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488A -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488A
KR20180047488A KR1020160143601A KR20160143601A KR20180047488A KR 20180047488 A KR20180047488 A KR 20180047488A KR 1020160143601 A KR1020160143601 A KR 1020160143601A KR 20160143601 A KR20160143601 A KR 20160143601A KR 20180047488 A KR20180047488 A KR 20180047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drone
unique
control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864B1 (ko
Inventor
송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인스
Priority to KR1020160143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8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하늘을 비행하는 비행구동부 및 이동통신네크웍과 통신하기 위한 드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드론과, 이동통신네트웍과 통신하기 위한 제어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지상제어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이동통신기지국을 통하여 드론 및 지상제어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드론 및 지상단말기가 전원이 인가되어 이동통신네트웍에 접속하면 드론통신모듈의 고유ID와 제어기통신모듈의 고유ID로부터 드론 및 지상제어단말기에게 각각 IP 주소들을 할당하는 이동통신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드론에 할당된 IP주소와 드론통신모듈의 고유ID와 지상제어단말기에 할당된 IP 주소와 제어기통신모듈의 고유ID를 드론 및 지상제어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하고, 수신한 고유 ID들을 이용하여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를 서로 인증하며, 수신한 IP주소들을 이용하여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를 서로 연결하는 드론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론시스템은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가 수킬로에서 수백킬로미터 이격된 원격지에서도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여 서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A drone system which utilize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drone management server which uses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비행하는 드론과 드론을 제어하는 지상제어단말기가 이동통신 네트웍에 연결되고,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여 드론을 제어하고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도록 하는 발명이다.
무인비행체, 일명 드론이 개발되어 상용화 된다. 드론은 일례로서 카메라 및 각종 센서를 장착하여 무인으로 비행한다. 드론은, 예들들어, 환경감시, 방송중계, 스포츠중계, 농약살포, 도로감시, 보안, 군사, 레저, 스포츠 등 광범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종래의 드론과 지상의 지상제어단말기간의 통신은 무선으로 수행한다. 무선통신을 위한 RF통신모듈이 각각 내장되고, 고유의 주파수와 ID를 가지므로 드론과 지상의 지상제어단말기는 RF통신으로 직접 연결되고 제어 및 드론의 영상을 수신한다.
이와같은 종래의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간의 통신은, 통신 거리에 대한 제약이 따른다. 각각의 단말기에 장착된 RF통신모듈의 제어가능 범위는 일정한 거리로 제한된다. 만약에 드론과 지상단말기 사이에 산이나 아파트와 같은 자연 혹은 인공적인 장벽에 가로막혀 무선주파수가 미치지 않는다면 드론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과 지상의 지상제어장치를 휴대폰이 이용하는 이동통신 네트웍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드론과 지상제어장치의 제어 가능 거리를 연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심지어는 수킬로미터, 수십킬로미터, 수백킬로미터 이격된 원격지에서도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가 이동통신 네트웍에 연결되어 드론을 제어하거나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론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하늘을 비행하는 비행구동부 및 이동통신네크웍과 통신하기 위한 드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드론; 상기 이동통신네트웍과 통신하기 위한 제어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지상제어단말기; 이동통신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가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이동통신네트웍에 접속하면 상기 드론통신모듈의 고유ID와 상기 제어기통신모듈의 고유ID로부터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에게 각각 IP 주소들을 할당하는 이동통신서버; 및 상기 드론에 할당된 IP주소와 상기 드론통신모듈의 고유ID와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에 할당된 IP 주소와 상기 제어기통신모듈의 고유ID를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고유 ID들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과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를 서로 인증하며, 상기 수신한 IP주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과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를 서로 연결하는 드론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를 이동통신 네트웍에 연결하고, 드론관리서버를 이용하여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를 서로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에 할당하는 상기 IP주소들은 유동적인 IP 주소로서,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가 전원이 온 될 때마다 새롭게 IP주소들을 각각 할당 한다. 이동통신네트웍의 이동통신서버는 드론과 지상단말기가 전원이 온 될 때마다 유동 IP를 각각 부여한다.
상기 드론관리서버는, 드론IP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드론IP관리부는 상기 드론통신모듈의 고유ID와 상기 제어기통신모듈의 고유ID가 서로 짝을 이루도록 미리 저장하는 고유ID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드론관리서버는, 상기 드론IP관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에게 상대방 단말기의 IP주소를 전달하고,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는 상대방 단말기의 상기 전달된 IP주소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한다.
상기 드론관리서버는, 영상스트리밍서비스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드론의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을 상기 드론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영상스트리밍서비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드론통신모듈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영상스트리밍서비스부를 통하여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본원발명의 다른 측면인, 복수의 드론의 무선통신모듈의 고유ID들과 복수의 지상제어단말기의 무선통신모듈의 고유ID들을 서로 짝을 이루도록 저장하는 고유ID저장부; 특정의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고유ID와 특정의 지상제어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ID가 상기 고유ID저장부에 저장된 서로 짝을 이루는 고유ID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특정의 드론과 상기 특정의 지상제어단말기는 서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IP어드레스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관리서버를 통하여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은 드론과 지상제어장치를 이동통신네트웍에 연결하여 수십킬로 혹은 심지어는 수백킬로 원격지에서도 드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드론과 지상제어장치뿐만 아니라, 휴대폰, 모바일장치, 노트북, PC 등의 장치도 드론과 연결가능하도록 드론관리서버를 통하여 설정함으로써, 드론이 획득한 영상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여러 종류의 디바이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간의 신호전달 및 영상 전송을 위하여 이동통신사서버 및 드론관리서버가 수행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상태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제어단말기의 지상제어 UI 및 영상스트리밍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화면을 보여준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시스템(1000)은 드론(100), 드론관리서버(200) 및 지상제어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드론(100)과 지상제어단말기(300)는 각각 이동통신기지국(410)을 통하여 이동통인 인터넷 네트웍에 연결된다. 이동통신기지국(410)은 핸드폰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인식하고, 음성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 인터넷 네트웍 인프라에 해당한다. 이동통신 기술의 예로서는 3G, 4G, 5G와 같은 기술들이 상용화 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KT, SKT 등의 이동통신 회사가 이동통신을 위한 기본 인프라를 대한민국 전체 영역에 설치하여 휴대폰을 연결하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미국, 중국 등 세계 각국도 마찬가지로 자신의 나라에 이동통신 기지국을 설치하고, 가입자에게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드론(100)과 드론(100)을 제어하는 지상제어단말기(300)를 이와 같은 이동통신 무선 인프라에 연결하여 드론이 연결된 이동통신 네트웍이 지원하는 공간 내에서는 원격지에서도 드론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수백킬로 뿐만아니라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수천킬로미터의 원격지에서도 제어가 가능하다.
본원발명의 드론 시스템은(1000)은 드론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드론관리서버(200)는 생산되어 판매되는 모든 드론(100)에 장착된 무선통신모듈의 고유ID를 저장한다. 또한, 드론(100)과 대응하는 지상제어단말기(300)에 장착된 무선통신모듈의 고유ID를 서로 짝을 이루어 저장한다.
따라서, 생산되고 판매된 드론(100)및 지상제어단말기(300)가 사용자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각각의 통신모듈에 장착된 고유ID를 확인하여 두 기기가 서로 연결되는 기기인지를 판단하여, 두 기기를 인증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드론(100) 및 지상제어단말기(300)가 이동통신네트웍에 연결되면, 이동통신회사의 이동통신서버(400; 도 3 참조)는 연결된 드론(100) 및 지상제어단말기(300)에게 각각 IP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드론관리서버(200)는 이 IP 어드레스를 드론 및 지상제어단말기에서 수신한 다음, 두 기기간의 연결이 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연결작업에 의하여 드론(100)과 지상제어단말기(300)는 거리에 대한 제한 없이 원격지에서도 제어가 가능하다. 드론(100)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또한 원격지에서 지상제어단말기(300)를 통하여 수신이 가능하다.
휴대단말기(500) 혹은 퍼스널컴퓨터(600)를 이동통신 네트웍에 연결하고, 드론(100)의 IP 어드레스를 전달하여 드론(100)과 연결한다면, 휴대단말기(500) 및 퍼스널컴퓨터(600)에서도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드론관리서버(200)는 일명 RTSP서버(200)로 명명한다. RTSP란 Real Time Streaming Service Protocol의 약자로서, 드론(100)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재전송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수행한다.
지상제어단말기(300)는 일명 GCS단말기(300)로 명명한다. GCS란 Ground Control System의 약자로서 지상에서 드론을 제어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드론(100)은 드론제어부(110), IR카메라(120), EO카메라(130), 드론통신모듈(140), 전원모듈(150), 복수의 센서(160,170)를 포함한다.
IR카메라(120)는 적외선(Infrared)카메라에 해당하며 야간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EO카메라(130)는 전기광학(Electro-Optical)카메라를 말하며, 일반적인 광학카메라에 해당한다.
드론통신모듈(140)은, 예를들어, 4G(LTE) 이동통신 네트웍에 연결하기 위한 LTE통신모듈을 말하며, 모든 통신모듈은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다. 통신모듈의 고유 ID의 일예로서는 MAC 어드레스가 있다.
드론(100)에는 상기 구성요소 이외에도 프로펠러 및 모터와 같은 드론 구동부(미도시)가 있다.
이와 같은 드론(100)은 생산 및 판매되어 소비자에게 인계되면, 소비자는 통신사와 정해진 폴리시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고 이동통신사의 네트웍을 사용하도록 허락을 받는다.
드론관리서버(200) 혹은 RTSP(Real Time Streaming Service Protocol)서버(200)는 무선통신네트웍에 연결되어 드론(100) 및 지상제어단말기(300)를 관리한다.
드론관리버서(200, RTSP서버)는 서버제어부(210), 드론IP관리부(220), 영상스트리밍서비스부(230) 및 무선통신부(240, 250)을 포함한다.
드론관리서버(200)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무선통신네트웍에 연결될 수 있다.
드론IP관리부(220)는 드론(100)과 지상제어단말기(3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IP를 관리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드론IP관리부(220)에는 드론(100)의 MAC어드레스와 같은 고유ID와 짝을 이루는 지상제어단말기의 고유ID를 저장한다.
또한, 특정한 드론(100)과 연결이 가능한 지상제어단말기(300)의 고유ID와 휴대단말기(500)의 고유ID 및 퍼스널컴퓨터(600)의 고유ID를 저장한다.
드론IP관리부(220)는 이동통신네트웍에 연결된 후, 각각의 디바이스로부터 IP주소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각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받으면 드론IP관리부는 저장한 IP어드레스를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디바이스들끼리 연결이 되도록 한다.
지상제어단말기(300) 혹은 GCS(Ground Control System)단말기(300)는 무선통신네트웍에 연결되어 드론(100)을 제어하거나,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다. 드론이 촬영한 영상은 드론(100)으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드론관리서버(200)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지상제어단말기(300, GCS단말기)는 단말기제어부(310), 단말기통신모듈(320), 드론제어UI(330), 영상스트리밍디스플레이부(340) 및 영상스트리밍수신부(350)를 포함한다.
단말기통신모듈(320)은 드론통신모듈(140)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네트웍에 연결하기 위한 LTE통신모듈로 이루어지며, MAC 어드레스와 같은 고유 ID를 가진다.
지상제어단말기(300)는 드론(100)을 제어하기 위한 드론제어UI(330)을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한다.
지상제어단말기(300)는 드론(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스트리밍을 영상수트리밍수신부(350)을 통하여 수신한 다음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시스템(1000)에서 드론(100)과 지상제어단말기(300)간의 신호전달 및 영상 전송을 위하여 이동통신서버(400) 및 드론관리서버(200)가 수행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상태개념도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드론(100)의 전원이 온 된다. (S100)
드론(100)에 장착된 드론통신모듈(140)에 저장된 고유ID를 이동통신서버(400)에 전송한다. (S120)
이동통신서버(400)는 이동통신사가 관리하는 서버를 말하며, 이동통신기지국(410)에 의하여 검지되는 드론(100)의 고유ID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동통신서버(400)는 드론(100)에게 유동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할당된 유동 IP어드레스를 드론에게 전송한다. (S130)
유동 IP어드레스란 유동적인 IP(Internet Protocol) Address를 말하며, 드론이 항상 전원이 온 되어 비행하는 것은 아니므로, 드론이 전원이 온 될 때에만 IP Address를 할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드론이라도 전원이 온 될 때에는 상이한 IP 어드레스는 할당 받을 수 있다.
드론(100)은 자신의 고유ID와 이동통신서버(400)로부터 할당받은 유동IP어드레스를 드론관리서버(RTSP서버, 200)에게 전송한다.
한편, 지상제어단말기(GCS단말기, 300)도 사용자에 의하여 전원이 온 된다. (S200)
지상제어단말기(300)는 내장된 단말기통신모듈(320)에 저장된 MAC어드레스에 해당하는 고유ID를 이동통신기지국(410)을 경유하여 이동통신서버(400)에 전송한다. (S210)
이동통신서버(400)는 지상제어단말기(300)에게 유동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할당된 유동 IP어드레스를 지상제어단말기(300)에게 전송한다. (S220)
지상제어단말기(300)는 자신의 고유ID와 이동통신서버(400)로부터 할당받은 유동IP어드레스를 드론관리서버(RTSP서버, 200)에게 전송한다. (S230)
드론관리서버(TRSP서버, 200)는 드론의 제조사 혹은 서비스사가 관리하는 서버이다. 드론관리서버(200)의 드론IP관리부(220)는 생산 및 판매된 모든 드론 및 지상제어단말기의 고유ID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드론(100) 및 지상제어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고유ID들 및 IP어드레스들로부터, 당해 드론(100) 및 지상제어단말기(300)가 서로 연결이 가능한 정당한 기기들인지 결정한다. (S300)
정당한 드론(100) 및 지상제어단말기(300)인지를 인증하고, 인증된 드론(100) 및 지상제어단말기(300)를 각각의 IP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다. (S310)
드론관리서버(200)는 드론(100)의 유동IP어드레스를 지상제어단말기(300)에게 제공하고, 두 기기의 연결을 지상제어단말기(300)가 실행하도록 관리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론관리서버(200)는 지상제어단말기(300)의 유동IP어드레스를 드론(300)에게 제공하고, 두 기기의 연결을 드론(100)이 주도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어떤 방식이든 드론(100)과 지상제어단말기(300)는 이동통신 인터넷 네트웍에 연결되어 제어신호 및 영상신호를 주고받는다.
드론(100)과 지상제어단말기(300)가 서로 연결되면, 지상제어단말기(300)에서 보내는 제어명령은 드론(100)에게 전달되어, 드론(100)은 이 제어명령대로 운행한다. (S320, S330)
이때, 제어명령은 드론관리서버(200)을 거쳐 드론(100)에게 전달될 수도 있고, 드론관리서버(2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드론(100)에게 전달 될 수도 있다.
한편, 드론(100)의 IR카메라 혹은 EO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은 실시간으로 드론관리서버(200) 혹은 지상제어단말기(300)에게 전달 될 수 있다. (S340, S350)
드론(100)의 영상도 마찬가지로 드론관리서버(200)에 전달 된 후 지상제어단말기(300)에게 전달하거나, 드론(100)에서 직접 지상제어단말기(300)에게 전달 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제어단말기(300)의 지상제어 UI(330) 및 영상스트리밍(340)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화면을 보여준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제어단말기(300)에 지상제어UI(330) 화면을 보여준다. 지상제어UI화면은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용 앱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제어단말기(300)에 드론(100)이 촬영한 영상스트리밍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제어단말기(300)에 제어용UI(330)와 영상스트리밍정보(340)을 디스플레이화면을 분할하여 보여주는 화면이다.
이와같이 카메라가 촬영한 화면을 보고, 비록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가 가시거리 이외의 원격지에 위치하더라도 원격에서 카메라 영상을 보면서 드론의 제어가 가능하다.
지상제어단말기와 드론의 전원 인가는 사용자가 할 수도 있고, 원격지에서 명령으로 전원을 인가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지만, 제어용UI에는 바탕에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드론의 현재위치와 이동위치를 표시하는 아이콘을 화면에 오버레이 시키며, 사용자가 이동위치아이콘을 지도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여 선택하면 드론은 선택된 이동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드론의 고도와 이동속도는 미리 설정하여 두었으므로, 원격지에서 지상제어단말기를 통하여 비행명령을 입력하면, 원격지의 드론의 전원을 온 시키고, 미리 정한 고도 및 속도로 정해진 좌표로 드론은 이동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좌표에 도착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본원발명의 개념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드론의 기능을 원격지에서 제어 혹은 감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1000 : 드론시스템
100 : 드론
110 : 드론제어부
120 : IR카메라
130 : EO카메라
140 : 드론통신모듈
150 : 전원모듈
160 : 제1센서
170 : 제2센서
200 : 드론관리서버 (RTSP서버)
210 :서버제어부
220 : 드론IP관리부
230 : 영상스트리밍서비스부
240 : 무선통신부
250 : 무선통신부
300 : 지상제어단말기(GCS 단말기)
310 : 단말기제어부
320 : 단말기통신모듈
330 : 드론제어UI
340 : 영상스트리밍디스플레이부
350 : 영상스트리밍수신부
400 : 이동통신서버
410 : 이동통신기지국
500 : 휴대폰단말기
600 : 퍼스널컴퓨터

Claims (6)

  1. 드론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하늘을 비행하는 비행구동부 및 이동통신네크웍과 통신하기 위한 드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드론;
    상기 이동통신네트웍과 통신하기 위한 제어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지상제어단말기;
    이동통신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가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이동통신네트웍에 접속하면 상기 드론통신모듈의 고유ID와 상기 제어기통신모듈의 고유ID로부터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에게 각각 IP 주소들을 할당하는 이동통신서버; 및
    상기 드론에 할당된 IP주소와 상기 드론통신모듈의 고유ID와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에 할당된 IP 주소와 상기 제어기통신모듈의 고유ID를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고유 ID들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과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를 서로 인증하며, 상기 수신한 IP주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과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를 서로 연결하는 드론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에 할당하는 상기 IP주소들은 유동적인 IP 주소로서,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가 전원이 온 될 때마다 새롭게 IP주소들을 각각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관리서버는, 드론IP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드론IP관리부는 상기 드론통신모듈의 고유ID와 상기 제어기통신모듈의 고유ID가 서로 짝을 이루도록 미리 저장하는 고유ID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관리서버는, 상기 드론IP관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에게 상대방 단말기의 IP주소를 전달하고, 상기 드론 및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는 상대방 단말기의 상기 전달된 IP주소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관리서버는, 영상스트리밍서비스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드론의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을 상기 드론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영상스트리밍서비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드론통신모듈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영상스트리밍서비스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시스템.
  6. 드론관리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드론의 무선통신모듈의 고유ID들과 복수의 지상제어단말기의 무선통신모듈의 고유ID들을 서로 짝을 이루도록 저장하는 고유ID저장부;
    특정의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고유ID와 특정의 지상제어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ID가 상기 고유ID저장부에 저장된 서로 짝을 이루는 고유ID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특정의 드론과 상기 특정의 지상제어단말기는 서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IP어드레스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관리서버.
KR1020160143601A 2016-10-31 2016-10-31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KR101877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601A KR101877864B1 (ko) 2016-10-31 2016-10-31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601A KR101877864B1 (ko) 2016-10-31 2016-10-31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488A true KR20180047488A (ko) 2018-05-10
KR101877864B1 KR101877864B1 (ko) 2018-07-12

Family

ID=6218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601A KR101877864B1 (ko) 2016-10-31 2016-10-31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8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885B1 (ko) * 2018-12-26 2019-09-26 주식회사 파블로항공 군집 무인 항공 시스템 환경을 위한 실시간 통신 장치
CN112363489A (zh) * 2020-09-11 2021-02-12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成都飞机设计研究所 一种手持分布式指控终端系统
KR102340188B1 (ko) * 2021-04-05 2021-12-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드론의 ip 주소를 변경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290868B2 (en) * 2017-08-11 2022-03-29 Lenovo (Beijing) Limited Subscription information configuration
KR20220085939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5g 이동 통신 기반의 드론 원격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647B1 (ko) * 2018-11-09 2019-05-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다중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224567B1 (ko) 2019-02-11 2021-03-08 홍영표 비행경력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980644B1 (ko) * 2019-03-28 2019-05-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다중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980645B1 (ko) * 2019-03-28 2019-05-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다중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980646B1 (ko) * 2019-03-28 2019-05-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다중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980651B1 (ko) * 2019-03-28 2019-05-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다중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980652B1 (ko) * 2019-03-28 2019-05-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다중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314755B1 (ko) * 2020-02-11 2021-10-19 (주)유엠로직스 무인비행체계 악성코드 예방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16A (ko) * 2001-09-20 2003-04-10 (주)싸이버뱅크 유동 아이피를 사용하는 기기에의 원격 접속 실행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1958B1 (ko) * 2014-03-26 2016-02-04 (주)윈테크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1636486B1 (ko) * 2014-05-12 2016-07-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위치에 따른 드론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구성 방법
US9542850B2 (en) * 2014-05-20 2017-01-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cure communication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US9614608B2 (en) * 2014-07-14 2017-04-04 Ubiqomm Llc Antenna beam management and gateway design for broadband acces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UAV) platform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0868B2 (en) * 2017-08-11 2022-03-29 Lenovo (Beijing) Limited Subscription information configuration
KR102025885B1 (ko) * 2018-12-26 2019-09-26 주식회사 파블로항공 군집 무인 항공 시스템 환경을 위한 실시간 통신 장치
CN112363489A (zh) * 2020-09-11 2021-02-12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成都飞机设计研究所 一种手持分布式指控终端系统
KR20220085939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5g 이동 통신 기반의 드론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340188B1 (ko) * 2021-04-05 2021-12-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드론의 ip 주소를 변경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864B1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864B1 (ko)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US10454564B2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via a UAV
CN105278362B (zh) 无人侦查系统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WO2017017984A1 (ja) 移動体識別システムおよび識別方法
WO2019119355A1 (zh) 无人机飞行路径的确定方法及装置
US2018033221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inuing a zoom of a stationary camera utilizing a drone
KR101911046B1 (ko) 산불감시 및 교량수위감시 모드를 갖는 드론 시스템
EP37965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to access network
WO2017114503A1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via a uav
US202100582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payload on an unmanned vehicle
KR20150117879A (ko) 모바일 통신 기반 무인항공기 관제 시스템
CN109005498A (zh) 车辆定位器和导向器
KR101739980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에스코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3581323A (zh) 一种通过手机姿势控制飞行器的方法及系统
CN110636255A (zh) 一种基于4g网络的无人机图像、视频传输分发系统及方法
KR20180097279A (ko) 복수의 센서들을 구비한 iot기반 드론시스템
KR102058899B1 (ko) 무인항공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872656A (zh) 监控系统及指挥系统
CN109587536A (zh) 一种远程遥控方法、设备、服务器和系统
US10931597B2 (en) Dynamically dock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2127189A1 (en)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system
CN111752289A (zh) 无人机控制方法及相关装置
US112109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iew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180078931A (ko) 듀얼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스트리밍의 스위칭 전송 기능을 구비한 드론 및 드론시스템
US2022032794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