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531A -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531A
KR20180048531A KR1020180049902A KR20180049902A KR20180048531A KR 20180048531 A KR20180048531 A KR 20180048531A KR 1020180049902 A KR1020180049902 A KR 1020180049902A KR 20180049902 A KR20180049902 A KR 20180049902A KR 20180048531 A KR20180048531 A KR 20180048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pos
information
payment
user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구현
Original Assignee
권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구현 filed Critical 권구현
Priority to KR102018004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8531A/ko
Publication of KR2018004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4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interface for record bearing medium or carrier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or payment cred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은 제1 사용자 장치가 IPOS(I point of sales) 앱을 기반으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 사용자 장치 및 또는 제2 사용자 장치가 IPOS 앱을 사용하여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결제 정보는 POS(point of sales)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고, 최종 결제에 대한 정보는 IPOS 서비스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ayment processing based on user equipment}
본 발명은 결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이란 매출을 발생시키는 유통 업체 금전 출납계에 설치되어 매장에서 발생하는 판매 시점의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가공, 처리, 저장하여 각 부문별 정보를 분석, 평가, 종합할 수 있는 상품의 판매 결과를 기록하는 시스템이다. 다양한 업종에서 포스 시스템(POS SYSTEM 또는 주문 관리 시스템)의 도입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가 처리되고 있다. 일반적인 POS 시스템에 있어 매출 발생은 가장 중요하고 원천적이라 할 수 있는데 결제 시스템과 결제 수단의 중요성을 빼놓을 수 없다. 오늘날 편리성을 강조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으로 현금보다는 신용 카드를 비롯한 전자 결제의 사용 비중이 높아지고,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장치를 활용한 다양한 금융 결제 기술의 발전에 따라 POS 시스템의 제도적, 기술적 보완이 필요하다.
10-2008-0065733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은 제1 사용자 장치가 IPOS(I point of sales) 앱을 기반으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장치 및 또는 제2 사용자 장치가 상기 IPOS 앱을 사용하여 상기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결제 정보는 POS(point of sales)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최종 결제에 대한 정보는 IPOS 서비스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결제 진행 전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의해 설정된 장치이고,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상기 IPOS 앱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기 최종 결제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POS 앱은 상기 최종 결제의 완료 후 상기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영수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수증 정보는 가상 이미지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결제 정보의 생성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결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POS 앱은 거래에 대한 환불 절차를 위한 영수증 탐색시 상기 결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수증 탐색을 수행하는 장소와 매칭되는 영수증의 가상 이미지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IPOS(I point of sales) 앱을 기반으로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POS 앱을 기반으로 상기 결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자치 또는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최종 결제를 요청하도록 구현될 수 있되, 상기 결제 정보는 POS(point of sales)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최종 결제에 대한 정보는 IPOS 서비스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결제 진행 전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의해 설정된 장치이고,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상기 IPOS 앱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기 최종 결제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 수 있다.
또한, 상기 IPOS 앱은 상기 최종 결제의 완료 후 상기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영수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수증 정보는 가상 이미지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결제 정보의 생성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결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POS 앱은 거래에 대한 환불 절차를 위한 영수증 탐색시 상기 결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수증 탐색을 수행하는 장소와 매칭되는 영수증의 가상 이미지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는 온라인/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 정보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고, 지출 내역에 대한 통합 관리, 지출 패턴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수료 부담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OS 기반의 결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OS 앱을 기반으로 한 결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OS 앱 기반의 영수증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OS 앱을 기반으로 한 지출 패턴 분석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카테고리 구조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OS 앱을 기반으로 한 영수증을 찾는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시스템은 기존의 사업장(또는 매장)에 설치된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을 개인의 사용자 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사업장에 설치된 POS 시스템과 같은 기능을 개인의 휴대용 사용자 장치가 수행하여 개인의 사용자 장치가 POS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기반의 POS 시스템/POS 서비스는 IPOS 시스템/IPOS 서비스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기존의 POS 서비스가 POS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업장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결제였다면, IPOS 서비스는 POS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의 사용자 장치가 주체가 된 결제 서비스일 수 있다.
이하, IPOS 시스템 기반의 결제 방법이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OS 기반의 결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POS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위해 구매 예정인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IPOS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장치(120)로 IPOS어플리케이션(이하, IPOS 앱)을 전송할 수 있다. IPOS 앱은 사용자 장치(120)에 설치되고 사용자 장치(120) 상에서 POS 데이터 기반의 결제 절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된 구매 데이터는 IPOS 앱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120)로 전송되고, 사용자 장치(120)에서 IPOS 앱을 기반으로 결제에 대해 최종적인 동의가 완료된 경우,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기능은 본인의 사용자의 장치(120)뿐만 아니라, 타인의 사용자 장치에 의한 동의만 있어도 가능할 수 있다.
IPOS 시스템은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결제 시스템일 수 있다.
온라인 기반의 결제의 경우, 장바구니에 담긴 제품을 결제시 사용자 장치(120)의 IPOS 앱으로 구매 내역이 전송될 수 있고, IPOS 앱을 기반으로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에 대한 승인이 진행된 후 결제가 최종적으로 완료될 수 있다.
오프라인 기반의 결제의 경우, 사업장 포스 시스템이 구매 품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의 개별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기반으로 구매 품목에 대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20) 상에 설치된 IPOS앱을 사용하여 구매 품목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여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POS 서비스 서버는 해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활용될 수도 있다. IPOS 서비스에서는 개인 결제 계좌가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개인 결제 계좌에 금액을 입금하고, 입금된 금액을 기반으로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OS 서비스에서는 결제시 환률을 고려하여 사용된 금액을 산정하고, 산정된 금액을 지불하여 결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IPOS 서비스 서버를 기반으로 한 결제를 통해 카드 수수료를 감소시킬 수 있고, 환전된 현금을 다른 나라에서 지니고 다님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OS 앱을 기반으로 한 결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IPOS 앱에서 구매 품목 내보내기를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매 품목 내보내기 기능은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전송된 구매 품목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수신한 사용자 장치에서의 결제가 아니라, 다른 사용자 장치에서 결제에 대해 승인을 하고 결제를 완료하는 기능이다. 즉, 구매 품목 내보내기 기능은 제3자에 의한 결제를 위한 기능이다. 구매 품목 내보내기 기능은 제3자의 선결제 동의 또는 후결제 동의에 의한 결제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품목 내보내기 기능은 학생들이 구매한 제품,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하여 부모님의 사용자 장치를 통해 구매 내역에 대한 확인 후 부모님의 최종적인 결정 하에 결제를 진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매 품목 내보내기 기능은 직장인과 친구들 사이에 더치페이가 좀 더 손쉽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소액 결제에 따른 사업주의 수수료 손해를 줄여 소비자와 사업자에게 모두 이익이 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장치(210)가 IPOS(I point of sales) 앱을 기반으로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 장치(210) 및 또는 제2 사용자 장치(220)가 IPOS 앱을 사용하여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결제 정보는 POS(point of sales)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고, 최종 결제에 대한 정보는 IPOS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220)는 결제 진행 전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210)에 의해 설정된 장치이고, 제2 사용자 장치(220)는 IPOS 앱을 기반으로 제1 사용자 장치(21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 장치(210)를 대신하여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최종 결제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OS 앱 기반의 영수증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IPOS 앱에서 제공되는 영수증 관리 서비스가 개시된다.
IPOS 앱을 기반으로 결제 방법의 일원화로 데이터화된 영수증(300)이 서버에 보관될 수 있고, 영수증(300)을 언제 어디서든 열람할 수 있다. 영수증(300)은 실제 영수증과 유사한 형태로 가상 이미지 포맷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교환 및 환불에 필요한 경우 종이 영수증을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이 IPOS 앱을 기반으로 영수증(300)을 불러올 수 있다. IPOS앱으로 결제하지 않고, 현금 결제나 계좌 이체, 자동 이체, 휴대폰 결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영수증(300)의 고유 번호나 QR코드를 이용하여 IPOS 앱의 영수증 내역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IPOS 앱을 기반으로 한 지출 패턴(350)에 대한 분석이 수행 가능할 수 있다. 결제의 주체가 카드나 현금이 아니라 IPOS앱에 집중되는 경우, 각 카드사와 개인의 현금 결제로 나뉜 지출 데이터가 한 곳으로 모여 개인별로 좀 더 정확하고 세분화된 지출 데이터 산출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기간과 패턴 별로 특화된 데이터를 제공하여 합리적 소비를 이끌 수 있다. 이러한 지출 패턴(350)에 대한 분석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또한, 소득공제 데이터 일원화가 IPOS앱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현재 소득 공제 데이터는 국세청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그 절차가 복잡하고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지출이 IPOS앱으로 이루어 진다면, 미리 소득 공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IPOS 앱이 사용되는 경우, 개인 정보가 보호될 수 있다. 기존의 결제 시스템은 오프라인의 경우 사업장의 POS기기에 결제 정보가 저장되고, 온라인의 경우는 각 사이트에 결제 정보가 저장된다. 그렇기 때문에 중고 POS 장비에서의 정보 유출, 쇼핑몰의 해킹으로 인해 대량의 개인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하지만, IPOS 앱이 사용되는 경우 결제 절차가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개인 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IPOS 앱을 기반으로 지출 내역에 대한 통합 관리가 수행되어 효율적으로 지출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카드의 장점은 현금 휴대의 불필요와 외상 거래에 있지만, 그만큼 정확한 지출 내역을 확인하기에는 불편한 면이 있다. 왜냐하면, 각각의 카드 별 결제 내역에 대한 확인이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IPOS앱이 사용되는 경우, 저장된 영수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간별, 분야별로 지출 내역을 분석한 데이터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소비 후에 지출 관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를 하는 도중에 지출 관리를 할 수 있어 좀 더 효율적인 지출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IPOS 앱을 기반으로 지출 패턴과 관련된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개개인의 지출 데이터가 모여 빅데이터를 이룰 수 있고, 빅 데이터 안에서 필요한 데이터만을 뽑아 사용자 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개인과 기업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출 패턴에 대한 빅 데이터의 분석을 기반으로 연령별 소비 패턴, 선호하는 소비 문화 등에 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IPOS 앱이 사용되는 경우, 수수료 부담이 절감될 수 있다. 결제의 주체가 개인의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개인의 휴대전화 단말기)이기 때문에 결제 수수료가 절감될 수 있으며, IPOS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는 경우, 구매력이 높아져 수수료 협상에도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OS 앱을 기반으로 한 지출 패턴 분석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결제 내역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지출 패턴의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IPOS 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지출 패턴에 대한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IPOS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지출 내역을 날짜 별로 또는 카테고리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OS 서비스 서버는 기존의 다양한 사용자들의 거래 정보(400)를 기반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거래 정보(400)를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IPOS 서비스 서버는 제1 카테고리(의류), 제2 카테고리(식음료), 제3 카테고리(생필품) 등으로 거래 정보(400)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고, 거래 정보(400)는 해당 카테고리 별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카테고리에 대한 분류를 위해 IPOS 서비스 서버에서는 거래 업체 별로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클로라는 거래 내역이 뜨는 경우, 유니클로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학습이 수행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IPOS 서비스 서버에서는 유니클로에서 판매된 상품은 의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계속적인 수정을 통해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품목(의류, 생필품 등)을 다루는 매장의 경우, 추가적인 거래 내역에 대한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즉, IPOS 서비스 서버는 학습 결과 해당 매장에서 판매하는 물품이 복수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경우, 거래 정보(400)에 포함된 추가적인 물품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판단하여 거래 정보(400)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물품을 판매하는 이케아에서 생필품 및 음식에 대한 거래 정보(400)가 발생한 경우, 거래 정보(400)에 포함되어 있는 상세 내역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거래 정보(400)를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카테고리 분류를 위해 IPOS 서비스 서버에서는 계속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IPOS 서비스 서버는 판단 불가한 신규한 거래 내역이 발생한 경우, 웹 상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거래 내역의 카테고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새로운 업체에 대한 거래 정보(400)가 발생한 경우, A라는 업체에 대한 정보를 웹 상에서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A라는 업체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상에서 검색되는 문서 상에서 A 업체와 관련된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A 업체와 높은 관련도를 가진 단어로서 치마, 신발 등이 검색되는 경우, IPOS 서비스 서버는 A업체와의 거래 내역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의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도는 문서 내부 구조에 대한 탐색을 기반으로 문장 별 단어 간 관련도 분석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IPOS 서비스 서버는 거래 결과에 대한 분석이 맞는지 여부를 사용자 장치에 의해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
IPOS 서비스 서버에서 업체와 관련된 정보가 추출되지 않거나 업체와 관련된 정보가 분산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분류 카테고리를 요청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IPOS 서비스 서버가 웹 상에서 A 업체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얻지 못하거나 관련성이 없는 상품(중장비, 의류) 등이 A업체와 관련된 상품으로 검색되는 경우, IPOS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에게 거래 정보(400)에 대한 분류 카테고리를 요청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상품 간의 관련성도 기계 학습을 기반으로 수행되어 상품 간의 관계도가 일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 IPOS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에게 거래 정보(400)에 대한 분류 카테고리를 요청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IPOS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발생되는 거래 정보(400)에 대한 학습을 통해 거래 정보(400)에 대한 카테고리를 보다 명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 또한, IPOS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에게 적응적인 카테고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카테고리 구조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카테고리 구조(500)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한 카테고리 구조(500)의 설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식음료와 관련된 거래 카테고리를 좀 더 세분화하여 한식, 중식 및 양식 등으로 분류하고 싶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IPOS 앱을 기반으로 분류하고 싶은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한 분류가 IPOS 서비스 서버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POS 서비스 서버는 거래 내역을 계층적으로 분류할 수 있고, 계층적으로 분류된 거래 내역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거래 내역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에서 거래 내역이 발생한 경우, 제1 카테고리로서 식음료 카테고리가 설정되고, 제1 카테고리(식음료)의 제1 하위 카테고리로서 식사, 음료수, 간식 등의 카테고리가 설정되고, 제1 하위 카테고리(식사)에 대해서는 제2 하위 카테고리로서 한식, 양식, 중식 등의 카테고리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하위 카테고리(한식)에 대하여 다양한 음식의 카테고리가 설정될 수 있다. IPOS 서버는 기계 학습을 통해 거래에 대하여 가능한 최종적인 하위 카테고리 분류 단계까지 분류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최하위 카테고리 분류 단계까지 카테고리의 분류를 원할 수도 있고, 그보다 상위 카테고리의 분류 단계까지 거래 내역에 대한 분류를 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카테고리별로 서로 다른 분류 단계를 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식에 대해서는 최종적인 하위 카테고리 분류 단계까지의 분류를 원하나 의류에 대해서는 최종적인 하위 카테고리 분류 단계보다 상위 카테고리 분류 단계까지의 분류를 원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IPOS 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분류 정도에 맞게 거래 내역에 대한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도로만 거래 내역을 분류에서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OS 앱을 기반으로 한 영수증을 찾는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결제 내역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수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존에 발생된 거래 내역에 대한 영수증을 찾기 위해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간략하게 입력하는 것만으로 영수증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영수증은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거래 내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고, 실제 사용자 장치의 화면 상에서 영수증과 유사한 형태의 가상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식사를 한 경우, 식사에 대한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영수증이 실제 영수증과 유사한 형태로 그래픽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IPOS 앱을 기반으로 영수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를 통해 복수의 영수증이 다양한 이미지 포맷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의 화면 상에서 복수의 영수증에 대한 정보가 시간 순서대로 일 열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나열될 수도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터치하여 영수증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4 및 도 5에서 전술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와 연동되어 사용자는 카테고리 또는 구매한 물품 정보를 입력하여 영수증을 찾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수증에 대한 탐색을 수행하는 경우, IPOS 앱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카테고리 중 영수증과 관련된 카테고리 선택(600)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옷의 환불을 위해 옷과 관련된 영수증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의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고, IPOS 앱은 의류와 관련된 영수증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는 보다 세분화될 수 있고, 사용자는 영수증을 보다 빠르게 찾기 위해 카테고리의 세분화를 요청한 후 영수증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IPOS 앱은 시간 순서대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설정된 기준으로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영수증의 가상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다 빠른 탐색을 위해 날짜 또는 구매 장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가상 영수증에는 구매한 시간, 구매한 매장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날짜를 입력하거나 구매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지도 기반으로 입력하여 자신이 찾는 영수증을 보다 빠르게 찾을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 없이 환불을 수행할 매장에 가는 경우, IPOS 앱에서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영수증을 추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역 지오다노 매장에 방문하고 영수증에 대한 탐색을 요청하는 경우, 강남역 지오다노 매장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영수증 중 강남역 지오다노 매장에서 생성된 거래 정보와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 영수증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은,
    제1 사용자 장치가 IPOS(I point of sales) 앱을 기반으로 IPOS 서비스 서버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치 및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결제 정보를 공유하는 제2 사용자 장치가 상기 IPOS 앱을 사용하여 상기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결제 정보의 생성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결제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 결제에 대한 정보는 상기 IPOS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049902A 2018-04-30 2018-04-30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48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02A KR20180048531A (ko) 2018-04-30 2018-04-30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02A KR20180048531A (ko) 2018-04-30 2018-04-30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739A Division KR20180047069A (ko) 2016-10-31 2016-10-31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531A true KR20180048531A (ko) 2018-05-10

Family

ID=6218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902A KR20180048531A (ko) 2018-04-30 2018-04-30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85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231B1 (ko) * 2021-03-23 2022-07-07 지플라이 주식회사 플랫폼을 이용한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탈 방법
KR102418230B1 (ko) * 2021-03-23 2022-07-07 지플라이 주식회사 플랫폼을 이용한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탈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231B1 (ko) * 2021-03-23 2022-07-07 지플라이 주식회사 플랫폼을 이용한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탈 방법
KR102418230B1 (ko) * 2021-03-23 2022-07-07 지플라이 주식회사 플랫폼을 이용한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탈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3810A1 (en) Dynamic payment authorization system and method
US118422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ry transaction processing
US202102013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tracking customer interaction
US98753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of product receipts
US2014021465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east-cost routing of transactions for merchants
US9378510B2 (en) Automatic determination of account owners to be encouraged to utilize point of sale transactions
US20230334490A1 (en) Blockchain agnostic token network
US20150235309A1 (en) Business services platform solutions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JP7424173B2 (ja) ウォレットサーバ、ウォレットプログラムおよびウォレットシステム
JP7432659B2 (ja) 口座管理システム、口座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584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 merchant's change of acquirer
KR20140099814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1928722B2 (en) Item level data determination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US10607227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potential money laundering activities
US117414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ed routing of electronic transactions across multiple acquirer processors
CN110235161A (zh) 用于从数字钱包认证中收集设备数据的系统和方法
KR20180048531A (ko)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9001264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ccepting dual function payment credential
US20230092126A1 (en) Banking operation support system, banking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banking operation support program
US20230196319A1 (en) Integrated interactive elements for multi-user transactions
US11663629B1 (en) Multi-merchant concomitant-use point-of-sale device
KR20180047069A (ko) 사용자 장치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
US904763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printed checks into pre-paid debit card funds
JP2017010310A (ja) 口座残高管理装置
US2020036478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losed End Credit Account Associated with a Debit Acc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