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493A -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493A
KR20180049493A KR1020160145474A KR20160145474A KR20180049493A KR 20180049493 A KR20180049493 A KR 20180049493A KR 1020160145474 A KR1020160145474 A KR 1020160145474A KR 20160145474 A KR20160145474 A KR 20160145474A KR 20180049493 A KR20180049493 A KR 20180049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mission
user
information
wait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혜경
Original Assignee
장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혜경 filed Critical 장혜경
Priority to KR102016014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9493A/ko
Publication of KR2018004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성된 현장방문지 내로 진입하기 전에 발생되는 대기시간 동안 현장방문지와 관련된 미션이 결합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미션을 달성하면 현장방문지 내에서의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문장소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해 해당 장소의 수익율을 높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해당 지역의 경제적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Waiting time applic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성된 현장방문지 내로 진입하기 전에 발생되는 대기시간 동안 현장방문지와 관련된 미션이 결합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미션을 달성하면 현장방문지 내에서의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주로 오프라인 매장정보를 온라인에서 조회하고 방문의사 결정을 하고 있다. 특히 음식점, 숙박, 관광명소 등 지역 관심지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관광지 관련정보는 현지의 상황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상의 정보에 많은 부분을 의지하게 된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온라인을 통해 원하는 정보들을 확보하다 보니, 박물관, 관광명서, 아쿠아 월드, 유명한 음식점 등 동일한 장소에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게 되고, 이로 인해 줄을 선 상태에서 차례를 기다리는 대기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사람들은 대기시간에 같이 온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각자 휴대폰을 이용하여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불만이 많아지거나, 아니면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료 명소나 음식점들의 경우 대기시간으로 인해 방문자들이 다른 명소나 음식점으로 이탈하는 경우 수익이 감소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72502 호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성된 현장방문지 내로 진입하기 전에 발생되는 대기시간 동안 현장방문지와 관련된 미션이 결합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미션을 달성하면 현장방문지 내에서의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은 현장방문지 내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현장방문지 내로의 진입이 감지된 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현장방문 감지부(100); 현장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으며, 현장방문 감지부(100)로부터 감지신호와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현장 단말장치(200);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현장방문 감지부(100)와의 상호 통신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현장방문 감지부(100)로 출력하고,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상으로 출력하고, 외부 조작에 따라 미션이 달성되면 미션달성정보를 생성시켜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 현장 단말장치(200)로 현장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현장 단말장치(200)로부터 현장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가 기등록된 정보인지를 확인한 후 해당되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미션달성정보가 수신되면, 미션달성정보에 따른 보상정보를 생성시켜 현장 단말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각각 제공하는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현장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은, 현장방문 감지부(10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대기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 대기시간과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안내 메시지가 외부의 조작에 따라 클릭되는 경우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외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로부터 제공받아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때 현 시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보상정보들과 다음 방문시에 이용할 수 있는 보상정보들을 제공하고, 이를 선택하여 미션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할 때, 사용자가 방문한 현장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성된 현장방문지 내로 진입하기 전에 발생되는 대기시간 동안 현장방문지와 관련된 미션이 결합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미션을 달성하면 현장방문지 내에서의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문장소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해 해당 장소의 수익율을 높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해당 지역의 경제적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은 현장방문 감지부(100), 현장 단말장치(200), 사용자 단말기(300), 대기시간 활용서버(400), 통신망(500)으로 이루어진다.
현장방문 감지부(100)는 현장방문지 내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현장방문지 내로의 진입이 감지된 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출력한다.
현장 단말장치(200)는 현장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으며, 현장방문 감지부(100)로부터 감지신호와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통신망을 통해 송출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현장방문 감지부(100)와의 상호 통신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현장방문 감지부(100)로 출력하고,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상으로 출력하고, 외부 조작에 따라 미션이 달성되면 미션달성정보를 생성시켜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송출한다.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현장 단말장치(200)로 현장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현장 단말장치(200)로부터 현장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가 기등록된 정보인지를 확인한 후 해당되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미션달성정보가 수신되면, 미션달성정보에 따른 보상정보를 생성시켜 현장 단말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각각 제공한다.
현장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은 현장방문 감지부(10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대기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 대기시간과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안내 메시지가 외부의 조작에 따라 클릭되는 경우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외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로부터 제공받아 화면상에 출력한다.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때 현 시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보상정보들과 다음 방문시에 이용할 수 있는 보상정보들을 제공하고, 이를 선택하여 미션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할 때, 사용자가 방문한 현장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컨텐츠를 제공한다.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할 때 사용자 성향분석 정보가 반영된 광고컨텐츠를 미션 컨텐츠에 포함시켜 제공한다.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사용자 회원 등록시 사용자의 SNS 활동정보 수집 동의를 받고, 사용자들의 SNS 활동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정보, 즉 남, 여, 나이별, 지역별 등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컨텐츠들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컨텐츠에 미션을 포함시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대기시간 활용서버(4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대기시간 활용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면,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300)에 탑재되면서 해당 아이콘이 사용자 단말기(300)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렇게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후 현장방문 감지부(100)가 설치된 장소에 가게 되면, 현장방문 감지부(100)와 사용자 단말기(300) 상호 간에 통신을 통해 현장방문 감지부(1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현장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
현장 단말장치(200)는 현재 대기시간을 토대로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산출하여 알려줌과 동시에 사용자 식별정보 및 사용자 대기 시간을 현장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로 송출한다.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식별정보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사용자 대기 시간을 제공(S110)받아, 현장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사용자 대기 시간에 매칭되는 미션을 추출하여, 추출된 미션이 결합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S120)한다. 사용자 대기 시간이 길수록 난이도가 높은 미션이 제공되고, 미션의 난이도가 높을수록 보상도 커진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대기시간 활용서버(40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아 알람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를 실행시킨다.
사용자가 미션을 달성하는 시간 내에 미션을 달성한 경우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은 미션달성정보를 생성시켜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로 제공한다.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미션달성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고, 미션달성에 따른 보상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 및 현장 단말장치(200)로 제공(S130)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현장방문 감지부
200 : 현장 단말장치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대기시간 활용서버
500 : 통신망

Claims (5)

  1. 현장방문지 내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현장방문지 내로의 진입이 감지된 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현장방문 감지부(100);
    현장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현장방문 감지부(100)로부터 감지신호와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현장 단말장치(200);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현장방문 감지부(100)와의 상호 통신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현장방문 감지부(100)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상으로 출력하고, 외부 조작에 따라 미션이 달성되면 미션달성정보를 생성시켜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
    상기 현장 단말장치(200)로 현장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현장 단말장치(200)로부터 현장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가 기등록된 정보인지를 확인한 후 해당되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미션달성정보가 수신되면, 미션달성정보에 따른 보상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현장 단말장치(2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각각 제공하는 대기시간 활용서버(400);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현장방문 감지부(10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대기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 대기시간과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안내 메시지가 외부의 조작에 따라 클릭되는 경우 사용자용 대기시간 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외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상기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로부터 제공받아 화면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때 현 시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보상정보들과 다음 방문시에 이용할 수 있는 보상정보들을 제공하고, 이를 선택하여 미션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 활용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미션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할 때, 사용자가 방문한 현장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KR1020160145474A 2016-11-03 2016-11-03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KR20180049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474A KR20180049493A (ko) 2016-11-03 2016-11-03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474A KR20180049493A (ko) 2016-11-03 2016-11-03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493A true KR20180049493A (ko) 2018-05-11

Family

ID=6218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474A KR20180049493A (ko) 2016-11-03 2016-11-03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94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4853B2 (ja) デバイス間ハンドオフ
JP6572361B2 (ja) 行動喚起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10726461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pleting an activity via an agent
EP2847978B1 (en) Calendar matching of inferred contexts and label propagation
TWI601089B (zh) 活動出席通知系統及方法
JP6750979B2 (ja) 自動改札機システム、鉄道利用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485971B2 (ja) 探し物支援システムおよび探し物支援プログラム
CN104734860A (zh) 一种会议管理方法及系统
WO2020255220A1 (ja) 支援者選定装置、支援者選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26259A (ko) 인접 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86529A1 (en) Method, system &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2711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unique identifier
KR20180049493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시간 활용시스템
KR101928294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예약 관리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02397B1 (ko) 라우터 액세스 제어 방법, 장치, 라우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20160012307A (ko) Gps를 이용한 관광지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 및 서버
KR20180072932A (ko) 실시간 클라우드 생활서비스 번역정보 제공방법
JP6442012B1 (ja) 予約管理装置、予約管理方法および予約管理プログラム
CN111221448A (zh) 信息提供方法、存储介质及信息提供系统
JP4915311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データ処理方法
KR20160041204A (ko) 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4898935A (zh) 群消息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1573198B1 (ko) 관심 지점 자동 인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20160217396A1 (en) Queue techniques
KR20160089260A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방문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