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965A - 인도블록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인도블록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965A
KR20180049965A KR1020160146529A KR20160146529A KR20180049965A KR 20180049965 A KR20180049965 A KR 20180049965A KR 1020160146529 A KR1020160146529 A KR 1020160146529A KR 20160146529 A KR20160146529 A KR 20160146529A KR 20180049965 A KR20180049965 A KR 20180049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hopper
block
supply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951B1 (ko
Inventor
박윤근
Original Assignee
박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근 filed Critical 박윤근
Priority to KR102016014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9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3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블록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 형상의 몰드(410)와 몰드(410)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가압수단(420)을 이용해 블록을 성형하는 성형부(400)와, 제2호퍼(210) 및 제2왕복수단(220)을 이용해 거친몰탈(B)을 성형부(400)에 이송하는 2차몰탈공급부(200)와, 제3호퍼(310) 및 제3왕복수단(320)을 이용해 유색몰탈(C)을 성형부(400)에 이송하는 3차몰탈공급부(300)를 포함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몰탈공급부(200)의 일측에는 연성몰탈(A)을 성형부(400)에 공급하는 1차몰탈공급부(10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 연성몰탈(A)과 거친몰탈(B)과 유색몰탈(C)이 성형부(400)에서 동시에 가압되어 3단 구조가 상호 견고한 결속력을 가지고 강도 및 내구성이 현격히 향상된 인도블록을 용이하게 제조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인도블록 성형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SIDEWALK BLOCK}
본 발명은 인도블록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시멘트 몰탈과 안료 등의 색소층을 공급하여 가압 성형되는 인도블록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거친몰탈의 하층에 적층되도록 연성몰탈을 정량 공급하는 1차몰탈공급부를 구비함에 따라 3종의 몰탈을 성형부에서 동시에 가압하여 3단 구조의 견고한 인도블록을 자동으로 성형 및 취출하도록 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보도)블록은 인도나 광장의 포장에 사용하는 조합 블록이다. 과거에는 콘크리트를 이용해 인도를 포장 시공하였으나 유지 보수 및 재공사 등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어 인도블록을 이용해 시공하게 되었다.
인도블록은 제조에 사용되는 골재의 종류 및 구조, 기능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심지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인터록킹 블록, 투수 기능성을 가지는 투수블록, 표면층에 컬러 및 광택을 표현할 수 있는 컬러블록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와 같은 인도블록은 일반적으로 시멘트나 콘크리트, 모래 등의 골재 혼합물을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원하는 형상에 따라 형성된 몰드에 투입하고, 일정 압력으로 가압 성형 후 양생시키거나 매립지에 타설하면서 다짐(Compation)하는 방식에 의해 제조된다.
통상적인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일례로서 공지된 등록실용신안 제 20 - 0027201 호의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중심부에 가압기가 구비되고, 수평기판상에 안내 레일을 착설하여 로라를 부착한 금형틀을 안치하고, 상기 금형틀에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여 표면에 색소를 칠한 후 금형틀의 손잡이를 잡고 가압기 하부로 밀어넣어 압축 및 탈형함에 따라 인도블록을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는 금형틀에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고 색소를 표면에 칠한 후 가압기로 이송하여 압축하도록 구성되므로 실질적으로 색소층의 구조가 매우 빈약한 인도블록을 제조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금형틀에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여 1차적으로 가압기에서 압축 및 진동을 실시하여 다짐한 후, 그 위에 색소층을 주입하고 재차 가압기에서 압축 및 진동을 실시하는 2단계 다짐 방식의 공정을 적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주지 관용되고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 10 - 2001 - 0062121 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인 기본층몰탈을 금형틀에 채우고 진동을 주며 고압으로 가압하여 기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성형된 기본층 위에 기본층의 1/6정도의 높이가 되도록 유색몰탈을 채우고 진동을 주며 고압으로 가압하여 보도블록의 모양을 형성하는 단계와, 성형된 보도블록을 양생실이나 자연광을 이용하여 양생시켜 보도블록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또 다른 예로서 공개특허 제 10 - 2013 - 0093121 호에 공지된 다층 동시성형 방식의 제조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하부가 관통되고 내부에 굵은골재가 채워지는 형틀과, 간헐적으로 이송되다가 상기 형틀에서 상승된 뒤 개방된 밑면을 막아 굵은골재를 받쳐주고 블록이 성형되면 하강되어 블록을 건조장으로 이송시키는 성형판과, 몰탈과 교반중인 굵은골재를 정량 공급받아 상기 형틀 상부로 운반하는 굵은골재 공급통과, 상기 굵은골재 공급통의 반대쪽에서 몰탈과 교반중인 작은골재를 정량 공급받아 상기 형틀 상부로 운반하는 작은골재 공급통과, 상기 작은골재 공급통과 상기 형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되고 상기 형틀의 상부에 겹쳐지면 작은골재가 굵은골재의 위쪽에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골재안내수단과, 상기 형틀에 진동이 가해지는 동안 상기 작은골재가 상기 골재안내수단에서 형틀 내부로 가압되어 굵은골재와 함께 다져지도록 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록실용신안 제 20 - 0027201 호 공개특허 제 10 - 2001 - 0062121 호 공개특허 제 10 - 2013 - 0093121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 - 0362477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는 금형틀에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여 1차적으로 압축한 후, 그 위에 색소층을 주입하고 재차 압축하는 2단계 다짐 방식의 공정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하므로 공정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수반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2단계 다짐 방식을 적용할 경우 기초층이 1차 가압된 상태에서 유색몰탈을 붓고 재차 가압하게 되므로 기초층과 유색층 간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층분리를 야기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초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 10 - 2013 - 0093121 호에서는 기초층과 미장층을 양측 공급통에 적재한 후 한 번의 누름공정으로 동시 다짐되도록 구성되는 다층 동시성형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조장치는 2가지 골재 몰탈을 공급하여 동시에 가압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시멘트 등의 기초골재 몰탈과 표면 미장층 몰탈이 적층된 2단 구조의 인도블록을 제조하는 데 그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블록 형상의 몰드(410)와 몰드(410)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가압수단(420)을 이용해 블록을 성형하는 성형부(400)와, 제2호퍼(210) 및 제2왕복수단(220)을 이용해 거친몰탈(B)을 성형부(400)에 이송하는 2차몰탈공급부(200)와, 제3호퍼(310) 및 제3왕복수단(320)을 이용해 유색몰탈(C)을 성형부(400)에 이송하는 3차몰탈공급부(300)를 포함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몰탈공급부(200)의 일측에는, 연성몰탈(A)을 성형부(400)에 공급하는 1차몰탈공급부(100)를 구비하고;
상기 1차몰탈공급부(100)는,
상단 제1주입구(111) 및 하단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는 일측 제1배출구(112)를 향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공급롤러(113)를 구비하는 주입호퍼(110)와,
상기 제1배출구(112)를 향하여 형성된 상단 제2주입구(121) 및 하단 제2배출구(122)가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호퍼(210)의 상·하단에 상응하는 높이로 구비되는 이송호퍼(120)와,
상기 제2배출구(122)를 향하여 형성된 상단 제3주입구(131) 및 하단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2호퍼(210)의 하단에서 제2왕복수단(220)에 의해 성형부(400)를 왕복하는 제1공급통(230)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제3배출구(132)를 구비하는 공급호퍼(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연성몰탈(A)과 거친몰탈(B)과 유색몰탈(C)이 성형부(400)에서 동시 가압되어 3단으로 형성되는 인도블록을 성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이 현격히 향상된 인도블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시멘트나 모래 등의 기본골재로 이루어진 거친몰탈을 성형부에 공급하는 2차몰탈공급부와 인도블록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유색몰탈을 성형부에 공급하는 3차몰탈공급부와 함께 1차몰탈공급부를 구성하여 성형부에 3종의 재료를 공급하여 동시에 가압함에 따라 층간 결속력 및 내구성이 더욱 강화된 3단 구조의 인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2차 및 3차몰탈공급부를 구비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구조변경을 최소화하면서 1차몰탈공급부를 구성하는 효율적인 설계를 통해 작동기제의 변동에 따른 접근성 저하를 최소화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시멘트 몰탈 및 색소층으로 이루어진 2단 구조의 인도블록에 비해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3단 구조의 인도블록은 최저층인 연성몰탈이 지면과 거친몰탈 사이에서 안정적인 완충 및 지지력을 확립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호퍼의 정면도(a) 및 우측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인도블록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호퍼(130)의 정면도(a) 및 우측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인도블록의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는 종래 인도블록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거친몰탈(B) 하층에 연성몰탈(A)이 적층되도록 정량 공급하는 1차몰탈공급부(100)를 구비함에 따라 연성몰탈(A), 거친몰탈(B), 유색몰탈(C)로 이루어진 3종의 몰탈(A,B,C)을 성형부(400)에 공급한 후 동시에 가압하여 층간 결속력이 강화된 3단 구조의 견고한 인도블록을 자동으로 성형 및 취출하도록 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에 관한 기술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친몰탈(B)을 성형부(400)에 이송하는 2차몰탈공급부(200)와, 연성몰탈(A)을 2차몰탈공급부(200)를 거쳐 성형부(400)에 공급하는 1차몰탈공급부(100)와, 유색몰탈(C)을 성형부(400)에 이송하는 3차몰탈공급부(3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성형부(400)는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블록 형상의 몰드(410)와, 몰드(410)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가압수단(420)을 이용해 블록을 성형한다.
상기 성형부(400)의 양측에는 각각 2차몰탈공급부(200)와 3차몰탈공급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2차몰탈공급부(200)는 컨베이어를 통해 거친몰탈(B)을 주입받는 제2호퍼(210)와, 제2호퍼(210)의 하단에 마련되어 거친몰탈(B)을 수용하는 제1공급통(230)을 상기 몰드(410)를 향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제2왕복수단(220)으로 이루어져 거친몰탈(B)을 성형부(400)에 이송한다.
상기 3차몰탈공급부(300)는 컨베이어를 통해 유색몰탈(C)을 주입받는 제3호퍼(310)와, 제3호퍼(310)의 하단에 마련되어 유색몰탈(C)을 수용하는 제2공급통(330)을 상기 몰드(410)를 향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제3왕복수단(320)으로 이루어져 유색몰탈(C)을 성형부(400)에 이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통(230)과 제2공급통(330)은 몰드(410)의 크기에 상응하는 상,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 하측 고정판(미부호)과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왕복수단(220) 및 제3왕복수단(320)은 제1공급통(230) 및 제2공급통(330)을 몰드(410)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가압수단(420)과 제1,2공급통(230,330)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1차몰탈공급부(100)는 2차몰탈공급부(200) 및 3차몰탈공급부(300)의 작동에 앞서 연성몰탈(A)을 상기 몰드(410)의 최저부에 공급하도록 2차몰탈공급부(2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 일측에 구비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호퍼(110)와, 이송호퍼(120)와, 공급호퍼(130)로 구성된다.
상기 주입호퍼(110)는 컨베이어를 통해 연성몰탈(A)이 주입되는 상단 제1주입구(111) 및 하단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는 일측에 형성된 제1배출구(112)를 향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공급롤러(113)를 구비한다.
상기 제1공급롤러(113)는 주입호퍼(110)의 일측에 별도의 구동수단(114)을 구비하여 연성몰탈(A)을 이송호퍼(120)로 정량 배출하여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호퍼(120)는 상기 주입호퍼(110)에 주입된 연성몰탈(A)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112)를 향하여 형성된 상단 제2주입구(121) 및 하단 제2배출구(122)가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급호퍼(130)로 연성몰탈(A)을 이송한다.
상기 이송호퍼(120)는 상기 제2호퍼(210)의 상·하단에 상응하는 높이로 구비되어 이송호퍼(120)의 하측에 구비되는 공급호퍼(130)가 상기 2차몰탈공급부(200)의 제2호퍼(210)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1공급통(230)에 연성몰탈(A)을 순조롭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공급호퍼(130)는 상기 이송호퍼(120)에서 연성몰탈(A)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122)를 향하여 형성된 상단 제3주입구(131) 및 하단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공급호퍼(130)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2호퍼(210)의 하단에서 제2왕복수단(220)에 의해 성형부(400)를 왕복하는 제1공급통(230)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제3배출구(13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급호퍼(130)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배출구(132)의 상측에서 공급호퍼(130)의 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판(133)과, 상기 가이드판(133)의 양측에 구비되고 외부에 마련된 공압수단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개폐부(134)와, 상기 개폐부(134)에 결합하여 제3배출구(1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13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공급호퍼(130)의 하단에는 제3배출구(132)를 향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공급롤러(136)를 구비하여 게이트(135)와 연계 작용에 의해 정량의 연성몰탈(A)을 제1공급통(230)에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공급롤러(136)는 주입호퍼(110)의 일측에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2차몰탈공급부(200)의 제2왕복수단(220)을 구동하도록 마련된 구동수단(221)과 연동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통(230)이 제2왕복수단(220)에 의해 제2호퍼(210)의 하측에 전진 시 제2왕복수단(220)과 연동된 제1공급롤러(113)가 제3배출구(132)를 향해 정회전하여 공급호퍼(130)로부터 연성몰탈(A)을 제1공급통(230)으로 정량 배출하여 공급하고, 반대로 상기 제1공급통(230)이 후진 시에는 제1공급롤러(113)가 정지하여 연성몰탈(A)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1차몰탈공급부(100)에 의해 공급되는 연성몰탈(A)과, 2차몰탈공급부(200)에 의해 공급되는 거친몰탈(B)과, 3차몰탈공급부(300)에 의해 공급되는 유색몰탈(C)이 성형부(400)에서 동시 가압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3단으로 형성되는 인도블록을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인도블록 성형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는 종래 시멘트 몰탈과 색소층으로 이루어진 2단 구조의 인도블록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진하도록 최저층에 연성몰탈(A)과 중간층에 거친몰탈(B), 및 최상층에 유색몰탈(C)로 이루어진 3단 구조의 인도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이며, 특히 상기 3종의 몰탈(A,B,C)을 제1 내지 3몰탈공급부(100~300)를 이용해 성형부(400)의 몰드(410) 내에 순차로 공급, 적층한 후 가압수단(420)이 동시에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차몰탈공급부(100)의 상부에 연결된 컨베이어를 이용해 주입호퍼(110)의 제1주입구(111)를 통해 연성몰탈(A)을 주입한다. 주입된 연성몰탈(A)은 주입호퍼(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구동수단(114)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공급롤러(113)에 의해 일측에 형성된 제1배출구(112)로 정량 배출된다.
상기 제1배출구(112)에서 배출되는 연성몰탈(A)은 이송호퍼(120)의 제2주입구(121)를 통해 이송호퍼(120) 내에서 적정 속도를 유지하면서 하단의 제2배출구(122)로 배출된다.
상기 제2배출구(122)에서 배출되는 연성몰탈(A)은 공급호퍼(130)의 제3주입구(131)를 통해 공급호퍼(130) 내의 가이드판(133)을 타고 유입되며 하단에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구동하는 제2공급롤러(136)에 의해 일측에 형성된 제3배출구(132)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3배출구(132)에는 개폐부(134)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게이트(135)가 구비되므로 구동수단(221)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제2공급롤러(136)와 게이트(135)가 연계 작동하여 제3배출구(132)를 개폐하면서 연성몰탈(A)을 정량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1차몰탈공급부(100)에서 배출되는 연성몰탈(A)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몰탈공급부(200)의 제1공급통(230)으로 공급되어 거친몰탈(B)이 제1공급통(230)으로 공급될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2차몰탈공급부(200)의 상부에 연결된 컨베이어를 이용해 제2호퍼(210)에 거친몰탈(B)을 주입한다. 주입된 거친몰탈(B)은 제2호퍼(210) 내에서 적정 속도를 유지하면서 하단에 구비된 제1공급통(230)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공급통(230)은 제2왕복수단(220)에 의해 전진된 상태, 즉 제2호퍼(21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이어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미 상기 1차몰탈공급부(100)에 의해 연성몰탈(A)이 공급된 상태의 제1공급통(230)에 상기 2차몰탈공급부(200)에 의해 거친몰탈(B)이 공급되어 2종의 몰탈이 적층된 상태가 되며, 이때 상기 제2왕복수단(220)이 제1공급통(230)을 성형부(400)를 향해 전진시켜 몰드(410)의 상측에 제1공급통(230)을 위치시킨 후 대기한다.
다음으로, 상기 3차몰탈공급부(300)의 상부에 연결된 컨베이어를 이용해 제3호퍼(310)에 유색몰탈(C)을 주입한다. 주입된 유색몰탈(C)은 제3호퍼(310) 내에서 적정 속도를 유지하면서 하단에 구비된 제2공급통(330)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2공급통(330)은 제3왕복수단(320)에 의해 전진된 상태, 즉 제3호퍼(31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이어야 함은 물론이며, 아울러 유색몰탈(C)의 공급량을 자유롭게 제어하도록 제3호퍼(310)의 하단에는 상기 1차몰탈공급부(100)에서와 같은 소정의 공급롤러(321)를 구동수단(322)과 함께 추가로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미 상기 1차몰탈공급부(100) 및 2차몰탈공급부(200)에 의해 연성몰탈(A)과 거친몰탈(B)이 순차로 적층되어 성형부(400)의 몰드(410) 상측에 위치하는 제1공급통(230)의 상측으로, 상기 제3왕복수단(320)이 제2공급통(330)을 성형부(400)를 향해 전진하여 위치시킨 후 대기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성형부(400)의 몰드(410) 상측에 제1공급통(230) 및 제2공급통(330)이 위치한 상태에서 가압수단(420)이 하향 작동하여 가압을 실시하면 제2공급통(330)의 유색몰탈(C)과 제1공급통(230)의 거친몰탈(B) 및 연성몰탈(A)이 몰드(410) 내부로 압축되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3단 구조의 인도블록 형상으로 성형된다. 후속되는 각종 소성 및 취출 공정에 대해서는 주지된 기술을 참고하면 될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도블록 성형장치는 기본골재로 이루어진 거친몰탈(B)을 성형부(400)에 공급하는 2차몰탈공급부(200)와 인도블록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유색몰탈(C)을 성형부(400)에 공급하는 3차몰탈공급부(300)와 함께 연성몰탈(A)을 공급하는 1차몰탈공급부(100)를 구성하여 성형부(400)에 3종의 재료를 공급한 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성형장치에서 시멘트 몰탈과 색소층을 2단계 다짐 방식을 적용해 개별 다짐하여 제조되는 2단 구조의 인도블록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인도블록 성형장치는 3종의 재료를 동시에 가압하여 다짐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3단 구조 간의 견고한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최저층인 연성몰탈(A)이 지면과 거친몰탈(B) 사이에서 안정적인 완충 및 지지력을 확립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인도블록을 제조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A: 연성몰탈 B: 거친몰탈
C: 유색몰탈 100: 1차몰탈공급부
110: 주입호퍼 111: 제1주입구
112: 제1배출구 113: 제1공급롤러
114: 구동수단 120: 이송호퍼
121: 제2주입구 122: 제2배출구
130: 공급호퍼 131: 제3주입구
132: 제3배출구 133: 가이드판
134: 개폐부 135: 게이트
136: 제2공급롤러 200: 2차몰탈공급부
210: 제2호퍼 220: 제2왕복수단
221: 구동수단 230: 제1공급통
300: 3차몰탈공급부 310: 제3호퍼
311: 구동수단 320: 제3왕복수단
321: 공급롤러 322: 구동수단
330: 제2공급통 400: 성형부
410: 몰드 420: 가압수단

Claims (3)

  1. 블록 형상의 몰드(410)와 몰드(410)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가압수단(420)을 이용해 블록을 성형하는 성형부(400)와, 제2호퍼(210) 및 제2왕복수단(220)을 이용해 거친몰탈(B)을 성형부(400)에 이송하는 2차몰탈공급부(200)와, 제3호퍼(310) 및 제3왕복수단(320)을 이용해 유색몰탈(C)을 성형부(400)에 이송하는 3차몰탈공급부(300)를 포함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몰탈공급부(200)의 일측에는, 연성몰탈(A)을 성형부(400)에 공급하는 1차몰탈공급부(100)를 구비하고;
    상기 1차몰탈공급부(100)는,
    상단 제1주입구(111) 및 하단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는 일측 제1배출구(112)를 향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공급롤러(113)를 구비하는 주입호퍼(110)와,
    상기 제1배출구(112)를 향하여 형성된 상단 제2주입구(121) 및 하단 제2배출구(122)가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호퍼(210)의 상·하단에 상응하는 높이로 구비되는 이송호퍼(120)와,
    상기 제2배출구(122)를 향하여 형성된 상단 제3주입구(131) 및 하단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2호퍼(210)의 하단에서 제2왕복수단(220)에 의해 성형부(400)를 왕복하는 제1공급통(230)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제3배출구(132)를 구비하는 공급호퍼(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연성몰탈(A)과 거친몰탈(B)과 유색몰탈(C)이 성형부(400)에서 동시 가압되어 3단 구조의 인도블록을 성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퍼(130)에는,
    제3배출구(132)의 상측에서 공급호퍼(130)의 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판(133)과,
    상기 가이드판(133)의 양측에 구비되고 외부에 마련된 공압수단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개폐부(134)와,
    상기 개폐부(134)에 결합하여 제3배출구(1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135)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퍼(130)의 하단에는, 제3배출구(132)를 향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공급롤러(136)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블록 성형장치.
KR1020160146529A 2016-11-04 2016-11-04 인도블록 성형장치 KR10187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529A KR101879951B1 (ko) 2016-11-04 2016-11-04 인도블록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529A KR101879951B1 (ko) 2016-11-04 2016-11-04 인도블록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965A true KR20180049965A (ko) 2018-05-14
KR101879951B1 KR101879951B1 (ko) 2018-07-18

Family

ID=6218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529A KR101879951B1 (ko) 2016-11-04 2016-11-04 인도블록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9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620B1 (ko) * 2018-11-19 2019-04-10 박용택 보도 블럭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CN117536462A (zh) * 2024-01-08 2024-02-09 山西冶金岩土工程勘察有限公司 一种砂浆自动浇筑的砌墙装置及砌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536B2 (ja) * 1987-12-14 1996-03-27 富士特殊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天然石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の表面部自動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660659B2 (ja) * 1994-04-12 1997-10-08 徳弘 梅沢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442623B1 (ko) * 2001-12-26 2004-08-02 권태수 반습식 콘크리트블럭 성형장치
KR101152929B1 (ko) * 2008-12-30 2012-06-08 주식회사 해성기업 발광형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136373B1 (ko) * 2011-12-05 2012-04-18 주식회사지이티-피씨 다색표면층 블록제조장치의 다색골재 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620B1 (ko) * 2018-11-19 2019-04-10 박용택 보도 블럭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CN117536462A (zh) * 2024-01-08 2024-02-09 山西冶金岩土工程勘察有限公司 一种砂浆自动浇筑的砌墙装置及砌墙方法
CN117536462B (zh) * 2024-01-08 2024-04-19 山西冶金岩土工程勘察有限公司 一种砂浆自动浇筑的砌墙装置及砌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951B1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16650B (zh) 一种用于制备复合透水砖的成型设备
KR101697760B1 (ko)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KR101357912B1 (ko) 역암 재료의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WO2016177272A1 (zh) 墙板成型设备及其使用方法
CN102416649B (zh) 一种复合透水砖的制备工艺
CN103231432B (zh) 全自动抗震砌体成型机及其实现方法
CN207206694U (zh) 建材成型模箱
CN211104585U (zh) 一种水泥基仿石材型路沿石的成型设备
KR101879951B1 (ko) 인도블록 성형장치
CN101130260A (zh) 一种大规格超薄瓷板的压制设备及其压制方法
WO2020168684A1 (zh) 一种大规格压砖模具及压砖方法
CN107486928A (zh) 建材成型模箱
KR20180036061A (ko) 건식공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 제조방법
KR101826607B1 (ko) 3단블록 성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단블록
CN105437355B (zh) 一种人造石的干湿成型方法及其干湿成型装置
CN205364147U (zh) 一种人造石的干湿成型装置
KR101872954B1 (ko) 다층 동시성형 보도블록 그리고 이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23862B1 (ko) 보강층을 갖는 다층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상기 성형장치로 제작된 다층 투수블록
CN102416659B (zh) 一种用于制备复合透水砖的模具
CN107263674B (zh) 一种乐高砖成型机
CN107486926A (zh) 一种全自动液压灰砂砖砖机
EP08897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CN200942554Y (zh) 一种瓷砖生产成型设备的辅助送料装置
CN206154480U (zh) 一种翻转式混凝土构件成型机
CN212146888U (zh) 自动陶瓷拉坯机的泥条挤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