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162B1 -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 Google Patents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62B1
KR101843162B1 KR1020170163481A KR20170163481A KR101843162B1 KR 101843162 B1 KR101843162 B1 KR 101843162B1 KR 1020170163481 A KR1020170163481 A KR 1020170163481A KR 20170163481 A KR20170163481 A KR 20170163481A KR 101843162 B1 KR101843162 B1 KR 101843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yogram
muscle
wireless
user
t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길
박상영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61B5/04012
    • A61B5/04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72Wound bandages protection of the body or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Wound bandages applying of mechanical pressure; passive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무선근전도센서(102)를 구비하여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무선으로 제공하는 스포츠 테이프(10)와;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분석하여, 상기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피부 아래의 근육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수단(201)을 통해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2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스포츠 테이프의 정확한 부착이 가능케 되고, 스포츠 테이프 부착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Taping system and Taping method for muscle pain relief}
본 발명은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포츠 테이프의 정확한 부착이 가능케 하고, 스포츠 테이프 부착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스포츠 테이프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직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거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육체적 노동이나 운동을 하는 경우에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서 근육통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신체 부위에 근육통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약물을 복용하거나, 파스 등을 근육통이 발생한 신체 부위에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가벼운 근육통의 경우에는 약이나 파스 등에 의한 개선 효과가 양호한 편이나, 심한 근육 손상으로 인한 근육통의 경우에는 약이나 파스만으로는 근육통 개선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특히, 근육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근육이 부어올라 혈관이나 림프액, 조직액의 순환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고 그로 인해 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해당 근육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과중한 육체노동을 반복하는 근로자나, 격렬한 운동을 하는 운동선수들에게서 주로 발생된다.
특히, 직업 특성 상 심한 근육통이 빈번한 근로자나 운동선수 등은 심한 근육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업 상 노동이나, 운동을 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임상적으로는 주사제를 이용한 근육통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주사제를 이용을 위해서는 일일이 병원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 부담도 적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운동선수의 경우에는 경기력을 일시적으로 높이기 위해 각종 약물을 복용하거나 혈액 · 유전자 조작 등 금지된 방법을 사용하는 '도핑(doping)'에 따른 우려 때문에 약물 이용 또한 쉽지 않아, 근육통이 있음에도 운동을 지속하다가 더 큰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리하여 약물 대신 물리적으로 근육통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테이핑 부착법'이다.
테이핑 부착법은 심각한 근육 손상에 따른 근육통 발생 시, 근육의 신축성과 유사한 신축성을 갖는 스포츠 테이프를 근육통이 발생한 신체 부위에 붙이거나, 감아서 피부와 근육의 공간을 확대시킴으로써 혈액 및 림프액, 조직액의 순환을 증가시켜 통증을 완화하고, 손상된 근육을 회복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테이핑 부착법은 근육통의 완화 및 손상된 근육의 회복뿐만 아니라, 근육의 기능을 바로잡아 2차적인 근육 손상을 예방하고, 근육의 고정을 통해 관절의 어긋남을 방지하며, 근육의 피로를 경감시켜 부상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근육 강화와 재활에 도움이 되는 등 매우 다양하고 우수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운동선수들 사이에서는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운동을 취미로 하거나, 육체적인 노동을 통해 근육통 발생이 빈번한 일반인들도 테이핑 부착법을 시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 테이프가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처럼 유용한 테이핑 부착법의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테이핑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특정 근육에 근육통이 발생한 경우에, 근육통 발생 부위의 근육을 최대한 늘리고, 스포츠 테이프는 늘리지 않은 상태에서 근육통이 발생한 근육의 결을 따라 피부 표면에 스포츠 테이프를 정확하게 붙여야 테이핑 부착법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인의 경우에는 근육의 형태나, 근육의 결에 대한 상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근육통이 넓은 부위에 발생한 경우에 어느 부위에 어떻게 테이핑을 해야 하는지를 모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반인이 근육통이 발생한 근육에 스포츠 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에, 정확하지 못한 테이핑에 의해 테이핑 부착법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잘못된 테이핑 상태에서 일상적인 활동이나 운동 활동을 지속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근육의 2차적인 손상을 유발하여 통증이나 부상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포츠 테이프 부착을 위해 근육통이 발생한 부위에 스포츠 테이프를 부착한 후 근육통이 완화되더라도, 그러한 근육통 완화가 자연적인 것인지 스포츠 테이프 부착에 의한 것이지 확인하기 곤란하여 테이핑 부착법에 대한 불신감이 적지 않은 단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485호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근육통을 완화하는 스포츠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신체 부위의 스포츠 테이프 부착 위치와 부착 방법을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스포츠 테이프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근전도센서를 이용해 스포츠 테이프가 부착된 신체 부위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근육의 상태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테이프 부착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표면에 부착되는 점착층에 멘톨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피부 진정 및 청량감에 따른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은,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를 구비하여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부 아래에 위치한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무선으로 제공하는 스포츠 테이프(10)와;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근전도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분석하여, 상기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피부 아래의 근육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수단(201)을 통해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포츠 테이프(10)는, 신축성 섬유로 제직된 직물시트(101)와;
상기 직물시트(101)에 고정되어 직물시트(101)가 부착되는 피부 표면 아래에 위치한 근육의 근전도값을 무선으로 제공하는 무선근전도센서(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시트(101)는, 상기 직물시트(10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주머니 형태로 되어 내부에 무선근전도센서(102)가 삽입되도록 직물시트(101) 하방으로 개구부(103a)가 형성된 고정부(103)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개구부(103a)의 내경은 상기 고정부(103) 내벽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개구부(103a)의 신축성에 의해 무선근전도센서(102)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부(10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포츠테이프(10) 이면에는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 스포츠테이프(10)가 피부 표면에 부착되도록 고정력을 발휘하는 점착층(101b)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층(101b)은, 유기용제형 아크릴점착제 또는 수용성 에멀젼 점착제로 되는 점착제와, 멘톨 성분이 함유된 에션셜 오일을 9:1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무선으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분석하는 근전도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산출된 근육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20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다수의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측정된 근전도값을 누적 저장하여 근육 상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산출하고,
다수의 무선근전도센서(102) 중, 일정 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측정된 근전도값이 소정 시간 동안, 사전 저장된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없으면, 스포츠 테이핑에 따른 근육 상태 개선 효과가 없음을 상기 출력수단(201)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포츠 테이프(10)에는 피부 표면을 가압하는 압력 조절이 가능한 지압수단(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포츠 테이프(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가 근전도값의 전송이 가능케 휴대용 단말기(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제1단계(S10)와;
근전도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 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될 신체 부위를 입력하는 제2단계(S20)와: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부위의 근육통 발생 시 가장 적절한 테이핑 위치와, 테이핑 방법에 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제3단계(S30)와;
사용자가 제3단계(S30)의 정보를 토대로 근육통 발생 부위에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스포츠 테이프(10)에 구비된 무선근전도센서(102)가 부착 부위 근육의 근전도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5단계(S50)에서 제공되는 근전도 측정값을 분석하여 근육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제6단계(S60)와;
상기 제6단계(S60)에서 산출된 근육 상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0)의 출력수단(201)으로 출력하는 제7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성별, 신장,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하는 제2a단계(S201)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체지방률을 산출하는 제2b단계(S202)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정보와, 사용자의 체지방률을 이용해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신체 부위 근육의 사용자 기준값을 산출하는 제2c단계(S203)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5단계(S50)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과, 상기 제2c단계(S203)에서 산출된 사용자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신체 부위의 근육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제6c단계(S6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은 근육통을 완화하는 스포츠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신체 부위에 대한 스포츠 테이프 부착 위치와 부착 방법을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스포츠 테이프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확한 위치에 스포츠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근육 손상에 따른 부상 부위의 혈액과 림프액, 조직액 등의 순환을 도와 통증을 완화하고, 근육의 기능을 바로잡아 2차적인 근육 손상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근육의 고정을 통해 관절의 어긋남을 방지하고, 근육의 피로를 경감시켜 근육 강화와 재활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육과 인대의 지나친 수축을 막아주고 근육이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근육의 긴장성과 자세조절, 신체의 균형을 조절하여 통증의 해소와 신체의 밸런스를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포츠 테이프에 무선근전도센서를 구비하여 스포츠 테이프가 부착된 신체 부위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근육의 상태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테이핑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포츠 테이프의 점착층에 멘톨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피부 진정 및 청량감에 따른 사용감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테이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테이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근전도센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테이프 부착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테이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테이프 부착 위치나,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압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테이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테이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테이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은 무선근전도센서(102)를 구비한 스포츠 테이프(10)와, 휴대용 단말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포츠 테이프(10)는 근육통이 발생한 부위의 피부 표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부착 부위 근육의 근전도 측정을 위해 직물시트(101)와, 무선근전도센서(102)를 구비한다.
상기 직물시트(101)는 스판덱스사를 흡한속건성 폴리에스테르사로 커버링한 커버링사와, 흡한속건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평직 형태로 제직됨으로써 소정 두께의 시트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링사는 스판덱스사를 흡한속건성 폴리에스테르사로 커버링 함으로써, 흡한속건성을 유지하면서도 표면 효과나 질감은 면과 유사하고, 면보다 더 부드러운 촉감을 가진다.
또한, 상기 흡한속건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는 상기 커버링사와 마찬가지로 땀의 흡습에 따른 건조시간이 단축되어 피부 트러블 문제가 해소된다.
상기 커버링사와 멀티필라멘트사를 평직하여 소정 두께의 직물시트(101)를 형성함에 있어서, 두께감과 중량감 면에서 면사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굵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멀티필라멘트사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물시트(101)에는 직물시트(10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주머니 형태로 되어 내부에 무선근전도센서(102)가 삽입되도록 직물시트(101) 하방으로 개구부(103a)가 형성된 고정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3)는 상기 직물시트(101)와 같이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하되, 상기 개구부(103a)의 내경은 상기 고정부(103) 내벽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103) 내부에 무선근전도센서(102)를 삽입할 때에는 개구부(103a)의 신축성을 이용해 무선근전도센서(102)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부(103)에 삽입함으로써 테이핑 후 격렬한 운동이나 신체 활동을 하더라도, 직물시트(101)에서 무선근전도센서(10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103)는 상기 커버링사와 멀티필라멘트사를 평직하여 직물시트(101)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가 내부에 투입되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즉, 상기 고정부(103)는 직물시트(101)를 제직하는데 사용되는 커버링사와 멀티필라멘트사의 제직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고, 별도의 소재를 이용해 무선근전도센서(102)가 내부에 투입되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한 후, 직물시트(101) 표면에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 하는 것도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가 고정된 직물시트(101)를 근육통이 발생한 피부 표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부착스포츠 테이프(10)와 같은 별도의 부착수단을 이용하거나, 압박붕대와 같이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띠 형태로 된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에 밀착되게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직물시트(101)를 근육통이 발생한 부위의 피부 표면에 보다 간편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직물시트(101) 이면에는 점착층(101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01b)은 유기용제형 아크릴점착제 또는 수용성 에멀젼 점착제를 직물시트(101) 이면에 액상의 상태로 20 내지 80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101b) 도포가 완료되면, 열풍 건조 후 직물시트(101)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진 이형지(101c)를 상기 점착층(101b) 하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하 한 쌍으로 된 가압롤러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점착층(101b) 하부에 이형지(101c)가 합지되어 점착층(101b)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점착층(101b)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직물시트(101)를 피부 표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형지(101c)를 점착층(101b)에서 분리한 후 피부 표면에 부착한다.
한편, 상기 점착층(101b)을 형성함에 있어서, 점착층(101b)을 구성하는 점착제에는 멘톨을 함유할 수 있다.
즉, 상기 유기용제형 아크릴점착제 또는 수용성 에멀젼 점착제로 되는 점착제에 대하여 멘톨 성분이 함유된 에션셜 오일을 9:1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멘톨이 함유된 점착증이 형성된다.
상기 멘톨(menthol)은, 박하에서 뽑아낸 천연 휘발성 물질로서, 냉점의 역치 온도를 높이는 작용을 하여 특유의 시원한 청량감을 발현함으로써, 사탕이나 음료뿐만 아니라, 피부에 바르는 로션이나 샴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멘톨은 국소를 자극하여 지각을 둔하게 하는 진통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 방부와 더불어 청량감을 주어 통증을 잊게 하는 쿨링 효과를 발휘하는 임상적 효과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직물시트(101)의 점착층(101b)에 의한 피부 표면 부착 시, 점착층(101b)에 함유된 멘톨 성분에 의한 피부 트러블이 방지된다.
또한, 메톨 성분이 피부에 직접 작용하여 피부가 차갑게 느껴지기 때문에 테이핑 후 근육의 격렬한 사용으로 인해 체열이 상승하더라도 피부가 차갑게 느껴지는 청량감에 따른 자극으로 인해 혈액 순환이 촉진되어 통증이 완화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근전도센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테이프 부착 상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는 근전도의 측정 및 측정값의 무선 전송을 위해 근전도측정부(102a), 무선통신부(102b)와, 전원부(102c)를 구비한다.
상기 근전도측정부(102a)는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피부 표면 아래에 위치한 근육의 활동전위를 실시간 또는 소정 시간 단위로 측정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02b)는 상기 근전도측정부(102a)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다.
근거리무선통신수단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전원부(102c)는, 상기 근전도측정부(102a)와 무선통신부(102b)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1회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생물체의 세포나 조직이 활동할 때 일어나는 전압 변화를 활동전위(活動電位)라 하는데, 인체의 근육 또한 근조직의 활동에 따라 세포막 안팎의 극성이 변하여 근육 세포에서도 30∼40㎷의 활동전위가 발생한다.
근전도(Electromyogram)란 상기 근육의 활동전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근육에 대한 근전도값을 분석함에 따라 근육의 수축도, 긴장도와 같은 근육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전도값을 일정 시간 단위로 분석함으로써, 근육의 근피로도나, 운동성능, 운동기능의 이상 여부 등을 확인(진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근전도는 근육의 기능적 이상 여부를 진단할 수 있어 더욱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특히 가장 흔한 근골격계 질환인 반복된 근육사용에 의한 반복 사용 긴장성 증후군(Repetitive Strain Injury), 과도한 업무가 원인이 되어 발병한 업무관련 근골격계 장애(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라 불리는 특정 근육 부위에 통증을 느끼는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만성 피로 및 면역 기능 장애 증후군(Chronic Fatigue & Immune Dysfunction Syndrome), 섬유근육통(Fibromyalgia) 등의 진단과 재활 훈련 시에 근전도의 임상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전도의 측정은 인체의 피부 표면에 전극을 부착하여 전위를 인도하는 표면도출법과, 침상전극(針狀電極)을 근육에 꽂아 넣고 근육 내의 한 지점에 생긴 활동전위를 이끌어내어 운동단위의 활동을 검출하는 바늘전극법이 있다.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는 피부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표면도출법을 통해 근전도값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상적인 활동 또는 운동 활동을 하는 동안에도 고통 없이 근전도값의 검출이 가능케 된다.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는 상기 직물시트(101)에 고정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 보다 효과적으로는 2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일의 무선근전도센서(102)를 구비하더라도 근전도 측정이 가능하나, 2개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를 구비하는 경우에, 각 무선근전도센서(102)의 간격에 따라 특정 근육 부위의 근전도값을 검출하거나, 여러 근육 부위의 전반적 근전도값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국소적 근육통이 심한 경우에는 무선근전도센서(102)의 설치 간격이 좁게 된 것이 바람직하고, 근육통이 넓게 발생한 경우에는 무선근전도센서(102)의 설치 간격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목, 발목, 발등, 손등, 목, 얼굴 어깨 등과 같이 피부 아래 위치한 근육의 크기가 작은 부위의 근육통 완화를 위해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스포츠 테이프(10)에 1 내지 3개 정도의 무선근전도센서(102)가 1 내지 3cm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팔뚝이나, 종아리, 허벅지, 엉덩이, 등, 가슴 등과 같이 피부 아래 위치한 근육의 크기가 큰 부위의 근육통 완화를 위해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스포츠 테이프(10)에 2 내지 5개의 무선근전도센서(102)가 4 내지 10cm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직물시트(101)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에는 각각의 고유 식별용 채널정보가 부여되고, 각 무선근전도센서(102)의 표면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무선통신 연결을 위한 고유 식별용 코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유 식별용 코드는 여러 자리로 구성되는 숫자, 바코드, QR코드 등과 같이 주지된 다양한 식별 수단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각 무선근전도센서(102)의 고유 식별용 코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저장된 고유 식별용 코드와 사용자가 입력한 고유 식별용 코드의 비교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서 무선근전도센서(102)의 사용 인증이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이 인증이 이루어진 무선근전도센서(102)는 각각의 고유 식별용 채널정보를 통해 서로 다른 각각의 근전도값을 휴대용 단말기(20)로 무선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테이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와 휴대용 단말기(20)의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함에 있어서, 무선근전도센서(102)는 지그비 무선통신을 사용하고, 휴대용 단말기(20)는 표준화된 블루투스를 무선통신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호간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별도의 신호변환모듈(104)을 직물시트(101) 또는 스마트폰에 부가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신호변환모듈(104)을 직물시트(101)에 구비하는 경우에는 신호변환모듈의 구동과 더불어,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 추가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부(104a)를 더 구비함으로써 무선근전도센서(102)의 사용 시간 연장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신호변환모듈(104)과 보조배터리부(104a)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와의 데이터 전송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부(104b)는 직물시트(101)의 신축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선부(104b)의 일예로서 일반 유선 전화용 수화기 케이블과 같이 코일스프링 형태로 된 배선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테이프 부착 위치나,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무선통신수단과, 어플리케이션과, 출력수단(201)을 구비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은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무선으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수신하기 위하여 지그비(Zigbee) 또는 단거리 전용 통신(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DSRC), NFC,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 다양한 근거리무선통신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나,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비는, 저비용, 저전력의 무선 망사형 네트워크의 표준으로서, 작은 배터리로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통신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도 30ms로 매우 짧기 때문에 근전도 측정값을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하는 무선근전도센서(102)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지그비는 저전력 대기모드를 통해 배터리 사용 수명을 최대 2년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에 1회성 배터리를 사용하는 무선근전도센서(102)에 사용하기에 더욱 적합하다.
블루투스는, 저비용 트랜스시버 마이크로 칩 기반의 짧은 거리와 저전력으로 설계된 통신 표준으로서, 각각의 블루투스 휴대용 단말기(20)가 통신 거리 내에 있을 경우,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분석하는 근전도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 된다.
각 근육 부위에서 측정된 근전도는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되는데, 주지된 정량적 근전도 분석법에는 실효값(RMS; Root Mean Square)분석법, 파워 스펙트럼, 중앙 주파수(Median Frequency) 분석법, 중심 주파수(Mean Frequency) 분석법, RMS-확률분포 분석법, RMS 상관함수(cross-correlation) 분석법, 웨이블렛 분석법, 주성분 분석법, 비선형동역학 분석법, 고차통계분석법, 라플라시안 맵핑 분석법 등이 있다.
특히, 상기 RMS는 근수축, 또는 근긴장 분석이 가능하고, 상기 Median Frequency는 근육의 근피로도 분석이 가능하며, 근육 부위간의 RMS 상관함수(Cross-Correlation)는 근수축 타이밍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근전도의 다양한 정량적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통해 프로그래밍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통해 근육의 상태를 분석하게 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근육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이미지와 더불어, 각 신체 부위에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할 때 정확한 스포츠 테이프(10) 부착 위치나 방법에 대한 이미지 또는 설명을 사전 저장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신체 부위별 스포츠 테이프(10) 부착 위치나 부착 방법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할 수 있게 되어 근육통 완화를 위한 스포츠 테이프 부착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다양한 신체 부위의 근육에 대한 남녀별, 나이별, 체형, 기타 다양한 특성별 평균적 근전도 기준값을 사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무선으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일정 시간대별로 누적 저장한다.
그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과 상기 기준값의 비교, 분석을 토대로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부위의 근육 상태를 분석하여 근육 상태 정보를 상기 출력수단(201)을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출력수단(201)을 통해 출력되는 근육 상태 정보를 통해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부위 근육의 수축도, 긴장도, 근피로도 등과 같은 근육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근육의 상태를 어플리케이션에 누적 저장된 근전도값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산출하고, 그 산출된 근육 상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스포츠 테이프 부착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핑 부착법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시간대별로 누적 저장된 근전도값을 시계열적으로 산출하는 과정에서 스포츠 테이프(10)에 구비된 다수의 무선근전도센서(102) 중, 일정 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를 통해 측정된 근전도값의 변화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저장된 기준값(정상값)에 도달하면, 근육 상태가 개선되었음을 상기 출력수단(201)을 통해 알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상생활 활동 또는 스포츠 활동 중에도 스포츠 테이핑에 따른 근육 상태의 개선을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시간대별로 누적 저장된 근전도값을 시계열적으로 산출하는 과정에서 스포츠 테이프(10)에 구비된 다수의 무선근전도센서(102) 중, 일정 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측정된 근전도값이 소정 시간 동안, 사전 저장된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없으면, 스포츠 테이핑에 따른 근육 상태 개선 효과가 없음을 상기 출력수단(201)을 통해 알림 출력한다.
일 예로서, 상기 임계치는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측정되는 근전도값의 측정 범위가 1 내지 50까지라 가정할 때, 1 내지 3으로 임계치를 설정함으로써, 소정 시간 동안 근전도값의 변화가 3을 넘지 않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스포츠 테이핑에 따른 근육 상태 개선 효과가 없음을 출력수단(201)을 통해 알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근육통이 해소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스포츠 테이핑에 따른 근육 상태 개선 효과가 없음이 출력수단(201)을 통해 출력되면, 추가적인 스포츠 테이핑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부착된 스포츠 테이프를 제거하게 된다.
반면, 근육통이 지속중인데도 불구하고, 상기 근육 상태 개선 효과가 없음이 상기 출력수단(201)을 출력되면, 스포츠 테이핑이 잘못 되었거나, 스포츠 테이핑의 기능성이 저하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스포츠 테이프(10)를 적절한 시점에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력수단(201)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을 휴대용 단말기(20) 사용자가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의 측정값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근전도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 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어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이 출력수단(20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 등과 같은 각종 웨어러블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압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테이프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포츠 테이프(10)에는 피부 표면을 가압하는 압력 조절이 가능한 지압수단(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압수단(30)은 고정너트(301)와, 지압부재(302)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너트(301)는 암나사부가 상기 스포츠 테이프(10)를 관통하는 형태가 되도록 스포츠 테이프(10)에 고정되게 설치하되, 견고한 고정력 발휘를 위해서 상단부에는 스포츠 테이프(10)의 표면에 부착 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압부재(302)는 상기 고정너트(30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직물시트가 부착된 피부 표면을 가압하여 지압 효과를 발생시키되, 고정너트(301)에서 풀고 조이는 정도에 따라 고정너트(301)에 나사 결합되는 깊이가 조절됨으로써, 피부 표면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압부재(302)는 풀고 조임이 용이하도록 상단부에는 파지가 용이한 형태로 된 머리부를 구비하고, 피부와 접촉하여 지압 효과가 발생하는 하단부에는 피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방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아울러, 상기 지압수단(30)은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와 근접하는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지압수단(30)을 이용한 근육 상태의 변화 또는 지압 강도에 따른 근육 상태의 변화를 무선근전도센서(102)에 의한 근전도값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방법은 제1단계(S10) 내지 제7단계(S70)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제1단계(S10)에서는, 스포츠 테이프(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가 근전도값의 전송이 가능케 휴대용 단말기(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스포츠 테이프(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에는 각각의 고유 식별용 채널정보가 부여되고, 각 무선근전도센서(102)의 표면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무선통신 연결을 위한 고유 식별용 코드가 인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각 무선근전도센서(102)의 고유 식별용 코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저장된 고유 식별용 코드와 사용자가 입력한 고유 식별용 코드의 비교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서 무선근전도센서(102)의 사용 인증이 이루어짐으로써,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전송되는 근전도값이 휴대용 단말기(20)에 수신 가능케 된다.
제2단계(S20)에서는, 근전도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 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는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될 신체 부위를 입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신체 부위 입력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일 예로서 휴대용 단말기(2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될 신체 부위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진다.
즉,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 상에 다양한 신체 부위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스포츠 테이프(10) 부착이 필요한 신체 부위를 선택함으로써,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될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 입력이 완료된다.
제3단계(S30)에서는, 제2단계(S20)와 같이 스포츠 테이프(10) 부착 위치에 대한 정보가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선택한 신체 부위의 근육통 발생 시 가장 적절한 스포츠 테이프(10) 부착 위치나 부착 방법에 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스포츠 테이프(10) 부착 위치나 부착 방법에 대한 이미지 정보나 설명 정보가 사전 저장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4단계(S40)에서는 상기 제3단계(S30)에서 제공되는 스포츠 테이프(10) 부착 위치나 부착 방법에 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근육통이 발생한 신체 부위에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근육통이 발생하여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이미지를 보고 그대로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스포츠 테이프(10) 부착을 간편하게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5단계(S50)에서는 상기 제4단계(S40)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스포츠 테이프(10) 부착이 완료되면, 스포츠 테이프(10)에 구비된 무선근전도센서(102)에 의해 부착 부위 근육의 근전도값이 검출되고, 그 검출값은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된다.
이때, 무선근전도센서(102)가 다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되는 근전도값에 각 무선근전도센서(102)의 고유 식별용 채널정보가 포함됨으로써, 다수의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은 휴대용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분된다.
제6단계(S60)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5단계(S50)에서 제공되는 근전도 측정값을 분석하여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통증 부위의 근육 상태 정보를 산출한다.
즉, 제5단계(S50)에서 제공되는 근전도 측정값은 근전도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저장된 다양한 신체 부위의 근육에 대한 남녀별, 나이별, 체형, 기타 다양한 특성별 평균적 근전도 기준값과 비교되어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부위 근육의 수축도, 긴장도, 근피로도 등과 같은 근육 상태 정보가 산출된다.
제7단계(S70)에서는 상기 제6단계(S60)에서 산출된 근육 상태 정보가 휴대용 단말기(20)의 출력수단(201)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출력수단(201)을 통해 출력되는 근육 상태 정보를 통해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부위 근육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부착에 따른 근육 상태의 변화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과 같이 상기 제6단계(S60)에는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단위시간 기준으로 저장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근육 상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산출하는 제6a단계(S6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근육통 발생 부위에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하면, 무선근전도센서(102)를 통해 측정된 근전도값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근육 상태 정보로 산출되고, 산출된 근육 상태 정보는 누적 저장되어, 시계열적으로 산출된 후 휴대용 단말기(20)의 출력수단(201)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출력된다(S701).
그로 인해 사용자는 근육통 발생 부위에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한 후 일상적인 활동이나, 가벼운 운동, 격렬한 운동 등 다양한 조건의 근육 사용에 따른 근육 상태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출력되는 근육 상태 정보를 통해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반인뿐만 아니라, 전문적으로 운동을 하는 운동선수의 경우에,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근육 강화 정도나, 손상된 근육에 대한 재활 정도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해 출력되는 근육 상태 정보를 통해 스포츠 테이핑의 필요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근육의 손상으로 인해 근육통이 발생하는 부위의 근전도 측정값은 정상적인 상태의 근육 근전도값과 상이하게 출력된다.
따라서 피부 표면에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상태에서,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검출된 근전도 측정값이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저장된 해당 부위 근육의 정상적인 근전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은 출력수단(201)을 통해 통증 유무를 사용자에게 물어본다(S602).
그리하여 사용자가 통증이 없음을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은 근육 상태가 정상임을 출력수단(201)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스포츠 테이프 부착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근전도센서(102)에 의해 측정된 근전도 측정값과, 근육통의 지속 상태에 따라 스포츠 테이프(10) 부착 위치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근육통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근육통이 발생한 부위에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검출된 근전도 측정값이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저장된 해당 부위 근육의 정상적인 근전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은 출력수단(201)을 통해 통증 유무를 사용자에게 물어본다(S602).
그리하여 사용자가 통증이 있음을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은 무선근전도센서(102)의 부착 위치가 정확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수단(201)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는 스포츠 테이프(10)의 부착이 잘못 되었음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제3단계(S30)와 제4단계(S40)의 재 수행을 통해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한다.
따라서 근육통 완화를 위한 스포츠 테이프(10)의 부착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스포츠 테이프 부착으로 인한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의 근전도 측정값과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저장된 기준값의 비교,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개인정보 입력 및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 입력 및 처리 단계는 제2a단계(S201) 내지 제2c단계(S203) 및 제6c단계(S6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a단계(S201)에서는, 상기 제2단계(S20)의 수행을 통해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될 신체 부위를 휴대용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성별, 신장,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제2b단계(S202)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체지방률을 산출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체지방률 계산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되어 사용자가 성별, 신장, 체중을 입력하면, 각 입력값을 상기 체지방률 계산 알고리즘에 대입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지방률이 산출된다.
제2c단계(S203)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a단계(S201)에서 입력된 사용자정보와, 상기 제2b단계(S202)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체지방률을 이용해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신체 부위 근육의 근전도 사용자 기준값을 산출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성별, 신장, 체중과 체지방률에 따른 신체 각 부위 근육의 평균적인 근전도 기준값이 사전 저장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정보와, 사용자의 체지방률을 이용해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신체 부위 근육의 사용자 기준값을 산출한다.
상기 제6c단계(S603)는, 상기 제5단계(S50)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과, 상기 제2c단계(S203)에서 산출된 사용자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통증 부위의 근육 상태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성별이나 체형 등 다양한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근전도값의 분석이 이루어짐으로써 근전도값에 따른 근육 상태 정보의 산출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은, 근육통을 완화하는 스포츠 테이프(10)를 사용자가 스스로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스포츠 테이프 부착에 대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포츠 테이프(10)에 무선근전도센서(102)를 구비하여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신체 부위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휴대용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스포츠 테이프(10) 부착 부위의 근육 상태 정보를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해 출력되는 근육 상태 정보를 통해 스포츠 테이프 부착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해 출력되는 근육 상태 정보를 통해 근육 강화나 재활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운동 관리가 가능케 된다.
또한, 스포츠 테이프(10)의 점착층(101b)에 멘톨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피부 진정 및 청량감에 따른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디지털 단말기,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이들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디지털 단말기 이용 가능 또는 디지털 단말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디지털 단말기 이용가능 또는 디지털 단말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디지털 단말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디지털 단말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디지털 단말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디지털 단말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흐름도의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흐름도의 각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스포츠 테이프
101: 직물시트
101b: 점착층
101c: 이형지
102: 무선근전도센서
103: 고정부
20: 휴대용 단말기
201: 출력수단
30: 지압수단
301: 고정너트
302: 지압부재

Claims (10)

  1.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를 구비하여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부 아래에 위치한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무선으로 제공하는 스포츠 테이프(10)와;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근전도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분석하여, 상기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피부 아래의 근육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수단(201)을 통해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20)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무선으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을 분석하는 근전도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산출된 근육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201)을; 구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다수의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측정된 근전도값을 누적 저장하여 근육 상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산출하고,
    다수의 무선근전도센서(102) 중, 일정 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에서 측정된 근전도값이 소정 시간 동안, 사전 저장된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없으면, 스포츠 테이핑에 따른 근육 상태 개선 효과가 없음을 상기 출력수단(201)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테이프(10)는,
    신축성 섬유로 제직된 직물시트(101)와;
    상기 직물시트(101)에 고정되어 직물시트(101)가 부착되는 피부 표면 아래에 위치한 근육의 근전도값을 무선으로 제공하는 무선근전도센서(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시트(101)는,
    상기 직물시트(10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주머니 형태로 되어 내부에 무선근전도센서(102)가 삽입되도록 직물시트(101) 하방으로 개구부(103a)가 형성된 고정부(103)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개구부(103a)의 내경은 상기 고정부(103) 내벽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개구부(103a)의 신축성에 의해 무선근전도센서(102)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부(10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테이프(10) 이면에는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 스포츠테이프(10)가 피부 표면에 부착되도록 고정력을 발휘하는 점착층(101b)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101b)은,
    유기용제형 아크릴점착제 또는 수용성 에멀젼 점착제로 되는 점착제와, 멘톨 성분이 함유된 에션셜 오일을 9:1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테이프(10)에는 피부 표면을 가압하는 압력 조절이 가능한 지압수단(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9. 스포츠 테이프(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근전도센서(102)가 근전도값의 전송이 가능케 휴대용 단말기(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제1단계(S10)와;
    근전도 분석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 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될 신체 부위를 입력하는 제2단계(S20)와: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부위의 근육통 발생 시 가장 적절한 테이핑 위치와, 테이핑 방법에 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제3단계(S30)와;
    사용자가 제3단계(S30)의 정보를 토대로 근육통 발생 부위에 스포츠 테이프(10)를 부착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스포츠 테이프(10)에 구비된 무선근전도센서(102)가 부착 부위 근육의 근전도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5단계(S50)에서 제공되는 근전도 측정값을 분석하여 근육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제6단계(S60)와;
    상기 제6단계(S60)에서 산출된 근육 상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0)의 출력수단(201)으로 출력하는 제7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성별, 신장,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하는 제2a단계(S201)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체지방률을 산출하는 제2b단계(S202)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정보와, 사용자의 체지방률을 이용해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신체 부위 근육의 사용자 기준값을 산출하는 제2c단계(S203)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5단계(S50)에서 제공되는 근전도값과, 상기 제2c단계(S203)에서 산출된 사용자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스포츠 테이프(10)가 부착된 신체 부위의 근육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제6c단계(S6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방법.
KR1020170163481A 2017-11-30 2017-11-30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KR10184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81A KR101843162B1 (ko) 2017-11-30 2017-11-30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81A KR101843162B1 (ko) 2017-11-30 2017-11-30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162B1 true KR101843162B1 (ko) 2018-03-27

Family

ID=6187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481A KR101843162B1 (ko) 2017-11-30 2017-11-30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396A (ko) 2018-10-31 2020-05-08 박정민 Ems 스포츠 테이핑 시스템
KR102184141B1 (ko) * 2020-06-29 2020-11-30 옥현태 노약자를 위한 신체 부착식 근력 측정 어셈블리
EP3788996A1 (de) 2019-09-09 2021-03-10 Aktimed GmbH Verbandsmaterial
KR102363278B1 (ko) * 2021-07-28 2022-02-14 김원경 피부 온도에 따른 찜질 온도 제어와 근피로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찜질 시스템
KR102490456B1 (ko) 2022-08-16 2023-01-19 (주)아텍스 테이핑 격자 자석패치
WO2023218891A1 (ja) * 2022-05-10 2023-11-16 凸版印刷株式会社 生体用電極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724B2 (ja) * 1999-01-22 2000-11-13 ファインセラミックス技術研究組合 高耐久性圧電複合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法
JP2006036911A (ja) 2004-07-27 2006-02-09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
KR100943295B1 (ko) 2009-01-16 2010-02-23 동진메디칼 주식회사 비만 관리 기능이 구비된 체지방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724B2 (ja) * 1999-01-22 2000-11-13 ファインセラミックス技術研究組合 高耐久性圧電複合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法
JP2006036911A (ja) 2004-07-27 2006-02-09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
KR100943295B1 (ko) 2009-01-16 2010-02-23 동진메디칼 주식회사 비만 관리 기능이 구비된 체지방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396A (ko) 2018-10-31 2020-05-08 박정민 Ems 스포츠 테이핑 시스템
KR102209077B1 (ko) 2018-10-31 2021-01-28 박정민 Ems 스포츠 테이핑 시스템
EP3788996A1 (de) 2019-09-09 2021-03-10 Aktimed GmbH Verbandsmaterial
KR102184141B1 (ko) * 2020-06-29 2020-11-30 옥현태 노약자를 위한 신체 부착식 근력 측정 어셈블리
KR102363278B1 (ko) * 2021-07-28 2022-02-14 김원경 피부 온도에 따른 찜질 온도 제어와 근피로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찜질 시스템
WO2023008655A1 (ko) * 2021-07-28 2023-02-02 김원경 피부 온도에 따른 찜질 온도 제어와 근피로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찜질 시스템
WO2023218891A1 (ja) * 2022-05-10 2023-11-16 凸版印刷株式会社 生体用電極装置
KR102490456B1 (ko) 2022-08-16 2023-01-19 (주)아텍스 테이핑 격자 자석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162B1 (ko) 근육통 완화를 위한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US11872051B2 (en) Shoulder monitoring and treatment system
US20210260371A1 (en) Patient therapy systems and methods
US20220167918A1 (en) Non-invasive wearable biomechanical and physiology monitor for injury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US9782122B1 (en) Pain quantif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20160242646A1 (en) Noninvasive medical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EP2911574B1 (en) Monitoring system for use in compression therapy
US202304106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mind-body-emotion state self-adjustment and functional skills development by way of biofeedback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US20210145338A1 (en) Iot based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meditation and mindfulness
CN111093483A (zh) 用于测量冥想和正念的基于物联网的可穿戴设备、系统及方法
US20200029882A1 (en) Wearable sensors with ergonomic assessment metric usage
JP2016158700A (ja) 生体刺激装置、生体刺激システム、および刺激装置
US20220008237A1 (en) Wearable System for Evaluating Joint Performance and Function
Cesini et al. Perception of time-discrete haptic feedback on the waist is invariant with gait events
US20210393427A1 (en) Wearable System for Evaluating Joint Performance and Function
KR102202619B1 (ko)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WO2019206954A1 (de) Multisensorisches therapeutisch-diagnostisches system zum monitoring des orthopädischen trainings und der sportlichen leistung
US20210346762A1 (en) Measuring a pull force on an exercise band
Rubi et al. Wearable health monitoring systems using IoMT
KR20190011864A (ko) 재활보조장치를 이용한 재활운동 관리방법
CN210961986U (zh) 姿态校正系统和穿戴式治疗衣
Nag et al. Influence of footwear on stabilometric dimensions and muscle activity
Buffagni Designing a Soft-Actuated Smart Garment for Postural Control and Fall Prevention in Elderly Women
US202200448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Patient Engagement And Better Data-Driven Outcomes
WO2024103547A1 (zh) 一种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