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996A -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996A
KR20180049996A KR1020160146603A KR20160146603A KR20180049996A KR 20180049996 A KR20180049996 A KR 20180049996A KR 1020160146603 A KR1020160146603 A KR 1020160146603A KR 20160146603 A KR20160146603 A KR 20160146603A KR 20180049996 A KR20180049996 A KR 20180049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film
roller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917B1 (ko
Inventor
조재용
김완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Priority to KR102016014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9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03B2011/002Rotary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03B2011/006Scraper dischargers

Landscapes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필름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이 자동으로 분리 또는 제거되도록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롤타입의 합성수지필름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필름을 약액에 함침시켜 세정되도록 하는 세정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브러시를 구비하여 상기 세정부에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상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를 포함한 이물질을 박리시키고,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를 구비하여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상의 이물질을 긁어내 제거되도록 하는 제거부; 및 상기 제거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OF SYNTHETIC RESIN FILM}
본 발명은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필름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이 자동으로 분리 또는 제거되도록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및 PDP TV,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다양한 전자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판은 설계된 패턴을 갖는 금속 배선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을 사용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작업대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롤타입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을 작업대 상에 위치시킨 다음, 다수의 기판을 PET 필름상에 일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되도록 접합한 후, 전극 형성을 포함한 기판 제조공정을 수행하여 제작되고, 이때, 기판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중, 외기에 의해 쉽게 산화되는 금속배선의 산화를 방지하면서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희토류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PET 필름을 기판 제조에 사용하는 것은 합성수지필름인 PET 필름이 기판의 전극 형성시 절연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판의 제조가 완료되면, 완성된 기판을 PET 필름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분리된 기판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고, 기판의 제조에 사용된 PET 필름은 상술한 작업대와 인접되도록 설치된 PET 필름 회수용 롤러에 권취시킨 다음, 다시 새로운 PET 필름을 작업대에 위치시켜 상술한 기판의 제조공정을 재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기판의 제조에 사용되고 난 후의 PET 필름은 상술한 접착제나 희토류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필름상에 남아있어 재활용되지 못한 채, 일반 쓰레기로 여겨져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술한 PET 필름을 폐기처분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 전문기관을 통해 폐기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사용 가능한 자원인 필름지를 불필요하게 낭비하게 되는 요인이 됨으로써, 이중으로 비용과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필름을 폐기처분할 때에 대부분 소각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필름을 고온으로 소각하더라도 필름이 연소되면서 유독가스와 더불어 매연이 발생함은 물론 악취가 심하기 때문에, 처리장소 주변의 대기를 오염시키는 등의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버려지는 필름을 재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어 왔으나, 상술한 PET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필름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PB(Polybutene), PP(Poly Propylene) 또는 PI(Polyimide) 등과 같은 특정 성질을 추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필름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의 분리 또는 제거가 불가피하게 되고, 이와 같이, 필름에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장치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7034호(2001.12.0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0445호(2013.02.27.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 제조공정에 사용된 후, 롤타입으로 권취되어 있는 합성수지필름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을 자동 및 연속적으로 분리 또는 제거되도록 하여 합성수지필름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분리 또는 제거된 접착제나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의 포집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 또한 재처리과정을 수행할 경우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은, 롤타입의 합성수지필름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필름을 약액에 함침시켜 세정되도록 하는 세정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브러시를 구비하여 상기 세정부에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상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를 포함한 이물질을 박리시키고,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를 구비하여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상의 이물질을 긁어내 제거되도록 하는 제거부; 및 상기 제거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정부는, 내측 하부에 약액이 채워진 세정조; 상기 세정조 상측에 설치되어 일측의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합성수지필름상에 이물질을 잘게 부수면서 합성수지필름이 약액에 함침되도록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압착롤러; 약액이 채워진 상기 세정조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롤러를 지난 합성수지필름이 약액에 함침되면서 상기 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함침롤러; 및 상기 세정조 상측에서 상기 압착롤러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함침롤러에서 상기 제거부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을 압착하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정부는, 합성수지필름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상기 세정조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제외한 상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롤러 일측의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의 단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거부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이 통과하는 인출공을 타측 단부에 형성하며 한 쌍의 상기 지지롤러를 덮어 밀폐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거부는, 상기 세정부 상측의 타측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이물질의 박리 및 세정된 합성수지필름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들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상의 이물질을 긁어내 제거되도록 하는 스크래퍼들; 상기 이송롤러 및 스크래퍼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조; 상기 이송롤러들과 스크래퍼들 타측에 이물질이 제거된 합성수지필름을 압착 지지하며 상기 권취부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지지롤러; 내측 하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로 상기 스크래퍼와 한 쌍의 상기 지지롤러 사이 구간 하측에 구비되고, 물이 채워진 내측 하부에 함침롤러가 설치되어 타측의 상기 스크래퍼를 지난 합성수지필름이 물에 함침되면서 상기 권취부로 이송되도록 하며, 상기 함침롤러와 지지롤러 사이 구간에 스크래퍼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합성수지필름상의 이물질을 긁어내는 세척조; 및 상기 포집조 상측에서 상기 세정부와 일측의 상기 이송롤러 사이 구간에 설치된 한 쌍의 브러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브러시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다수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합성수지필름상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를 포함한 이물질을 박리시키는 박리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제거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축봉; 상기 축봉의 폭 방향 중앙부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가지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인출실린더; 및 상기 축봉의 외주면 외측에서 연결봉으로 상기 축봉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축봉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 합성수지필름을 권취하고, 폭 방향 중앙부가 상기 인출실린더와 연결을 이루는 다수의 권취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합성수지필름 상면과 하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거부 세척조의 스크래퍼들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서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비스듬히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거부의 스크래퍼들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서로 상·하 방향으로 비스듬히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거부의 스크래퍼들과 세척조의 스크래퍼들은 합성수지필름이 밀착되는 단부에 20 내지 25˚의 각도를 갖는 커터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 상기 세정부의 압착롤러, 함침롤러 및 지지롤러와, 상기 제거부의 이송롤러, 지지롤러 및 브러시와, 상기 제거부 세척조의 함침롤러와, 상기 권취부의 축봉 및 인출실린더는 각각 구동모터와 연결을 이루어 구동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공급부, 세정부, 제거부 및 권취부의 구성을 통해 인쇄회로기판 제조공정에 사용된 후, 롤타입으로 권취되어 있는 합성수지필름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을 자동 및 연속적으로 분리 또는 제거함으로써 합성수지필름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합성수지필름을 폐기처리함에 따른 비용과 자원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환경문제의 유발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필름상에 이물질을 잘게 부수는 압착롤러와, 세정조에 채워져 접착제 등과 같은 이물질을 녹이는 약액과, 잘게 부숴진 이물질을 박리하는 브러시들과, 이물질을 긁어내 제거되도록 하는 스크래퍼들과, 약액을 세척하는 물을 통해 합성수지필름에 남아있는 이물질의 분리 또는 제거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분리 또는 제거된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의 포집이 가능함으로써, 포집된 이물질 또한 별도의 재처리과정을 수행할 경우,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브러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권취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측(상부)과 하측(하부)은 합성수지필름을 이송시키는 압착롤러, 지지롤러 및 이송롤러가 함침롤러의 상측에 있도록 한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일측과 전방은 합성수지필름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방향 또는 공급부가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타측과 후방은 일측과 전방의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내측의 표현은 각 구성 또는 각 구성에 의해 구획되어진 안쪽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의 표현은 내측의 표현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필름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이 자동으로 분리 또는 제거되도록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부(10), 세정부(20), 제거부(30) 및 권취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합성수지필름(1)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필름,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필름, 폴리부텐(Polybutene:PB)필름,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PP)필름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PI)필름 등 인쇄회로기판의 원판에 사용되는 필름은 모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더하여,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공급부(10), 세정부(20), 제거부(30) 및 권취부(40)는, 장치가 설치되는 작업장소의 환경 또는 특성에 따라 다수의 프레임(F)과 플레이트(미도시)들로 연결 설치될 수 있고, 각 구성들의 크기(폭 또는 길이)나 구성들간의 간격은 합성수지필름(1)의 크기(폭 또는 권취된 두께)나 설치장소의 특성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공급부(10), 세정부(20), 제거부(30) 및 권취부(40)를 각각 또는 일체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들과 연결된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하고, 이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술한 구성들의 구동을 각각 또는 일체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롤타입의 합성수지필름(1)을 공급하는 공급부(10)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급부(1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축에 롤타입의 합성수지필름(1)을 장착하고, 이 축은 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F)에 브래킷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설치된다.
그리고, 공급부(10)는 별도의 장력조절유닛(미도시)을 구비하여 합성수지필름(1)의 이송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공급부(10)의 타측에는,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필름(1)을 약액(L)에 함침시켜 세정되도록 하는 세정부(20)를 구비한다.
이러한 세정부(2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내측 하부에 합성수지필름(1)에 남아있는 접착제 등과 같은 이물질을 녹이는 약액(L)이 채워진 세정조(21)가 구성된다.
그리고, 세정부(20)는, 세정조(21)의 상측에 한 쌍의 압착롤러(22)가 설치되어 세정부(20) 일측의 공급부(10)에서 풀리며 공급되는 합성수지필름(1)상에 이물질을 잘게 부숴 후술하는 브러시(36)를 통한 이물질의 박리가 더욱 용이하게 하면서 합성수지필름(1)이 약액(L)에 함침되도록 세정조(21)의 내측 하부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한 쌍의 압착롤러(22)는 통상적인 사포와 같이, 거친 표면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압착롤러(22) 사이를 통과하는 합성수지필름(1)상의 희토류와 같은 금속성 이물질을 깨트리거나 잘게 부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부(20)는, 상술한 약액(L)이 채워진 세정조(21)의 내측 하부에 하나 이상의 함침롤러(23)가 설치되어 한 쌍의 압착롤러(22)를 통과하며 이송된 합성수지필름(1)이 약액(L)에 함침되면서 후술하는 제거부(30)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합성수지필름(1)은 이미 설정된 시간 동안 약액(L)에 함침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송됨으로써, 접착제 등과 같은 이물질이 약액(L)에 용해되어 분리 또는 제거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세정조(21)는 바닥면에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이물질 제거작업이 완료된 후, 이물질이 녹아있는 약액(L)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이렇게 배출된 약액(L)을 별도로 포집하여 약액(L)에 녹아있는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재처리과정을 수행할 경우, 이물질 또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세정부(20)는, 세정조(21)의 상측에서 상술한 압착롤러(22)의 타측 부위에 한 쌍의 지지롤러(24)가 설치되어 함침롤러(23)를 타고 후술할 제거부(30)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을 압착하며 지지한다.
여기서, 한 쌍의 지지롤러(24)는 합성수지필름(1)을 압착하여 지지함으로써, 합성수지필름(1)의 이송장력을 유지함은 물론, 한 쌍의 지지롤러(24) 사이에서 합성수지필름(1)이 압착됨에 따라, 합성수지필름(1)을 짜내어 합성수지필름(1)상에 남아있는 이물질이 용해된 약액(L)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지지롤러(24)는, 이들과 연결되어 한 쌍의 지지롤러(24)를 밀착시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합성수지필름(1)을 짜내도록 하는 밀착실린더(24a)를 구비하고, 이 밀착실린더(24a)는 별도로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을 이루어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한 쌍의 압착롤러(24)를 밀착시킨다.
아울러, 세정부(20)는, 상술한 한 쌍의 지지롤러(24)를 덮어 밀폐하는 케이스(27)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롤러(24)의 회전과정에서 이물질이 용해된 약액(L)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이 약액(L)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작업에 사용되는 원료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유발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케이스(27)는 제거부(30)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이 통과하는 인출공(27a)을 타측 단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세정부(20)는, 합성수지필름(1)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압착롤러(22) 및 지지롤러(24)와 인접한 세정조(21)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제외한 상부를 덮는 덮개(26)를 구비하여 세정조(21) 내에 채워진 약액(L)이 건조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함께, 세정부(20)는, 상술한 압착롤러(22) 일측의 프레임(F)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의 단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S)를 구비하는데, 대체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공정에 사용된 후, 롤타입으로 감겨져 이물질 제거작업을 필요로하는 합성수지필름은 연속적으로 이어져 권취된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단절부위를 갖게 되는바, 상술한 감지센서(S)를 통해 공급부(10)로부터 풀리며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의 단절을 감지함은 물론, 이러한 감지센서(S)가 제어부(미도시)와 연결을 이루도록 하여 합성수지필름(1)의 단절을 감지함과 동시에 장치의 구동을 중지시켜 합성수지필름(1)의 이물질 제거작업에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정부(20)의 타측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브러시(36)를 구비하여 세정부(20)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필름(1)상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를 포함한 이물질을 박리시키면서,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32)를 구비하여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상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긁어내 제거되도록 하는 제거부(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거부(30)는, 세정부(20) 상측의 타측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이송롤러(31)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물질의 박리 및 세정된 합성수지필름(1)을 후술하는 권취부(40)로 이송시킨다.
게다가, 제거부(30)는, 상술한 세정부(20)의 지지롤러(24)와 가장 일측의 이송롤러(31) 사이 구간에 한 쌍의 브러시(36)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합성수지필름(1)상에 남아있는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을 박리시킨다.
이때, 상술한 브러시(36)는, 도시한 도 4와 같이, 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F)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몸체(36a)와, 이 몸체(36a)의 외주연에 다수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합성수지필름(1)상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를 포함한 이물질을 박리시키는 박리모(36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브러시(36)는 그 몸체(36a)가 별도로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을 이루어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약액(L)이 채워진 세정조(21) 내측 하부에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상의 이물질을 박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세정부(20)의 압착롤러(22)를 통해 합성수지필름(1)상의 이물질이 깨지거나 잘게 부숴져 회전하는 브러시(36)에 의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것이고, 이를 통해, 이물질의 분리 또는 제거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브러시(36)를 통해 박리된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은 그 자중에 의해 후술하는 포집조(33)에 자연스럽게 포집될 수 있고, 이렇게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재처리과정을 수행할 경우, 이물질 또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고가의 희토류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높은 경제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거부(30)는, 상술한 이송롤러(31)들 사이에 스크래퍼(32)들이 설치되어 합성수지필름(1)이 이송롤러(31)들을 통해 후술할 권취부(40)로 이송되면서 상술한 세정부(20) 또는 브러시(36)를 통해 분리 또는 제거되지 않을 수 있는 이물질마저도 긁어내어 분리 또는 제거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이물질의 분리 또는 제거율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퍼(32)들은,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이 밀착되는 단부에 20 내지 25˚의 각도(a)를 갖는 커터날(32a)이 구비되어 이물질의 분리 또는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술한 이송롤러(31)들과, 스크래퍼(32)들과, 한 쌍의 브러시(36)는 그들이 이루는 간격과 그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합성수지필름(1)의 두께나 권취된 길이 또는 이송장력에 따라 합성수지필름(1)과의 밀착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스크래퍼(32)들과 브러시(36)는 필요에 따라 그 설치 개수를 더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거부(30)는, 이송롤러(31)들과 스크래퍼(32)들과 한 쌍의 브러시(36)의 하측에 포집조(33)를 구비하여 브러시(36) 및 스크래퍼(32)들에 의해 분리 또는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하고, 포집조(33)에 포집된 이물질은 별도의 재처리과정을 수행할 경우, 이 또한 재활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더불어, 제거부(30)는, 이송롤러(31)들과 스크래퍼(32)들 타측에 이물질이 제거된 합성수지필름(1)을 지지하며 후술할 권취부(40)로 이송되게 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34)가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롤러(34)는, 상술한 세정부(20)의 지지롤러(24)들과 같이, 이들과 연결되어 한 쌍의 지지롤러(34)를 밀착시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합성수지필름(1)을 짜내도록 하는 밀착실린더(34a)를 구비하고, 이 밀착실린더(34a)는 별도로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을 이루어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한 쌍의 압착롤러(34)를 밀착시킨다.
게다가, 제거부(30)는, 내측 하부에 물(W)이 채워진 상태로 가장 타측의 스크래퍼(32)와 한 쌍의 지지롤러(34) 사이 구간 하측에 구비되고, 물(W)이 채워진 내측 하부에 함침롤러(35a)가 설치되어 가장 타측의 스크래퍼(32)를 지난 합성수지필름(1)이 물(W)에 함침되면서 후술하는 권취부(40)로 이송되도록 하며, 함침롤러(35a)와 한 쌍의 지지롤러(34) 사이 구간에 스크래퍼(35b)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합성수지필름(1)상의 이물질을 긁어내는 세척조(3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합성수지필름(1) 상에 남아있을 수 있는 이물질이 용해된 약액(L)을 물(W)로 세척함은 물론, 이 세척을 통해서도 분리 또는 제거되지 않을 수 있는 접착제 등과 같은 이물질을 스크래퍼(35b)로 긁어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분리 또는 제거율을 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세척조(35)의 물(W)로 세척된 약액(L)이나, 스크래퍼(35b)로 분리 또는 제거된 이물질을 세척조(35) 내부에 포집하게 되는 것이고, 포집된 이물질은 별도의 재처리과정을 수행할 경우, 이 또한 재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물(W)로 세척되면서 스크래퍼(35b)로 이물질이 분리 또는 제거된 합성수지필름(1)은 한 쌍의 지지롤러(34) 사이를 지나며 후술하는 권취부(40)로 이송되게 되고, 이때, 한 쌍의 지지롤러(34)는 합성수지필름(1)을 압착하여 지지함으로써, 합성수지필름(1)의 이송장력을 유지함은 물론, 한 쌍의 지지롤러(34) 사이에서 합성수지필름(1)이 압착됨에 따라, 합성수지필름(1)을 짜내어 합성수지필름(1) 상에 남아있을 수 있는 물(W)을 건조시켜 재활용될 합성수지필름(1)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척조(35)의 함침롤러(35a)는 상술한 세정부(20)의 함침롤러(23)와 그 구조나 형상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고, 이와 함께, 세척조(35)의 스크래퍼(35b)는 상술한 제거부(30)의 스크래퍼(32)와 그 구조나 형상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어서, 이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양면 즉, 합성수지필름(1)의 상면과 하면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하고자 할 경우, 도시한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거부(30) 세척조(35)의 스크래퍼(35b)들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비스듬히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제거부(30)의 스크래퍼(32)들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서로 상·하 방향으로 비스듬히 마주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물질의 박리 및 세정과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합성수지필름(1)의 이송과정 중, 그 상면과 하면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거부(30)의 지지롤러(34)와 후술하는 권취부(40) 사이에 건조용 파이프나 송풍기로 이루어진 별도의 건조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합성수지필름(1)이 건조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거부(30)의 타측에는, 제거부(3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을 다시 롤타입으로 권취하는 권취부(40)가 설치된다.
이러한 권취부(40)는, 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F)에 축봉(41)이 설치되는데, 이때, 축봉(41)은 별도로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권취부(40)는 상술한 축봉(41)의 폭 방향 중앙부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가지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다수의 인출실린더(42)가 설치되고, 이 인출실린더(42)는 별도로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을 이루어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축봉(41)측 또는 축봉(41)의 외측으로 승강한다.
또한, 권취부(40)는 축봉(41)의 외주면 외측에서 축봉(4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권취봉(43)이 연결봉(44)으로 축봉(41)과 연결 설치되어 축봉(4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술한 제거부(30)로부터 이송된 합성수지필름(1)를 권취하게 된다.
여기서, 다수의 권취봉(43)은 상술한 다수의 인출실린더(42)와 개별적으로 연결을 이루어 인출실린더(42)의 승강시 함께 승강되어 권취된 합성수지필름(1)을 권취부(40)로부터 인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즉,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의 권취시, 상술한 인출실린더(42)가 상승되어 권취봉(43) 또한 상승된 상태로 합성수지필름(1)을 신장시키며 권취하여, 합성수지필름(1)의 권취를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권취된 합성수지필름(1)을 권취부(40)로부터 인출시킬 때에는 인출실린더(42)를 하강시켜 권취봉(43) 또한 하강된 상태로 합성수지필름(1)의 인출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상술한 공급부(10), 세정부(20)의 압착롤러(22), 함침롤러(23) 및 지지롤러(24)와, 제거부(30)의 이송롤러(31), 지지롤러(34) 및 브러시(36)와, 제거부(30) 세척조(35)의 함침롤러(35a)와, 권취부(40)의 축봉(41) 및 인출실린더(42)는 각각 또는 일체로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을 이루어 구동되고, 이 구동모터(미도시)는 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술한 공급부(10), 세정부(20), 제거부(30) 및 권취부(40)의 구성을 통해 인쇄회로기판 제조공정에 사용된 후, 롤타입으로 권취되어 있는 합성수지필름(1)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을 자동 및 연속적으로 분리 또는 제거함으로써 합성수지필름(1)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합성수지필름을 폐기처리함에 따른 비용과 자원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환경문제의 유발을 차단할 수 있고, 합성수지필름(1)상에 이물질을 잘게 부수는 압착롤러(22)와, 세정조(21)에 채워져 접착제 등과 같은 이물질을 녹이는 약액(L)과, 잘게 부숴진 이물질을 박리하는 브러시(36)들과, 이물질을 긁어내 제거되도록 하는 스크래퍼(32)들과, 약액(L)을 세척하는 물(W)을 통해 합성수지필름(1)에 남아있는 이물질의 분리 또는 제거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분리 또는 제거된 희토류와 같은 이물질의 포집이 가능함으로써, 포집된 이물질 또한 별도의 재처리과정을 수행할 경우,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합성수지필름 10 : 공급부
20 : 세정부 21 : 세정조
22 : 압착롤러 23 : 함침롤러
24 : 지지롤러 24a : 밀착실린더
26 : 덮개 27 : 케이스
27a : 인출공 30 : 제거부
31 : 이송롤러 32 : 스크래퍼
32a : 커터날 33 : 포집조
34 : 지지롤러 34a : 밀착실린더
35 : 세척조 35a : 함침롤러
35b : 스크래퍼 36 : 브러시
36a : 몸체 36b : 박리모
40 : 권취부 41 : 축봉
42 : 인출실린더 43 : 권취봉
44 : 연결봉 F : 프레임
L : 약액 S : 감지센서
W : 물

Claims (9)

  1. 롤타입의 합성수지필름(1)을 공급하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필름(1)을 약액(L)에 함침시켜 세정되도록 하는 세정부(20);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브러시(36)를 구비하여 상기 세정부(20)에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상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를 포함한 이물질을 박리시키고,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32)를 구비하여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상의 이물질을 긁어내 제거되도록 하는 제거부(30); 및
    상기 제거부(30)에서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을 권취하는 권취부(40);를 포함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20)는, 내측 하부에 약액(L)이 채워진 세정조(21);
    상기 세정조(21) 상측에 설치되어 일측의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된 합성수지필름(1)상에 이물질을 잘게 부수면서 합성수지필름(1)이 약액(L)에 함침되도록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압착롤러(22);
    약액(L)이 채워진 상기 세정조(21)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롤러(22)를 지난 합성수지필름(1)이 약액(L)에 함침되면서 상기 제거부(30)로 이송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함침롤러(23); 및
    상기 세정조(21) 상측에서 상기 압착롤러(22)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함침롤러(23)에서 상기 제거부(30)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을 압착하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20)는, 합성수지필름(1)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상기 세정조(21)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제외한 상부를 덮는 덮개(26)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롤러(22) 일측의 프레임(F)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의 단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S)를 구비하며, 상기 제거부(30)로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이 통과하는 인출공(27a)을 타측 단부에 형성하며 한 쌍의 상기 지지롤러(24)를 덮어 밀폐하는 케이스(2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30)는, 상기 세정부(20) 상측의 타측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이물질의 박리 및 세정된 합성수지필름(1)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31);
    상기 이송롤러(31)들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합성수지필름(1)상의 이물질을 긁어내 제거되도록 하는 스크래퍼(32)들;
    상기 이송롤러(31) 및 스크래퍼(32)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조(33);
    상기 이송롤러(31)들과 스크래퍼(32)들 타측에 이물질이 제거된 합성수지필름(1)을 압착 지지하며 상기 권취부(40)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지지롤러(34);
    내측 하부에 물(W)이 채워진 상태로 상기 스크래퍼(32)와 한 쌍의 상기 지지롤러(34) 사이 구간 하측에 구비되고, 물(W)이 채워진 내측 하부에 함침롤러(35a)가 설치되어 타측의 상기 스크래퍼(32)를 지난 합성수지필름(1)이 물(W)에 함침되면서 상기 권취부(40)로 이송되도록 하며, 상기 함침롤러(35a)와 지지롤러(34) 사이 구간에 스크래퍼(35b)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합성수지필름(1)상의 이물질을 긁어내는 세척조(35); 및
    상기 포집조(33) 상측에서 상기 세정부(20)와 일측의 상기 이송롤러(31) 사이 구간에 설치된 한 쌍의 브러시(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36)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의 몸체(36a)와, 상기 몸체(36a)의 외주연에 다수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합성수지필름(1)상에 남아있는 접착제나 희토류를 포함한 이물질을 박리시키는 박리모(36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40)는, 상기 제거부(30)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축봉(41);
    상기 축봉(41)의 폭 방향 중앙부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가지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인출실린더(42); 및
    상기 축봉(41)의 외주면 외측에서 연결봉(44)으로 상기 축봉(41)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축봉(41)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 합성수지필름(1)을 권취하고, 폭 방향 중앙부가 상기 인출실린더(42)와 연결을 이루는 다수의 권취봉(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필름(1) 상면과 하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거부(30) 세척조(35)의 스크래퍼(35b)들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서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비스듬히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거부(30)의 스크래퍼(32)들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서로 상·하 방향으로 비스듬히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30)의 스크래퍼(32)들과 세척조(35)의 스크래퍼(35b)들은 합성수지필름(1)이 밀착되는 단부에 20 내지 25˚의 각도(a)를 갖는 커터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 상기 세정부(20)의 압착롤러(22), 함침롤러(23) 및 지지롤러(24)와, 상기 제거부(30)의 이송롤러(31), 지지롤러(34) 및 브러시(36)와, 상기 제거부(30) 세척조(35)의 함침롤러(35a)와, 상기 권취부(40)의 축봉(41) 및 인출실린더(42)는 각각 구동모터와 연결을 이루어 구동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60146603A 2016-11-04 2016-11-04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92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03A KR101925917B1 (ko) 2016-11-04 2016-11-04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03A KR101925917B1 (ko) 2016-11-04 2016-11-04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996A true KR20180049996A (ko) 2018-05-14
KR101925917B1 KR101925917B1 (ko) 2018-12-06

Family

ID=6218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03A KR101925917B1 (ko) 2016-11-04 2016-11-04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9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234B1 (ko) * 2022-08-12 2023-05-04 주식회사 오피오 필름지 이물질 제거장치
CN117361205A (zh) * 2023-12-08 2024-01-09 青州市华松塑业有限公司 一种药用袋生产用卷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660B1 (ko) * 2012-03-16 2014-03-28 이윤구 폐 접착 필름의 접착제 제거장치
KR101547754B1 (ko) * 2014-02-05 2015-08-26 최윤영 폐합성수지필름에서 코팅이물질을 박리하는 박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234B1 (ko) * 2022-08-12 2023-05-04 주식회사 오피오 필름지 이물질 제거장치
CN117361205A (zh) * 2023-12-08 2024-01-09 青州市华松塑业有限公司 一种药用袋生产用卷绕装置
CN117361205B (zh) * 2023-12-08 2024-02-20 青州市华松塑业有限公司 一种药用袋生产用卷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917B1 (ko)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917B1 (ko)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1958352A (zh) 一种光伏组件的背板回收系统及方法
KR101925916B1 (ko)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WO2018034300A1 (ja) 複合脱水装置
CN112026060A (zh) 一种聚氨酯海绵回收再利用处理方法
KR101636555B1 (ko) 기판용 필름의 재활용을 위한 피착물 박리장치
KR200434861Y1 (ko) 벽지로부터 pvc 코팅층을 분리시키는 장치
JP2012158457A (ja) ペーパーロールの巻取装置
CN212399026U (zh) 一种光伏组件的背板回收系统
KR101629784B1 (ko) 금속박 배출 및 권취 장치
KR100878986B1 (ko) 팽윤액을 이용한 필름 접착제분리기
KR102529234B1 (ko) 필름지 이물질 제거장치
KR101687633B1 (ko) 진공챔버를 이용한 폐합성수지 탈수 장치
EP2631051B1 (en) Post consumer scrap film recycling process
KR100878985B1 (ko) 다중 이질 적층 필름 분리기
CN105396864B (zh) 防锈纸纸塑湿热分离装置及分离方法
JP2014188503A (ja) 電気浸透脱水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20140136661A (ko) 벨트필터프레스의 스크레이핑 장치
KR101547754B1 (ko) 폐합성수지필름에서 코팅이물질을 박리하는 박리장치
KR102456300B1 (ko) 롤형 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9119737A (ja) 農業用マルチシートの処理装置
CN218711660U (zh) 一种具有除毛功能的验布打卷机
CN214767635U (zh) 用于除去废弃瓶体外表面花纸膜的装置
KR101415673B1 (ko) 폐디스플레이 패널 재활용 장치
CN217289045U (zh) 一种水泵修复用表面涂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