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480A -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 Google Patents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480A
KR20180045480A KR1020160139875A KR20160139875A KR20180045480A KR 20180045480 A KR20180045480 A KR 20180045480A KR 1020160139875 A KR1020160139875 A KR 1020160139875A KR 20160139875 A KR20160139875 A KR 20160139875A KR 20180045480 A KR20180045480 A KR 20180045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ion
pressure sensor
frame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섭
강민혁
이동규
김준석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480A/ko
Publication of KR2018004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은, 사용자의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그 측정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자발적인 수축을 유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벨트에 연결되고, 그 벨트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과 사용자의 복부 사이에 위치되어서, 상기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에 따른 공기 압력 변화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Biofeedback unit for active contraction inducement of abdominal muscle}
본 발명은 바이오 피드백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그 측정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자발적인 수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초에 등장한 웰빙(well-being)에 대한 관심은 단기적인 유행에 그치지 않고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지속적인 트렌드로 유지되어 점차 우리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웰빙에 대한 관심은 정신적, 육체적인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여 삶 전체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인적 노력, 사회적 배려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날로 증가해가는 노령인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여기서, 노령인구뿐만 아니라 20∼30대 젊은 연령층에까지 폭 넓게 나타나고 있는 요통(back pain)은 흔하게 일어나는 만큼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중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요통은 노령화는 물론 임신 또는 감염 등의 각종 원인에 의해 근 골격의 이상으로 유발되는 통증으로서, 흉추 10번 이하의 허리부위에 통증이 3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전 세계인구의 약 80% 이상이 일생에 한번 이상 경험하게 되는 매우 흔한 근골격계 질환 중의 하나이며, 일상생활 능력의 저하로 이어져서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 또한 무척 크다.
특히, 컴퓨터 작업 등과 같은 앉은 자세에서의 업무 증가와 운동량 부족 등 경제 및 사회 구조의 변화는 요통의 유병률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이런 이유로 최근 척추 전문병원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이에 비례하여 척추 수술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지만, 이러한 수술을 통한 치료는 요통의 근본적인 원인 해결에 한계를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국민 의료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요통환자 가운데 실제로 수술을 통해 치료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약 10%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나머지는 적절한 운동요법을 통하여 치료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요통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체간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심부 복부근인 가로배근(transverseabdominis)의 수축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요통 완화 및 요추의 안정성 제공을 목적으로 복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재활 병원이나 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다. 하지만, 복대는 착용 당시에는 체간의 안정성에 즉각적으로 기여를 하지만, 장기간 착용할 경우에는 오히려 허리 부위의 체간을 지지하는 근육들의 작용을 억제해서 결국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이제까지의 복대들은 사용자의 자발적 수축(voluntary contraction)을 유도하지 못하고 체간의 수동적 지지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요추 안정성을 담당하는 심부 복부근의 약화를 일으킬 수 있어서 운동 효과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재활치료와는 달리 복대는 착용하고 있으면서 일상생활을 지속하기 때문에 근육운동에 집중할 수가 없어서 사용자가 복대를 착용하고 있는 내내 자발적으로 근육을 수축하는 운동을 하기가 어렵다.
이런 이유로 근육이 이완되었을 때 자발적으로 심부복근 수축을 유도하기 위한 피드백의 제공은 매우 중요하며, 많은 연구는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이 자발적인 근육 수축 유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Madhavan & Shields(Sangeetha Madhavan, Richard K. Shields, Movement Accuracy Changes Muscle-Activation Strategies in Female Subjects During a Novel Single-Leg Weight-Bearing Task, American Academy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1, 2009, pp.319∼328)는 여성들의 한발 쪼그려 앉기 자세에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이 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서 시각적 피드백이 있을 경우 전후 압력중심점(center of pressure)의 이동이 줄어들어 움직임의 정확성을 높일 뿐 아니라 그로 인해 선택적인 근육활성도가 증가한다 하였다.
이와 같이, 바이오피드백이 자발적인 근육 수축 유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실증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요통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는 심부 복부근인 가로배근의 자발적인 수축을 유도하는 기능을 복대에 구현시킨 바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초기 선행연구를 수행하여 그 결과로서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에 관한 발명을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23846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는, 바이오피드백을 통하여 자발적인 근육의 수축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가지나, 장력 센싱을 위하여 고가의 로드셀이 요구됨은 물론, 장력 측정 원리에 기초하여 근육의 이완 및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어 장치에 벨트의 장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하고, 벨트의 경우 기성품을 활용하지 못하고 장력 측정을 위한 구조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하는 등의 기술적인 개선의 필요성과, 사용자 편리성을 위한 추가적인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제품 구조의 간소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능동적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능동적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은, 사용자의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그 측정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자발적인 수축을 유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벨트에 연결되고, 그 벨트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과 사용자의 복부 사이에 위치되어서, 상기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에 따른 공기 압력 변화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압력 센서와 복부 사이에 위치되고, 완충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는, 상기 압력 센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압력 센서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패드측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압력 센서의 상기 패드측 수용홈에 수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센서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프레임측 수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 측에 무선으로 송출시키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어 장치가 슬라이딩 되면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들과 각 끼움홈을 한정하는 한 쌍의 끼움리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은,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 가벼운 공기 압력 센서를 연결 프레임과 복부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밀한 제조원가의 절감은 물론, 제품의 경량화 및 구성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어 장치를 연결 프레임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더욱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복부근 수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복수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와 벨트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제어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복수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은, 사용자의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그 측정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자발적인 수축을 유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10)과 압력 센서(20)와 제어 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프레임(10)은, 사용자의 복부(A)를 감싸는 벨트(B)와 제어 장치(30)를 연결시켜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 장치(30)가 선택적으로 탑재되고, 상기 벨트(B)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벨트(B)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10)은, 합성 수지 재질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 금속 재질에 의해 가공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압력 센서(20)는,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에 따른 공기 압력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10)과 사용자의 복부(B;도 3참조)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압력 센서(20)는, 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튜브 내의 압력 변화를 센싱하여 그 센싱된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제어 장치(30)에 송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20)는, 인체의 복부(A)와의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실리콘 재질의 접촉패드(40)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 장치(30)는, 상기 압력 센서(20)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미도시)와 상기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32)와 같은 바이오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상기 제어 장치(30)의 표시부(32)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부(32)에 표시된 근육의 수축 또는 이완 정보를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복부근을 수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 장치(3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장치(30)가 탑재된 연결 프레임(10)이 벨트(B)에 연결된 상태에서,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제어 장치(30)에 마련된 소리 송출부(미도시)를 통해 인지하고, 그 인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복부근 수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30)를 연결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상기 제어 장치(30)의 표시부(32)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고, 그 확인된 결과에 기초하여 더욱 능동적인 복부근 수축을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은,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 가벼운 공기 압력 센서(20)를 연결 프레임(10)과 복부(A)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밀한 제조원가의 절감은 물론, 제품의 경량화 및 구성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어 장치(30)를 연결 프레임(10)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더욱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복부근 수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프레임(10)과 제어 장치(30) 간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프레임(10)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12)들과 각 끼움홈(12)을 한정하는 한 쌍의 끼움리브(1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끼움홈(12)들은, 상기 연결 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어 장치(30)의 양측 가장자리를 수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끼움리브(14)들은 상기 끼움홈(12)에 수용된 제어 장치(30)의 임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제어 장치(30)를 연결 프레임(10) 측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어 장치(30)와 연결 프레임(1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어 장치(30)와 압력 센서(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타를 송수신 할 수 있으나, 사용자 편리성을 위해서는 무선 방식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장치(30)와 압력 센서(20) 간의 데이타 송수신을 유선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상기 제어 장치(30)를 휴대하여 사용하는 등의 편리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압력 센서(20)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시키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신 수단은 근거리 통신수단의 하나인 블루투스 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착용감 개선을 위한 패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드(40)는, 상기 압력 센서(20)와 복부(A) 사이에 위치되고, 실리콘과 같이 완충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40)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센서(20)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패드측 수용홈(42)을 구비하여서, 상기 압력 센서(20)의 수용 및 임의 탈거를 억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10)은, 상기 압력 센서(20)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프레임측 수용홈(16)을 구비하여서, 상기 압력 센서(20)의 상기 패드측 수용홈(42)에 수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압력 센서(20)를 지지시켜 주기 위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제품 성형의 용이성 및 조립성 개선으로 제조원가의 절감 및 제품 양산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와 벨트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연결 프레임(50)이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채용된 연결 프레임과 다른 구조를 가지고, 그 연결 프레임(50)과 함께 사용되는 벨트(B) 또한 다른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는 벨트(B)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성제품인 것으로, 사용자가 쉽게 벨트(B)를 착용 및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구조가 반영되어 있다.
즉, 상기 벨트(B)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들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된 제1체결부(B1)와, 상기 서로 마주하는 부분들 중 다른 일측에 마련된 제2체결부(B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B1)는 탄성 변형되는 후크(H)를 구비하고, 상기 제2체결부(B2)는, 상기 후크(H)를 수용하는 수용홈(G)과 그 수용홈에 후크가 위치된 경우 후크의 걸림을 가능하게 하는 걸림리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기성제품인 벨트(B)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연결 프레임(50)은, 상기 제1체결부(B1)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연결부(51)와, 상기 제2체결부(B2)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연결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51)는, 상기 제2체결부(B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52)는, 상기 제1체결부(B1)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본 실시예와 벨트(B) 간의 연결을 기성제품인 벨트(B)를 이용하여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제어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어 장치(60)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일체형 프레임 구조와는 달리, 결합용 프레임(62)과 제어용 프레임(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용 프레임(62)은, 연결 프레임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부분이고, 상기 제어용 프레임(64)은, 측정부 및 표시부(64a)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으로, 상기 결합용 프레임(6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시부(64a)가 마련된 결합용 프레임(64)을 결합용 프레임(62)에 대해 회전시켜 놓은 상태에서 사용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복부근 수축을 더욱 편리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연결 프레임 12:끼움홈
14:끼움리브 16:프레임측 수용홈
20:압력 센서 30:제어 장치
32:표시부 40:패드
42:패드측 수용홈 A:복부
B:벨트

Claims (7)

  1. 사용자의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그 측정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자발적인 수축을 유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벨트에 연결되고, 그 벨트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과 사용자의 복부 사이에 위치되어서, 상기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에 따른 공기 압력 변화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와 복부 사이에 위치되고, 완충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압력 센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압력 센서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패드측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압력 센서의 상기 패드측 수용홈에 수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센서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프레임측 수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 측에 무선으로 송출시키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어 장치가 슬라이딩 되면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들과 각 끼움홈을 한정하는 한 쌍의 끼움리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각 끼움홈에 끼워지는 결합용 프레임; 및
    상기 결합용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정부 및 표시부가 마련된 제어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서로 마주하는 부분들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고, 탄성 변형되는 후크를 구비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서로 마주하는 부분들 중 다른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후크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그 수용홈에 후크가 위치된 경우 후크의 걸림을 가능하게 하는 걸림리브를 구비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1체결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KR1020160139875A 2016-10-26 2016-10-26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KR20180045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75A KR20180045480A (ko) 2016-10-26 2016-10-26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75A KR20180045480A (ko) 2016-10-26 2016-10-26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80A true KR20180045480A (ko) 2018-05-04

Family

ID=6219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875A KR20180045480A (ko) 2016-10-26 2016-10-26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4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8318A1 (en) Instrumented physiotherapeutic, ambulatory, and mobility vest to monitor and provide feedback to patients and caregivers
Lee et al. The influence of hip abductor muscle performance on dynamic postural stability in females with patellofemoral pain
EP2467106B1 (en) Weighting garments and orthotics for improving balance
USRE46069E1 (en) Weighting garments and orthotics for improving balance
AU2007252291B2 (en) Posture indicator
WO2019070939A1 (en) SLEEP PERFORMANCE SYSTEM AND METHOD OF USE
EP2981212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ting proprioceptive skin and body sensors, vision, vestibular and somato-sensation acting in combination with brain function or neurosensory-motor system function
KR101652437B1 (ko) 실시간 자세 교정 방석 및 의자
KR101843162B1 (ko)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US20190343205A1 (en) Self-Adjustment Belt with Bumps
US2022040913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eating proprioceptive dysfunction and vestibular disorders
Legg et al. Subjective perceptual methods for comparing backpacks
KR101883055B1 (ko) 경추보호대
KR101523846B1 (ko)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TWI780752B (zh) 穿戴式設備
WO2017075660A1 (en) An apparel arrangement
KR20180045480A (ko) 능동적 복부근 수축 유도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유닛
Hamaoui et al. Does increased muscular tension along the torso disturb postural equilibrium more when it is asymmetrical?
KR20190063564A (ko) 웨어러블 측정기 및 그를 이용한 척추 진단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Nag et al. Influence of footwear on stabilometric dimensions and muscle activity
CN107028612B (zh) 一种医用腰椎负荷背带装置
KR20160093158A (ko) 바이오 피드백 훈련 장치
Yip et al. Institute of Textiles and Clothing,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Hung Hom, Hong Kong
CN209186714U (zh) 便携调节装置及步态调节器
WO2016205235A1 (en) Instrumented physiotherapeutic, ambulatory, and mobility vest to monitor and provide feedback to patients and careg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