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082A -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082A
KR20180046082A KR1020160140900A KR20160140900A KR20180046082A KR 20180046082 A KR20180046082 A KR 20180046082A KR 1020160140900 A KR1020160140900 A KR 1020160140900A KR 20160140900 A KR20160140900 A KR 20160140900A KR 20180046082 A KR20180046082 A KR 20180046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terminal
platform device
advertiser
seg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3595B1 (ko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0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5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광고를 수신한 단말이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세그먼트정보를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는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ADVERTI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광고를 수신한 단말이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세그먼트정보를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패드 등의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광고 시장도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 장치(이하, '단말'이라 칭함)에서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 시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광고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광고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광고플랫폼장치에서는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광고주로부터 설정된 광고의 속성과 적합한 광고수신자그룹을 확인하여, 확인된 광고수신자그룹에 속한 각 사용자의 단말에 광고를 제공하는 일종의 타게팅 기법을 따르게 된다.
여기서, 광고수신자그룹은, 사용자마다의 광고에 대응하는 속성(관심사)를 세그먼트정보로 정의하고, 동일한 세그먼트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을 하나의 광고수신자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Segmentation) 기법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이처럼, 세그먼트정보는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 즉 광고수신자그룹에 속한 사용자의 관심사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각 사용자의 세그먼트정보를 사용자 별 마케팅정보로서 활용할 가치가 크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광고를 수신한 단말이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세그먼트정보를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활용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는 광고와 관련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단말이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광고의 선택에 따라 상기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식별명령; 및 상기 광고플랫폼장치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하도록 하는 추출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는, 상기 단말이 웹 기반으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를 기초로 식별되며, 상기 쿠키정보는, 상기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단말의 브라우저로부터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는,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의 접속주소를 기초로 식별되며, 상기 접속주소는, 상기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단말과 관련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도록 하는 관리명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명령은, 상기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상기 단말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와, 상기 타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접속횟수가 보다 많은 광고플랫폼장치에서의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명령은, 상기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상기 단말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존재하며, 상기 타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타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로 갱신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광고주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이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수신한 광고의 선택에 따라 상기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를 식별하는 식별단계; 및 상기 광고플랫폼장치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별단계는, 상기 단말이 웹 기반으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를 식별하며, 상기 쿠키정보는, 상기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단말의 브라우저로부터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별단계는,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의 접속주소를 기초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를 식별하며, 상기 접속주소는, 상기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단말과 관련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단계는, 상기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상기 단말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와, 상기 타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접속횟수가 보다 많은 광고플랫폼장치에서의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단계는, 상기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상기 단말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존재하며, 상기 타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타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로 갱신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광고를 수신한 단말이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세그먼트정보를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활용함으로써, 광고주 입장에서는 마케팅과 관련된 별도의 데이터 관리 없이도 마케팅 집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성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광고를 수신하는 단말(100), 및 단말(100)에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플랫폼장치(200), 및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페이지(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광고주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단말(100)은 광고매체를 통해서 광고를 수신하며, 광고의 선택을 통한 서비스 페이지 접속 등의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단말(100)은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광고매체를 통해서 광고 수신이 가능하며, 광고주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을 위한 브라우저 구동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0)에서 광고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광고매체로는 예컨대, 단말(100) 자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단말(100)에서 브라우저를 호출하여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페이지가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광고매체에는, 그 개발 과정에서 광고 수신과 관련된 SDK(Software Development Kit)가 포함되게 되는데, 결국 단말(100)에서는 광고매체에 포함된 위 SDK를 통해서 광고를 요청 및 수신 그리고 표시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광고매체는 광고 요청 및 수신 그리고 표시로 이어지는 전술한 일련의 기능뿐만 아니라,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이루어지는 로그정보의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단말(100)에서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 수신 및 표시 그리고 광고 선택(Click)이 이루어지며, 광고 선택 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로그정보로서 광고플랫폼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에서는 자신의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요청 및 수신하는 풀(Pull) 방식을 통해서 광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광고플랫폼장치(200)에 대한 별도의 광고 요청 없이도,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광고를 수신하는 푸시(Push) 방식으로도 광고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고플랫폼장치(200)는 단말(100)에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를 일컫는 것으로서, 광고의 제공뿐만 아니라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로그정보를 사용자 별 로그정보로서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광고주장치(300)는 광고주 페이지를 통해서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예: 상품 판매, 정보 제공)를 제공하는 광고주의 서버를 일컫는다.
참고로, 단말(100)이 수신하는 광고에는 광고주 페이지의 주소정보(예: url)가 링크되며, 이에 단말(100)에서 광고를 선택(Click)하는 경우, 링크된 주소정보에 따라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는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광고수신자그룹을 확인하고, 확인된 광고수신자그룹에 속한 각 사용자에게 해당 광고를 제공하는 타게팅 기법에 따라 광고 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광고수신자그룹은, 사용자마다의 광고에 대응하는 속성(관심사)을 세그먼트정보(예: 낚시, 등산, 자전거, 쇼핑)로서 정의하고, 동일한 세그먼트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을 하나의 광고수신자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Segmentation) 기법을 통해서 분류될 수 있다.
이처럼, 세그먼트정보는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 즉 광고수신자그룹에 속한 각 사용자의 관심사를 나타내므로, 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단말(10)의 세그먼트정보를 획득할 수만 있다면, 이러한 세그먼트정보를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별 마케팅정보로서의 활용할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된 단말(100)의 세그먼트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광고주장치(3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광고주장치(300)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말(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넘어 가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위 제1광고부(110)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일컫는 것으로서, 위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된 SDK(Software Development Kit)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광고부(120)는 또 다른 광고매체로서,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에 따라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일컫는 것으로서, 브라우저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위 브라우저의 경우 서비스 페이지(웹 페이지)에 접속 시, 서비스 페이지에 삽입되어 있는 SDK의 소스 코드(Source Code)를 읽어와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의 경우, 단말(100)의 운영체계(OS)에서 제공하는 OS 기반 브라우저이거나, 또는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 브라우저일 수 있다.
참고로, 자체적으로 브라우저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통상적으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전용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이라 명명될 수 있다.
이상 언급한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를 포함하는 단말(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도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위 구성을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광고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광고 선택 시 광고주장치(도시안됨)가 제공하는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광고부(110)는 광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고부(11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요청하게 되며, 위 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광고가 수신되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지정되어 있는 광고 표시 영역에 수신된 광고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제1광고부(11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단말(100)의 장치식별정보(예: GAID, IDFA)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1광고부(110)는 광고주 페이지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고부(110)는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광고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내 광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이후,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확인되는 경우, 제2광고부(120)에 대해 광고주 페이지로의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선택된 광고에는 광고주 페이지의 접속주소(예: URL) 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에 제1광고부(110)는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확인되는 경우, 광고에 포함된 접속주소를 제2광고부(120)에 전달함으로써, 광고주장치(도시안됨)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광고부(110)의 요청에 따라 제2광고부(120)를 통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광고부(120)는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과 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예: GAID, IDFA)를 광고주 페이지를 제공하는 광고주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와는 다른 광고매체로서,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에 따라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임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와는 별도로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로의 접속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위 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광고가 수신되면 서비스 페이지 상의 광고 표시 영역에 수신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와 마찬가지로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광고를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이후,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확인되는 경우, 광고에 삽입된 접속주소를 이용하여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광고주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광고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예: 상품 판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와 마찬가지로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광고를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이후,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을 통한 광고주장치(도시안됨)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로그정보로서 광고플랫폼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2광고부(120)는 광고 수신을 위해 광고플랫폼장치(200)로 접속하는 과정에서, 광고플랫폼장치(200)가 단말(100)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제2광고부(120)를 통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 시 광고주장치(300)에서 기록된 쿠키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단말(1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에서 앞서 설명한 단말(1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염두 해 두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메모리(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100) 내 각 구성인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는 프로세서(1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1310), 입출력장치(1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1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1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장치(132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 표시,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 선택 확인, 서비스 페이지 접속 화면의 표시 등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1321)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321)는 화면에 이루어지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은 물론이다.
결국,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통신장치(1310)와 입출력장치(1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의 표시 및 광고주장치(300)가 제공하는 광고주 페이지로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광고주장치(300)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한편,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는 광고수신자그룹별 속성(관심사)을 나타내는 세그먼트정보가 정의되어 있으며, 광고플랫폼장치(200) 내 등록된 각 광고에는 그 등록 과정에서 광고주로부터 자신의 광고를 수신하길 원하는 광고수신자그룹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짐에 따라 선택된 광고수신자그룹에 해당하는 세그먼트정보의 설정이 완료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 (300)는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하는 식별부(310),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320), 및 마케팅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식별부(310), 추출부(320), 및 관리부(330)를 포함하는 광고주장치(3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광고주장치(300) 내에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광고주장치(300) 내 메모리에 적재되어 호출 및 실행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300)는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된 단말(100)의 세그먼트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광고주장치(3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식별부(310)는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광고의 선택에 따라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단말(100)이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웹 기반으로 다시 말해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하여 광고를 수신한 경우, 광고플랫폼장치(200)가 단말(100)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를 기초로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이 웹 기반으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의 브라우저 즉 제2광고부(120)에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발급한 쿠키정보가 기록된다.
이에,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브라우저 즉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제2광고부(120)에 기록되어 있는 쿠키정보로부터 단말(100)이 광고 수신을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단말(100)이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광고주장치(300)에서는 광고주 페이지 접속에 따른 쿠키정보를 단말(100)에 발급하게 되며, 이처럼 발급된 쿠키정보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단말(100)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와 매핑되어 테이블 형식으로 누적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주는 자신의 광고를 광고플랫폼장치(200)뿐만 아니라 타 광고플랫폼장치(도시안됨)에 추가로 등록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으며, 이처럼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된 광고를 단말(100)이 수신 및 선택하여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된 경우가 발생한다면, 광고주장치(300)가 단말(100)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에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발급한 쿠키정보뿐만 아니라 타 광고플랫폼장치에서 발급한 쿠키정보가 함께 매핑되어 기록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다시 말해 제1광고부(110)를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를 기초로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기반 즉 제1광고부(110)를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 내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의 요청에 따라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과 동시에,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와 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예: GAID, IDFA)를 광고주장치(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식별부(310)는 이처럼 제2광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로부터 단말(100)이 광고 수신을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추출부(320)는 광고에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부(320)는 단말(100)이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한 광고플랫폼장치(200)가 식별되는 경우, 식별된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해당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추출부(320)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광고주에 의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광고설정이력정보로부터 광고플랫장치(200)에서 해당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정보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광고주에 의해 직접 설정되는 정보이므로, 이러한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광고플랫폼장치 별 광고설정이력정보로서 광고주장치(300)에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함을 예상할 수 있다.
관리부(330)는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부(330)는 단말(100)에서 수신한 광고의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추출된 세그먼트정보를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함으로써, 향후 단말(100)에 대해 세그먼트정보를 활용한 광고주장치(300) 자체적인 마케팅 집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 이전에 동일한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단말(100)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부(330)는 예컨대, 광고플랫폼장치(200)와 연계되어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와, 타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접속횟수가 보다 많은 광고플랫폼장치에서의 세그먼트정보를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최종 관리함으로써 세그먼트정보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의 활용 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접속횟수가 많다는 것은, 해당 광고플랫폼장치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가 단말(100) 사용자의 속성(관심사)에 보다 가깝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마케팅정보로서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이 타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된 경우라면, 위 접속횟수와 무관하게 타 세그먼트정보를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로 갱신하여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광고플랫폼장치(3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에서 앞서 설명한 광고주장치(3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은 프로세서(3100),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 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3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를 통해 메모리(3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3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3210)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고주장치(300) 내 각 구성인 식별부(310), 추출부(320), 및 관리부(330)가 명령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3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는 프로세서(3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331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3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3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광고주장치(3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매개로 통신장치(331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단말(100)과 관련된 세그먼트정보의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도 5를 참조하여, 광고주장치(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광고주장치(3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식별부(310)는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광고의 선택에 따라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된 것이 통신장치(3310)를 통해 확인되는 경우, 단말(100)이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하고, 광고플랫폼장치(200)에 대한 식별 결과를 추출부(32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웹 기반으로 다시 말해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하여 광고를 수신한 경우, 광고플랫폼장치(200)가 단말(100)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를 기초로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00)이 웹 기반으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의 브라우저 즉 제2광고부(120)에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발급한 쿠키정보가 기록된다.
이에,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브라우저 즉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제2광고부(120)에 기록되어 있는 쿠키정보로부터 단말(100)이 광고 수신을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단말(100)이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광고주장치(300)에서는 광고주 페이지 접속에 따른 쿠키정보를 단말(100)에 발급하게 되며, 이처럼 발급된 쿠키정보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단말(100)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와 매핑되어 테이블 형식으로 누적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주는 자신의 광고를 광고플랫폼장치(200)뿐만 아니라 타 광고플랫폼장치(도시안됨)에 추가로 등록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으며, 이처럼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된 광고를 단말(100)이 수신 및 선택하여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된 경우가 발생한다면, 광고주장치(300)가 단말(100)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에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발급한 쿠키정보뿐만 아니라 타 광고플랫폼장치에서 발급한 쿠키정보가 함께 매핑되어 기록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다시 말해 제1광고부(110)를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를 기초로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기반 즉 제1광고부(110)를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 내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의 요청에 따라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과 동시에,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와 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예: GAID, IDFA)를 광고주장치(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식별부(310)는 이처럼 제2광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로부터 단말(100)이 광고 수신을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추출부(320)는 광고에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부(320)는 단말(100)이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대한 식별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해당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세그먼트정보를 관리부(33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추출부(320)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광고주에 의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광고설정이력정보로부터 광고플랫장치(200)에서 해당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관리부(330)는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부(330)는 단말(100)에서 수신한 광고의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되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세그먼트정보를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함으로써, 향후 단말(100)에 대해 세그먼트정보를 활용한 광고주장치(300) 자체적인 마케팅 집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 이전에 동일한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단말(100)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부(330)는 예컨대, 광고플랫폼장치(200)와 연계되어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와, 타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접속횟수가 보다 많은 광고플랫폼장치에서의 세그먼트정보를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최종 관리함으로써 세그먼트정보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의 활용 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다.
다만, 마케팅정보로서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이 타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된 경우라면, 위 접속횟수와 무관하게 타 세그먼트정보를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로 갱신하여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300)에 따르면,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광고를 수신한 단말(100)이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세그먼트정보를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활용함으로써, 광고주 입장에서는 마케팅과 관련된 별도의 데이터 관리 없이도 마케팅 집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성취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3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3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별부(310)는 단계 'S110' 및 'S120'에 따라 단말(100)이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광고의 선택에 따라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100)이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한다.
이때,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웹 기반으로 다시 말해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하여 광고를 수신한 경우, 광고플랫폼장치(200)가 단말(100)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를 기초로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이 웹 기반으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의 브라우저 즉 제2광고부(120)에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발급한 쿠키정보가 기록된다.
이에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브라우저 즉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제2광고부(120)에 기록되어 있는 쿠키정보로부터 단말(100)이 광고 수신을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단말(100)이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광고주장치(300)에서는 광고주 페이지 접속에 따른 쿠키정보를 단말(100)에 발급하게 되며, 이처럼 발급된 쿠키정보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단말(100)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와 매핑되어 테이블 형식으로 누적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다시 말해 제1광고부(110)를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라면,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를 기초로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기반 즉 제1광고부(110)를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 내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의 요청에 따라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과 동시에,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와 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예: GAID, IDFA)를 광고주장치(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식별부(310)는 이처럼 제2광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로부터 단말(100)이 광고 수신을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추출부(320)는 단말(100)이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한 광고플랫폼장치(200)가 식별되는 경우, 단계 'S130'에 따라 해당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해당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추출부(320)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광고주에 의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광고설정이력정보로부터 광고플랫장치(200)에서 해당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관리부(330)는 단말(100)에서 수신한 광고의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단계 'S140'에 다라 추출된 세그먼트정보를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함으로써, 향후 단말(100)에 대해 세그먼트정보를 활용한 광고주장치(300) 자체적인 마케팅 집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 이전에 동일한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단말(100)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부(330)는 예컨대, 광고플랫폼장치(200)와 연계되어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와, 타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접속횟수가 보다 많은 광고플랫폼장치에서의 세그먼트정보를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최종 관리함으로써 세그먼트정보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의 활용 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다.
다만, 마케팅정보로서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이 타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된 경우라면, 위 접속횟수와 무관하게 타 세그먼트정보를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로 갱신하여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먼저, 식별부(310)는 단계 'S1100' 내지 'S1300'에 따라 단말(100)이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광고의 선택에 따라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된 것이 통신장치(3310)를 통해 확인되는 경우, 단말(100)이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하고, 광고플랫폼장치(200)에 대한 식별 결과를 추출부(320)로 전달한다.
이때,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웹 기반으로 다시 말해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하여 광고를 수신한 경우, 광고플랫폼장치(200)가 단말(100)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를 기초로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00)이 웹 기반으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의 브라우저 즉 제2광고부(120)에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발급한 쿠키정보가 기록된다.
이에,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브라우저 즉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제2광고부(120)에 기록되어 있는 쿠키정보로부터 단말(100)이 광고 수신을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식별부(310)는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다시 말해 제1광고부(110)를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를 기초로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기반 즉 제1광고부(110)를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단말(100) 내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의 요청에 따라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과 동시에,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와 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예: GAID, IDFA)를 광고주장치(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식별부(310)는 이처럼 제2광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접속주소(URL)로부터 단말(100)이 광고 수신을 위해 접속하였던 광고플랫폼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추출부(320)는 단말(100)이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대한 식별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단계 'S1400' 및 'S1500'에 따라 해당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해당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세그먼트정보를 관리부(330)로 전달한다.
이때, 추출부(320)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광고주에 의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광고설정이력정보로부터 광고플랫장치(200)에서 해당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관리부(330)는 단말(100)에서 수신한 광고의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되어 수신되는 경우, 단계 'S1600'에 따라 해당 세그먼트정보를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함으로써, 향후 단말(100)에 대해 세그먼트정보를 활용한 광고주장치(300) 자체적인 마케팅 집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 이전에 동일한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단말(100)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부(330)는 예컨대, 광고플랫폼장치(200)와 연계되어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와, 타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접속횟수가 보다 많은 광고플랫폼장치에서의 세그먼트정보를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최종 관리함으로써 세그먼트정보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의 활용 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다.
다만, 마케팅정보로서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이 타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된 경우라면, 위 접속횟수와 무관하게 타 세그먼트정보를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로 갱신하여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장치(3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광고를 수신한 단말(100)이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세그먼트정보를 단말(100)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활용함으로써, 광고주 입장에서는 마케팅과 관련된 별도의 데이터 관리 없이도 마케팅 집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성취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 및 광고주장치(3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100), 및 광고주장치(3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 및 광고주장치(3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단말(100), 및 광고주장치(3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광고를 수신한 단말이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세그먼트정보를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
110: 제1광고부  120: 제2광고부
200: 광고플랫폼장치
300: 광고주장치
310: 식별부 320: 추출부
330: 관리부

Claims (12)

  1. 광고와 관련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단말이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광고의 선택에 따라 상기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식별명령; 및
    상기 광고플랫폼장치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하도록 하는 추출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는,
    상기 단말이 웹 기반으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를 기초로 식별되며,
    상기 쿠키정보는,
    상기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단말의 브라우저로부터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는,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의 접속주소를 기초로 식별되며,
    상기 접속주소는,
    상기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단말과 관련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도록 하는 관리명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명령은,
    상기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상기 단말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와, 상기 타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접속횟수가 보다 많은 광고플랫폼장치에서의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명령은,
    상기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상기 단말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존재하며, 상기 타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타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로 갱신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
  7. 단말이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수신한 광고의 선택에 따라 상기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를 식별하는 식별단계; 및
    상기 광고플랫폼장치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광고수신자그룹의 그룹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광고에 대해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단계는,
    상기 단말이 웹 기반으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해 발급한 쿠키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를 식별하며,
    상기 쿠키정보는,
    상기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단말의 브라우저로부터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단계는,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의 접속주소를 기초로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를 식별하며,
    상기 접속주소는,
    상기 광고주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단말과 관련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계는,
    상기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상기 단말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와, 상기 타 광고플랫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주 페이지로 접속된 접속횟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접속횟수가 보다 많은 광고플랫폼장치에서의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계는,
    상기 광고가 타 광고플랫폼장치에 등록되어 상기 단말과 관련하여 기 추출된 타 세그먼트정보가 존재하며, 상기 타 세그먼트정보가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타 세그먼트정보를 상기 광고플랫폼장치에서 설정된 세그먼트정보로 갱신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마케팅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주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60140900A 2016-10-27 2016-10-27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6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900A KR102663595B1 (ko) 2016-10-27 2016-10-27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900A KR102663595B1 (ko) 2016-10-27 2016-10-27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082A true KR20180046082A (ko) 2018-05-08
KR102663595B1 KR102663595B1 (ko) 2024-05-07

Family

ID=6218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900A KR102663595B1 (ko) 2016-10-27 2016-10-27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5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222A (ko) * 2012-10-23 2014-05-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쿠키를 이용한 타겟팅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5081A (ko)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밸류포션 코호트 기반의 사용자 분석 플랫폼과 마케팅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장치
KR20160094774A (ko) * 2015-02-02 2016-08-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98816A (ko) * 2015-02-11 2016-08-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식별정보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222A (ko) * 2012-10-23 2014-05-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쿠키를 이용한 타겟팅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5081A (ko)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밸류포션 코호트 기반의 사용자 분석 플랫폼과 마케팅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장치
KR20160094774A (ko) * 2015-02-02 2016-08-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98816A (ko) * 2015-02-11 2016-08-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식별정보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595B1 (ko) 202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7260A (ko) 웹 페이지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40037931A (ko)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71443B1 (ko) 광고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광고제공장치
US20170270567A1 (en) Advertising platform device
US11146860B2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intelligent terminal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data based on texture data corresponding to a target service
KR20160094774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80049008A1 (en) Platform device and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KR20180026165A (ko) 광고매체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83346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10330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46082A (ko)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23015A (ko) 데이터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05264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61890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38890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9731B1 (ko) 사용자분석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제공장치
KR102459740B1 (ko) 광고수신자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광고제공장치
KR20160098816A (ko) 식별정보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575410B (zh) 终端设备及其操作方法
KR20160149694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0770B1 (ko)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230079324A (ko) 광고 입찰 처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466452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7423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26313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