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023A -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023A
KR20180046023A KR1020160140740A KR20160140740A KR20180046023A KR 20180046023 A KR20180046023 A KR 20180046023A KR 1020160140740 A KR1020160140740 A KR 1020160140740A KR 20160140740 A KR20160140740 A KR 20160140740A KR 20180046023 A KR20180046023 A KR 20180046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eggplant
black y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5210B1 (ko
Inventor
박현우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6014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2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은 초음파추출기를 이용하여 얻은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흑효모 발효를 통해 얻어진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가지씨를 초음파 추출 및 흑효모를 통한 발효과정을 통해 보습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향상된 가지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산화 효과, 피부 보습 효과,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온도변화에 대해 변색과 분리 및 침전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GGPLANT SEED ULTRASONICATING EXTRACT OF FERMENTED BY AUREOBASIDIUM PULLULANS}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습 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의 목표는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것이며, 아울러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피부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노화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한 생체물질의 산화적 손상에 기인한다. 즉 과산화수소, 히드록시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등의 활성산소와 같은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을 과산화시켜 세포막을 파괴하고 단백질을 산화시키며 핵산을 공격하여 산화적 손상을 일으켜 생체물질을 파괴하고 결국 세포를 죽게 한다. 노화로 인해 가장 크게 나타나는 피부 특성은 주름과 탄력저하, 피부 칙칙함을 들 수 있다. 또한, 주름과 탄력 저하 외에도 40대 이후가 되면 얼굴색이 맑지 않고 칙칙하고 어두운 경우가 많다. 특히나 젊은 여성들의 경우는 출산을 경험하면서 어혈이 생기고, 혈액순환장애가 생기면서 이로 인해 신진대사 능력이 떨어지고, 피부가 쉽게 거칠어지고 칙칙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신진대사 능력이 떨어지고 피부가 거칠어지면 수분량 또한 쉽게 줄어들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량은 진피층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각질세포층에서는 약 10 내지 30%가 된다. 각질세포층에는 천연보습 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라고 하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 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여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각질세포층은 수분이 10 내지 30% 정도가 유지되면 피부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신체 보호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도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하나, 다른 천연 보습인자인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PCA-Na),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 요소 등은 전해성이 강해 화장료의 유화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아미노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도 보습 능력이 있다고 하나 보습능력에 한계가 있었다. 각질층의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은 피지성분과 아미노산, 젖산, 요소 및 무기염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보습인자(NMF)에 의해 조절되어질 수 있는데, 피부 외용제에서 천연 보습인자와 같이 안전하면서도 사용성이 우수하고, 보습효과가 높은 물질의 개발이 화장품에서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또한 항산화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은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디엘-알파토코페롤(dl-α-tocopherol), 베타-카로틴(β-carotene),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BHT) 등이 있으나 이러한 물질들은 합성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거나 다량으로 사용시 피부 안전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유용하게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항산화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피부 노화와 보습 개선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피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근 천연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천연식물성분들의 피부 생리 활성을 검색하여 안전성이 우수하고 피부 미용 효과가 우수한 물질들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천연 재료 중 하나인 가지는, 온대에서는 한해살이풀이나 열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인도 원산이며,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재배한다.
높이는 60∼100cm로, 식물 전체에 별 모양의 회색털이 나고 가시가 나기도 한다. 줄기는 검은 빛이 도는 짙은 보라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15∼35cm로 잎자루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6∼9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의 마디 사이에서 꽃대가 나와 여러 송이의 연보라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은 자줏빛이다. 열매의 모양은 달걀 모양, 공 모양, 긴 모양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며 한국에서는 주로 긴 모양의 긴가지를 재배한다.
많은 원예품종이 있는데, 각 품종은 세포 유전학적으로 매우 가까워서 잡종을 만들기 쉽다. 1대 잡종은 세력이 왕성하고 질병에 강할 뿐만 아니라 수확량이 많고 교배도 간단하므로 많이 이용한다. 열매를 쪄서 나물로 먹거나 전으로 부치고, 가지찜을 해서 먹는다.
한편, 최근에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가지씨의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하여 제조된 가지씨 흑효모 발효 추출물에서 피부 보습 효과, 피부 진정 작용, 항산화효과,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8065호는 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한국등록특허 제10-1434219호는 가지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의 초임계 추출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추출된 가지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을 화장용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항산화 효과가 있음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열수추출, 실온추출, 가온추출 등의 방법 대신에 초음파추출을 이용하여 가지씨 추출물을 제조할 경우, 피부 보습효과가 매우 향상된다는 놀라운 결과에 기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해 피부 보습 효과와 피부 진정 작용, 항산화 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또한, 본 발명은 가지씨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천연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피부 보습효과, 피부진정작용, 항산화효과,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흑효모균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효과, 피부진정작용, 항산화효과, 피부 장벽 개선용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은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흑효모균으로 20 내지 40℃의 온도 조건 하에서 pH 5 내지 7을 유지하면서, 1 내지 7일 동안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흑효모 발효 가지씨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 30.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에 적용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성이 매우 뛰어난 천연추출물인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초음파 추출법과 흑효모 발효를 통해 얻은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로서, 피부 보습효과, 피부진정작용, 항산화효과,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가지씨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천연물들 중에서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연구 및 다양한 실험을 거쳐 항산화, 보습,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추출물을 최대한 높은 수율로 수득하여, 더욱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가지씨를 초음파 추출하고 흑효모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효과, 피부진정작용, 항산화효과,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가지씨를 최대한 높은 수율로 수득하기 위해, 가지씨를 초고압 추출법으로 처리하였고 흑효모 발효를 통해,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여 항산화, 보습,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가지씨 초고압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에 넣은 후, 초음파추출기로 약 1 내지 12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초음파추출의 시간은 추출하고자 하는 시료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추출결과물을 여과 또는 정제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용매 중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좋다. 이때, 상기 에탄올은 바람직하게 70% 에탄올인 것이 좋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가지씨 건조 중량의 1 내지 15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배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지씨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은 제조된 가지씨를 20 내지 40℃의 온도 조건(실온)에서 pH 5 내지 7을 유지하면서, 초음파추출기로 약 1 내지 12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지씨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흑효모 발효 가지씨 추출물은 상기한 가지씨 추출물을 흑효모로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가지씨 추출물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펩톤 0.1~1%, 바람직하게는 0.2~0.5 중량%를 추가로 첨가하여 멸균할 수 있다. 여기에 25g/L이 되도록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배양액을 접종하여 배양할 수 있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1 내지 7일간, 20 내지 40℃에서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할 수 있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후 더 이상 배양이 되지 않도록 멸균(121℃, 15분, 1.5기압)하였다.
발효 후 배양균을 1차 제거한 가지씨 발효물을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하여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여과할 수 있다. 여과가 완료되면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흑효모 가지씨 발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흑효모 발효 가지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지씨 흑효모 발효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미미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제조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비교제조예 1> 가지씨 용매 추출물 제조
가지씨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후 100메시의 체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가지씨 분쇄물을 100g/L가 되도록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 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물을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W/V)가 되게 녹여 가지씨 용매 추출물(제조예 1)을 제조하였다.
< 비교제조예 2> 가지씨 가온 추출물 제조
가지씨를 가온하여 추출물로 제조한 것으로서, 가지씨를 시료로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한 다음 300메시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분쇄물을 미세하게 만들었다. 가지씨 분쇄물을 100g/L가 되도록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95℃에서 환류시키면서 4시간 동안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 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물을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W/V)가 되게 녹여 가지씨 가온 추출물(비교제조예 2)을 제조하였다.
< 비교제조예 3>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
가지씨를 초음파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물로 제조한 것으로서, 가지씨를 시료로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한 다음, 300메시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분쇄물을 미세하게 만들었다. 가지씨 분쇄물을 100g/L가 되도록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초음파추출기(내추럴솔루션)로 4시간 동안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 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물을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W/V)가 되게 녹여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비교제조예 3)을 제조하였다.
< 비교제조예 4> 가지씨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가지씨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시료 1 g을 초임계 추출용기(Supercriticalfluid extractor, Jasco, 일본국)에 넣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펌프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Jasco, 일본국)를 이용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온도 60℃ 및 압력 300 기압 조건에서 초임계 상태로 만들고 공용매로 부틸아세테이트를 흘려보내면서 매 4분씩 40분까지 추출물을 10 ㎖ 용량의 유리 시험관에 받았다. 예비 실험에서 초임계 추출을 위해서는 60℃ 및 300 기압이 최상의 결과를 보여 주어 이 조건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회전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중량 30.9 ㎎/g을 얻었다. 건조된 가지씨 추출 파우더를 50% 1,3-부틸렌 글리콜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 비교제조예 5> 가지 용매 추출물의 제조
가지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후 100메시의 체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가지 분쇄물을 100g/L가 되도록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 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물을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W/V)가 되게 녹여 가지 용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1>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은 상기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흑효모로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펩톤 0.1~1%, 바람직하게는 0.2~0.5 중량%를 추가로 첨가하여 멸균할 수 있다. 여기에 25g/L이 되도록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배양액을 접종하여 배양할 수 있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1 내지 7일간, 20 내지 40℃에서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할 수 있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후 더 이상 배양이 되지 않도록 멸균(121℃, 15분, 1.5기압)하였다.
발효 후 배양균을 1차 제거한 가지씨 발효물을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하여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여과할 수 있다. 여과가 완료되면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 처방예 1>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처방예 1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제조예 1) 5.0
글리세린 5.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폴리소르베이트 60 1.5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디메치콘 2.0
트리에탄올아민 1.0
친유형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코올 2.2
스테아릭애씨드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베타인 3.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 비교처방예 1>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의 비교처방예 1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비교제조예 3) 5.0
글리세린 5.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폴리소르베이트 60 1.5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디메치콘 2.0
트리에탄올아민 1.0
친유형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코올 2.2
스테아릭애씨드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베타인 3.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 비교처방예 2>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크림의 비교처방예 2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글리세린 5.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폴리소르베이트 60 1.5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디메치콘 2.0
트리에탄올아민 1.0
친유형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코올 2.2
스테아릭애씨드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베타인 3.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 비교처방예 3>
가지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의 비교처방예 3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가지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5.0
글리세린 5.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폴리소르베이트 60 1.5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디메치콘 2.0
트리에탄올아민 1.0
친유형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코올 2.2
스테아릭애씨드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베타인 3.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 비교처방예 4>
가지씨 가온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비교 처방예 4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가지씨 가온 추출물(비교제조예 2) 5.0
글리세린 5.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폴리소르베이트 60 1.5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디메치콘 2.0
트리에탄올아민 1.0
친유형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코올 2.2
스테아릭애씨드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베타인 3.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 비교처방예 5>
가지씨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비교 처방예 5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가지씨 초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5) 5.0
글리세린 5.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폴리소르베이트 60 1.5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디메치콘 2.0
트리에탄올아민 1.0
친유형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코올 2.2
스테아릭애씨드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베타인 3.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 비교처방예 6>
가지 용매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비교 처방예 6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가지 용매 추출물(비교제조예 6) 5.0
글리세린 5.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폴리소르베이트 60 1.5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디메치콘 2.0
트리에탄올아민 1.0
친유형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코올 2.2
스테아릭애씨드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베타인 3.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5에 대하여 항산화작용을 펜톤반응(Fenton reaction)에 의한 지질 과산화반응계(lipid peroxidation system)을 이용한 티오바르비츄릭산법(TBA assay)로 측정하였다. 즉, 에틸리놀레이트 10 ㎕, 0.2% 소디움도데실설폭시드(SDS), 염화제일철 10μmol, 과산화수소 2μmol을 함유하는 25mM 트리즈마(Trizma)염산/0.75mM 염화칼륨완충액 5㎖에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디메틸설폭시드(DMSO) 시험용액을 가한 후 55도에서 16시간 동안 항온 시킨 후, 4%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BHT) 50㎕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용액 0.3㎖를 시험관에 넣고 0.05N 염산 3.0㎖, 0.67% 티오바르비츄릭산(TBA)용액을 가하고 30분간 끓였다. 이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85% 부탄올 4.0ml을 가하고 원심분리 후 부탄올 층의 흡광도를 535nm에서 측정하였고 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다음의 수학식 1로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항산화 효과(%)
실험농도(10㎍/ml) 실험농도(50㎍/ml) 실험농도(100㎍/ml)
비교제조예 1 35 55 60
비교제조예 2 10 15 15
비교제조예 3 22 35 49
비교제조예 4 25 35 49
비교제조예 5 5 8 10
제조예 1 55 68 90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5의 항산화 효과는 대부분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항산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5와 기존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디엘-알파토코페롤(dl-α-tocopherol), 베타카로틴(β-carotene) 및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BHT)의 항산화 작용을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50% 억제농도인 IC50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IC50(10㎍/ml)
비교제조예 1 45.9
비교제조예 2 15.8
비교제조예 3 30.5
비교제조예 4 31.8
비교제조예 5 10.1
제조예 1 50.5
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 21.90
디엘-알파토코페롤 (dl-α-tocopherol) 3.36
베타카로틴 (β-carotene) 29.8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 (BHT) <1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5는 다른 항산화제들에 비교할만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제조예 1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가지씨 추출물들은 천연물의 추출물임에도 불구하고 유의할만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흑효모 발효를 통해 항산화 활성효과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의 피부 보습 개선 효과의 평가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 크림(처방예 1) 및 비교처방예 1 내지 비교처방예 6 크림의 주름 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40대 25명을 대상으로 1조 당 20명씩 2개 조로 나누고, 각 조별로 상기 처방예 1 및 비교처방예 1 내지 비교처방예 6의 크림의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1개월간 얼굴 및 전박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corneometer(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을 삼고, 1주, 2주, 4주 경과 후의 피부 전도도 증가율(%)을 측정하여 그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실험제품 1주 후 2주 후 3주 후
처방예 1 55 60 69
비교처방예 1 43 48 52
비교처방예 2 17 20 24
비교처방예 3 19 25 31
비교처방예 4 25 28 35
비교처방예 5 38 40 48
비교처방예 6 15 20 22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처방예 1의 경우, 비교처방예 1 내지 비교처방예 6에 비하여 피부 전도도 증가율이 매우 우수하였다. 일반적으로 피부 전도도는 피부 수분량에 비례하므로, 상기의 결과는 흑효모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그렇지 않은 화장료에 비해 피부 수분 함량도 높게 유지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 본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대부분의 피검자들에게서 피부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실험예 3>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의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평가
본 발명의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예는 처방예 1 및 비교처방예 1 내지 6의 화장료를 사람을 대상으로 경피수분손실량(TEWL : Trans-Epidemal Water Loss)을 Tewameterr(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비교실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20 ~ 40대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오른쪽과 왼쪽 얼굴에 각 시료를 바르고 눈가에서 3cm 우측으로 1cm 아래로 떨어진 부위를 바르기 전과 바른 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의 경피수분손실량을 Tewameterr(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처방예 1 9.2 8.5 7.8 6.8
비교처방예 1 15.3 14.9 12.1 8.9
비교처방예 2 22.0 21.5 20 16
비교처방예 3 18.9 17.3 15.2 13.1
비교처방예 4 17.0 16.2 14.2 12.1
비교처방예 5 16.5 15.4 14.1 10.8
비교처방예 6 15.3 16.5 14.5 10.9
상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에서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피부장벽 개선에 더 좋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흑효모균으로 발효시킨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개선용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은 가지씨를 정제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에 넣은 후, 초음파추출기로 약 1 내지 12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3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40740A 2016-10-27 2016-10-27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740A KR101855210B1 (ko) 2016-10-27 2016-10-27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740A KR101855210B1 (ko) 2016-10-27 2016-10-27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023A true KR20180046023A (ko) 2018-05-08
KR101855210B1 KR101855210B1 (ko) 2018-05-09

Family

ID=6218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740A KR101855210B1 (ko) 2016-10-27 2016-10-27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62A (ko) * 2020-11-26 2022-06-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8867B2 (ja) 2014-04-04 2019-04-10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保湿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62A (ko) * 2020-11-26 2022-06-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210B1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1033B1 (ko)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0377B1 (ko) 오이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820B1 (ko) 프로방스장미꽃잎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4529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0656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1816B1 (ko) 월귤 열매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월귤 열매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4246B1 (ko) 흑효모 발효 작약꽃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3B1 (ko) 수선화 비늘줄기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8657B1 (ko)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8103B1 (ko) 노니 및 마카뿌리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7712B1 (ko) 님나무와 작약의 초음파 처리 및 흑효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5870A (ko) 감태, 톳, 개청각, 우뭇가사리, 제주진득찰 및 랍도시아루베스켄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8971B1 (ko) 영지버섯, 아르니카몬타나꽃, 부들레야 및 타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1295B1 (ko) 화피 및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