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528A -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ja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j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528A
KR20180049528A KR1020160145550A KR20160145550A KR20180049528A KR 20180049528 A KR20180049528 A KR 20180049528A KR 1020160145550 A KR1020160145550 A KR 1020160145550A KR 20160145550 A KR20160145550 A KR 20160145550A KR 20180049528 A KR20180049528 A KR 20180049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upport
pressing
dispose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갑순
Original Assignee
이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갑순 filed Critical 이갑순
Priority to KR1020160145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9528A/en
Publication of KR2018004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5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4Pressing or hold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65H2301/42346Releasing stack holding means during separ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3Modifying electric properties
    • B65H2301/5133Removing electrostatic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65H2402/5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341Jam handling in document fee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 j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pressurization means that is installed in a feeding tray, and is in contact with a side portion of paper to be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dge of paper accommodated in the feeding tray is pressurized to control a frictional force, one sheet of paper is fed at a time to prevent paper jam when using a printing machine or a copy machine.

Description

용지 걸림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JAM}[0001]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JAM [0002]

본 발명은 인쇄기 또는 복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기 또는 복사기에 사용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machine or a copy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per jam preventing device used in a printing machine or a copying machine.

일반적으로, 인쇄기 또는 복사기는 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급지대가 설치되고, 급지대의 상부에는 용지가 배치된다. 상기 급지대의 일측에 롤러 또는 피더(feeder)가 배치되어 용지를 가압하고, 상기 롤러 또는 피더가 회전하면서 외면이 용지와 접하는 면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가장 상부에 위치한 용지부터 인쇄 또는 복사 등을 위해 급지된다.Generally, a printing apparatus or a copy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paper feed tray for feeding paper, and a paper is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per feed tray. A roller or a feed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per feeder to press the paper and to rotate the roller or the feeder for printing or copying from the paper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s fed.

등록특허 제0868715호(이하, ‘특허문헌 1’)에는 수납부 내에 퇴적된 지폐 등의 종이류를 한 장씩 반송로로 송출하는 종이류 송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Japanese Patent No. 08687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paper sheet delivery device for delivering paper sheets, such as banknotes, deposited in a storage section one sheet at a time.

상기 특허문헌 1은 종이류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도록 좌우에 배치한 별개 독립의 2 이상의 샤프트에 각각 픽업 롤러를 부착한 제1및 제2 송출부를 포함하고, 퇴적한 종이류의 최상위 면의 높낮이 차에 추종하여 상기 각 픽업 롤러가 별개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송출부를 판형(板形) 또는 봉형(棒形)의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높이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퇴적한 종이류의 최상위 면에 기복이나 경사 등의 높낮이 차가 있는 경우라도, 좌우 양쪽의 픽업 롤러를 종이류에 접촉시켜 송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delivery portion, each of which has a pickup roller attached to two or more independent independent shaft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aper, And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ate-like or bar-shaped elastic supporting member, and the height position of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is detected Even if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accumulated paper sheets has a height difference such as undulations or warpages, the pickup roller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aper sheet to be fed.

하지만, 특허문헌 1은 상기 롤러 또는 피더가 용지를 가압하는 힘이 일정하지 않거나, 용지들이 서로 정전기나 기타 물리력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하는 경우, 용지가 한 장씩 급지되지 않고 복수 장이 한꺼번에 급지될 수 있어 용지 걸림 현상이 초래된다.
However, in the patent document 1, when the force pressing the paper by the roller or the feeder is not constant, or when friction between the paper and the paper due to static electricity or other physical force occurs, the paper may not be fed one by one and plural sheets may be fed at a time Paper jams are caused.

KRKR 10-086871510-0868715 B1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기 또는 복사기를 사용함에 있어 급지대로부터 급지되는 용지의 걸림을 방지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per jam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jamming of paper fed from a paper feeder when using a printing machine or a copying machi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지의 측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용지 공급에 방해되지 않도록, 간단한 구성의 용지 걸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per jam preventing device of simple structur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aper feeding by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ide portion of the pape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는, 상부에 용지가 배치되도록 급지대 내부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돌출되어 급지대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용지받침대; 상기 용지받침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용지받침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용지를 향한 상방으로 예각을 형성하며 연장되고, 상기 용지의 측부 상단과 접하면서 가압하며, 상기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용지받침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부; 상기 용지받침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굴절되도록 연장되는 굴절부; 및 상기 용지받침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굴절부로부터 상기 용기받침대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comprising: a paper jam preventing member disposed in a paper feed tray such that paper is disposed thereon, A paper support including a part; A suppo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And a pressing part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so as to form an acute angle upward from the supporting part toward the paper and presses while abutting against the upper end of the side of the paper and is mov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part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disposed below the paper support and extending from the pressurizing portion; A refracting portion disposed below the paper support and extending to be refracted from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disposed below the paper support and extending from the refracting por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support, wherein the support piece is a through hole capable of moving through the first support portion or the second support portion, .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와 가압부 각각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가압부 각각은 용지받침대를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each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or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bout the paper support.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서로 당겨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suppor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astic memb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용지받침대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가이드하는 탄성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aper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guide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lastic member passes, and an elastic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elastic memb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elastic member may be a tension coil spring.

바람직하게, 상기 용지받침대를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각각 대향배치되는 제3지지부와 제4지지부; 상기 용지받침대를 중심으로 상기 가압부와 대향배치되며 상기 제3지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the fourth support portion are disposed to face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aper support, respectively; And a vertical pressing part which is arranged to face the pressing part with respect to the paper support and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third supporting part.

바람직하게, 상기 굴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지지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각각 관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stopper extending from the refraction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 and the support piece and penetra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용지받침대는, 상기 가압부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회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aper support further includes an avoidance groove form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pressing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적어도 어느 일부가 어느 가상의 평면에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som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may be included in any imaginary plan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용지받침대와 평행한 가상의 평면에 포함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may be included in a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paper support.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부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각기둥형상일 수 있다.Preferably,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may have a prismatic shape to prevent rotation.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는, 외면에 용지와의 마찰을 발생시키는 마찰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ss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riction generating portion for generating friction with the paper on the outer surfac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발생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탄성 재질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friction generating portion may be an elastic material formed of rubber or silicone.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는, 끝단에 둔각을 형성하며 용지의 가상의 평면상에서 용지의 측부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ss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that forms an obtuse angle at an end and extends away from the side of the sheet on a virtual plane of the sheet.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용지받침대는, 상기 용지에 존재하는 전하를 이동시켜 상기 용지 사이의 정전기를 해소하는 그라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per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unit that removes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paper sheets by moving electric charges existing on the paper shee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는, 상부에 용지가 배치되도록 급지대 내부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돌출되어 급지대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용지받침대;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지받침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용지받침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용지를 향한 상방으로 예각을 형성하며 연장되고, 상기 용지의 측부 상단과 접하면서 가압하며, 상기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단면은 적어도 일부가 곡률을 가지거나, 적어도 일부가 각지도록 꺾인 꼭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은 상기 지지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comprising: a paper jam preventing member disposed in a paper feed tray such that paper is disposed thereon, A paper support including a part;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pressing portion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And a pressing part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so as to form an acute angle upward from the supporting part toward the paper and presses while abutting against the upper end of the side of the paper and is mov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part A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section includes a vertex at least a part of which has a curvature or at least a part of which is angled, and the support piec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section so that the support section can be moved through the support section .

본 발명은 급지대에 수용된 용지의 모서리를 가압하여 마찰력을 조절함으로써, 한 번에 하나의 용지가 급지되어 인쇄기 또는 복사기 사용에 있어 용지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the corners of the sheets of paper accommodated in the paper feeder to adjust the frictional force, one sheet of paper is fed at one time, thereby preventing paper jamming in the use of a printing machine or a copying machine.

본 발명은 지지부가 제1지지부와 굴절부 및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 지지편에 지지되므로 가압부의 회전 방지가 용이하며, 상기 지지부는 간단한 구성으로써 그 제작이 용이하다.Since the supporting part includes the first supporting part, the refracting part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iece, it is easy to prevent rotation of the press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은 급지대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가능하므로, 어떠한 인쇄기나 복사기의 급지대라도 설치가 가능하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 and shape of the feeder, any printer or a feeder of the copying machine can be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지지부 및 가압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탄성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per jam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4 is a plan view of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to 5 (b) are views showing rot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in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lastic member of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the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 제2 ,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 connected, "" coupled, " or " connected. &Quot;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는 인쇄기나 복사기 또는 복합기 등의 장치와 같이 용지를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대에 적용된다.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aper feeder for continuously feeding paper, such as a printer, a copying machine, or a multifunction machine.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aper jam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per jam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paper jam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s a plan view of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는 용지받침대(100)와 지지부(200) 및 가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지받침대(100)와 지지부(200) 및 가압부(300)는 급지대의 내부에 설치된다.1 to 3, the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per support 100, a support unit 200, and a pressing unit 300. The paper support 100, the support portion 200, and the pressing portion 300 are installed inside the paper feed tray.

용지받침대(100)는 상부에 용지(P)가 배치되도록 급지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급지대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편(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per support 1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paper tray so that the paper P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support piece 110 protruding downward and supported from a feeder.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용지받침대(100)는 그라운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부는 용지받침대(100)에 설치되어 용지(P)에 존재하는 전하를 이동시켜 용지 사이의 정전기를 해소함으로써, 용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aper support 100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unit (not shown)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tention. The ground portion is installed in the paper support 100 to remove the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paper sheets by moving the electric charge existing in the paper sheet P,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aper sheet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용지받침대(100)는 상부에 용지(P)가 올려지도록 평평한 면을 포함한 판체로 형성될 수 있다. 용지받침대(100)는 하측에 지지편(110)과 탄성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편(110)과 탄성가이드부(130)는 각각 용지받침대(100)와 일체로 연장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별도의 구성으로 용지받침대(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용지받침대(100)의 측부에는 후술하는 가압부(300)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한 회피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110)은 후술하는 지지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paper support 100 may be formed as a plate including a flat surface so that the paper P is placed on the paper support 100. The paper support 100 may include a support piece 110 and an elastic guide unit 130 on the lower side. The support piece 110 and the elastic guide part 130 may extend integrally with the paper support 100. However, the support piece 110 and the elastic guide part 130 may be provided under the paper support 100 in a separate structure. A concave avoiding groove 12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paper support 10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 pressing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ing piece 11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111 so that the supporting piece 110 can be moved through a support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지지부(200)는 용지받침대(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용지받침대(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지지부(200)가 용지받침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지지부(100)를 상기 급지대의 바닥면에 바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급지대의 바닥 상면은 하방으로 오목한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지지부(200)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unit 2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100. Referring to the drawing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ortion 200 is disposed below the paper support 100. Although the support portion 200 is illustrated as being mounted on the paper support 100,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mount the support portion 10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per feeder, (Not shown)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support portion 200.

지지부(200)는 제1지지부(210)와 굴절부(220) 및 제2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2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ing part 210, a refracting part 220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230.

제1지지부(210)는 가압부(300)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may ext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300.

굴절부(220)는 제1지지부(2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The refracting portion 220 may extend from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제2지지부(230)는 굴절부(220)로부터 용기받침대(10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230 may extend from the refracting part 220 towar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support 100.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용지받침대(10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편(110)의 관통공(111)을 관통할 수 있다. 즉, 지지부(200)는 관통공(111)을 통과함으로써 지지편(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편(110)의 관통공(111)은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가 한꺼번에 관통할 수 있는 슬릿형상일 수 있고, 또한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가 각각 관통하도록 지지편(110)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penetrate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iece 11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aper support 100. That is, the supporting part 200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iece 110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iece 110 may be in the form of a slit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can penetrate at a time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may be slit-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pporting piece 110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supporting pieces 110, respectively.

상기에서 언급한 제1지지부(210)와 굴절부(220) 및 제2지지부(230)는 용지받침대(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는 용지받침대(100)를 기준으로 후술하는 가압부(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한다.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the refraction portion 22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may be disposed below the paper support 100. The first support part 2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30 support the press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basis of the paper support 100 so as not to rotate.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는 적어도 어느 일부가 어느 가상의 평면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210)와 굴절부(220) 및 제2지지부(230)는 가상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또한 제1지지부(210)와 굴절부(220) 및 제2지지부(230)가 포함되는 가상의 동일한 평면은 용지받침대(100)와 평행일 수 있다. 하지만, 제1지지부(210)와 굴절부(220) 및 제2지지부(230)는 후술하는 가압부(300)와 함께 용지받침대(100)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되기만 한다면 그 형태, 배치 또는 평행 여부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굴절부(220)는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를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포함되지 않고, 이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며,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may be disposed so that at least some of them are included in any virtual plane. Also, the first support part 210, the refraction part 22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30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on the same virtual plane. Another substantially same plane including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and the refracting portion 220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30 may be parallel to the paper support 100. However, if the first supporting part 210, the refracting part 220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230 together with the pressing part 300 described later are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paper support 100, the shape, arrangement or parallelis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refracting portion 220 may not be included in a virtual plane including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30, but may be bent so as to protrude from the imaginary plane. Various forms can be provided accordingly.

도 5의 (a) 내지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지지부 및 가압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5A to 5B are views showing rot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in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 내지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200) 또는 가압부(3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5A to 5B,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rotation preventing means are provid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support unit 200 or the pressing unit 300 .

예컨대,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지지부(200)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되고, 지지편(110)을 관통하는 관통공(111)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의 양측에 해당하는 지지부(200)가 높이가 서로 다른 관통공(111)을 각각 관통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A, the supporting part 200 of the paper jam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t least once, and the through hole 111 And the support portions 20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111 having different heights, so that rot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가압부(300)는 각기둥으로 형성되고, 지지부(200) 역시 가압부(300)와 동일한 형태의 각기둥으로 형성되어 가압부(300)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지지편(110)의 관통공(111) 역시 상기 각기둥 형상의 지지부(200)의 외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200)와 관통공(111)은 서로 맞물림으로써 지지부(2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5 (b), the pressing portion 300 of the paper jam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rismatic shape, and the supporting portion 200 also has the same shape as the pressing portion 300 And can be extended to the pressing portion 300. [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iece 110 also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ismatic support portion 200. The support portion 200 and the through hole 11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Can be prevented.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회전방지수단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일례일 뿐, 상기에 언급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변경과 적용이 가능하다.The anti-rotation means shown in FIGS. 5A and 5B are only examples for implemen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applications This is possible.

용지받침대(100)의 일측부에는 가압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용지받침대(100)의 타측부에는 롤러(미도시), 즉 피더(feeder)가 마련되어 회전하면서 용지받침대(100)에 올려진 가장 상측에 위치한 용지(P)부터 한 장씩 가압 및 마찰을 이용해 인쇄기 또는 복사기 또는 복합기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피더와 용지(P)의 상면이 서로 접하도록 용지받침대(100)의 하측에 탄성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탄성지지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피더가 하방으로 밀리도록 상기 피더의 상측에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피더가 용지(P)의 상면이 서로 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제작자의 선택에 따른다.A pressing part 3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100.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paper (P),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per support 100 and is rotated by a feeder, is pressed one by one from the paper P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paper support 100, And friction to the printing machine or the copying machine or the multifunction machine. At this time, the paper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on the lower side of the paper support 10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eeder and the paper P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hat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P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eeder. Thi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selected by the manufacture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와 가압부(3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지지부(200) 또는 복수 개의 가압부(300) 각각은 용지받침대(100)를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00 and pressing portions 300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200 or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300 may be arrang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paper support 100 as a center.

가압부(300)는 용지받침대(100)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부(300)는 급지대에 수용되는 용지(P)의 측부와 접하여 용지(P)를 가압할 수 있다. 용지받침대(100) 상부에는 용지(P)가 배치되고, 가압부(300)는 상기 배치된 용지(P)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용지(P)의 측부를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가압부(300)는 급지대 상부에 놓여진 복수의 장으로 구성된 용지(P) 각각이 1㎜의 두께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가장 상측에 배치된 용지(P)를 포함하여 복수의 용지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300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100. The pressurizing unit 300 can press the paper P by contacting the side of the paper P accommodated in the paper feeder. The paper P is disposed above the paper support 100 and the pressing unit 300 can press the side of the paper 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osed paper P. [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sheets P composed of a plurality of sheet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feeder does not reach a thickness of 1 mm, the pressurizing unit 300 can press the plurality of sheets P, The pressure can be simultaneously applied.

가압부(300)는 지지부(200)와 연장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가압부(300)와 지지부(200)는 각각 막대형상으로 준비되고, 서로의 끝단이 연장되어 절곡될 수 있다. 가압부(300)는 지지부(200)로부터 상방으로 지지부(200)와 예각을 형성하도록 절곡 연장될 수 있다. 가압부(300)는 지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가압부(300)와 지지부(200)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분리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부(30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가압부(30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용지받침대(100)에 수용되는 용지(P)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급지대의 한 벽면이 용지를 가이드하는 경우에 가압부(300)는 용지(P)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급지대의 벽면과 마주보도록 하나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sing portion 300 can be extended to the support portion 200. More specifically, the pressing portion 300 and the supporting portion 200 are prepared in the form of rods, respectively, and the ends of the pressing portion 300 and the supporting portion 200 can be extended and bent. The pressing portion 300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the supporting portion 200 upwar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supporting portion 200. The pressing part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ing part 200 but the pressing part 300 and the supporting part 20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tention. A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300 may be disposed. To be more specific, a plurality of pressurizing units 300 may b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paper P accommodated in the paper support 100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wall surface of the paper feeder guides the paper, the press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so as to face the wall surface of the paper feeder with the paper P therebetween.

가압부(300)는 외면에 배치되는 마찰발생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발생부(310)는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발생부(310)는 용지(P)의 측부와 접촉하면서 용지(P)와 마찰을 발생시킨다.The pressing portion 300 may further include a friction generating portion 31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The friction generating portion 31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most preferably formed of rubber or silicon. The friction generating portion 31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paper P and generates friction with the paper P.

가압부(300)의 끝단에는 손잡이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압부(300)의 일단은 제1지지부(210)와 연장되고, 가압부(300)의 타단은 손잡이부(320)와 연장될 수 있다. 손잡이부(320)는 가압부(300)의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또는 용지(P)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손잡이부(320)는 끝단에 가압부(300)와 둔각을 형성하며 용지의 가상의 평면상에서 용지(P)의 측부와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A handle 320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pressing portion 300. That is,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300 may extend to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300 may extend to the handle 320. The grip portion 320 may extend upward from th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300 o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aper P. [ The grip portion 320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pressing portion 300 at an end and can extend to the side of the paper P on a virtual plane of the paper.

용지받침대(100)에 용지(P)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가압부(300)를 용지(P)의 가상의 평면상에서 용지(P)의 측부와 멀어지도록 잡아당겨야 하고, 상기 잡아당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부(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마찰발생부(310)가 손잡이부(320)의 외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손잡이부(320)의 외면에는 마찰발생부(310)가 가압부(300)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손잡이부(320)는 용지받침대(100)를 향하여 수렴되도록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손잡이부(320)를 파지하여 가압부(300)와 용지(P) 또는 가압부(300)와 용지받침대(100)를 이격시킨 후 용지(P)를 용지받침대(100)에 채우기가 용이하다.In order to replenish the paper P to the paper support 100, the pressing portion 300 must be pulled away from the side of the paper P on the imaginary plane of the paper P, And a handle 320 may be further provided. Although the friction generating part 310 is not sho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art 320 because the friction generating part 3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art 320 at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300 Or may be extended. The user grips the handle 320 and presses the pressing unit 300 and the paper P or the pressing unit 300 and the paper support 100 in a state that the plurality of the grips 320 are converged toward the paper support 100. [ It is easy to fill the paper P into the paper support 100 after separating the paper 100 from the pap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대향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200)는 서로 당겨지도록 연결되는 탄성부재(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탄성부재(500)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굴절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용지받침대(100)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탄성가이드부(130)를 구비할 수 있고, 탄성가이드부(130)는 탄성부재(500)가 관통하는 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인장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500)의 인장력에 의해 후술하는 가압부(300)는 용지(P)의 측부를 가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00 facing each othe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500 connected to pull each other. In detail, the elastic member 500 can connect each of the refracting portions 220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200. FIG. At this time, the paper support 100 may include an elastic guide part 130 extending downward, and the elastic guide part 13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131 through which the elastic member 500 passes. The elastic member 500 is preferably a tension coil spring. The pressing portion 300 described later can press the side portion of the paper P by the tensil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0. [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탄성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lastic member of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는 스토퍼(221)와 탄성부재(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221 and an elastic member 510.

스토퍼(221)는 굴절부(220)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지지편(110)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굴절부(220)와 제1지지부(210) 또는 굴절부(220)와 제2지지부(230)가 만나는 지점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221)는 용지받침대(100)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221 may extend from the refracting portion 220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ing piece 110 so that the refracting portion 220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or the refracting portion 220 and the second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support portion 230 meets. Preferably, the stopper 221 is spaced apart from the paper support 100.

이때, 탄성부재(510)는 지지편(110)과 스토퍼(2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510)는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가 각각 관통하도록 제1지지부(210)의 외면과 제2지지부(23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탄성부재(51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지편(110)과 스토퍼(221) 사이를 벌리는 힘에 의해 가압부(300)는 용지(P)의 측부를 가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5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iece 110 and the stopper 221. That is, the elastic member 51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so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pass through. Further, the elastic member 510 is formed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300 can press the side portion of the paper P by the force of opening between the supporting piece 110 and the stopper 221.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를 급지대에 장착한다.First, the user mounts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per feed tray.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손잡이부(320)를 잡아 복수 개의 가압부(300)의 사이를 벌린 후, 용지받침대(100)의 상부에 용지(P)를 배치한다. 사용자가 복수 개의 가압부(300) 사이를 벌릴 때, 벌려지는 방향이 틀어지더라도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 및 관통공(111)에 의해 가압부(300)는 회전이 방지되며, 지지편(110)과 관통공(111)의 배치에 따라 지지부(200)는 용지받침대(100)와 평행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paper P is placed on the paper support 100 after the gripping portions 320 facing each other are gripped to open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300. The pressing portion 300 is rotated by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30 and the through hole 111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is changed when the user opens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300. [ And the support part 200 can slide in parallel with the paper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through hole 111. [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320)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500)에 의해 복수 개의 가압부(300)는 서로 가까워지며 용지(P)의 측부 상단을 접하며 가압한다.Then, when the user places the grip 320,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300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member 500, and 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of the paper P is contacted and pressed.

이때, 복수 개의 가압부(300)와 각각 접촉되는 용지(P)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어느 한 용지(P)와 그와 이웃하는 다른 용지(P)는 서로 마찰력이 줄어들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eets of paper P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pushing portions 300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one sheet of paper P and another sheet of paper P adjacent thereto can be reduced.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인쇄기, 복사기 또는 복합기가 사용되면 급지대의 용지(P)가 공급된다. 즉, 급지대에 배치된 용지(P)의 일측 상부에 위치한 롤러(혹은 피더)가 용지(P) 일면의 일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롤러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러와 용지(P)의 마찰로 인해 급지대에 수용된 용지(P) 중 가장 위에 위치한 용지는 급지된다.Thereafter, when a printing machine, a copying machine or a multifunction machine is used by the user's selection, the paper P of the paper feed tray is supplied. That is, a roller (or a feed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paper P disposed on the paper feeder presses one end of the paper P, and the roller rotates to cause friction between the roller and the paper P The topmost sheet of paper (P) received in the tray is fed.

여기서, 급지대에 수용된 용지(P)를 상부에서 하방으로 제1용지, 제2용지, 제3용지 등으로 칭하고, 제1용지와 롤러의 마찰력을 A, 제1용지와 제2용지 사이의 마찰력을 B, 제1용지와 마찰발생부(310) 사이의 마찰력을 C, 및 제2용지와 마찰발생부(310) 사이의 마찰력을 D라고 했을 때, 상기 마찰력의 크기는 ‘A > C or D > B’의 순서가 된다. 이때, A는 B 또는 C 또는 D보다 항상 큰 값을 갖게되고, C와 D는 그 크기가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롤러가 제1용지를 가압하여 제1용지와 제2용지 사이의 마찰력(B)이 커지더라도 제2용지와 마찰발생부(310)의 마찰력(C) 때문에 제1용지가 이동될 때 제2용지는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가압부(300)의 압력으로 제1용지와 제2용지의 사이가 일부 벌어져 마찰력(B)이 줄어들게 되고, 용지받침대(100)는 그라운드부(미도시)가 용지들에 존재하는 전하를 이동시키므로 역시 제1용지와 제2용지 사이의 마찰력(B)은 줄어들어, 가장 상측에 위치한 용지(P)부터 급지가 용이하다.Here, the paper P contained in the paper feeder is referred to as a first paper, a second paper, a third paper or the like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oller is denoted by A,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second paper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friction generating part 310 is denoted by C an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econd paper and the friction generating part 310 is denoted by D, &Gt; B &quot;. At this time, A is always larger than B or C or D, and C and D are almost similar in size. Therefore, even when the frictional force B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per sheets increases due to the roller pressing the first paper sheet, the frictional force (C) 2 The paper is prevented from moving. Further, the frictional force B is reduced by the partial pressure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second paper due to the pressure of the pressurizing unit 300, and the paper support 100 has a ground portion (not shown) The frictional force B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second paper is also reduced so that feeding from the paper P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s easy.

이후, 급지대에 수용된 용지(P)가 소모되어 그 높이 h1 에서 h2로 줄어들게 되면, 복수 개의 가압부(300)는 탄성부재(500)에 의해 서로 가까워진다(도 2 참조). 그리고 복수 개의 가압부(300)가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되더라도, 용지받침대(100)는 회피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부(300)와 용지받침대(100)는 간섭이 서로 방지된다. 예를 들어, 용지받침대(100)의 상부에 배치된 용지(P)가 2장일 경우라도, 가압부(120)는 회피홈(120)에 의해 용지받침대(100)와의 간섭이 방지되므로, 가압부(120)는 용지(P)의 모서리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paper P accommodated in the paper feeder is consumed and reduced from its height h1 to h2,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300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member 500 (see Fig. 2). Even though the plurality of pushing portions 300 are moved close to each other, since the avoidance recesses 120 are formed in the paper support 100, interference between the pushing portion 300 and the paper support 100 is prevented. For example, even when there are two sheets of paper P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per support 100, the pressing portion 120 is prevented from interference with the paper support 100 by the avoidance recesses 120, (120) can sufficiently press the edge of the paper (P).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는 인쇄기나 복사기 또는 복합기 등의 장치와 같이 용지를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대에 적용된다.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aper feeder for continuously feeding paper, such as a printer, a copier, or a multifunction machine.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aper jam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복수 개의 가압부(300) 중 수직가압부(400)와 그에 연장된 손잡이부(420)가 급지대(W)의 바닥 상면과 수직되게 상방으로 연장되므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때, 수직가압부(400)는 외면에 마찰발생부(410)가 마련될 수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per jam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vertical pressing portion 400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300 and the handle portion 420 extending therefrom ar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feeder W,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t this time, the vertical pressing part 400 may be provided with a friction generating part 410 on its outer surface.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용지(P)가 급지대(W)의 벽면에 치우쳐져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벽면이 용지(P)를 가이드하는 경우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ase where the paper P guides the paper P in a state where the paper P is position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paper tray W.

따라서 수직가압부(400)와 손잡이부(420)는 급지대(W)의 벽면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급지대(W)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이때, 수직가압부(400)와 손잡이부(420)가 급지대의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다고 해서, 배치된 용지(P)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용지(P)를 가압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수직가압부(400)는 배치된 용지(P)의 각각의 모서리를 전체적으로 가압하게 되며, 마찰발생부(410)와 배치된 용지(P)의 각각의 모서리는 마찰력이 존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vertical pressing part 400 and the grip part 420 are formed parallel to the wall surface of the paper tray W,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paper tray W. At this time, since the vertical pressing part 400 and the grip part 420 are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bottom of the feeder, it does not press the paper P located on the relatively upper side among the arranged paper sheets P, The pressing portion 400 presses the entire edges of the disposed paper P as a whole and frictional force may be present at each edge of the paper P arranged with the friction generating portion 410. [

<제3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aper jam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는, 지지부(200)의 단면이 회동방지되는 형상이고 굴절부(250)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다.The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section 200 is prevented from rotating and does not include the refraction section 250 have.

지지부(200)는 단면이 적어도 일부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지지부(200)는 적어도 일부가 각지도록 꺾인 꼭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200)의 단면은 반원형상 또는 타원형상 또는 꼭지부가 포함된 형상일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200 may have a curvature at least in a section. Or the support portion 200 may include a vertically bent portion at least a part of which is angled. For example,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0 may be semicircular or elliptical or a shape including a nip portion.

그리고 지지편(110)은 지지부(200)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부(20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111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iece 11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00 so that the support part 200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따라서 지지부(200)는 용지받침대(100)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upport portion 200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paper support 100.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걸림 방지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실시예들은 서로 변경 또는 통합이 가능하며,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or integrated with each oth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용지받침대 110 : 지지편
111 : 관통공 120 : 회피홈
130 : 탄성가이드부 131 : 관통공
200 : 지지부 210 : 제1지지부
220 : 굴절부 221 : 스토퍼
230 : 제2지지부 240 : 제3지지부
250 : 굴절부 260 : 제4지지부
300 : 가압부 310 : 마찰발생부
320 : 손잡이부 400 : 수직가압부
410 : 마찰발생부 420 : 손잡이부
500, 510 : 탄성부재
P : 용지 W : 급지대
100: paper support 110:
111: through hole 120: avoiding groove
130: elastic guide part 131: through hole
200: Support part 210: First support part
220: refracting portion 221: stopper
230: second support part 240: third support part
250: refracting portion 260: fourth supporting portion
300: pressing portion 310: friction generating portion
320: handle portion 400: vertical pressing portion
410: Friction generating part 420: Handle part
500, 510: elastic member
P: Paper W: Feeder

Claims (16)

상부에 용지가 배치되도록 급지대 내부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돌출되어 급지대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용지받침대;
상기 용지받침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용지받침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용지를 향한 상방으로 예각을 형성하며 연장되고, 상기 용지의 측부 상단과 접하면서 가압하며, 상기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용지받침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부;
상기 용지받침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굴절되도록 연장되는 굴절부; 및
상기 용지받침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굴절부로부터 상기 용기받침대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된 용지 걸림 방지 장치.
A paper support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paper supply tray so as to place the paper thereon and includes a support piece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paper feeder;
A suppo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And
And a pressing part which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so as to form an acute angle upward from the support part toward the paper and presses while abutting against the upper end of the side of the paper and is mov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The support portion
A first support portion disposed below the paper support and extending from the pressing portion;
A refracting portion disposed below the paper support and extending to be refracted from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disposed below the paper support and extending from the refracting portion toward an outer side of the container support,
Wherein the support piece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portion or the second support portion can be mo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가압부 각각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가압부 각각은 용지받침대를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nd a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or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is arrang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paper suppor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서로 당겨지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astic member so as to be pulled to each ot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침대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가이드하는 탄성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aper-
An elastic guide portion which extends downward and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lastic member passes, and guides the elastic member;
Further comprising a paper jam preventing device for jamming the paper ja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tension coil sp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침대를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각각 대향배치되는 제3지지부와 제4지지부;
상기 용지받침대를 중심으로 상기 가압부와 대향배치되며 상기 제3지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가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support portion and a fourth support portion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aper support, respectively;
A vertical press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to face the pressing portion with the paper support in the center and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paper jam preventing device for jamming the paper j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지지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각각 관통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opper extending from the refracting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 and the support piece and penetra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Further comprising a paper jam preventing device for jamming the paper j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침대는,
상기 가압부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회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per-
Further comprising an avoidance groove form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press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적어도 어느 일부가 어느 가상의 평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som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re included in any imaginary plan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용지받침대와 평행한 가상의 평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included in a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paper sup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부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각기둥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are prismatic to prevent ro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외면에 용지와의 마찰을 발생시키는 마찰발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ortion
A friction generating portion for generating friction with the paper on the outer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paper jam preventing device for jamming the paper jam.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마찰발생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riction generating portion is an elastic material formed of rubber or silic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끝단에 둔각을 형성하며 용지의 가상의 평면상에서 용지의 측부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ortion
A handle portion forming an obtuse angle at an end and extending away from the side of the sheet on a virtual plane of the sheet;
Further comprising a paper jam preventing device for jamming the paper j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침대는,
상기 용지에 존재하는 전하를 이동시켜 상기 용지 사이의 정전기를 해소하는 그라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걸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per-
A ground unit which removes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sheets by moving charges present on the sheet;
Further comprising a paper jam preventing device for jamming the paper jam.
상부에 용지가 배치되도록 급지대 내부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돌출되어 급지대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용지받침대;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지받침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용지받침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용지를 향한 상방으로 예각을 형성하며 연장되고, 상기 용지의 측부 상단과 접하면서 가압하며, 상기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단면은 적어도 일부가 곡률을 가지거나, 적어도 일부가 각지도록 꺾인 꼭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은 상기 지지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용지 걸림 방지 장치.
A paper support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paper supply tray so as to place the paper thereon and includes a support piece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paper feeder;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pressing portion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And
And a pressing part which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paper support so as to form an acute angle upward from the support part toward the paper and presses while abutting against the upper end of the side of the paper and is mov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vertically bent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has a curvature or is at least partially angled,
Wherein the supporting piece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end surface of the supporting part so that the supporting part can move through the supporting part.
KR1020160145550A 2016-11-03 2016-11-03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jam KR201800495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550A KR20180049528A (en) 2016-11-03 2016-11-03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j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550A KR20180049528A (en) 2016-11-03 2016-11-03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j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528A true KR20180049528A (en) 2018-05-11

Family

ID=6218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550A KR20180049528A (en) 2016-11-03 2016-11-03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j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952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614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s and sheet feeding devices
US7673872B2 (en) Sheet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747754B2 (en)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EP2996974B1 (en) Printing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608158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comprising a separation roller and a pad assembly
US7543814B2 (en) Automatic paper feeding apparatus
JP6834452B2 (en) Paper feed device
KR20180049528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jam
KR101701777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jam
EP2818439B1 (en) Sheet feed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heet feed apparatus
JP62175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23981B1 (en) Bookbin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790459B2 (en) Paper feed device, image forming device
JP3416669B2 (en)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152155B1 (en) Envelope feed apparatus
US11214451B2 (en) Sheet container, sheet feeding incorporating the sheet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tainer
JP5967261B2 (en)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JP62877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844724B2 (en) Medium feeding device
JP2001063854A (en) Paper feeding device
JP2011042455A (en)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device
JP5321152B2 (en) Paper feed t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199823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131578A (en) Image forming system
JP2010202333A (en)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