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193A - 족부 스트레칭 장치 - Google Patents

족부 스트레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193A
KR20180050193A KR1020170027510A KR20170027510A KR20180050193A KR 20180050193 A KR20180050193 A KR 20180050193A KR 1020170027510 A KR1020170027510 A KR 1020170027510A KR 20170027510 A KR20170027510 A KR 20170027510A KR 20180050193 A KR20180050193 A KR 2018005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d
foot
air p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7299B1 (ko
Inventor
윤범철
김기명
김민석
이민영
이재혁
임태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5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61H2001/027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는, 신체의 종아리 부위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바닥 부위가 지지되는 회동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어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주입되는 공기 패턴에 의해 발목 스트레칭이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족부 스트레칭 장치{FOOT STRETCHING DEVICE}
본 발명은 족부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뇌졸중, 뇌성마비 등 신경마비로 인한 족하수 현상으로 인한 발목관절 구축 방지하고, 다양한 형태의 족부 근육의 병적 변화에 맞춰 다양하게 스트레칭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현저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서 특히 재활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재활에 대한 수요에 반하여 이에 대한 인프라는 아직 열악한 상태에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 뇌졸중 인구는 780,000명, 전세계 뇌졸중 인구는 35,000,000명으로 뇌졸중 국내 시장규모 8,368억원, 뇌졸중 해외 시장규모 40조원 규모이다. 2010년 기준으로는 뇌졸중으로 인한 직접 의료비가 1조 6,669억원이었고, 이는 국민건강보험 전체 진료비 41조 8,593억원의 3.98%에 해당한다.(2012, 권영대 등) 이 중 발목 보조기 보조금 규모는 약 75억원이고 매년 약 18,000,000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상보행이 힘든 대표적인 질환인 뇌성마비 질환환자도 증가추세이다. 미국의 뇌성마비 인구는 764,000명으로 미국인구 3억2천만의 0.24%이며(United Cerebral Palsy(UCP)Foundation), 전 세계에서 뇌성마비로 고통을 받는 인구는 17,000,000명으로 전세계 인구의 0.24%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World Cerebral Palsy Day Association). 우리나라의 뇌성마비 발생빈도도 전체 인구 중 0.15%~0.2%정도며, 1500명 출생 당 7명 또는 연간 10만 명 인구 당 7명의 비율로 발생 되고 있고, 소아 1000명당 3.2명으로 조사됐다(20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뇌성마비 이 외에도 Charcot marie tooth Disease, 척수손상, 비골신경마비, 다발성 경화 증 등 여러 가지 질환에서 족하수(foot drop) 증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 방식의 족하수 재활치료는 전문 기구가 아닌 수건, 타월 등을 활용하여 직접 밀고 당기는 동작을 하는 경우, 쉽게 재활을 포기하게 된다. Granger, Shewood와 Greer(1977)는 장애발생 후 일단 재활치료를 받는다 하더라도 기능이 완전히 회복되기 전에 치료를 중단하면 일상 활동 점수가 저하되나 다시 재활치료를 시작하면 기능이 향상되므로 계속적인 치료와 재활간호를 위한 지지체계가 필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직장과 학교생활로 바쁜 대부분의 현대인이 운동 시간을 따로 마련하는 것은 어려우며 2013년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 조사에 따르면, 주당 1회 이상 체육활동 참여자는 남자 47.8%, 여자 43.3%. 그럼에도 시중에는 바쁜 현대인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면시간을 활용한 스트레칭 방법이 존재하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발끝을 당겨 종아리 근육을 '자동적으로' 스트레칭해 줄 수 있는 기구는 국내나 해외에도 없다.
여러 가지 형태의 착용형 밴드는 많다. 대표적으로 독일의 Muller사에서 나온 수면 착용형 밴드인 'Plantar Fasciitis Foot Night Support'과 부목 형태로는 AliMed사에서 나온 'Footdrop Night Splint'가 있다. 국내에서는 Aider사에서 나온 족하수 보조기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발끝을 착용 내내 압박하는 형태이고 스트레칭 기구가 아니어서, 장시간 착용이 어렵다. 이렇듯 발끝을 당기는 자동 스트레칭 기구의 기술개발은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물리치료적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가정용 자가 치료장비의 개발이 요망된다.
특히, 기존에 출시된 부목(Resting Splint)들은 모두 발목관절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착용하면서 환자가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고, 제한된 각도로 오히려 구축을 촉진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환자의 유형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에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는 동적 운동 기능과 발목 관절 각도 조절이 가능한 부목(Resting Splint) 기능을 구비한 '풋 스트레처'의 개발 필요성이 있다.
KR 10-2012-0153400,'스트레칭 보조 기구', 2014.07.04 공개 KR 10-2005-0021669, '발목 운동 기구', 2006.09.20 공개 KR 10-2008-0014745, '하지의 로봇 보조기', 2009.08.24 공개 KR 10-2007-0014145,'마비환자의 족하수 및 발끌림 방지를 위한 능동형 단하지보조기', 2008.08.18 공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뇌졸중, 뇌성마비 등 신경마비로 인한 족하수 현상으로 인한 발목관절 구축 방지하고, 다양한 형태의 족부 근육의 병적 변화에 맞춰 다양하게 스트레칭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병원 내에서 치료사에 의해서만 관리되었던 발목 구축 예방을 환자 또는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자가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종아리 근육 스트레칭을 구현하고, 족부 기형을 개선할 수 있으며, 하지 근육의 구축을 예방할 수 있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종아리 부위 및 발바닥 부위를 지지 플레이트 및 회동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동적 운동 및 부목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발목 관절 및 발가락 관절을 동시에 재활훈련할 수 있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다양한 족하수 질환군을 위한 재활치료 운영모드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스트레칭 시간, 빈도, 또는 속도 등을 자동 설정 가능하여 장시간 착용 가능한 족부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는, 신체의 종아리 부위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바닥 부위가 지지되는 회동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어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주입되는 공기 패턴에 의해 발목 스트레칭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는, 상기 발바닥 부위의 중앙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1 에어패드; 상기 제1 에어패드로부터 발가락을 향하여 이격되어 상기 발바닥 부위의 좌측에 배치된 제2 에어패드; 및 상기 제1 에어패드로부터 발가락을 향하여 이격되어 상기 발바닥 부위의 우측에 배치된 제3 에어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패드에 의해 상기 발바닥 부위의 마사지 기능이 구현되고, 상기 제2 에어패드 및 상기 제3 에어패드에 의해 발목 내번 및 외번 스트레칭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는, 상기 제1 에어패드 및 상기 제2 에어패드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발등 부위의 좌측 상에 배치되는 제4 에어패드; 및 상기 제1 에어패드 및 상기 제3 에어패드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발등 부위의 우측 상에 배치되는 제5 에어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4 에어패드는 상기 제1 에어패드 및 상기 제2 에어패드에 대하여 상기 발바닥 부위의 좌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5 에어패드는 상기 제1 에어패드 및 상기 제3 에어패드에 대하여 상기 발바닥 부위의 우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2 에어패드 또는 상기 제3 에어패드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제4 에어패드 및 상기 제5 에어패드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제4 에어패드 및 상기 제5 에어패드에 의해 상기 발등 부위 또는 상기 발바닥 부위의 양측이 고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4 에어패드 및 상기 제5 에어패드에 주입되는 공기 패턴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발목 관절의 회동 운동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회동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구비된 제1 기어; 상기 회동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된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발목의 발등 올림 및 발등 내림 스트레칭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한 발등 올림 스트레칭 시 상기 제2 에어패드에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한 발등 내림 스트레칭 시 제3 에어패드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 또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주입부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회동 플레이트에서 발바닥 부위 또는 발등 부위와 접하는 위치에 압력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발등 내림 힘 또는 발등 올림 힘이 감지되어,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값에 의해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 사이에는 리미터가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는, 신체의 종아리 부위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바닥 부위가 지지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어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 또는 발목의 스트레칭 모드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 모드가 저장되어, 상기 운영 모드에 따라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레칭 동작에 따라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스트레칭 동작별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공기 주입 패턴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작동되는 사용자 세팅 모드;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되는 매뉴얼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는, 뇌졸중, 뇌성마비 등 신경마비로 인한 족하수 현상으로 인한 발목관절 구축 방지하고, 다양한 형태의 족부 근육의 병적 변화에 맞춰 다양하게 스트레칭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는, 종아리 근육 스트레칭을 구현하고, 족부 기형을 개선할 수 있으며, 하지 근육의 구축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는, 종아리 부위 및 발바닥 부위를 지지 플레이트 및 회동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는, 동적 운동 및 부목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발목 관절 및 발가락 관절을 동시에 재활훈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공기의 압력이 바뀌면서 발목을 상하좌우로 스트레칭하여 발목 관절 가동범위 증진에 더욱 효과적이고, 같은 발목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시 나타나는 다리 저림과 기타 불편함으로 인한 수면 방해를 해결하여 장시간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는, 단순히 발바닥 전체의 이동이 아닌 발가락 관절들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때문에 더 자연스러운 족배굴곡 및 족하수 치료가 가능하고, 발목의 내외전 스트레칭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스트레칭 가능하며, 자가 관리가 가능함으로써 회복 기간의 단축과 환자의 통증 기간을 감소시키고, 일상 활동의 회복 시간을 촉진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종아리 스트랩에 종아리 에어패드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복수 개의 에어패드를 도시한다.
도 4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 상에 발이 놓여진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컨트롤러의 상세도이다.
도 6은 컨트롤러의 작동 계통도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종아리 스트랩에 종아리 에어패드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은 복수 개의 에어패드를 도시하고, 도 4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 상에 발이 놓여진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컨트롤러의 상세도이고, 도 6은 컨트롤러의 작동 계통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10)는 지지 플레이트(100), 회동 플레이트(200),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 및 컨트롤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00)에는 신체의 종아리 부위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100)는 신체의 종아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발목 운동 시 환자의 다리가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종아리 받침 쿠션(1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받침 쿠션(110)은 종아리 부위와 지지 플레이트(100)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편안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00)의 상면에서 일측에는 종아리 스트랩(12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스트랩(120)은 종아리 부위의 상면을 감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종아리 스트랩(120)은 지지 플레이트(100)의 상면에서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종아리 스트랩(120)의 내측면에는 종아리 에어패드(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에어패드(130)는 종아리 스트랩(120)에 의해 고정된 종아리 부위를 더욱 압박함으로써 종아리 부위를 지지 플레이트(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아리 에어패드(130)는 종아리 부위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된 길이 및 종아리 스트랩(120)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된 폭을 구비하는 3개의 에어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에어패드가 서로 나란히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족부 스트레칭 장치(10)는 종아리 에어패드(13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주입부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에어펌프, 에어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종아리 에어패드(130)에 대한 공기 주입 유무 또는 공기 주입 패턴 등은 공기 주입부, 예를 들어 구동 모터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자동 제어를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지지 플레이트(100)의 일단에는 회동 플레이트(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동 플레이트(200)에는 신체의 발바닥 부위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100) 및 회동 플레이트(200)가 연결되는 위치에는 발뒤꿈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 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발바닥 받침 쿠션(2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바닥 받침 쿠션(210)은 발목 운동 시 발바닥 부위와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편안감을 줄 수 있다.
또한, 회동 플레이트(200)의 상면에서 일측에는 발등 스트랩(22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등 스트랩(220)은 발목 운동 시 환자에게 안정감을 주도록 발등 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10)는 지지 플레이트(100) 및 회동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지지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회동 플레이트(200)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지지 플레이트(100)에 대한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여 발목 올림 동작 또는 발목 내림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발목의 상하 방향 스트레칭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종아리 근육을 스트레칭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는 지지 플레이트(100)에 구비된 제1 기어, 회동 플레이트(200)에 구비되고,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 기어 및 지지 플레이트(100) 및 회동 플레이트(200) 사이에 연결된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구동 모터는 예를 들어 웜기어드 엔코더 모터로 마련되어 정밀하게 발목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환자의 발목 힘에 밀리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기어비는 1:2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예를 들어 가스 쇼바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기어 및 제2 기어에서 백래쉬(backlash)가 발생하여 회동 플레이트(2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발목의 발등 올림 및 발등 내림 스트레칭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가 +12도 및 -25도로 설정되는 경우, 발목의 발등 올림 각도가 +12도가 되고 발목의 발등 내림 각도는 -25도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목의 발등 올림 및 내림 동작 모드가 구현되는 경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200)는 중립 위치로부터 +12도로 상방으로 회전되고, +12도로부터 -25도로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설정된 반복 횟수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발목의 발등 올림 동작 모드가 구현되는 경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200)는 중립 위치로부터 +12도로 상방으로 회전되고, +12도로부터 중립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설정된 반복 횟수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목의 발등 내림 동작 모드가 구현되는 경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200)는 중립 위치로부터 -25도로 하방으로 회전되고, -25도로부터 중립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설정된 반복 횟수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는 구현될 스트레칭 동작 또는 컨트롤러(400)에 의해 설정된 운영 모드에 따라서 다양하게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회동 플레이트(200)의 일면, 예를 들어 상면에는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3 또는 4를 참조하여,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는 제1 에어패드(310), 제2 에어패드(320), 제3 에어패드(330), 제4 에어패드(340) 및 제5 에어패드(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에어패드(310)는 발바닥 부위의 중앙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공기 주입 패턴에 의해 발바닥 부위의 마사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에어패드(320)는 제1 에어패드(310)로부터 발가락을 향햐여 이격되어 발바닥 부위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공기 주입 패턴에 의해 오른발을 기준으로 발목의 내번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3 에어패드(330)는 제1 에어패드(310)로부터 발가락을 향하여 이격되어 발바닥 부위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에어패드(320)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에어패드(330)는 공기 주입 패턴에 의해 오른발을 기준으로 발목의 외번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에 의한 발목의 발등 올림 동작이 구현되는 경우에는 제2 에어패드(320)에 공기가 주입되어 발목의 내번 동작이 구현되고, 액츄에이터에 의한 발목의 발등 내림 동작이 구현되는 경우에는 제3 에어패드(330)에 공기가 주입되어 발목의 외번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4 에어패드(340)는 제1 에어패드(310) 및 제2 에어패드(320)의 일측, 예를 들어 좌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발등 부위의 좌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에어패드(350)는 제1 에어패드(310) 및 제3 에어패드(330)의 일측, 예를 들어 우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발등 부위의 우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4 에어패드(340) 및 제5 에어패드(350)는 제1 에어패드(3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에어패드(340)는 제1 에어패드(310) 및 제2 에어패드(320)에 대하여 발바닥 부위의 좌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연결되고, 제5 에어패드(350)는 제1 에어패드(310) 및 제3 에어패드(330)에 대하여 발바닥 부위의 우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4 에어패드(340) 및 제5 에어패드(350)는 발등 부위의 좌측 및 우측 상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족부 스트레칭 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발등 부위와 발등 스트랩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에어패드(320) 또는 제3 에어패드(330)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제4 에어패드(340) 및 제5 에어패드(350)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에어패드(340) 및 제5 에어패드(350)는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어 발등 부위 및 발바닥 부위의 양측을 압박하고, 회동 플레이트(200)에 발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제2 에어패드(320) 및 제3 에어패드(330)에 의한 발목의 내번 동작 및 외번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구현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4 에어패드(340) 및 제5 에어패드(350)에 주입되는 공기 패턴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발목 관절의 회동 운동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에어패드(340)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발목 관절이 우측 방향으로 회동 운동될 수 있고, 제5 에어패드(350)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발목 관절이 좌측 방향으로 회동 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에어패드(310), 제2 에어패드(320), 제3 에어패드(330), 제4 에어패드(340) 및 제5 에어패드(350)에 대한 공기 주입에 의해서 발바닥 부위의 마사지 기능, 발목 내번 및 외번 스트레칭 및 발목의 회동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에는 회동 플레이트(200)에 대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제1 에어패드(310), 제2 에어패드(320), 제3 에어패드(330), 제4 에어패드(340) 및 제5 에어패드(350)가 서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에어패드(310), 제2 에어패드(320), 제3 에어패드(330), 제4 에어패드(340) 및 제5 에어패드(350)가 개별적으로 회동 플레이트(200)에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에는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부는 지지 플레이트(100) 또는 회동 플레이트(200)에 배치될 수 있고, 공기를 배출시키는 에어펌프, 에어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에어펌프에서 배출된 공기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1 에어패드(310), 제2 에어패드(320), 제3 에어패드(330), 제4 에어패드(340) 및 제5 에어패드(35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공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제어를 통해 제2 에어패드(320) 및 제3 에어패드(330) 중 어느 하나에만 공기가 주입되게 하여 발목의 내번 또는 외번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의 작동 제어를 통해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에 대한 공기 주입 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주입되는 시간이 15초로 설정되는 경우, 각각의 스트레칭 동작별 또는 각도 단계에 따라서 15초간 공기 주입이 지속되고 15초간 휴식 시간을 가지면서 반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근육의 긴장 및 이완이 반복됨으로써 장기간 스트레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와 종아리 에어패드(130)가 서로 다른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서로 동일한 공기 주입부를 공유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지지 플레이트(100) 또는 회동 플레이트(200) 내에 하나의 공기 주입부가 배치되고, 하나의 공기 주입부의 작동 제어를 통해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 및 종아리 에어패드(130)에 대한 공기 주입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3-WAY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종아리 에어패드(130)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10)는 공기 주입부가 지지 플레이트(100) 또는 회동 플레이트(200) 내에 내장됨으로써 더욱 소형화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지지 플레이트(100)에는 컨트롤러(4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400)는 회동 플레이트(200)의 지지 플레이트(100)에 대한 회동 각도,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에 대한 공기 주입 또는 발목의 스트레칭 모드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도 5를 참조하여, 컨트롤러(400)의 상면에는 조작 버튼, 동작 표시 디스플레이, 상태 표시 디스플레이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버튼(a)은 족부 스트레칭 장치(10)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것이고, 제2 버튼(b)은 발목 운동을 위하여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구동 모터 및 공기 주입부에 구비된 구동 모터에 의한 구동을 시작 또는 정지하는 것이다.
제1 디스플레이(c)는 운영 모드, 스트레칭 동작, 공기 주입 방법 등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제1 라이트(d)는 현재 발목 운동을 진행 중인 부위를 나타내는 것이고, 제2 라이트(e)는 제1 디스플레이(c)를 통해 운영 모드 또는 스트레칭 동작을 선택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고, 제3 라이트(f)는 제1 디스플레이(c)를 통해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를 선택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고, 제4 라이트(g)는 제1 디스플레이(c)를 통해 공기 주입 부위를 선택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다.
또한, 제3 버튼(h)은 위/아래 선택 버튼으로서, 제1 디스플레이(c)에서 커서 위치를 위/아래 중 선택하는 것이고, 제4 버튼(i)은 제1 디스플레이(c)에서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며, 제5 버튼(j)은 제1 디스플레이(c)에서 가이드하는 이전 절차로 돌아가기 위한 것이다.
특히, 도 6을 참조하여, 컨트롤러(400)에 의한 작동 계통도는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400)는 전술된 복수 개의 조작 버튼 및 동작 표시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제어부(MCU) 및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조작 버튼에 의해 선택된 사항들은 제어부에 수집되고 통신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00) 내에는 외부전원장치의 어댑터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컨트롤러(400) 내에 포함된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컨트롤러(400) 내에 포함된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MCU), 제어부에 의한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구동 모터, 솔레노이드 밸브, 에어펌프, 상태 표시 디스플레이 및 기억장치(EEPROM)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전원 제어부, 통신부, 제어부, 구동 모터, 솔레노이드 밸브, 에어펌프, 상태 표시 디스플레이 및 기억장치가 하나의 기판(메인 보드)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400)에 의해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10)의 작동이 전반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 모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영 모드에 따라서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 또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모드는 자동 모드, 사용자 세팅 모드 및 매뉴얼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레칭 동작에 따라서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 또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에 대한 공기 주입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자동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효과적인 스트레칭 기능을 간평하게 사용하도록 임상연구 근거에 기반하여 기능이 모듈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400)에는 세 가지 주요 스트레칭 동작과 동작별 각도를 선택할 수 있는 운동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있으며, 임상 전문가가 개발한 스트레칭 시간에 맞춰 선택한 모드가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주요 스트레칭 동작은 발등 올림 및 외번과 발등 내림 및 내번의 움직임이 반복적으로 작동하며 움직임 각도에 따라 세부 기능으로 구성되는 발등 올림 및 내림 동작, 발등 올림과 외번 움직임만 반복적으로 작동하며 움직임 각도에 따라 세부 기능으로 구성되는 발등 올림 동작, 및 발등 내림과 내번 움직임만 반복적으로 작동하며 움직임 각도에 따라 세부 기능으로 구성되는 발등 내림 동작으로 구성되는 발등 내림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400)에는 스트레칭 동작별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 또는 공기 주입 패턴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step 1)에서는 발등 올림 각도가 +12도로 되고 발등 내림 각도가 -25도로 될 수 있다. 2단계(step 2)에서는 발등 올림 각도가 +19도로 되고 발등 내림 각도가 -35도로 될 수 있다. 3단계(step 3)에서는 발등 올림 각도가 +25도가 되고 발등 내림 각도가 -50도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스트레칭 강도 또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세팅 모드에서는 발등 올림 및 내림 동작이 사용자가 설정한 각도 범위 안에서만 반복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400)에서 사용자 세팅 모드를 선택할 경우, 발등 올림 및 내림 운동의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등 올림 각도 및 발등 내림 각도는 각각 총 5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컨트롤러(400)에서 먼저 발등 올림 각도를 선택하고 발등 내림 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뉴얼 모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 또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컨트롤러(400)에서 발등 올림 각도 및 발등 내림 각도를 화살표를 이용하여 직접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족부 스트레칭 장치는 컨트롤러를 통하여 초기 세팅 후, 운영 모드를 선택하고, 스트레칭 동작 및 동작별 발등 올림 각도와 발등 내림 각도를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등 올림 또는 발등 내림 힘을 감지하기 위하여 회동 플레이트(200)에 압력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센서는 발바닥 부위 및 발등 부위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발등 내림 힘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는 발바닥 및 발등 부위 중 중족골 먼쪽 부위에 위치하도록 에어패드(300)와 회동 플레이트(200) 사이에 위치되고, 발등 올림 힘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는 발등 스트랩(2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센서에 의해 발등 올림 또는 발등 내림 힘이 감지되고,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힘에 의해 족부 스트레칭 장치(1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 스스로 발등 올림 또는 내림 운동을 훈련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힘에 의해 에어패드(300)에 대한 공기 주입 또는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가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압력센서의 민감도를 조정함으로써 환자의 수행 능력에 따라 에어패드(300)에 대한 공기 주입 또는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전술된 압력센서에 의하여 족부 스트레칭 장치(10)의 작동이 제어되는 경우, 컨트롤러(400)에 보조능동운동 모드가 추가적으로 탑재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사용자가 컨트롤러(400)에서 보조능동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값으로부터 에어패드(300)에 대한 공기 주입 또는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 플레이트(100) 및 회동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리미터(limiter; 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미터는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족부 스트레칭 장치(10)가 작동 상태로 되어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 또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되게 할 수 있다. 반면,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에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10)가 비작동 상태로 되어 회동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 또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300)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족부 스트레칭 장치
100: 지지 플레이트
110: 종아리 받침 쿠션
120: 종아리 스트랩
130: 종아리 에어패드
200: 회동 플레이트
210: 발바닥 받침 쿠션
220: 발등 스트랩
300: 복수 개의 에어패드
310: 제1 에어패드
320: 제2 에어패드
330: 제3 에어패드
340: 제4 에어패드
350: 제5 에어패드
400: 컨트롤러

Claims (14)

  1. 신체의 종아리 부위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바닥 부위가 지지되는 회동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어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주입되는 공기 패턴에 의해 발목 스트레칭이 조절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는,
    상기 발바닥 부위의 중앙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1 에어패드;
    상기 제1 에어패드로부터 발가락을 향하여 이격되어 상기 발바닥 부위의 좌측에 배치된 제2 에어패드; 및
    상기 제1 에어패드로부터 발가락을 향하여 이격되어 상기 발바닥 부위의 우측에 배치된 제3 에어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패드에 의해 상기 발바닥 부위의 마사지 기능이 구현되고,
    상기 제2 에어패드 및 상기 제3 에어패드에 의해 발목 내번 및 외번 스트레칭이 구현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는,
    상기 제1 에어패드 및 상기 제2 에어패드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발등 부위의 좌측 상에 배치되는 제4 에어패드; 및
    상기 제1 에어패드 및 상기 제3 에어패드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발등 부위의 우측 상에 배치되는 제5 에어패드;
    를 더 포함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에어패드는 상기 제1 에어패드 및 상기 제2 에어패드에 대하여 상기 발바닥 부위의 좌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5 에어패드는 상기 제1 에어패드 및 상기 제3 에어패드에 대하여 상기 발바닥 부위의 우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연결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패드 또는 상기 제3 에어패드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제4 에어패드 및 상기 제5 에어패드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제4 에어패드 및 상기 제5 에어패드에 의해 상기 발등 부위 또는 상기 발바닥 부위의 양측이 고정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에어패드 및 상기 제5 에어패드에 주입되는 공기 패턴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발목 관절의 회동 운동이 조절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회동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구비된 제1 기어;
    상기 회동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된 완충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발목의 발등 올림 및 발등 내림 스트레칭이 조절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한 발등 올림 스트레칭 시 상기 제2 에어패드에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한 발등 내림 스트레칭 시 제3 에어패드에 공기가 주입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 또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주입부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를 포함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에서 발바닥 부위 또는 발등 부위와 접하는 위치에 압력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발등 내림 힘 또는 발등 올림 힘이 감지되어,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값에 의해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 사이에는 리미터가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12. 신체의 종아리 부위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바닥 부위가 지지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어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에어패드;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 또는 발목의 스트레칭 모드를 조절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 모드가 저장되어,
    상기 운영 모드에 따라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레칭 동작에 따라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 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스트레칭 동작별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공기 주입 패턴이 미리 저장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작동되는 사용자 세팅 모드;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패드에 대한 공기 주입이 조절되는 매뉴얼 모드;
    를 포함하는 족부 스트레칭 장치.
KR1020170027510A 2016-11-04 2017-03-03 족부 스트레칭 장치 KR101907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938 2016-11-04
KR20160146938 2016-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193A true KR20180050193A (ko) 2018-05-14
KR101907299B1 KR101907299B1 (ko) 2018-10-12

Family

ID=6218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510A KR101907299B1 (ko) 2016-11-04 2017-03-03 족부 스트레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76B1 (ko) * 2020-05-15 2020-11-13 서울대학교병원 발목 재활운동 장치 및 그 장치에 적용되는 발목 관절 움직임을 동반한 공기 압박 커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867A (ja) * 1999-09-30 2001-04-10 Toshiba Tec Corp 脚用マッサージ機
JP4570936B2 (ja) * 2004-11-08 2010-10-27 株式会社フジ医療器 足マッサージ機
KR200427267Y1 (ko) 2006-06-23 2006-09-22 티지아이씨 디지탈 주식회사 지압 돌기와 에어백을 구비한 안마의자
CN203524944U (zh) * 2013-11-05 2014-04-09 崔建忠 自动踝关节康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299B1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3010B2 (en) Range of motion improvement device
KR102317187B1 (ko) 병상에 누운 환자를 위한 재활 기구 및 재활 기구를 포함하는 침대
Esquenazi et al. Rehabilitation after amputation
US7927257B2 (en) Assisted stair training machine and methods of using
US7322904B2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Spungen et al. Exoskeletal-assisted walking for persons with motor-complete paraplegia
KR100907425B1 (ko) 인체용 다리의 재활장치
AU2013217805B2 (en) Device for rebalancing the pelvis and training method associated therewith
US11285356B2 (en) Portable lower limb therapy device
WO2011016024A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ed home care rehabilitation of stroke survivors
Davies et 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loss of selective trunk activity in hemiplegia
JP2005169052A (ja) 腰部股関節膝靭帯等下肢疾患者が支持する体重を、補助して疾患部の疼痛を緩和し、人体本来の姿勢制御機能を疎外しないで下肢の動きに追従して機能する腰部股関節膝靭帯等下肢疾患者用体重支持補助具。
JP2002200193A (ja) 足腰の屈伸トレーニングする際の補助装置。
KR101907299B1 (ko) 족부 스트레칭 장치
KR20120115028A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Sarvestani et al. The effect of eight weeks aquatic balance trainingand core stabilization training on dynamic balance in inactive elder males
KR20180070437A (ko) 하지 혈액 순환 기구
CN202409224U (zh) 脑瘫儿童足部矫治器
RU2809515C2 (ru) Программно-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лечения нарушений позы и ходьбы
KR20180070449A (ko) 하지 혈액 순환 기구
CN209983569U (zh) 一种下肢关节训练用多功能康复鞋
Lockley et al. Physical management of spasticity
CZ35258U1 (cs) Rehabilitační senzorický přístroj
CZ20211A3 (cs) Rehabilitační senzorický přístroj
CN116999293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下肢训练装置及其训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