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744B1 - 우수 유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우수 유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744B1
KR101939744B1 KR1020160066761A KR20160066761A KR101939744B1 KR 101939744 B1 KR101939744 B1 KR 101939744B1 KR 1020160066761 A KR1020160066761 A KR 1020160066761A KR 20160066761 A KR20160066761 A KR 20160066761A KR 101939744 B1 KR101939744 B1 KR 101939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iphon
treated water
inflow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215A (ko
Inventor
도중호
김현곤
곽특영
정은호
홍정우
이우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6006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74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0Siphon pipes or inverted siph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초기 강우에 따른 오염부하량을 선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처리수를 분배하되, 특히 처리수의 분배 과정에서 기계적인 작동 기제를 생략하여 동력의 필요성 및 고장의 가능성이 전혀 없는 반영구적인 우수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처리수 수용부를 구비한 유량 분배조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처리수가 배출되는 이송관과,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관으로 한계 유량을 초과하여 처리수가 유입되는 경우 초과량을 배출하는 사이펀관과, 상기 사이펀관과 상기 이송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관은 상기 사이펀관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사이펀관은 상기 이송관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입관의 최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사이펀관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 유량 조절장치{RAINWATER DISCHARG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강우 시 도심 혹은 농촌 등의 비점오염원(Nonpoint Pollution Source)에서 발생하는 처리수를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시설인 우수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초기 강우에 따른 오염부하량을 선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처리수를 분배하되, 특히 처리수의 분배 과정에서 기계적인 작동 기제를 생략하여 동력의 필요성 및 고장의 가능성이 전혀 없는 반영구적인 우수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 기술은 도시 혹은 농촌 지역의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염부하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고효율의 처리 성능을 도모하고자 하는 공정의 분배 시스템이다.
점오염원의 경우, 하수관거 정비 및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화로 인해 상당한 오염부하량을 경감시키고 있다.
하지만 비점오염원은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층이 점차 증가되어 이에 비례적으로 비점오염원이 점차 증가되어 전체 오염부하량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문제가 심화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마땅한 대응책이 없는 실정이다.
특히 농촌과 같은 경우,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농경지 및 축산 등의 고부하 오염원이 배출되어 주변 하천으로 유입되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상수원 주변일 경우는 녹조 문제와 함께 더불어 상수원 오염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 중, 초기 우수에 대한 순간 초기 오염부하량은 일반적인 처리를 공정으로 보내기엔 효율적으로 처리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선택적인 처리 공정의 분배가 필요하다.
이러한 유량 조절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9011호 (2014년04월22일)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개폐판이 유량의 수위에 따라 피동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 개폐판의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유량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인해 기계적인 수명에 영향이 있어 비점오염원의 특성인 다수의 현장에 적용하기엔 부적절한 점이 있다.
따라서 기계적인 작동 기제를 생략하여 동력의 필요성 및 고장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고, 이를 통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우수 유량 조절장치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관을 적절한 높이로 배치시켜 사이펀원리 및 베르누이 원리를 적용하고, 이를 통해 처리수의 분배 과정에서 기계적인 작동 기제를 생략, 동력의 필요성 및 고장의 가능성을 완전히 해소한 반영구적인 우수 유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이펀관의 유입부를 이송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한계 유량을 초과한 후 다시 유입되는 처리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자연스럽게 이송관을 통한 처리수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사이펀관의 이동부를 유입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처리수의 수위에 의해 처리수의 양이 최대 용량에 해당하는 경우, 즉시 사이펀관으로 처리수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사이펀관과 이송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구비하고, 이 연결관의 개폐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처리수의 용이한 분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처리수 수용부를 구비한 유량 분배조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처리수가 배출되는 이송관과,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관으로 한계 유량을 초과하여 처리수가 유입되는 경우 초과량을 배출하는 사이펀관과, 상기 사이펀관과 상기 이송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관은 상기 사이펀관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사이펀관은 상기 이송관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입관의 최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사이펀관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펀관은 처리수의 초과량이 유입되는 유입부, 유입부의 상측으로 연장된 상승부, 상승부에 연장된 이동부, 이동부 하측으로 연장된 하강부 및, 하강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이송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관에는 연결관 내 유량을 체크하는 유량계와, 연결관을 개폐하는 밸브와, 유량계 및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되되, 상기 제어유닛은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처리수의 분배 과정에서 기계적인 작동 기제를 생략하여, 동력의 필요성 및 고장의 가능성을 완전히 해소하였기 때문에 반영구적이고, 한계 유량을 초과한 후 다시 유입되는 처리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자연스럽게 이송관을 통한 처리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처리수의 수위에 의해 처리수의 양이 최대 용량에 해당하는 경우 즉시 사이펀관으로 처리수의 이송이 가능하며, 사이펀관과 이송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의 개폐제어를 통한 처리수의 용이한 분배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수 처리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우 시 도심 혹은 농촌 등의 비점오염원(Nonpoint Pollution Source)에서 발생하는 처리수를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시설로써,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초기 강우에 따른 오염부하량을 선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처리수를 분배하되, 특히 처리수의 분배 과정에서 기계적인 작동 기제를 생략하여 동력의 필요성 및 고장의 가능성이 전혀 없는 반영구적인 우수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유량 조절장치(이하 본 장치(C))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에 대한 간단한 정의를 하기로 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비점오염원이라 함은 양식장, 야적장, 농경지배수, 도시노면배수 등 광범위한 배출 경로를 갖는 오염원을 의미한다.
또한 처리수라 함은 하수와 우수(雨水)를 총칭하는 것으로, 본 장치(C)가 처리하는 물을 의미하고, 하수 처리 시스템이 합류식인 경우에는 하수와 우수가 혼합된 물일 수 있고, 분류식인 경우에는 하수 또는 우수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것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수 처리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 처리 시스템은 크게 유량 분배조(D), 부하 조절 반응조(RL) 및 인공습지 반응조(RF)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량 분배조(D)는 하수를 처리하기에 적당하도록 적절하게 분배하는 구성으로, 이 유량 분배조(D)에 본 장치(C)가 적용되는 것이며, 따라서 본 장치(C)는 유량 분배조(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부하 조절 반응조(RL)는 유량 분배조(D)의 한계 유량을 초과하여 처리수가 유입되는 경우 그 초과량에 대한 처리수를 유입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부하 조절 반응조(RL)는 응집 반응조 및 미세기포 반응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인공습지 반응조(RF)는 오염부하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인공습지로 연결되어 처리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여상조, 제1후여상조, 제2후여상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하 조절 반응조(RL) 및 인공습지 반응조(RF)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는 것이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C)는 유량 분배조(D), 유입관(2), 이송관(3), 사이펀관(4) 및 연결관(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먼저 이미 설명한 바 있는 유량 분배조(D)는 처리수를 수용한 수용부를 구비하여 유입된 처리수를 저류시키는 구성으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유입관(2)은 수용부에 연결되고 수용부 내 처리수가 유입되는 구성이다.
다음 이송관(3)은 수용부에 연결되고 수용부 내 처리수가 배출되는 구성으로, 상기한 인공습지 반응조(RF)와 연결되어 처리수를 인공습지 반응조(RF)로 배출할 수 있다.
다음 사이펀관(4)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수용부에 연결되고, 유입관(2)으로 한계 유량을 초과하여 처리수가 유입되는 경우 초과량을 배출하는 구성이다.
사이펀관(4)은 상기한 부하 조절 반응조(RL)와 연결되어 초과된 처리수를 부하 조절 반응조(RL)로 배출할 수 있다.
다음 연결관(5)은 사이펀관(4)과 이송관(3)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사이펀관(4)으로 유입된 처리수는 초기 강우 오염부하량의 일정 시간 동안 연결관(5)을 통해 이송관(3)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에는 각 관을 사각형 형태를 차용하여 대략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각 관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함을 의미하며, 이러한 도면의 도시는 각 관의 형상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징적인 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C)는 유입관(2)이 사이펀관(4)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사이펀관(4)이 이송관(3)보다 상부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각 관의 위치 특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특징은 상측에서부터 유입관(2) - 사이펀관(4) - 이송관(3) 순으로 배치되는 것이고, 이러한 관 배치 구조를 통해 사이펀 및 베르누이 원리를 통한 처리수의 분배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유입관(2)을 통해 유입된 처리수의 유량 분배조(D) 내 수위가 사이펀관(4)의 배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대기압이 처리수의 수압보다 낮기 때문에 사이펀관(4)으로 처리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처리수의 유량 분배조(D) 내 수위가 사이펀관(4)의 배치 높이보다 높아지게 되면, 대기압이 처리수의 수압보다 높아져 처리수가 사이펀관(4) 안으로 유입되고, 사이펀관(4)을 따라 부하 조절 반응조(RL)로 이동하게 된다.
사이펀관(4)을 따라 흐르기 시작한 처리수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유속 증가에 따른 압력 감소 영향을 받게 되고, 감소된 압력에 의해 처리수의 수압이 대기압보다 계속 낮으므로, 사이펀관(4)을 통한 처리수의 이동이 지속되게 된다.
상기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은 처리수의 분배 과정에서 기계적인 작동 기제 없이도 처리수의 분배가 가능하고, 이에 기계적 작동 기제에 따른 동력의 필요성 및 고장 가능성이 전혀 없으며, 반영구적인 우수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핵심특징인 사이펀관(4) 및 각 관의 배치 구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C)는 사이펀관(4)이 유입부(41), 상승부(43), 이동부(45), 하강부(47) 및 배출부(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부 별로, 유입부(41)는 처리수의 초과량(이하 처리수로 표현하여도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이 초기 유입되는 구성이다.
상승부(43)는 유입부(41)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유입된 처리수의 상승 경로를 제공한다.
이동부(45)는 상승부(43)에 연장되어, 상승된 처리수가 유량 분배조(D)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하강부(47)는 이동부(45) 하측으로 연장되어 처리수의 하강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배출부(49)는 하강부(47)의 단부에 구비되어 하강한 처리수를 배출시킨다.
도 3에서 배출부(49)의 구성은 도면의 관측 시점 상 확인하기 어렵지만, 도 2에서 배출부(49)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펀관(4)은 'ㄷ' 유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ㄷ'유사 구조라 함은 상승부(43), 이동부(45), 하강부(47)가 서로 이어진 상태에서 각각 처리수의 상승, 이동, 하강에 대한 경로를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한 것 뿐, 반드시 'ㄷ'자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곡관 형태로 'U'자 형 구조 역시 사이펀관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고, 보다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이펀관(4)은 처리수의 초과량에 대한 분배 배출을 제공하는데, 특히 본 장치(C)는 사이펀관(4)의 유입부(41)가 이송관(3)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부(41) 형성 위치 특징은 앞서 언급한 사이펀 원리를 통해 처리수를 사이펀관(4)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분배 반응조의 수용부 내 처리수의 양이 줄어들어 안정화를 이루게 되는 경우, 수용부 내의 모든 처리수가 이송관(3)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특징으로, 본 장치(C)는 사이펀관(4)의 이동부(45)가 유입관(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45) 형성 위치 특징은 앞서 언급한 사이펀 원리를 구현 및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관(2)을 통해 유입된 처리수의 수위에 의해 처리수의 양이 최대 용량에 해당하는 경우, 사이펀관(4)이 수용부 내 처리수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여, 사이펀관(4)의 처리수 이송 기능을 실현 및 강화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장치(C)를 통한 유량 조절의 일 실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령 유입관(2)을 통해 유입된 처리수의 양이 2Q 이하인 경우, 처리수는 이송관(3)을 통해 배출된다.
가령 유입관(2)을 통해 유입된 처리수의 양이 2Q 이상인 경우, 1Q를 초과하는 처리수는 사이펀관(4)으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가령 유입관(2)을 통해 유입된 처리수의 양이 3Q 이상인 경우, 2Q를 초과하는 처리수는 바이패스관(B)을 통해 배출된다. 바이패스관(B)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는 소정의 과정(예: 거름망을 통한 단순 필터링)을 거치거나 또는 그대로 방류된다.
이에 도 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이송관(3)은 연결관(5)이 연결된 위치를 기준으로 연결관(5) 합류 전은 1Q의 처리수를 이송시키는 관경을 갖고, 연결관(5) 합류 후는 2Q의 처리수를 이송시키는 관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앞서 언급한 기본 실시예를 제1실시예로 지칭)를 도시한 도 4를 참고하여 연결관(5)과 관련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5)에는 연결관(5) 내 유량을 체크하는 유량계(51)와, 연결관(5)을 개폐하는 밸브(53)와, 유량계(51) 및 밸브(53)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량계(51)는 연결관(5) 내 처리수의 유량을 체크하고, 밸브(53)는 연결관(5)을 개폐하여 사이펀관(4)에서 이송관(3)으로의 처리수 이동을 조절한다.
제어유닛(55)은 타이머,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량계(51)를 통해 연결관(5) 내 처리수에 대한 정보(유량, 유속 등)를 획득하고, 시간에 따라 밸브(53)의 개폐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이펀관(4)으로 유입된 처리수는 초기 강우 오염부하량의 일정 시간 동안 연결관(5)을 통해 이송관(3)으로 이동하게 되고, 일정 시간에 대한 제어를 상기한 제어유닛(55)을 통해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C)는 연결관(5) 인접 위치에는 제어유닛(55)의 설치를 위한 설치 플레이트(60)가 구비되고, 제어유닛(55)의 하우징 및 설치 플레이트(60) 모두에 형성된 결합공에 관통 삽입되어 제어유닛(55) 및 설치 플레이트(60)를 결합 고정하는 볼트부재(1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유닛(55)의 하우징과 설치 플레이트(60) 간의 결합에 일반적인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볼트의 조임이 느슨해질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너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볼트의 수나사의 길이가 짧을 경우 너트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제어유닛(55)과 설치 플레이트(60)의 조립체]를 분해 및 재조립 과정에서 너트의 유실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아울러 기 조립된 상태의 하우징 내측에 너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은 제어유닛(55)의 하우징을 분리하여 개방한 후에 너트를 삽입하고 다시 하우징을 조립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과정을 설치 시마다 겪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특유의 볼트부재(100)를 도입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볼트부재(100)는 나사부(101)와 헤드부(102)로 구성되어, 나사부(101)가 제어유닛(55)의 하우징 및 설치 플레이트(60)의 결합공(h100)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볼트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103)를 갖고, 이 중공부(103)에 출입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된 심부재(110) 및 중공부(103)에 구비된 코일스프링(1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심부재(110)는 일 측 단부에 형성된 누름부(111)와, 타 측 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일 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탄성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112)를 구비한다.
또한 코일스프링(104)은 심부재(110)를 일 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펼쳐진 날개부(112)가 걸림 지지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날개부(112)는 일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래치형 부재의 일종으로, 날개부(112)와 심부재(110)의 타 측 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112a)에는 날개부(112)가 일 측 방향, 즉 심부재(110)의 외주면으로 접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된다.
이 탄성체에 의하여 날개부(112)가 심부재(110) 방향으로 접히도록 강제되므로, 누름부(111)를 이용해 누름부(111)를 이용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의 타 측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가압하여 날개부(112)가 접혀진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결합공(h100)에 나사 결합한 후, 날개부(112)를 벌린 후 누름부(111)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스프링(104)에 의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의 일 측 방향으로 인입되면서, 펼쳐진 날개부(112)가 결합공(h100) 인접 위치의 하우징 면에 접촉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날개부(112)에 의해 심부(110)의 인출입이 제한되므로, 진동 등에 의해 볼트부재(100)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 압력을 받더라도, 고정된 심부재(110)로 인해 볼트부재(100)의 풀림이 방지된다. 즉, 날개부(112)가 너트와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제어유닛(55)의 하우징과 설치 플레이트(60) 간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 누름부(111)를 눌러 심부재(110)를 중공부(103)의 일 측 방향으로 인출시켜 날개부(112)가 다시 접히도록 한 후, 누름부(111)의 가압을 해제하면, 접혀진 날개부(112)가 나사부(101)의 타 측 끝단부에 접촉되면서 심부재(110)가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풀게 되면, 결합공(h100)에서 볼트부재(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볼트부재(100)와, 심부재(110)가 동반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중공부(103)와 심부재(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단턱과 걸림홈 또는 다각 형상을 이용한 걸림 구조가 마련되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에서 회전하지 않고 전후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본 장치
D: 유량 분배조 2: 유입관
3: 이송관
4: 사이펀관 41: 유입부
43: 상승부 45: 이동부
47: 하강부 49: 배출부
5: 연결관 51: 유량계
53: 밸브 55: 제어유닛

Claims (4)

  1. 처리수 수용부를 구비한 유량 분배조(D);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관(2);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처리수가 배출되는 이송관(3);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관(2)으로 한계 유량을 초과하여 처리수가 유입되는 경우 초과량을 배출하는 사이펀관(4); 및
    상기 사이펀관(4)과 상기 이송관(3)을 연결하는 연결관(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관(2)은 상기 사이펀관(4)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사이펀관(4)은 상기 이송관(3)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관(5)에는 연결관(5) 내 유량을 체크하는 유량계(51)와, 연결관(5)을 개폐하는 밸브(53)와, 유량계(51) 및 밸브(53)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5)이 구비되되,
    상기 제어유닛(55)은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밸브(53)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연결관(5) 인접 위치에는 상기 제어유닛(55)의 설치를 위한 설치 플레이트(6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닛(55)의 하우징 및 상기 설치 플레이트(60) 모두에 형성된 결합공(h100)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어유닛(55) 및 상기 설치 플레이트(60)를 결합 고정하는 볼트부재(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트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103),
    상기 중공부(103)에 출입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고, 일 측 단부에 형성된 누름부(111)와, 타 측 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일 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탄성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112)를 구비한 심부재(110) 및,
    상기 중공부(103)에 구비되어, 상기 심부재(110)를 일 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펼쳐진 날개부(112)가 걸림 지지되도록 강제하는 코일스프링(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유량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관(4)은
    처리수의 초과량이 유입되는 유입부(41), 유입부(41)의 상측으로 연장된 상승부(43), 상승부(43)에 연장된 이동부(45), 이동부(45) 하측으로 연장된 하강부(47) 및, 하강부(47)의 단부에 구비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부(49)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41)는 상기 이송관(3)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유량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12)는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래치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유량 조절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관(4)의 이동부(45)는
    상기 유입관(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유량 조절장치.
KR1020160066761A 2016-05-30 2016-05-30 우수 유량 조절장치 KR101939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61A KR101939744B1 (ko) 2016-05-30 2016-05-30 우수 유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61A KR101939744B1 (ko) 2016-05-30 2016-05-30 우수 유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215A KR20170135215A (ko) 2017-12-08
KR101939744B1 true KR101939744B1 (ko) 2019-01-17

Family

ID=6091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61A KR101939744B1 (ko) 2016-05-30 2016-05-30 우수 유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99B1 (ko) 2016-11-04 2020-07-09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824616B (zh) * 2018-07-16 2024-01-23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省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箱式变电站事故油池排水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80B1 (ko) * 2004-12-17 2005-06-10 (주)이엠엔씨코리아 유량조정 기능을 갖는 일차침전지와 이를 이용한 유량조정방법
KR101348418B1 (ko) * 2013-05-06 2014-02-17 한병숙 우수와 토사의 배출이 가능한 우수토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80B1 (ko) * 2004-12-17 2005-06-10 (주)이엠엔씨코리아 유량조정 기능을 갖는 일차침전지와 이를 이용한 유량조정방법
KR101348418B1 (ko) * 2013-05-06 2014-02-17 한병숙 우수와 토사의 배출이 가능한 우수토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215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744B1 (ko) 우수 유량 조절장치
EP1380330A1 (en) Rain water treating device in combined sewage, and backwashing method therefor
EP3208388B1 (de) Spülstation zum spülen eines ring- oder reihenleitungssystems
CN103572807A (zh) 卫生用嵌入单元
EP1855061A3 (de) Armaturenbausatz zum Be- oder Nachfüllen von Heizungssystemen
EP2660208B1 (de) Kläranlage mit siphonüberlauf
CN207633434U (zh) 一种水箱供水系统
JP2011245385A (ja) 沈砂池の除砂方法及び除砂装置
KR101258565B1 (ko)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EP2939897B1 (de) Wasserbefüllvorrichtung für santiäreinrichtungen in fahrzeugen
EP3208391A1 (de) Sicherungseinrichtung
RU25575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токов
CN210001716U (zh) 小型地埋式污水处理装置
CN106049643A (zh) 一种地埋式污水处理系统的进水装置
DE10203076C1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r Flüssigkeit sowie Verfahren zum steuerbaren Überleiten einer Flüssigkeit
CN210302548U (zh) 一种可调流量升降式套筒阀
AT512904B1 (de) Vorrichtung zum Erwärmen von Brauchwasser
KR200256151Y1 (ko) 우수토실 유출조
CN103526818A (zh) 一种制绒设备废水排放系统
DE202011108281U1 (de) Ventil für die Flüssigkeitsentsorgung in einem Unterdrucksystem
JP6719039B2 (ja) 沈砂池の除砂方法
CN205954818U (zh) 一种无压巡检污水泵站
JP2011245388A (ja) 沈砂池の集砂装置
DE102010036916A1 (de) Rückstausperre für eine Abwasserlei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erartigen Rückstausperre
CN207539441U (zh) 一种排污阀用防堵塞接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