위핑(sweeping) 또는 회전하는 형태로 특정 범위 또는 전 방향에 전송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3개의 섹터 빔들(Psector, 1, Psector, 2, Psector, 3)이 사용되고, 각 섹터 빔들은 표 2와 같이 특정 갯수의 빔 서브셋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섹터 빔을 정의한 표 2에서 단말 자신의 최선 빔이 P1,3 이라면 단말은 자신의 최선 빔 P1,3이 포함된 섹터 빔 Psector,1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표 2]
Figure pat00004
이상, 본 명세서는 NR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 프로시저의 구체적인 방법과 단말 동작 등을 실시예 1 및 1-1, 1-2, 2로 제시하였다. 이하에서 전술한 실시예 1 및 1-1, 1-2, 2에 따라 단말과 기지국이 무선 통신에서 기지국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에서 기지국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에서 기지국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1300)은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310) 및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320)를 포함한다.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310)에서, 기존의 스케줄링 요청 설정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 예를 들어 RRC 메세지를 활용하여 단말에 전송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RRC 메세지 구성, 예를 들어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 엘리먼트(Scheduling Request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는 표 1과 같이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는 총 전송 횟수를 지시하는 제1필드(ds-TransMax),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를 지시하는 제2필드(sr-ConfigIndex), 각각 안테나 포트의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는 PUCCH 자원 인덱스를 지시하는 제3필드(sr-PUCCH-ResourceIndex, sr-PUCCH-ResourceIndexP1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일 단말이 후보로 선택한 또는 기지국(gNB)이 지칭한 단말의 상향링크 빔 후보(UL beam candidate)가 'N'개인 경우, 스케줄링 요청 자원 역시 해당 빔에 1:1로 'N'개가 매핑이 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상향 빔이 P1, P2, P3라면 스케줄링 요청 자원 역시 3개가 개별적으로 할당되어 {P1,SRresoucrce1}, {P2,SRresoucrce2}, {P3,SRresoucrce3}과 같은 매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코드 자원 등 스케줄링 요청에 사용되는 물질적이거나 논리적인 자원을 포함한다.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인 시간 자원이거나 일정 시간 단위의 시간 자원일 수 있다.
이때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320)에서,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일정 시간 단위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구분되는 자원으로 'N'개가 할당되고, 기지국은 시간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스케줄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다중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수신될 수 있고, 일정 시간 단위로 수신될 수도 있다.
일정 시간 단위는 무선 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서브-슬롯, 서브프레임 및 심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6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상향링크 무선 프레임에서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으며, 주기 NP 서브프레임을 가지고 재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내 전송 위치 역시 서브프레임 전반부 또는 후반부로 정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유사하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서브프레임이 아닌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에 분산하여 연속적으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케줄링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상향링크 시간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무선 프레임이 될 수 있으며, 슬롯/미니-슬롯/서브-슬롯 등의 단위로도 대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동일 시간 자원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일 수 있다. 이때,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320)에서,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시간에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다중화하여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시간에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주파수 다중화 변조에 의해 독립된 주파수로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중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자원이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도 9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시간 자원에 다중화를 하여 스케줄링 요청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특정 심볼 위치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한정할 수 있다.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다중화를 수행하여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DM 구조를 이용한 독립적인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동일 시간에 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스케줄링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상향링크 시간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무선 프레임이 될 수 있으며, 슬롯/미니-슬롯/서브-슬롯 등의 단위로도 대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최종 좁은 빔을 전송하지 않고 보다 넓은 섹터 빔 형태의 브로드 빔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브로드 빔은 단말의 상향 후보 빔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 스케줄링 요청 자원에 해당 단일 섹터 빔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요청은 기존의 단일 스케줄링 요청 자원 할당 프로시저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스케줄링 요청 전송 시에 사용한 섹터 빔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 빔을 포함하는 빔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은 자신의 최선 빔(best-beam)이 포함된 섹터 빔을 생성하여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 부족한 빔 이득을 위해서 'NX'만큼 반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에서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에서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1400)은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410) 및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라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S1415) 및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S1420)를 포함한다.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기지국에 수신하는 단계(S1410)에서, 단말은 기존의 스케줄링 요청 설정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 예를 들어 RRC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라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S1415)에서, 단말은 이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라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RRC 메세지 구성, 예를 들어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 엘리먼트(Scheduling Request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는 표 1과 같이 제1필드(ds-TransMax), 제2필드(sr-ConfigIndex), 제3필드(sr-PUCCH-ResourceIndex, sr-PUCCH-ResourceIndexP1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일 단말이 후보로 선택한 또는 기지국(gNB)이 지칭한 단말의 상향링크 빔 후보(UL beam candidate)가 'N'개인 경우, 스케줄링 요청 자원 역시 해당 빔에 1:1로 'N'개가 매핑이 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상향 빔이 P1, P2, P3라면 스케줄링 요청 자원 역시 3개가 개별적으로 할당되어 {P1,SRresoucrce1}, {P2,SRresoucrce2}, {P3,SRresoucrce3}과 같은 매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코드 자원 등 스케줄링 요청에 사용되는 물질적이거나 논리적인 자원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인 시간 자원이거나 일정 시간 단위의 시간 자원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S1420)에서,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하거나 일정 시간 단위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구분되는 자원으로 'N'개가 할당되고,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서 시간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다중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고, 일정 시간 단위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정 시간 단위는 무선 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서브-슬롯, 서브프레임 및 심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6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상향링크 무선 프레임에서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 있으며, 주기 NP 서브프레임을 가지고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내 전송 위치 역시 서브프레임 전반부 또는 후반부로 정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유사하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서브프레임이 아닌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에 분산하여 연속적으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케줄링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상향링크 시간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무선 프레임이 될 수 있으며, 슬롯/미니-슬롯/서브-슬롯 등의 단위로도 대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동일 시간 자원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S1420)에서,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동일 시간에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다중화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시간에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주파수 다중화 변조에 의해 독립된 주파수로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중 'N'개의 스케줄링 요청 자원이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9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시간 자원에 다중화를 하여 스케줄링 요청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특정 심볼 위치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한정할 수 있다.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다중화를 수행하여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DM 구조를 이용한 독립적인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동일 시간에 전송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스케줄링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상향링크 시간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무선 프레임이 될 수 있으며, 슬롯/미니-슬롯/서브-슬롯 등의 단위로도 대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최종 좁은 빔을 전송하지 않고 보다 넓은 섹터 빔 형태의 브로드 빔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브로드 빔은 단말의 상향 후보 빔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 스케줄링 요청 자원에 해당 단일 섹터 빔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요청은 기존의 단일 스케줄링 요청 자원 할당 프로시저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스케줄링 요청 전송 시에 사용한 섹터 빔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 빔을 포함하는 빔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은 자신의 최선 빔(best-beam)이 포함된 섹터 빔을 생성하여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 부족한 빔 이득을 위해서 'NX'만큼 반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500)은 제어부(1510)과 송신부(1520), 수신부(1530)를 포함한다.
제어부(151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차세대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를 수행함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1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520)와 수신부(15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1500)은 무선 통신에서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부(1520) 및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1530)을 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인 시간 자원이거나 일정 시간 단위의 시간 자원일 수 있다.
이때 수신부(1530)는,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일정 시간 단위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단위는 무선 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서브-슬롯, 서브프레임 및 심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동일 시간 자원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일 수 있다. 이때, 수신부(1530)에서,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시간에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다중화하여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시간에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주파수 다중화 변조에 의해 독립된 주파수로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6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600)은 수신부(1610) 및 제어부(1620), 송신부(1630)을 포함한다.
수신부(16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62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차세대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를 수행함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1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6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도 16를 참조하면, 단말(1600)은 무선 통신에서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S1610) 및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라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부(S1620) 및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하는 송신부(1630)를 포함g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인 시간 자원이거나 일정 시간 단위의 시간 자원일 수 있다. 이 경우 송신부(1630)는,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하거나 일정 시간 단위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정 시간 단위는 무선 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서브-슬롯, 서브프레임 및 심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동일 시간 자원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송신부(1630)는,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1630)는 동일 시간에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다중화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1630)는 동일 시간에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주파수 다중화 변조에 의해 독립된 주파수로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무선 통신에서 기지국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른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인 시간 자원이거나 일정 시간 단위의 시간 자원이고,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 단위는 무선 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서브-슬롯, 서브프레임 및 심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동일 시간 자원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이고,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동일 시간에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다중화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동일 시간에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주파수 다중화 변조에 의해 독립된 주파수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7. 무선 통신에서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라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인 시간 자원이거나 일정 시간 단위의 시간 자원이고,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거나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 단위는 무선 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서브-슬롯, 서브프레임 및 심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동일 시간 자원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이고,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동일 시간에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다중화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동일 시간에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주파수 다중화 변조에 의해 독립된 주파수로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
  13. 무선 통신에서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단말로,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한 스케줄링 요청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스케줄링 요청 설정 정보에 따라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인 시간 자원이거나 일정 시간 단위의 시간 자원이고,
    상기 송신부는,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거나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 단위는 무선 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서브-슬롯, 서브프레임 및 심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 자원은 동일 시간 자원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이고,
    상기 송신부는,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주파수로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동일 시간에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다중화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동일 시간에 상기 다중 스케줄링 요청을 주파수 다중화 변조에 의해 독립된 주파수로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말.
KR1020170135215A 2016-11-04 2017-10-18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30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47,571 US20190349962A1 (en) 2016-11-04 2017-10-27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multi-beam-based scheduling requ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EP17867332.3A EP3537823B1 (en) 2016-11-04 2017-10-27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multi-beam-based scheduling requ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PCT/KR2017/012003 WO2018084500A1 (ko) 2016-11-04 2017-10-27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201780067633.6A CN109891992A (zh) 2016-11-04 2017-10-27 用于在无线通信中执行基于多波束的调度请求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46955 2016-11-04
KR1020160146955 2016-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215A true KR20180050215A (ko) 2018-05-14
KR102130999B1 KR102130999B1 (ko) 2020-07-09

Family

ID=6218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215A KR102130999B1 (ko) 2016-11-04 2017-10-18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49962A1 (ko)
EP (1) EP3537823B1 (ko)
KR (1) KR102130999B1 (ko)
CN (1) CN109891992A (ko)
WO (1) WO20180845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196A1 (ko) 2018-04-30 2019-1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asm 활성 직접 억제 화합물 2-아미노-2-(1,2,3-트리아졸-4-일)프로판-1,3-디올 유도체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9480A (zh) * 2018-07-27 2020-02-07 夏普株式会社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EP3805792A1 (en) * 2019-10-11 2021-04-14 Nxp B.V. Transmission of payload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plurality of anchor devices via ranging-capable physical layer communication
CN114982152A (zh) * 2020-01-21 2022-08-3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模拟波束成形的sr处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575A (ko) * 2011-12-23 2014-09-11 블랙베리 리미티드 Enodeb 기지국에서 구현되는 방법
US20150373678A1 (en) * 2012-03-23 2015-12-24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Allocating Scheduling Request Resource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US20160044701A1 (en) * 2013-05-10 2016-02-11 Mediatek Singapore Pte. Ltd. Enhanced Mechanism of Scheduling Request to Multiple Schedulers in A Wireless Netwok with Inter Base Station Carrier Aggre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708A (ko) * 2007-07-12 2009-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링 요청 신호 전송 방법
CN101640905B (zh) * 2008-07-31 2012-07-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调度请求的配置方法
CN101932052B (zh) * 2009-06-23 2016-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用户终端及网络侧设备
US9271294B2 (en) * 2011-11-14 2016-02-2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questing a service utilizing a sequence of codes
WO2013134952A1 (zh) * 2012-03-16 2013-09-19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请求资源配置方法、设备及系统
KR20130143283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팬택 제어 신호 동시 전송 방법, 그 단말, 제어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기지국
KR102199523B1 (ko) * 2012-06-29 2021-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9785801B2 (en) 2014-06-27 2017-10-10 Intel Corporation Management of authenticated variables
US10178691B2 (en) * 2014-07-17 2019-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99810B1 (ko) * 2014-08-25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39744B1 (ko) 2016-05-30 2019-01-17 (주)한국종합기술 우수 유량 조절장치
WO2018030710A1 (en) * 2016-08-11 2018-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375718B2 (en) * 2016-08-11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for robust communication in new radio
US10154514B2 (en) * 2016-10-18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for directional beam acc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575A (ko) * 2011-12-23 2014-09-11 블랙베리 리미티드 Enodeb 기지국에서 구현되는 방법
US20150373678A1 (en) * 2012-03-23 2015-12-24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Allocating Scheduling Request Resource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US20160044701A1 (en) * 2013-05-10 2016-02-11 Mediatek Singapore Pte. Ltd. Enhanced Mechanism of Scheduling Request to Multiple Schedulers in A Wireless Netwok with Inter Base Station Carrier Aggreg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9281 *
3GPP R1-161024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196A1 (ko) 2018-04-30 2019-1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asm 활성 직접 억제 화합물 2-아미노-2-(1,2,3-트리아졸-4-일)프로판-1,3-디올 유도체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7823A1 (en) 2019-09-11
EP3537823A4 (en) 2020-06-03
KR102130999B1 (ko) 2020-07-09
CN109891992A (zh) 2019-06-14
EP3537823B1 (en) 2024-05-15
US20190349962A1 (en) 2019-11-14
WO2018084500A1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080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US117657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US202200953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KR102222396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81669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공용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130999B1 (ko)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02319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harq ack/nack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08940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80107417A (ko) Nr을 위한 하향 링크 harq 동작 방법 및 장치
CN110114997B (zh) 针对下一代无线接入网络分配数据信道资源的方法和设备
KR20190013636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부가 dmrs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46988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90028262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장치
KR20180045099A (ko) 차세대 무선 통신에서 심볼 레벨 alignment를 위한 CP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80107690A (ko) 효율적인 하향 링크 자원 할당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90429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111443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전송 블록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80009037A (ko) 새로운 무선 액세스 망에서 단말을 위한 동기화 신호 및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95869B1 (ko)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23136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26604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다중 numerology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80081662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23137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전송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80026027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무선 자원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90085820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데이터 변조 및 부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