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792A -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792A
KR20180049792A KR1020170112387A KR20170112387A KR20180049792A KR 20180049792 A KR20180049792 A KR 20180049792A KR 1020170112387 A KR1020170112387 A KR 1020170112387A KR 20170112387 A KR20170112387 A KR 20170112387A KR 20180049792 A KR20180049792 A KR 20180049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ed
display
contact time
tilt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6116B1 (ko
Inventor
김건태
Original Assignee
(주) 디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엠에스 filed Critical (주) 디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8004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792A/ko
Priority to KR102022002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100)는 타진대상물을 타진하기 위한 타진부(110), 타진부(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20), 타진부(110)의 구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140), 구동부(12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 타진부(110)에 의해 타진된 타진대상물의 동요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DENTAL IMPLANT MOBILITY}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측정 시 치아 또는 치아임플란트에 주는 손상을 극적으로 줄여 사용자가 쉽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치료 또는 치아임플란트의 시술을 보다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충분히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동요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동요도를 측정하여 고정 상태를 수치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동요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로, 본 출원인은 2014년10월10일에 공개된 특허 제10-2014-0119558호의「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를 보유하고 있고, 이 공개특허를 개량하여 새롭게 이 출원을 한다. 또한 '아크로웰 주식회사'는 2017년2월8일에 공개된 특허 제10-2017-0014892호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갖고 있다.
종래 기술로 소개된 공개특허 제10-2017-0014892호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구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는 본체(10), 타진봉(20), 구동부(30), 감지센서(40), 기울기센서(50), 제어부(60) 및 출력부(7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는 타진봉(20), 구동부(30), 감지센서(40), 기울기센서(50), 제어부(60) 및 출력부(70)가 그 속에 장착되어 있다.
타진봉(20)은 본체(10)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부(30)는 타진봉(20)이 임플란트(80)에 충격을 가하도록 진퇴운동을 제공하게 되어 있다.
감지센서(40)는 타진봉(2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타진봉(20)이 타진 대상인 임플란트(80)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되고, 구동부(30)가 타진봉(20)에 타진을 가했을때 타진봉(20)을 통해 전달되는 임플란트(80)의 진동정보를 읽어 들이게 되어 있다.
기울기센서(50)는 타진봉(20)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어 타진봉(20)이 수평방향으로 얼마나 기울어졌는지를 측정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60)는 감지센서(40)에서 읽어 들인 타진봉(20)과 임플란트(80)의 접촉여부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기울기센서(50)로부터 입력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며, 임플란트(80)의 진동정보 값을 기울기센서(50)에서 측정한 기울기 값으로 보정하고, 보정한 진동정보 값을 임플란트(80)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게 되어 있다.
출력부(70)는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동요도 값과, 타진봉(20)과 임플란트(80)의 미접촉 신호와, 기울기센서(50)의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나 부져 음 등으로 출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는,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할 때, 임플란트의 고정력에 상관없이 제어부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약 400ms 간격으로 16회 가량 타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력이 약한 임플란트의 경우 동요도를 측정하는 동안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고정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측정장치는 제어부에 입력되어 있는 타진력이 항상 일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서와 같이 경사지게 타진이 이루어지는 경우, 타진봉 등의 자체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더해져서 수평으로 타진할 때 보다 훨씬 더 큰 충격력이 임플란트에 가해지고 된다. 이는 충분한 고정력을 갖고 있던 임플란트 조차도 동요도를 측정하는 동안 오히려 고정력을 잃게 하여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489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력에 따라 타진 횟수를 다르게 함으로써 동요도를 측정하는 동안 무리한 충격력으로 인하여 임플란트의 고정력이 상실되는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타진 횟수를 종래의 16회 보다 절반 이하로 크게 줄이고, 더하여 타진력을 20% 정도 적게 가함으로써 측정장치를 경사진 상태에서 사용하더라도 동요도를 측정하는 동안 무리한 충격력으로 인하여 임플란트의 고정력이 상실되는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진대상물을 타진하기 위한 타진부, 상기 타진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타진부의 구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타진부에 의해 타진된 상기 타진대상물의 동요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진부와 상기 타진대상물의 접촉시간을 감지하는 타진시간감지센서가 상기 타진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타진부가 상기 타진대상물을 타진하는 제1타진봉, 상기 제1타진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타진봉, 상기 제2타진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타진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타진봉에는 상기 타진부가 원위치로 돌아 오는데 필요한 자기력을 갖는 영구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타진부가 상기 타진대상물을 타진하는 제1타진봉, 상기 제1타진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타진봉, 상기 제2타진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타진봉을 포함하고, 상기 타진시간감지센서는 상기 타진부의 움직임이나 충격에도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에 의해 상기 제3타진봉 속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타진부의 전후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제3타진봉에 멈춤돌기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가 전류를 공급 받아 상기 타진부를 전진 운동하게 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보빈과 상기 솔레노이드보빈을 수용하게 결합되는 금속관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관은 전진된 타진부에 있는 영구자석을 끌어 당겨 상기 전진된 타진부를 원위치로 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울기센서가 측정한 기울기값이 ±30°가 넘게 되면 "ERROR"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작동을 멈추게 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타진횟수가 상기 접촉시간이 길수록 적고 상기 접촉시간이 짧을수록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타진횟수는 표 1과 표 2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촉시간이 최초 1회 타진 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60 미만인 경우, 1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60 미만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2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촉시간이 최초 1회 타진 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이 60~69 사이인 경우, 2~3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이 60~69 사이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3~4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촉시간이 최초 1회 타진 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70 이상인 경우, 4~5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70 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5~6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촉시간과 상기 표시값은 표 1이 적용되는 것과, 상기 타진부의 타진력은 기울기에 따라 달라지고, 표 3이 적용되는 것과, 상기 타진부는 타진 시 상기 타진대상물에 직접 접촉되는 것과, 상기 제어부는 기울기가 30°를 넘는 경우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게 제어하는 것과, 상기 타진부, 상기 구동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가 설치되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동요도 측정 시 상기 몸체부는 얇은 비닐덮개가 씌워져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얇은 비닐덮개가 비닐계 수지로 만들어진 것과, 상기 얇은 비닐덮개가 0.02mm~0.03mm의 두께를 갖는 것과, 상기 비닐덮개가 신축성을 갖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진의 대상물인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력에 따라 타진 횟수가 다르기 때문에, 동요도를 측정하는 동안 무리한 충격력으로 인하여 임플란트의 고정력이 상실되는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타진 횟수가 종래의 16회 보다 절반 이하로 크게 줄고, 더하여 타진력 또한 20% 정도 적게 가해지기 때문에, 측정장치가 경사진 상태에서 사용되더라도 동요도를 측정하는 동안 무리한 충격력으로 인하여 임플란트의 고정력이 상실되는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동요도 측정 시 임플란트에 힐링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힐링커버에 직접 대고 타진하기 때문에, 임플란트에서 힐링커버를 제거하고 측정용 지그를 장착하여 타진을 하는 종래나 다른 일반적인 측정장치에 비해 힐링커버를 푸는 수고를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힐링커버를 푸는 과정에서 임플란트가 함께 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동요도를 측정하는 동안 안내부를 포함한 주변 부위에 얇은 두께의 1회용 보호덮개가 덮여져 사용되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측정장치를 자주 소독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몸체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타진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구동부의 확대도;
도 7은 도 3의 안내부의 확대도;
도 8은 도 3의 제어부의 확대도;
도 9는 도 3의 측정장치의 조립단면도;
도 10은 도 3의 측정장치의 사용을 위해 비닐덮개가 씌워진 모습을 예를 들어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비닐덮개가 씌워진 측정장치로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2 및 도 13는 도 11의 동요도 측정시 각 부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몸체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타진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구동부의 확대도, 도 7은 도 3의 안내부의 확대도, 도 8은 도 3의 제어부의 확대도, 그리고 도 9는 도 3의 측정장치의 조립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동요도 측정장치(100)는 몸체부(110), 타진부(120), 구동부(130), 안내부(140), 제어부(150), 표시부(160) 및 전원부(17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 그 속에 측정장치(100)의 각 부품들이 설치된다. 몸체부(110)는 상체(110a)와 하체(110b)로 분리되고, 각 부품들이 설치된 상태로 상체(110a)와 하체(110b)가 조립되게 된다. 조립된 상체(110a)와 하체(110b)를 고정하기 위하여 맨앞에 환형의 고정뚜껑(111)이 끼워진다.
또한 몸체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조작이 가능하게 앞쪽에 조작버튼(112)이 설치되고, 뒤쪽에는 투명한 표시창(113)이 설치된다.
타진부(120)는 타진의 대상물인 임플란트를 타진하기 위한 것으로, 제1타진봉(121), 제2타진봉(122), 영구자석(123), 제3타진봉(124), 타진시간감지센서(125) 및 멈춤돌기(126)가 마련된다.
제1타진봉(121)은 티타늄 소재로 되어 있고, 타진 시 임플란트와 닿게 되는 한쪽 단부(121a)와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다른쪽 단부(121b)를 갖고 있다. 한쪽 단부(121a)는 측정장치를 사용할 때 씌워지는 얇은 비닐덮개가 찢기거나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그 끝이 라운딩처리 되어 있다.
제2타진봉(122)은 금속 소재로 되어 있고,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쪽 단부(122a)와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다른쪽 단부(122b)를 갖고 있다.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쪽 단부(122a)에는 제1타진봉(121)의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다른쪽 단부(121b)가 체결되게 된다.
영구자석(123)은 타진 후에 타진부(120)가 원위치로 돌아 오는데 필요한 자기력을 갖고 있고, 제2타진봉(122)의 다른쪽 단부(122b) 속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제3타진봉(124)은 금속 소재로 되어 있고,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쪽 단부(124a)와 타진시간감지센서(125)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124b)를 갖고 있다. 타진시간감지센서(125)는 타진부(120)의 움직임이나 충격에도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를 사용하여 센서설치부(124b)에 단단하게 설치된다.
멈춤돌기(126)는 타진부(120)의 전후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제3타진봉(124)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구동부(130)는 타진부(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보빈(131), 금속관(132), 외부덮개(133) 및 후방덮개(134)가 마련된다.
솔레노이드보빈(131)은 전류를 공급 받아 타진부(120)를 전진 운동하게 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그에 맞게 코일이 감겨져 있다. 솔레노이드보빈(131)의 뒤쪽 단부에는 솔레노이드후방캡(131a)이 결합된다. 솔레노이드후방캡(131a) 속에는 제어부(150)와 보빈(1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연결단자(131b)가 설치된다. 또한 솔레노이드후방캡(131a) 속에는 타진부(120)의 제3타진봉(124)의 뒷단부가 삽입되어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싱(131c)이 끼워진다.
금속관(132)은 코일이 감져진 부위를 감싸게 솔레노이드보빈(131)에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2타진봉(122)의 다른쪽 단부(122b) 속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123)을 끌어 당기게 되어 있다.
외부덮개(133)는 금속관(132)이 결합된 상태로 솔레노이드보빈(131)과 금속관(132)을 수용하게 되어 있고,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쪽 단부(133a)를 갖고 있다.
후방덮개(134)는 솔레노이드후방캡(131a)을 일부 감싸면서 외부덮개(133)의 후방에 결합되게 된다.
안내부(140)는 타진부(120)의 전진과 후진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단부(141), 안내부싱(142) 및 후방단부(143)가 마련된다.
접촉단부(141)는 동요도 측정 시(타진 시) 임플란트에 접촉하게 되고, 안내부싱(142)은 안내부(140) 속에 삽입된다. 안내부싱(142)에는 타진부(120)의 제1타진봉(121)이 관통되게 끼워지게 된다.
후방단부(143)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부(130)의 외부덮개(133)에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한쪽 단부(133a)에 결합되게 된다.
제어부(150)는 구동부(13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회로기판(151), 정보처리장치(152) 및 기울기센서(153)가 마련된다.
회로기판(151)은 측정장치(100)의 조작 및 작동에 필요한 모든 회로가 설계되어 있고, 공간적인 제약으로 2단으로 나뉘게 구성되어 있다.
정보처리장치(152)는 전원에서 구동부(130)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고, 타진부(120)에서 얻어진 타진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부(160)로 전달하는 등의 역할을 처리한다.
기울기센서(153)는 회로기판(151)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고, 측정장치(100)의 기울임을 감지하게 된다.
표시부(160)는 타진부(120)에 의해 타진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50)의 회로기판(151)에 마련된다.
또한 표시부(160)는 기울기센서(153)에 의해 측정된 측정장치(100)의 기울기값에 따라 그 값이 ±30°가 넘게 되면 "ERROR"가 표시되고, 이 경우 측정장치(100)는 작동하지 않게 설계하였다.
전원부(170)는 구동부(130), 제어부(150), 표시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110)의 하체(110b)의 뒤쪽에 마련된다. 전원부(170)는 충전식으로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위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동요도의 표시값을 임플란트와 타진봉의 접촉시간을 기초로 산정하여 얻었고, 그 표시값을 표 1에 정리하였다.
표시값 접촉시간(㎲) 표시값 접촉시간(㎲) 표시값 접촉시간(㎲) 표시값 접촉시간(㎲)
30 1,069 1,130 44 665 709 58 445 458 72 327 331
31 1,007 1,068 45 620 664 59 432 444 73 323 326
32 992 1,006 46 607 619 60 418 431 74 319 322
33 977 991 47 593 606 61 405 417 75 315 318
34 963 976 48 580 592 62 396 404 76 311 314
35 948 962 49 566 579 63 388 395 77 306 310
36 934 947 50 553 565 64 379 387 78 302 305
37 919 933 51 539 552 65 371 378 79 298 301
38 905 918 52 526 538 66 362 370 80 294 297
39 890 904 53 512 525 67 356 361 81 290 293
40 845 889 54 499 511 68 349 355 82 286 289
41 800 844 55 485 498 69 342 348 83 281 285
42 755 799 56 472 484 70 336 341 84 277 280
43 710 754 57 459 471 71 332 335 85 272 276
이 표시값은 업계에서 널리 권장되어 사용되고 있는 Osstell ISQ(Implant Stability Quotient)와 부합하는 수준으로 정하였고, 각 표시값에 해당하는 접촉시간의 범위를 많은 실험을 통해 얻었다. 접촉시간이 길수록 표시값이 낮게 나타났고, 접촉시간이 짧을수록 표시값이 높게 나타났다. 낮은 표시값은 임플란트의 고정력이 약함을 뜻하고, 높은 표시값은 임플란트의 고정력이 강함을 뜻한다.
이 표시값을 구간별로 나누어 보철을 올리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표의 정보는 역시 Osstell ISQ에서 얻어 적용하였다.
~59 60~65 65~70 71~
안정도 낮음
(low stability)
안정도 보통
(medium stability)
안정도 높음
(high stability)


Implant at risk-monitor

Full splint
(immediate loading)
2-stage
Traditional loading

Partial case
1-stage or 2-stage
Early loading

Single case
1-stage
Immediate loading
표 2에 따르면, 표시값이 60 미만인 경우, 보철을 올리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임플란트가 보다 큰 고정력을 얻을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표시값이 60~65인 경우, 전통적인 2단계 방식으로 보철을 올릴 수 있고, 이때에는, 3개월~6개월 정도의 충분한 기간을 두고 시술이 진행되는게 바람직하다.
표시값이 65~70인 경우, 1단계 방식으로 보철을 올릴 수 있어 초기에, 즉 3개월 이내에 시술이 진행될 수 있다. 더욱 안전하게는 환자의 뼈상태에 따라 3개월~6개월 정도의 충분한 기간을 두고 전통적인 2단계 방식으로 보철을 올리는게 바람직할 수 있다.
표시값이 70을 넘는 경우, 1단계 방식으로 보철을 바로 올려 시술을 성공적으로 끝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측정될 때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타진력이 종래의 수평 상태에서 측정될 때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타진력과 같게 하였다. 기울기에 따라 적용된 타진력을 표 3에 나타내었다.
기울기 타진력 기울기 타진력
30° 1.20N -5° 0.85N
25° 1.15N -10° 0.80N
20° 1.10N -15° 0.74N
15° 1.06N -20° 0.69N
10° 1.04N -25° 0.65N
0.95N -30° 0.60N
0.90N
표 3에 따르면, 같은 조건에서의 타진력이 종래 보다 20% 이상 적게 가해지기 때문에, 타진으로 인한 임플란트의 고정력이 상실이 종래에 비해 크게 줄었다. 사실, 많은 실험에서 임플란트의 고정력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3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수평상태에서 사용되거나 수평에서 30°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권장된다. 이와 반대로 수평에서 아래로 기울어기 시작하면 타진력이 너무 약해지기 때문에 접촉시간이 너무 짧아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타진시간감시센서의 사양이 더욱 높이면 이를 구현할 수는 있었으나, 이 경우 가격이 급격히 증가해서 시장 현실을 고려할 때 제품에 적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도 10은 도 3의 측정장치의 사용을 위해 비닐덮개가 씌워진 모습을 예를 들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안내부(140)의 접촉단부(141)가 임플란트에 접촉된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 측정 마다 소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얇은 비닐덮개(10)를 씌워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비닐덮개(10)는 비닐계 수지를 소재로 만들었고, 임플란트에 전달되는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두께를 0.02mm~0.03mm로 하였다. 또한 비닐덮개(10)는 신축성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사용하는 동안 적당히 늘어나서 측정장치에 착 달라 붙어 있을 정도의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도 10의 비닐덮개가 씌워진 측정장치로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장치(100)는 힐링커버(20)가 임플란트(30)에 체결된 상태에서 힐링커버(20)를 타진하여 임플란트(30)의 동요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택하기 때문에 대게는 측정장치가 위로 기울어지게 들린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치아의 동요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힐링커버 대신 힐링지대주가 장착되어 있는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장치가 덜 기울어지거나 수평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동요도 측정시 각 부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조작과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을 위해 측정장치(100)의 몸체부(110)에 마련된 조작버튼을 누르면, 표시창에 측정이 준비된 상태를 알리는 정보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측정 작업을 위해 측정장치(100)를 움직이면, 제어부에 있는 기울기센서가 그 기울임을 감지하게 되고 기울기가 30°가 넘게 되면 표시창에 "ERROR"가 표시되고 장치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ERROR"를 알리는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기울기가 30°를 넘지 않는 상태에서 측정장치를 임플란트에 결합되어 있는 힐링커버(20)에 갖다 대고 조작버튼을 누르면 타진이 시작되게 된다.
최초 1회 타진에 의해 감지된 접촉시간이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60 미만인 경우, 1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60 미만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2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게 된다.
최초 1회 타진에 의해 감지된 접촉시간이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이 60~69 사이인 경우, 2~3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이 60~69 사이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3~4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게 된다.
최초 1회 타진에 의해 감지된 접촉시간이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70 이상인 경우, 4~5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70 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5~6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게 된다.
표시값 70 이상일 때 표시값이 60~69 사이일때 보다 타진 회수가 많은 이유는 이 표시값에서는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보철물을 즉시 올리는 시술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의 성공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다 정확하게 동요도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는 표 2를 참조로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타진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조작버튼에서 제어부로 동작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에서는 전원부의 전류가 구동부로 공급되게 한다. 이때 전원 공급은 미리 설정된 짧은 시간 단위로 공급되게 되고, 타진 시 얻어지는 접촉시간에 따라 타진 횟수를 달리하기 위해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 또한 이와 같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부(130)에 공급되는 전류는 솔레노이드후방캡(131a) 속에 있는 연결단자(131b)를 통해 솔레노이드보빈(131)에 감겨진 코일로 보내지고, 이때 주변에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전자기력에 의해 제2타진봉(122)에 있는 영구자석(123)이 바깥쪽으로 밀리는 힘이 가해지고 되고, 이 힘에 의해 타진부(120)가 전체가 바깥쪽으로 밀려 나게 된다. 이때, 제1타진봉(121)의 한쪽 단부(121a)가 임플란트에 장착되어 있는 힐링커버(20)를 타진하게 된다.
타진이 이루어진 후에는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전자기력이 사라지게 되면, 제2타진봉(122)에는 영구자석(123)의 자기력에 의해 금속관(132)쪽으로 끌리는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 힘에 의해 타진부(120)가 전체가 안쪽으로 끌려 오게 된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타진부(120)의 전진 운동과 후진 운동은 제3타진봉(124)에 설치된 멈춤돌기(126)에 의해 제한되게 된다.
타진 시, 힐링커버와의 접촉시간은 타진시간감지센서(125)가 감지하는 제1타진봉(121)의 한쪽 단부(121a)가 힐링커버(20)에 닿았다가 떨어지는 시간으로 정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 : 동요도 측정장치 110 : 몸체부
120 : 타진부 130 : 구동부
140 : 안내부 150 : 제어부
160 : 표시부 170 : 전원부

Claims (34)

  1. 타진대상물을 타진하기 위한 타진부;
    상기 타진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타진부에 의해 타진된 상기 타진대상물의 동요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동요도 측정 시 상기 타진부와 상기 타진대상물의 접촉시간을 기초로 상기 타진부의 타진횟수를 다르게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촉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표시값을 동요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진횟수는 상기 접촉시간이 길수록 적고 상기 접촉시간이 짧을수록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진횟수는 표 1과 표 2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간이 최초 1회 타진 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60 미만인 경우, 1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60 미만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2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간이 최초 1회 타진 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이 60~69 사이인 경우, 2~3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이 60~69 사이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3~4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간이 최초 1회 타진 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70 이상인 경우, 4~5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70 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5~6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간과 상기 표시값은 표 1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진부의 타진력은 기울기에 따라 달라지고, 표 3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진부는 타진 시 상기 타진대상물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울기가 30°를 넘는 경우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진부, 상기 구동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가 설치되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동요도 측정 시 상기 몸체부는 얇은 비닐덮개가 씌워져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얇은 비닐덮개는 비닐계 수지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얇은 비닐덮개는 0.02mm~0.03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비닐덮개는 신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5. 타진대상물을 타진하기 위한 타진부;
    상기 타진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타진부의 구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타진부에 의해 타진된 상기 타진대상물의 동요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진부와 상기 타진대상물의 접촉시간을 감지하는 타진시간감지센서가 상기 타진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타진부는 상기 타진대상물을 타진하는 제1타진봉, 상기 제1타진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타진봉, 상기 제2타진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타진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타진봉에는 상기 타진부가 원위치로 돌아 오는데 필요한 자기력을 갖는 영구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타진부는 상기 타진대상물을 타진하는 제1타진봉, 상기 제1타진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타진봉, 상기 제2타진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타진봉을 포함하고, 상기 타진시간감지센서는 상기 타진부의 움직임이나 충격에도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에 의해 상기 제3타진봉 속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타진부의 전후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제3타진봉에 멈춤돌기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류를 공급 받아 상기 타진부를 전진 운동하게 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보빈과 상기 솔레노이드보빈을 수용하게 결합되는 금속관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관은 전진된 타진부에 있는 영구자석을 끌어 당겨 상기 전진된 타진부를 원위치로 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울기센서가 측정한 기울기값이 ±30°가 넘게 되면 "ERROR"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작동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2.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진횟수는 상기 접촉시간이 길수록 적고 상기 접촉시간이 짧을수록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타진횟수는 표 1과 표 2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간이 최초 1회 타진 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60 미만인 경우, 1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60 미만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2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간이 최초 1회 타진 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이 60~69 사이인 경우, 2~3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이 60~69 사이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3~4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간이 최초 1회 타진 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70 이상인 경우, 4~5회의 타진이 더 이루어지고 이때 감지된 접촉시간 또한 표 1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값 70 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5~6회에 걸쳐 얻어진 접촉시간의 평균을 기초로 표시값이 표시창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7.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간과 상기 표시값은 표 1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진부의 타진력은 기울기에 따라 달라지고, 표 3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진부는 타진 시 상기 타진대상물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30.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울기가 30°를 넘는 경우 타진이 이루어지지 않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31.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진부, 상기 구동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가 설치되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동요도 측정 시 상기 몸체부는 얇은 비닐덮개가 씌워져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얇은 비닐덮개는 비닐계 수지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얇은 비닐덮개는 0.02mm~0.03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34.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비닐덮개는 신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KR1020170112387A 2016-11-02 2017-09-04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제어방법 KR102386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264A KR102409946B1 (ko) 2016-11-02 2022-02-21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06 2016-11-02
KR20160144906 2016-11-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264A Division KR102409946B1 (ko) 2016-11-02 2022-02-21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792A true KR20180049792A (ko) 2018-05-11
KR102386116B1 KR102386116B1 (ko) 2022-04-22

Family

ID=621855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387A KR102386116B1 (ko) 2016-11-02 2017-09-04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20022264A KR102409946B1 (ko) 2016-11-02 2022-02-21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264A KR102409946B1 (ko) 2016-11-02 2022-02-21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6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371A (ko) * 2021-02-10 2022-08-17 아크로웰 주식회사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167858A (ko)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덴티스 동요도 측정장치
EP3990886A4 (en) * 2019-06-30 2023-06-28 Perimetrics, Inc. Determination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9906A (en) * 1982-04-26 1985-02-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Percussion instrument
US20110259076A1 (en) * 2006-08-17 2011-10-27 Caritas Health Group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percutaneous implant integrity
KR20140119558A (ko) * 2013-04-01 2014-10-10 (주) 시원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
WO2015048908A1 (en) * 2013-10-04 2015-04-09 Denscope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structural stability of an object based on impact reaction
KR20170014892A (ko) 2015-07-31 2017-02-08 아크로웰 주식회사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9906A (en) * 1982-04-26 1985-02-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Percussion instrument
US20110259076A1 (en) * 2006-08-17 2011-10-27 Caritas Health Group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percutaneous implant integrity
KR20140119558A (ko) * 2013-04-01 2014-10-10 (주) 시원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
WO2015048908A1 (en) * 2013-10-04 2015-04-09 Denscope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structural stability of an object based on impact reaction
KR20170014892A (ko) 2015-07-31 2017-02-08 아크로웰 주식회사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0886A4 (en) * 2019-06-30 2023-06-28 Perimetrics, Inc. Determination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KR20220115371A (ko) * 2021-02-10 2022-08-17 아크로웰 주식회사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167858A (ko)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덴티스 동요도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116B1 (ko) 2022-04-22
KR20220030967A (ko) 2022-03-11
KR102409946B1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94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US20240157056A1 (en) Smart insulin pen sensing
US20210161410A1 (en) Blood pressur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9592385B2 (en) Patient handheld device for use with a spinal cord stimulation system
US5243975A (en) Defibrillator with user-interactive screen display
US6754517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ph signal
KR101492101B1 (ko) 치과치료용 의사표시전달시스템
IL186310A (en) Occlusion detector for dual-port surgical tourniquet ststems
KR101213783B1 (ko) 목디스크 예방을 위한 모니터 제어 로봇 및 제어 방법
AU2015200399B2 (en) Enhanced ecg chart presentation
US20090012409A1 (en) Determining Blood Pressure
US20070298368A1 (en) Measuring Instrument System for Endodontic Length
KR101631500B1 (ko)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 분석장치 및 방법
AU2014200416A1 (en) Operator controlled mixed modality feedback
US10932876B2 (en) Haptic feedback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medical tool
US20050237209A1 (en) Posture detector
JP2008119310A (ja) 低周波治療器
JP2006511249A5 (ko)
JP6164202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リラックス支援システム
WO2016157848A1 (ja) 口唇閉鎖力測定用プローブ
KR101919447B1 (ko) 교합력 측정장치
JPH05146415A (ja) 血圧測定装置
US20170172492A1 (en) Muscular relaxation monitoring device, muscular relaxation monitoring method and muscular relaxation monitoring program
US20230085313A1 (en) Endodontic robotic surgical system and endodontic robotic surgical assembly
JP6656815B2 (ja) 生体情報モニ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