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651A -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651A
KR20180046651A KR1020160142078A KR20160142078A KR20180046651A KR 20180046651 A KR20180046651 A KR 20180046651A KR 1020160142078 A KR1020160142078 A KR 1020160142078A KR 20160142078 A KR20160142078 A KR 20160142078A KR 20180046651 A KR20180046651 A KR 20180046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tp
door lock
digital door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용성
Original Assignee
우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용성 filed Critical 우용성
Priority to KR102016014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6651A/ko
Publication of KR20180046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로 OTP를 전송받은 후 이를 제 3 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면 제 3 자가 전송받은 OTP를 이용하여 디지털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에 관한 것 이다.
[구성]
본 발명은 제 1 OTP 생성기가 탑재된 클라우드 서버와,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OTP와 타임베이스로 동기화되어 있는 제 2 OTP 생성기가 탑재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제 1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상기 제 1 OTP 생성기에서 생성한 OT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개폐하고자 하는 방문자의 제 2 휴대 단말기로 상기 OTP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상기 OTP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제하는 단계;
(d)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해제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어 있는 로컬 서버에 상기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과]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에 별도의 OTP 생성기를 소지할 필요가 없으며, 손님인 제 3 자에게 전송된 OTP는 소정 시간내에만 사용할 수 있는 1 회용 정보라는 점, 그리고 하나의 디지털도어락을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사용자코드로 OTP를 생성하여 인증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건물에 다수의 가구가 거주하는 경우에도 상충하지 않는 개별적인 OTP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 서버와 디지털도어락이 네트워크으로 상호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OTP 인증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opening and shutting digital door lock using OTP}
본 발명은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버로부터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로 OTP를 전송받은 후 이를 제 3 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면 제 3 자가 전송받은 OTP를 이용하여 디지털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에 관한 것 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 상점, 정부 기관, 기업 등은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출입 통제 시스템은 저가의 단순 자물쇠에서 복잡한 기계적 메커니즘을 가진 고가의 기계적 장치와 기계적 메커니즘에 전자적 기술이 결합된 전자적 장치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단지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서만 작동하는 출입문의 잠금 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기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키 입력부를 통한 인증수단 입력 방식, 마그네틱 띠(Magnetic Stripe)를 입힌 마그네틱 카드방식, RF(Radio Frequency) 카드 방식,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방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등의 다양한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출입자를 인증하고, 불법적인 침입을 방지한다.
그런데, 키 입력부를 통한 인증수단 입력 방식을 채택하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통상 복수의 키 버튼이라는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복수의 키버튼을 눌러 숫자열을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입력된 숫자열이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할 때,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동행인 등이 옆에서 보고 있는 동안 비밀번호를 눌러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게 되며 그렇다고 일부러 가리고 누르는 것도 타인을 의심한다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어 어색한 기분을 느끼게 된다. 가장 큰 문제는 실제로 어떤 번호를 누르는지 들여다 봄으로써 비밀번호가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출입자의 출입을 인증하는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에 있어서, 출입자로부터 인증 키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 키 입력부와, 가변자판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키 입력부로부터 인증 키를 입력받아 입력키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증부; 저장 인증비밀번호를 저장하는 인증비밀번호 저장부; 가변자판의 자판배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을 성공한 경우에는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인증 제어부;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해정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로부터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키 입력부는 복수의 방향 키와 선택 키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제어부는 인증시마다 숫자 및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자판의 배열을 가변하되 랜덤하게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변 자판이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동시에 가변 자판에 관한 자판 정보가 상기 자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게 하며, 상기 인증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입력키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입력키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가변자판상에서 복수 개의 숫자로 구성되는 일련의 저장 인증비밀번호의 숫자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인 경우에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기술이 특허등록 제10-0790027호로 등록공고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은, 인증비밀번호가 저장되어 비밀번호가 누설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비밀번호 입력을 이용한 개폐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터넷 뱅킹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OTP(One Time Password) 생성기를 이용하여 매번 바뀌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하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OTP 방식의 비밀번호는 기존의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인증 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단점 즉, 추적이나 해독이 용이하고 기억하기 어려운 점 등을 해결할 수 있지만, 물리적으로 별도의 OTP 생성기를 항상 소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OTP(One Time Password) 인증기를 부가하여 출입시마다 매번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법은, OTP인증기를 부가한 도어록은 펜션, 임시임대건물, 임대창고, 카라반 등의 임대물건의 출입통제장치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OTP인증 도어록 및 그 제어방법"이라는 명칭으로 2012. 4. 23. 공개된 공개특허번호 10-2012-0032291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OTP인증 도어록은 크게 임대인용 OTP인증기, 임차인용 마스터 OTP인증기, OTP생성모듈과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입력수단으로부터 임대기간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임차인용 OTP 인증기에 임대기단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임대기간 동안만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록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는 사용자가 OTP인증기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어 디지털 도어록의 편의성, 즉, 열쇠를 휴대 하지 않고서 출입문을 자유롭게 출입하는 편리함이 없어지고, 도어록 본체에 OTP생성기와 무선송수신부 등을 모두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도어록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가격이 높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1. 특허등록 제10-0790027호, 발명의 명칭 :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2. 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32291호, 발명의 명칭 : "OTP인증 도어록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OTP를 이용한 디지털도어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서버로부터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로 OTP를 전송받은 후 이를 제 3 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면 제 3 자가 전송받은 OTP를 이용하여 디지털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에 관한 것 이다.
본 발명은 제 1 OTP 생성기가 탑재된 클라우드 서버와,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OTP와 타임베이스로 동기화되어 있는 제 2 OTP 생성기가 탑재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제 1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상기 제 1 OTP 생성기에서 생성한 OT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개폐하고자 하는 방문자의 제 2 휴대 단말기로 상기 OTP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상기 OTP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제하는 단계;
(d)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해제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어 있는 로컬 서버에 상기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OTP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되어 있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의 SNS 계정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 1 OTP 생성기가 탑재된 클라우드 서버와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OTP와 타임베이스로 동기화되어 있는 제 2 OTP 생성기가 탑재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제 1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특정 시간대또는 특정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OTP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특정 시간대 또는 상기 특정 기간 정보를 상기 제 1 OTP 생성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 1 OTP 생성기는 상기 특정 시간대 또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OTP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제 1 OTP 생성기에서 생성한 상기 OTP 정보를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개폐하고자 하는 방문자의 제 2 휴대 단말기로 상기 OTP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특정 시간대 또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상기 OTP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제하는 단계;
(f)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해제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어 있는 로컬 서버는 상기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g)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OTP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되어 있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의 SNS 계정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별도의 OTP 생성기를 소지할 필요가 없다.
2. 제 3 자에게 전송된 OTP는 소정 시간내에만 사용할 수 있는 1 회용 정보이다.
3. 하나의 건물에 다수의 가구가 거주하는 경우에도 상충하지 않는 개별적인 OTP 사용이 가능하다.
즉, 하나의 디지털도어락을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사용자코드로 OTP를 생성하여 인증할 수 있다.
4. 서버와 디지털도어락이 네트워크으로 상호 연결되지 않아도 OTP 인증이 가능하다
5.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나의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단독 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 출입문, 펜션 등과 같은 부동산 출입 관리 이외에도 공유 차량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일시적으로 임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동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의 일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의 다른 일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의 일예로, 지정된 소정 시간 동안 사용 가능한 OTP 코드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방문자가 디지털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는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OTP를 생성하는 서버(클라우드 서버 포함)와 건물, 차량 등에 설치된 디지털도어락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서버는 OTP 생성기를 포함하며 해당 OTP 생성기는 특정 디지털도어락의 장치코드와 사용자코드로 이루어지는 OTP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도 해당 디지털도어락을 식별하는 장치코드와 사용자 코드로 구성되는 OTP를 생성하는 OTP 생성기가 내장되어 있으며, 디지털도어락에서 생성하는 OTP는 서버에서 생성하는 OTP와 동기화되어 있다. 즉 동일한 OTP 정보를 가지므로 네트워크 연결과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 방법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원격지의 있는 주인(집주인, 실거주자, 임대인, (차량의) 실소유자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한다)은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건물, 자동차 등에 설치된 디지털도어락을 개방하고자 하는 손님(택배기사, 친척, 지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한다)이 사용할 수 있는 1 회용 OTP를 자신이 소지한 휴대 단말기(이하, 주인 휴대 단말기)의 소정 앱을 활성화시킨 다음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장치코드와 사용자코드로 이루어진 OTP정보를 전송받는다.
다음, 원격지에 있는 주인의 건물 등에 방문한 손님의 휴대 단말기로 상기 OTP 정보를 전송한다.
손님이 전송받은 OTP를 디지털도어락에 입력하면 서버에서 생성하는 OTP와 동기화된 OTP를 생성하는 디지털도어락은 내장된 OTP생성기에서 생성한 OTP 정보와 일치하면 이를 인증하여 디지털도어락을 개방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OTP정보는 소정 시간(예컨대, 1분, 5분 등)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손님은 주인에게 전화나 문자 등으로 OTP의 재전송을 요청하여야 한다.
한편, 도 1에서 설명한 지정된 소정 시간 동안 사용 가능한 OTP 코드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방문자가 디지털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예약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예약 기능이란 주인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후 미래에 사용할 특정 기간을 설정하고 해당 기간 동안 사용할 OTP를 요청하는 경우 서버에서는 해당 기간 정보와 디지털도어록의 장치코드 및 주인의 사용자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기간 동안 사용할 OTP를 생성하여 주인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렇게 생성한 OTP는 예컨대 펜션이나 오피스텔, 모텔, 공유 차량 등을 2~3일 예약하여 사용하는 손님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서버의 OTP 생성기와 동기화되어 있는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록에 내장된 OTP 생성기 또한 특정 기간에 대한 정보와 디지털도어록의 장치코드와 해당 주인의 사용자코드를 이용하여 특정 기간에 유효한 OTP를 당연히 생성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인이 자신의 휴대 단말기로 서버에 접속하는 9/2일 현 시점에 사용시간(9/3일~9/5일)을 입력하면 서버에서는 그 해당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OTP를 생성하여 요청한 주인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며, 주인은 이 기간 동안 사용할 손님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의 다른 일예로 전체 시스템은 도 1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주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주인이 휴대 단말기의 소정 앱을 활성화시켜 서버에 접속한 현재 시점(예컨대 11시)에 15시에 사용할 OTP정보를 요청하면 서버에서는 요청시간 정보(15시)와 디지털도어록의 장치코드와 주인의 사용자 코드를 이용하여 15시에 사용할 소정의 OTP를 생성하여 주인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며, 주인은 15시에 방문할 손님의 휴대 단말기로 해당 OTP를 전송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의 OTP 생성기는 시간 정보와 디지털도어록의 장치코드와 사용자코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OTP를 생성하기에 손님이 15시 에 해당 OTP를 입력하면 이를 인증하여 출입문을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OTP의 유효 시간은 1시간 단위, 30분 단위, 10분 단위 등으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언제든지 설계 변경 가능한 사항일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의 다른 일예로,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디지털도어락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도면은 하나의 건물 등에 다수의 주인이 있는 경우를 상정한 경우이다. 예컨대, 하나의 출입문에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는 오피스텔이나, 다세대 건물을 출입하는 경우를 상정한 경우이다.
이 경우 다수의 주인이 존재할 것이다.
예컨대, 하나의 건물에 101동 102동, 103동에 거주하는 주인1, 주인2, 주인3이 있다고 가정하고, 주인1의 손님으로 택배기사가 방문하고, 주인2의 손님으로 친구가 방문하고, 주인3의 손님으로 음식 배달원이 방문한 경우를 상정하기로 한다.
주인1, 2, 3은 건물안에 있을 수도 있고 다른 원격지에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주인1에게 용무가 있는 택배기사는 주인1의 휴대 단말기로 디지털도어락의 개방을 요청하고, 주인2에게 용무가 있는 친구는 주인2의 휴대 단말기로 디지털도어락의 개방을 요청하고, 주인3에게 용무가 있는 음식 배달원은 주인3의 휴대 단말기로 디지털도어락의 개방을 요청할 것이다.
이들이 디지털도어락 개방을 요청하는 시간대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요청을 받은 주인1은 자신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의 소정 앱을 활성화시켜 서버에 접속하여 OTP1을 전송받고, 요청을 받은 주인2는 자신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의 소정 앱을 활성화시켜 서버에 접속하여 OTP2를 전송받고, 요청을 받은 주인3은 자신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의 소정 앱을 활성화시켜 서버에 접속하여 OTP3을 전송받는다.
여기서, OTP1은 해당 건물의 디지털도어락의 장치코드와 주인1의 사용자코드를 이용하여 생성한 OTP이고, OTP2은 해당 건물의 디지털도어락의 장치코드와 주인2의 사용자코드를 이용하여 생성한 OTP이고, OTP3은 해당 건물의 디지털도어락의 장치코드와 주인3의 사용자코드를 이용하여 생성한 OTP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사용자코드는 주인1, 주인2, 주인3 각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의 소정 앱으로 서버에 등록하는 경우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OTP1, OTP2, OTP3은 주인1, 2, 3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고 주인1, 2, 3은 자신의 손님인 택배기사, 친구, 음식 배달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이들이 디지털도어락 개방에 사용할 수 있는 한시적 정보인 OTP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관련된 발명에 있어서, 서버의 OTP 생성기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소정 앱을 사용하는 주인1의 요청이 있는 경우 복수개(예컨대, 2개 또는 3 개 등)의 OTP 정보 예컨대 OTP11, OTP12, OTP13...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주인1은 자신의 건물을 방문한 동시간대의 서로 다른 손님들에게 각기 다른 OTP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서버의 OTP 생성기에서는 주인2의 요청이 있는 경우 복수개(예컨대, 2개 또는 3 개 등)의 OTP 정보 예컨대 OTP21, OTP22, OTP23..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주인2도 자신의 건물을 방문한 동시간대의 서로 다른 손님들에게 각기 다른 OTP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주인3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비슷한 시간대에 수명의 손님이 방문하는 경우에도 각기 상이한 OTP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인 보안을 위하여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 부근에 cctv와 같은 영상 촬영 장치를 구비하여 놓았다.
본 발명에서는 손님이 주인으로부터 전송받은 OTP를 이용하여 디지털도어락을 개방하여 진입하면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소정의 영상 정보(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이들 로컬 서버로 재송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안 보안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로컬 서버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서버로 재전송시켜 저장함은 물론 주인의 휴대 단말기로 해당 영상 정보를 재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주인이 자신을 방문한 손님의 재확인하거나 행동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적인 보안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개념적으로 풀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 1 OTP 생성기가 탑재된 클라우드 서버와,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OTP와 타임베이스로 동기화되어 있는 제 2 OTP 생성기가 탑재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 즉
(a) 사용자의 제 1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상기 제 1 OTP 생성기에서 생성한 OT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개폐하고자 하는 방문자의 제 2 휴대 단말기로 상기 OTP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상기 OTP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제하는 단계;
(d)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해제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어 있는 로컬 서버에 상기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OTP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되어 있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의 SNS 계정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1 OTP 생성기가 탑재된 클라우드 서버와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OTP와 타임베이스로 동기화되어 있는 제 2 OTP 생성기가 탑재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은 다음 단계, 즉
(a) 사용자의 제 1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특정 시간대또는 특정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OTP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특정 시간대 또는 상기 특정 기간 정보를 상기 제 1 OTP 생성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 1 OTP 생성기는 상기 특정 시간대 또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OTP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제 1 OTP 생성기에서 생성한 상기 OTP 정보를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개폐하고자 하는 방문자의 제 2 휴대 단말기로 상기 OTP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특정 시간대 또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상기 OTP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제하는 단계;
(f)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해제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어 있는 로컬 서버는 상기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g)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OTP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되어 있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의 SNS 계정으로 전송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에 별도의 OTP 생성기를 소지할 필요가 없으며, 손님인 제 3 자에게 전송된 OTP는 소정 시간내에만 사용할 수 있는 1 회용 정보라는 점, 그리고 하나의 디지털도어락을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사용자코드로 OTP를 생성하여 인증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건물에 다수의 가구가 거주하는 경우에도 상충하지 않는 개별적인 OTP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 서버와 디지털도어락이 네트워크으로 상호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OTP 인증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하나의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단독 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 출입문, 펜션 등과 같은 부동산 출입 관리 이외에도 공유 차량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일시적으로 임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동산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5)

  1. 제 1 OTP 생성기가 탑재된 클라우드 서버와,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OTP와 타임베이스로 동기화되어 있는 제 2 OTP 생성기가 탑재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제 1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상기 제 1 OTP 생성기에서 생성한 OT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개폐하고자 하는 방문자의 제 2 휴대 단말기로 상기 OTP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상기 OTP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제하는 단계;
    (d)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해제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어 있는 로컬 서버에 상기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OTP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되어 있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의 SNS 계정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3. 제 1 OTP 생성기가 탑재된 클라우드 서버와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OTP와 타임베이스로 동기화되어 있는 제 2 OTP 생성기가 탑재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제 1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특정 시간대또는 특정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OTP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특정 시간대 또는 상기 특정 기간 정보를 상기 제 1 OTP 생성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 1 OTP 생성기는 상기 특정 시간대 또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OTP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제 1 OTP 생성기에서 생성한 상기 OTP 정보를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개폐하고자 하는 방문자의 제 2 휴대 단말기로 상기 OTP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특정 시간대 또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상기 OTP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제하는 단계;
    (f)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해제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어 있는 로컬 서버는 상기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g)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OTP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되어 있는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의 SNS 계정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KR1020160142078A 2016-10-28 2016-10-28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KR20180046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78A KR20180046651A (ko) 2016-10-28 2016-10-28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78A KR20180046651A (ko) 2016-10-28 2016-10-28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651A true KR20180046651A (ko) 2018-05-09

Family

ID=6220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78A KR20180046651A (ko) 2016-10-28 2016-10-28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66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863B1 (ko)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ES2937234T3 (es) Método de autenticación biométrica, sistema y programa informático
KR101814719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3486876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ning of ab doors
KR20140030140A (ko) 자립형 생체 인증 제어 장치 및 방법
EP3821404A1 (en) Applying image analytics and machine learning to lock systems in hotels
JP2011164675A (ja) 来訪者入退管理システム
KR101554959B1 (ko) 고유키 상호교환으로 생성된 기간제 출입키를 이용한 방문자 출입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방법
US20180114384A1 (en) Cloud-based keyless access control system for housing facilities
KR20210033154A (ko) 실시간 숙박시설 관리 시스템
US20170324735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access code on a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CN109859350B (zh) 一种远程授权的指纹自助录入方法及酒店自助入住方法
TW201330581A (zh) 認證系統
KR101340148B1 (ko) 디지털 도어락
JP7089360B2 (ja) 設備機器作動システム
CN112714928A (zh) 受理终端机
JP5777310B2 (ja) 画像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JP2004208244A (ja) 携帯情報端末機器を使った入退場管理システム
US11652819B2 (en) Secure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generating and verifying user credentials
JP201109039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7181710B2 (ja) 入退出用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2003288432A (ja) 受付案内装置及び受付案内システム
EP4068741A1 (en) Multiple dwelling house interphone system
WO2021149831A1 (ja) 電子錠システム、電子錠システムで実行される方法、携帯端末、携帯端末で実行される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46651A (ko) Otp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개폐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