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738A -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738A
KR20180044738A KR1020160138624A KR20160138624A KR20180044738A KR 20180044738 A KR20180044738 A KR 20180044738A KR 1020160138624 A KR1020160138624 A KR 1020160138624A KR 20160138624 A KR20160138624 A KR 20160138624A KR 20180044738 A KR20180044738 A KR 20180044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dering
pixel data
achromatic
col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465B1 (ko
Inventor
신호석
박운기
나세환
이재열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465B1/ko
Priority to US15/646,227 priority patent/US10510281B2/en
Priority to CN201711001784.XA priority patent/CN107979750B/zh
Publication of KR20180044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05General purpose rendering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8Volume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40Analysis of texture
    • G06T7/41Analysis of texture based on statistical description of texture
    • G06T7/44Analysis of texture based on statistical description of texture using image operators, e.g. filters, edge density metrics or local hist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H04N9/7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for mixing of colour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상 특성을 산출하고, 상기 색상 특성을 기초로 상기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제1 렌더링을 수행하는 제1 렌더링부; 및 무채색으로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제2 렌더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장치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수 많은 픽셀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픽셀은 복수의 서브 픽셀, 예를 들어 R(Red), G(Green) 및 B(Blue)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서브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을 서로 동일한 개수 또는 동일한 면적만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말하고,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을 서로 상이한 개수 또는 면적만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말한다.
그런데,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각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간의 비 균등 특성에 의해 색상을 표현하는 경우 색 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무채색은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색상이므로, 사용자들은 무채색에 대한 색 변이에 대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색 변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픽셀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 후에 비선형 출력으로 서브 픽셀들 간의 출력을 조정하는 기술이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무채색에 대한 색 변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상 특성을 산출하고, 상기 색상 특성을 기초로 상기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제1 렌더링을 수행하는 제1 렌더링부; 및 무채색으로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제2 렌더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상 특성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색상 특성을 기초로 상기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제1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무채색으로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각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을 서로 상이한 개수 또는 면적만큼 포함하는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 카메라 센서 또는 메모리로부터 전달받은 픽셀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상 특성을 산출하고, 산출된 색상 특성에 따라 상이한 렌더링 가중치의 세트를 적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하며, 렌더링 결과를 기초로 상기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무채색에 대한 색 변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서 무채색 계열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픽셀 데이터의 색상 분석을 통해 무채색과 무채색이 아닌 색상을 별도로 처리함으로써, 무채색이 아닌 색상에 대한 불필요한 색 변이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무채색인 픽셀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 가중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무채색에 대한 색 변이 감소 정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HSV 색공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렌더링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색 변이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각각의 픽셀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입력받고(S110),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상 특성을 산출할 수 있다(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HSV(Hue, Saturation, Value) 색공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HSV 색공간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HSV 색공간에서는 임의의 색을 색상(Hue), 채도(Saturation) 및 명도(Value)의 좌표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색상값 H는 가시광선 스펙트럼을 고리모양으로 배치한 색상환에서 파장이 가장 긴 빨강을 0˚로 하였을 때 상대적인 배치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H는 0˚ 내지 360˚의 범위를 갖고 360˚ 와 0˚는 동일하게 빨강 색상을 가리킨다.
또한, 채도값 S는 임의의 색상의 가장 진한 상태를 1.0으로 하였을 때 진함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채도값 0은 동일한 명도의 무채색을 나타낸다.
또한, 명도값 V는 흰색, 빨간색 등을 1.0, 검은색을 0으로 하였을 때 밝은 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120 단계에서는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하기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따라 명도값(V)과 채도값(S)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그러나, 명도값(V)과 채도값(S)를 계산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명도값(V) 및 채도값(S)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S120 단계에서는 명도값(V)과 채도값(S)을 기초로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변수(P)를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계산된 변수(P)는 후술하는 S130 단계에서 무채색의 경계를 판단하고, 후술하는 S163 단계에서 제1 렌더링 결과와 제2 렌더링 결과의 혼합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변수(P)를 계산하기 위한 함수 F()는 채도값(S)이 작을수록, 명도값(V)이 높을수록 1.0에 가까운 출력을 생성하는 함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픽셀 데이터의 변수(P)는 무채색인 경우에는 1.0, 무채색이 아닌 경우에는 0으로 계산되고, 무채색의 경계에 해당하는 경우 0~1.0 사이의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수(P)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은 함수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P_S는 채도값(S)가 커질수록 작은 값을 가지고, P_B는 명도값(V)이 커질수록 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무채색인 경우에는 변수(P)가 1.0으로 계산되고, 무채색이 아닌 경우에는 변수(P)가 0으로 계산되도록 P_S 및 P_B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이후, 픽셀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즉, 색상 특성)를 기초로 해당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120 단계에서 계산한 명도값(V) 및 채도값(S)을 각각 기 설정된 명도 기준범위 및 채도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해당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도값(V)이 기 설정된 명도 기준범위(0.2 내지 1.0)에 속하고, 채도값(S)이 기 설정된 채도 기준범위(0 내지 0.2)에 속하면 해당 픽셀 데이터를 무채색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제1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S140).
여기서, 제1 렌더링은 무채색이 아닌 픽셀 데이터에 대해 통상적인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시스템 내에서 기 설정된 기본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렌더링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픽셀(P1)의 픽셀 데이터(A2B2C2)의 분석 결과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해당 픽셀(P1)의 픽셀 데이터(A2B2C2)와 이에 인접한 픽셀(P0 및 P2)의 픽셀 데이터(A1B1C1 및 A3B3C3)에 대해 시스템 내에서 기 설정된 기본 가중치 세트를 적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하고 렌더링 결과(A′B′C′)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의 서브 픽셀이 AABC의 형태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P1)의 출력 A′는 하기의 수학식 5에 따라 계산할 수 있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P1)의 출력 B′ 및 C′는 각각 수학식 6 및 수학식 7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이와 같이,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서브 픽셀의 비 균등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시스템 내에서 기 설정된 기본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5 내지 수학식 7에서 각 픽셀 데이터에 적용된 기본 가중치 세트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시스템의 운용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반면, 무채색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2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S150).
여기서, 제2 렌더링은 무채색인 픽셀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 가중치 세트 및 제2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중에서 상대적으로 개수가 많거나 면적이 넓은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에 대해서는 제1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고,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거나 면적이 적은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에 대해서는 제2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픽셀(P1)의 픽셀 데이터(A2B2C2)의 분석 결과 무채색이라고 판단된 경우 해당 픽셀(P1)의 픽셀 데이터(A2B2C2)와 이에 인접한 픽셀(P0 및 P2)의 픽셀 데이터(A1B1C1 및 A3B3C3)에 대해 제1 가중치 세트 또는 제2 가중치 세트를 적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하고 렌더링 결과(A″B″C″)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의 서브 픽셀이 AABC의 형태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P1)의 출력 A″는 하기의 수학식 8에 따라 계산할 수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P1)의 출력 B″ 및 C″는 각각 수학식 9 및 수학식 10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B″ 및 C″의 계산에 적용된 가중치 세트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이와 같이, 무채색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서브 픽셀의 비 균등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 가중치 세트 및 제2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학식 8 내지 수학식 10에서 각 픽셀 데이터에 적용된 제1 가중치 세트 및 제2 가중치 세트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사용자의 설정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만, 무채색의 경우 해당 픽셀 데이터가 인접한 픽셀에 의해 영향을 받아 색 변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접한 픽셀의 픽셀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낮추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무채색의 경계라고 판단된 경우, 픽셀 데이터에 대해 상술한 제1 렌더링 및 제2 렌더링을 모두 수행하고(S161, S162), 제1 렌더링 결과 및 제2 렌더링 결과를 혼합할 수 있다(S163). 여기서, 제1 렌더링 및 제2 렌더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순서가 변경되거나, 병렬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S120 단계에서 계산한 변수(P)가 0~1.0 사이의 값인 경우 무채색의 경계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픽셀 데이터에 대해 상술한 제1 렌더링 및 제2 렌더링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S161, S162).
또한, 상기 변수(P)를 기초로 하기의 수학식 11에 따라 제1 렌더링 결과 및 제2 렌더링 결과를 혼합하여 최종 결과(Af)를 생성할 수 있다(S163).
Figure pat00011
이후, 렌더링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S170). 구체적으로, 해당 픽셀 데이터가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렌더링 결과(A′)를, 해당 픽셀 데이터가 무채색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렌더링 결과(A″)를, 그리고 해당 픽셀 데이터가 무채색의 경계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렌더링 결과 및 제2 렌더링 결과를 혼합하여 생성한 최종 결과(Af)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영상 처리 방법은 화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의 픽셀 데이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500)는 분석부(510), 제1 렌더링부(520), 제2 렌더링부(530), 가중치 설정부(540) 및 혼합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석부(510)는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상 특성을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HSV 색공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부(510)는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명도값(V)과 채도값(S)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한 명도값(V)과 채도값(S)을 기초로 변수(P)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510)는 상술한 분석 결과(즉, 색상 특성)를 기초로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 및 무채색의 경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분석부(510)가 명도값(V), 채도값(S) 및 변수(P)를 계산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 및 무채색의 경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렌더링부(520)는 분석부(510)에 의해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제1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더링부(520)는 분석부(510)에 의해 무채색의 경계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제1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더링은 픽셀 데이터에 대해 통상적인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시스템 내에서 기 설정된 기본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렌더링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렌더링부(530)는 분석부(510)에 의해 무채색이라고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제2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렌더링부(530)는 분석부(510)에 의해 무채색의 경계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제2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렌더링은 픽셀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 가중치 세트 및 제2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중에서 상대적으로 개수가 많거나 면적이 넓은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에 대해서는 제1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고,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거나 면적이 적은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에 대해서는 제2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가중치 설정부(540)는 입력받은 사용자 설정값에 따라 제2 렌더링부(530)에서 사용되는 제1 가중치 세트 및 제2 가중치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혼합부(550)는 제1 렌더링부(520) 및 제2 렌더링부(5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렌더링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부(550)는 픽셀 데이터가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제1 렌더링부(520)에 의해 출력된 제1 렌더링 결과를 출력하고, 픽셀 데이터가 무채색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2 렌더링부(530)에 의해 출력된 제2 렌더링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혼합부(550)는 픽셀 데이터가 무채색의 경계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렌더링부(520) 및 제2 렌더링부(530)에 의해 각각 출력된 제1 렌더링 결과 및 제2 렌더링 결과를 혼합하여 생성한 최종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혼합부(550)가 제1 렌더링 결과 및 제2 렌더링 결과를 혼합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는 제1 렌더링부(520) 및 제2 렌더링부(530)가 별개의 구성으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렌더링부(520) 및 제2 렌더링부(530)는 모두 입력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렌더링에 적용하는 가중치 세트에 있어서만 상이하다.
따라서, 제1 렌더링부(520) 및 제2 렌더링부(530)는 복수의 가중치 세트를 저장하는 하나의 렌더링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분석부(510)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적절한 가중치 세트를 선택하여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600)는 프로세서(610), 센서모듈(620), 통신모듈(630), 메모리(640) 및 디스플레이(65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6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버스(1600)를 통해 서로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전자장치(6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컴퓨터 등의 모바일 기기 외에, 텔레비전, 데스크톱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10)는 이미지 신호 처리를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or)(611)를 포함할 수 있고, ISP(611)는 카메라 센서(621)로부터 전달된 영상 데이터 또는 메모리(640)로부터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후 디스플레이(65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650)는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칩(Display Driver IC; DDI)(651) 및 디스플레이 패널(6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DDI(651)는 프로세서(610)로부터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상 특성을 산출하고, 산출된 색상 특성에 따라 상이한 렌더링 가중치의 세트를 적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하며, 렌더링 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652)을 구동하는 것으로, 메모리(651-1), ISP(651-2) 및 영상 처리부(65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652)은 각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을 서로 상이한 개수 또는 면적만큼 포함하는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프로세서(6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는 메모리(651-1) 및 ISP(65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또는 이를 거치지 않고 바로 영상 처리부(651-3)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65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도 5의 5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영상 처리부(651-3)는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고, 무채색 여부 및 무채색의 경계 해당 여부에 따라 상이한 렌더링 가중치의 세트를 적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한 후 렌더링 결과를 디스플레이 패널(652)로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51-3)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색 변이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의 (a)는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화면 출력 결과를 나타내고, 도 7의 (b) 는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본 발명의 적용한 경우의 화면 출력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의 (a) 및 (b)는 서로 동일한 픽셀 데이터를 출력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a)와 같이 흰색의 미세 패턴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데 반해,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는 (b)와 같이 흰색의 미세 패턴이 흰색으로 잘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500: 영상 처리 장치
510: 분석부
520: 제1 렌더링부
530: 제2 렌더링부
540: 가중치 설정부
550: 혼합부
600: 전자장치
610: 프로세서
611: ISP
620: 센서 모듈
621: 카메라 센서
630: 통신 모듈
640: 메모리
650: 디스플레이
651: DDI
651-1: 메모리
651-2: ISP
651-3: 영상 처리부
652: 디스플레이 패널
1600: 버스

Claims (20)

  1.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상 특성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색상 특성을 기초로 상기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제1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무채색으로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특성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픽셀 데이터의 명도값 및 채도값을 계산하는 영상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명도값 및 채도값을 각각 기 설정된 명도 기준범위 및 채도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해당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처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특성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명도값 및 채도값을 기초로 변수를 더 계산하고,
    상기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를 기초로 상기 픽셀 데이터가 무채색의 경계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영상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무채색의 경계로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렌더링 및 제2 렌더링을 모두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렌더링의 결과 및 상기 제2 렌더링의 결과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를 기초로 상기 제1 렌더링의 결과 및 상기 제2 렌더링의 결과의 혼합 비율을 조절하는 영상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본 가중치 세트에 따라 상기 픽셀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 가중치 세트 및 제2 가중치 세트에 따라 상기 픽셀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중에서 상대적으로 개수가 많거나 면적이 넓은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고,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거나 면적이 적은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제2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
  10.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상 특성을 산출하고, 상기 색상 특성을 기초로 상기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무채색이 아니라고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제1 렌더링을 수행하는 제1 렌더링부; 및
    무채색으로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제2 렌더링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명도값 및 채도값을 계산하고, 상기 명도값 및 채도값을 각각 기 설정된 명도 기준범위 및 채도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해당 픽셀 데이터의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명도값 및 채도값을 기초로 변수를 계산하고, 상기 변수를 기초로 상기 픽셀 데이터가 무채색의 경계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렌더링부 및 상기 제2 렌더링부는 각각 무채색의 경계로 판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렌더링 및 제2 렌더링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더링부에 의해 출력된 제1 렌더링 결과, 상기 제2 렌더링부에 의해 출력된 제2 렌더링 결과, 및 상기 제1 렌더링 결과 및 상기 제2 렌더링 결과를 혼합하여 생성한 최종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혼합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변수를 기초로 상기 제1 렌더링 결과 및 상기 제2 렌더링 결과의 혼합 비율을 조절하는 영상 처리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더링부는 기 설정된 기본 가중치 세트에 따라 상기 픽셀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더링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 가중치 세트 및 제2 가중치 세트에 따라 상기 픽셀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더링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중에서 상대적으로 개수가 많거나 면적이 넓은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고,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거나 면적이 적은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제2 가중치 세트에 따라 렌더링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1 가중치 세트 및 제2 가중치 세트를 설정하는 가중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9. 각 색상을 나타내는 서브 픽셀을 서로 상이한 개수 또는 면적만큼 포함하는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
    카메라 센서 또는 메모리로부터 전달받은 픽셀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상 특성을 산출하고, 산출된 색상 특성에 따라 상이한 렌더링 가중치의 세트를 적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하며, 렌더링 결과를 기초로 상기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칩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칩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 또는 상기 메모리부터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 상기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무채색 여부를 판단하고, 무채색 여부에 따라 상이한 렌더링 가중치의 세트를 적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한 후 렌더링 결과를 상기 비 균등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0160138624A 2016-10-24 2016-10-24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장치 KR102636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24A KR102636465B1 (ko) 2016-10-24 2016-10-24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장치
US15/646,227 US10510281B2 (en) 2016-10-24 2017-07-11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201711001784.XA CN107979750B (zh) 2016-10-24 2017-10-24 图像处理设备和方法、以及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24A KR102636465B1 (ko) 2016-10-24 2016-10-24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738A true KR20180044738A (ko) 2018-05-03
KR102636465B1 KR102636465B1 (ko) 2024-02-14

Family

ID=6196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624A KR102636465B1 (ko) 2016-10-24 2016-10-24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10281B2 (ko)
KR (1) KR102636465B1 (ko)
CN (1) CN1079797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7567B2 (en) * 2019-03-19 2021-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mera color image processing
CN111540325B (zh) * 2020-05-20 2021-12-03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图像增强方法和图像增强装置
CN113035126B (zh) * 2021-03-10 2022-08-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渲染方法及系统、可读存储介质、显示面板
CN112907716B (zh) * 2021-03-19 2023-06-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环境中的云朵渲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6127A1 (en) * 2005-09-30 2007-04-05 Sanyo Electric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program
KR20160048311A (ko) * 2014-10-23 2016-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변환부와 데이터 변환부의 데이터 변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6462A (en) 1997-06-19 1999-10-1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rendering object oriented neutral image data
US7221381B2 (en) 2001-05-09 2007-05-22 Clairvoyant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b-pixel rendering with gamma adjustment
CN1320809C (zh) * 2001-08-29 2007-06-06 佳能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与方法
ATE347231T1 (de) * 2004-03-03 2006-12-15 Oce Tech Bv Verfahren für die verarbeitung eines mehrfarbigen bildes
JP4729568B2 (ja) * 2004-06-30 2011-07-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非演色色空間を介して変換されたビデオコンテンツからの周囲光のためのドミナントカラーの抽出
JP4831569B2 (ja) 2006-03-23 2011-12-07 サミー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遊技機、及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TWI369908B (en) * 2009-01-20 2012-08-01 Mstar Semiconductor Inc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150150B2 (en) * 2009-03-02 2012-04-03 Himax Technologies Limited Method and system of extracting a perceptual feature set
US8203582B2 (en) 2009-08-24 2012-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bpixel rendering with color coordinates' weights depending on tests performed on pixels
KR101332495B1 (ko) 2010-05-20 2013-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669619B1 (ko) 2010-07-2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화소 영역 가중치에 기반한 렌더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3127774A (ja) * 2011-11-16 2013-06-2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83438A (ja) 2012-03-05 2013-09-12 Sharp Corp 表示装置
JP2015537248A (ja) * 2012-11-27 2015-12-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スクリーンに表示されるビデオコンテンツのコピープロテクションのための環境光の使用
JP6334552B2 (ja) * 2012-11-27 2018-05-30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ステージパフォーマンスから導かれるデータに基づきアンビエントライティング効果を生成する方法
TWI515710B (zh) 2014-02-17 2016-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器的驅動方法
US9386289B2 (en) * 2014-04-29 2016-07-05 Intel Corporation Automatic white balancing with chromaticity measure of raw image data
JP6418788B2 (ja) * 2014-05-26 2018-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2306598B1 (ko) 2014-07-31 2021-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9196B1 (ko) * 2015-10-05 2022-04-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영상 렌더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6127A1 (en) * 2005-09-30 2007-04-05 Sanyo Electric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program
KR20160048311A (ko) * 2014-10-23 2016-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변환부와 데이터 변환부의 데이터 변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79750B (zh) 2021-10-15
KR102636465B1 (ko) 2024-02-14
US10510281B2 (en) 2019-12-17
CN107979750A (zh) 2018-05-01
US20180114476A1 (en)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irchild et al. iCAM framework for image appearance, differences, and quality
Smith et al. Apparent greyscale: A simple and fast conversion to perceptually accurate images and video
CN109979401B (zh) 驱动方法、驱动装置、显示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138852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위한 스마트 클리퍼
KR102636465B1 (ko)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장치
KR101464742B1 (ko) 휴대단말에서 시인성 향상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00007679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riving display apparatus, drive-use integrated circuit, driving method employed by drive-use integrated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20080033080A (ko) 표시 장치
AU2013381285B9 (en) Color adjustment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color adjustment method
WO2017101534A1 (zh) 液晶显示屏的色彩信号转换方法及装置
US201402040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or optimization with sub-pixel openings
US9305519B2 (en) Image color adjus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1094093B2 (en) Color processing program, color processing method, color sense inspection system, output system, color vision correctio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olor vision simul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KR20170072564A (ko) 잡음을 이용하여 컬러 객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잡음을 이용하여 발광 장치를 검출하는 시스템
CN112783460B (zh) 一种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10181205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240046836A1 (en) Image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es, electronic devices and storage media
Kuang et al. iCAM06, HDR, and image appearance
JP2014093617A (ja) カラー映像信号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処理プログラム
KR2017008846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5762380A (zh) 显示方法和显示装置
US985253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60247049A1 (en) Monochrome Profile Generation Mechanism
CN112492287A (zh) 电子装置和图像的色温校正方法
KR102251443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이미지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