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544A - 자기장을 이용하여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장을 이용하여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544A
KR20180043544A KR1020160136354A KR20160136354A KR20180043544A KR 20180043544 A KR20180043544 A KR 20180043544A KR 1020160136354 A KR1020160136354 A KR 1020160136354A KR 20160136354 A KR20160136354 A KR 20160136354A KR 20180043544 A KR20180043544 A KR 20180043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on nitride
ferromagnetic material
magnetic field
thermal conductiv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4436B1 (ko
Inventor
유영재
원종찬
이성구
김용석
김병각
김진수
송희석
하성민
하태용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3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4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2Boron-containing compounds and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Magnetic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질화붕소에 기능성기를 부여하고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과반응을 통한 질화붕소 복합체의 제조, 자기장을 이용한 질화붕소 복합체의 배향을 통한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화붕소를 준비하는 질화붕소 준비단계; 상기 질화붕소에 기능성기를 부여하는 질화붕소 기능화 단계; 기능성기가 부여된 질화붕소와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을 반응시켜 강자성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를 제조하는 질화붕소 복합체 제조단계; 및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를 고분자 수지에 분산시킨 후 고분자 수지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질화붕소 복합체 배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장을 이용하여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Polymer composite film having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by using magnetic fiel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원 발명은 질화붕소에 기능성기를 부여하고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과 반응을 통한 질화붕소 복합체의 제조, 자기장을 이용한 질화붕소 복합체의 배향을 통한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화붕소를 준비하는 질화붕소 준비단계; 상기 질화붕소에 기능성기를 부여하는 질화붕소 기능화 단계; 기능성기가 부여된 질화붕소와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을 반응시켜 강자성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를 제조하는 질화붕소 복합체 제조단계; 및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를 고분자 수지에 분산시킨 후 고분자 수지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질화붕소 복합체 배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가 소형화되고 가벼워짐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의 고밀도 패키징과 직접회로에서 소자의 고집적화 및 고속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전자 부품에서 발생 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열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방열판 또는 방열시트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경량화에 따라 많은 플라스틱 부품들이 자동차 실내뿐 아니라 엔진 룸 등 매우 높은 온도 환경에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자동차용 소재에서도 고온에서 방열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복합체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방열판으로는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의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방열판이 사용된다. 하지만 방열판 소재로 금속을 사용하게 되면 낮은 성형성, 생산성 및 부품 디자인의 한계가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방열시트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전지 및 인쇄회로기판(PCB)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부품이나 제품에 부착되어 높은 방열 효과를 내는 제품으로 현재 방열시트의 소재로서 열전도성 고분자가 개발되어있다.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는 열 저항체인 고분자에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열전도성 필러를 첨가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 소재의 개발은 사출성형이 가능하고 적정 수준의 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소의 열전도성 필러 함량으로 최적의 열전도도를 얻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기반 방열소재는 열전도성이 높은 세라믹 혹은 탄소계 필러를 매트릭스인 고분자 물질과 복합화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고분자 복합재료의 구성에서 세라믹 또는 탄소계 필러 물질은 열전도성이 우수하나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하기 매우 어렵고, 고분자 매트릭스는 가공성이 우수하나 열전도성은 낮아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다. 그러나 열전도성이 높은 고분자 복합재료를 위해서는 다량의 필러가 들어가게 되어 기계적 물성저하, 고가의 비용, 취약한 가공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탄소계 필러의 경우는 열전도성의 향상과 동시에 전기전도성 또한 향상되는 결과를 보이므로 전기 절연성과 높은 열전도성이 필요한 분야에 적용의 곤란함이 있다. 또한, 세라믹계 필러의 경우 매트릭스 내에 분산시 향상된 열전도성을 부여할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열전도성의 방향성을 부여하기는 곤란하고 특히 분산되는 매트릭스가 시트(sheet) 또는 필름(film)의 형상의 경우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은 시트 또는 필름의 면적 방향으로 열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 대부분으로 두께 방향으로의 열전도성 향상을 시키는 열전도성의 이방성 부여에 대한 효과적인 기술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본 공개특허 공보 JP2012-169599A.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3, 5, 7633-7640. Chem, Mater. 2013, 25, 3315-3319.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열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열전도성 필러의 수지 매트릭스 내에 효과적인 배향을 통하여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열전도성 필러의 표면개질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열전도성 필러로 질화붕소(boron nitride, BN)를 사용하여 질화붕소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과의 효과적인 복합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강자성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를 고분자 수지 매트릭스에 효과적인 분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강자성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를 고분자 수지 매트릭스에 자기장을 이용하여 배향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강자성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를 고분자 수지 매트리스에 효과적인 배향을 통하여 두께 방향으로의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질화붕소를 준비하는 질화붕소 준비단계; 상기 질화붕소에 기능성기를 부여하는 질화붕소 기능화 단계; 기능성기가 부여된 질화붕소와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을 반응시켜 강자성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를 제조하는 질화붕소 복합체 제조단계; 및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를 고분자 수지에 분산시킨 후 고분자 수지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질화붕소 복합체 배향단계를 포함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고분자 수지 70 내지 97 중량%; 기능성기가 부여된 질화붕소의 표면에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 복합체 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열전도성 필러의 표면개질 기술은 제조된 강자성 물질이 복합화된 필러가 자기장 내에서 효과적인 배향이 가능하도록 하여 복합소재 개발 시 열전도성 무기 입자의 배향을 통하여 낮은 충진율로도 기존의 열전도성 필러가 고충진된 고분자 복합체 대비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재료의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의 효과로 인해 전자부품산업 및 반도체 산업 등에 사용되는 방열기판, 방열시트 등의 제조에 유용한 다양한 필러의 개질 및 제조기술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은 열전도성은 우수하지만 전기전도성이 낮은 질화붕소 소재 중 시트(sheet) 또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이용하여 기능화 및 강자성 물질과 복합화를 통하여 자기장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배향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고내열성 고분자인 폴리이미드 수지 매트릭스 내에 효과적인 분산 및 배향을 통하여 전기전도성은 낮고, 고내열성을 가지며 우수한 열전도성을 통한 방열성이 개선된 고분자 복합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두께 방향으로 향상된 열전도성 및 전기 절연성을 이용하여 방열기판 및 방열시트에 활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열전도성은 우수하지만 전기전도성이 낮은 질화붕소 소재 중 시트(sheet) 또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이용하여 기능화 및 강자성 물질과 복합화를 통하여 자기장 내 배열을 통하여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포논의 이동통로를 많게 하여 열전도도의 향상효과가 매우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전의 질화붕소(a, b)와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c, d)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의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에 의한 분석결과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의 X선회절(X-ray diffraction) 분석결과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의 제조시 산화철 입자의 양에 따른 자기장에 대한 이력현상(hysteresis)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의 자기장에 대한 응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의 유도결합플라즈마(inductively coupled plasma)를 통한 분석결과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온, 50 ℃, 100 ℃, 130 ℃ 각각의 온도에서 환류 정제 후 겉보기 이미지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온, 50 ℃, 100 ℃, 130 ℃ 각각의 온도에서 환류 정제 후 표면 SEM 이미지이다.
도 9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고분자 복합필름의 파단면을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고분자 복합필름 내의 열전도성 필러들의 방향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원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인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은 원자들의 배열이 매우 규칙적이어서 스스로 자화될 수 있는 물질 또는 외부 자기장을 가한 후 이를 제거한 후에도 외부 자기장에 의한 자화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강자성 물질은 비교적 대자율이 크고 자기이력과 잔류자성이 크며 강자성(ferromagnetism)은 자기모멘트(스핀)의 배열 상태에 따라 페로자성, 페리자성, 반강자성으로 세분될 수 있고, 이러한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인 “자성유체(magnetic fluid, ferro fluid, ferromagnetic fluid)”는 초미립의 강자성 미립자를 물, 에스테류, 에테르류, 불화탄소 등의 액체 중에 분산시킨 현탁액으로, 통상의 원심력이나 자장하에서도 고액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겉보기에 액체 자신이 자성을 갖는 것처럼 거동하는 자성콜로이드를 의미한다. 자성유체는 강자성 미립자를 분산상으로 한 입자콜로이드이므로 그 제작법은 기본적으로 (1) 강자성체의 거시적 미립자를 콜로이드 크기까지 작게 하는 방법과 (2) 원자 또는 이온을 응축시켜 강자성 미립자 콜로이드를 얻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앞에 속하는 방법으로는 습식분쇄법, 스파크이로전(spark erosion)법을 사용할 수 있다. 후자로는 공침법, 금속카르보닐의 열분해법, 또는 광분해법, 진공증착법, 전해석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 습식분쇄법과 공침법은 Fe3O4등의 산화물 자성유체의 제작을 위해서 개발된 방법이며, 특히 후자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타 방법은 금속자성유체를 제작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질화붕소(boron nitride, BN)를 준비하는 질화붕소 준비단계; 상기 질화붕소에 기능성기를 부여하는 질화붕소 기능화 단계; 기능성기가 부여된 질화붕소와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을 반응시켜 강자성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를 제조하는 질화붕소 복합체 제조단계; 및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를 고분자 수지에 분산시킨 후 고분자 수지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질화붕소 복합체 배향단계를 포함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boron nitride, BN)는 시트(sheet) 또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질화붕소는 무정형의 분말상, 바늘 모양의 섬유상이거나 시트(sheet) 또는 플레이트(plate)의 판상형일 수 있으나, 본원 발명과 같이 고분자 수지의 필름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고 배향에 의하여 열전도성의 이방성이 필요한 용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입자 간의 접촉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판상형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 따른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 기능화 단계는 질화붕소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질화붕소의 표면에 수산화기(-OH)을 도입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질화붕소를 기능화 단계가 필요한 것은 먼저, 다층의 적층구조를 가지는 질화붕소를 시트(sheet) 또는 플레이트(plate)의 판상으로 분리하여 분산액 내에 고른 분산을 유도하고, 둘째로 질화붕소 복합체 제조단계에 있어서 보다 많은 양의 강자성 물질을 표면에 흡착 또는 부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때 기능화 방법으로는 산성기 또는 염기성기 등 다양한 기능성기를 부여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후 부착되는 강자성 물질의 산화 또는 환원반응 등에 의하여 강자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중성의 수산화기(-OH)를 도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러한 수산화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강염기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질화붕소의 표면에 수산화기를 도입하고, 이후 이를 수소이온 농도지수(pH)가 7이 될 때 까지 정제수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산성 용액으로 중화를 진행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강염기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질화붕소의 표면에 수산화기를 도입하는 반응은 상온에서 200 ℃ 사이에서 다양한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낮은 온도에서는 기능화 반응이 더디고, 높은 온도에서는 기능화 반응은 빠르지만 기능화 반응 중에 질화붕소의 판상형 구조가 깨져서 최종적인 열전도도의 향상에 불리한 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질화붕소의 기능화 단계는 100 내지 130 ℃은 온도 범위에서 가열 및 환류의 조건에서 진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기능화 단계를 통하여 질화붕소는 다층의 적층구조에서 시트(sheet) 또는 플레이트(plate)의 판상으로 분리되어 동시에 표면에 수산화기(-OH)가 도입되면서 분산액 내에 고른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 제조단계는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로 자성유체(magnetic fluid)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자성유체는 철, 코발트, 니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이 유체에 분산된 것일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열전도성 필러인 질화붕소는 고분자 수지 매트릭스 내에 배향성을 가지고 분산되는 것이 열전도성의 이방성을 부여함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고, 이러한 필러 입자의 배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필러인 질화붕소를 기능화한 후 강자성 물질과 복합체로 제조하고 제조된 복합체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질화붕소 필러를 특정 방향으로 배향성을 향상시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강자성 물질로 철, 코발트, 니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이 유체에 분산된 자성유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성유체는 케로신, 플로로카본유, 디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또는 물과 이들의 혼합 용매에 추가적인 올레인산(oleic acid) 등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연속상에 분산상으로는 산화철(Fe3O4), 마게마이트(γ-Fe2O3), 니켈페라이트(NiFe2O4), 코발트페라이트(CoFe2O4) 등의 미립자가 분산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와 유사한 기술로 일본 공개특허 JP2012-169599A 등에는 질화붕소가 분산된 분산액에 황산철(iron sulfate)를 수산화나트륨으로 환원하여 생성되는 γ-페라이트 미립자를 혼합하여 질화붕소의 표면에 γ-페라이트를 흡착시키는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질화붕소의 효과적인 분산을 위한 방법은 고려되지 아니하였을 뿐만 아니라 형성되는 γ-페라이트와 질화붕소 간의 결합은 질화붕소의 표면에 일부 γ-페라이트가 물리적으로 흡착된 것에 불과한 것이고, 실질적으로는 질화붕소와 γ-페라이트의 혼합물을 필러로 사용하게 되는 것에 해당하여 외부의 자기장에 대하여 질화붕소의 효과적인 배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반면에,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기능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질화붕소는 다층의 적층구조에서 시트(sheet) 또는 플레이트(plate)의 판상으로 분리되어 동시에 표면에 수산화기(-OH)가 도입되면서 분산액 내에 고른 분산이 이루어지게 되고, 기능화된 질화붕소와 복합체를 형성하는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로 분산상으로 산화철(Fe3O4), 마게마이트(γ-Fe2O3), 니켈페라이트(NiFe2O4), 코발트페라이트(CoFe2O4) 등의 미립자가 분산된 자성유체를 사용함으로써 강자성 특성의 변화가 없는 상태로 분산된 기능화된 질화붕소와 효과적인 결합을 통하여 많은 양의 강자성 물질이 기능화된 질화붕소와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질화붕소 복합체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질화붕소에 비하여 균일하면서도 많은 양의 강자성 물질을 표면에 흡착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의 자기장에 대하여 질화붕소의 효과적인 배향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효과적인 배향에 의하여 우수한 열전도성과 열전도성의 이방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 배향단계는 질화붕소 복합체를 폴리아믹산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및 분산된 질화붕소 복합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며 폴리아믹산을 이미드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질화붕소 복합체는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 내에 분산시킴으로써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복합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으로는 용매를 이용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고 이에 질화붕소 복합체를 혼합한 후 닥터 블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필름 캐스팅 후 건조단계를 통하여 복합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용매를 제거하는 건조단계 시 외부로 부터 자기장을 인가하여 질화붕소 복합체의 배향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는 질화붕소 복합체를 고분자 수지에 혼합 후 용융하여 압출 또는 블로잉의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여 복합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질화붕소 복합체가 혼합된 용융된 고분자 수지의 냉각 전에 외부로 부터 자기장을 인가하여 질화붕소 복합체의 배향을 유도할 수도 있고, 제조된 복합필름을 별도의 가열수단에서 가열하면서 외부로부터 자기장을 인가하여 질화붕소 복합체의 배향을 유도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이미드가 바람직한데, 폴리이미드는 그 제조과정에서 필러 분산의 용이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아믹산을 제조하고 이를 이미드화 단계를 통하여 내열성과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질화붕소 복합체 배향단계는 질화붕소 복합체를 폴리아믹산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및 분산된 질화붕소 복합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며 폴리아믹산을 이미드화하는 단계를 통하여 우수한 내열성 및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고분자 복합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외부의 자기장에 의하여 배향성이 향상된 질화붕소 복합체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이미드 복합필름은 우수한 열전도성과 열전도성의 이방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분자 수지 70 내지 97 중량%; 기능성기가 부여된 질화붕소의 표면에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 복합체 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복합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는 필러 간 접촉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이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무정형의 분말상, 바늘 모양의 섬유상이거나 시트(sheet) 또는 플레이트(plate)의 판상형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판상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된 열이 고분자 내에서 이동한다고 가정했을 때, 열 저항체인 고분자는 열을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가 없어 고분자 내에서 이동하는 열은 대부분 손실된다. 하지만, 상기 고분자가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필러가 열을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어 열이 외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에서 공급된 열은 열전도성 필러 간의 접촉율이 늘어나면 더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판상형 열전도성 필러가 자기장에 의해 배열을 함으로써 필러의 접촉율을 향상시켜 포논의 이동통로를 많게 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복합체 필름의 열전도도가 향상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고분자 복합체 필름에 포함되는 열전도성 필러는 형상에 따라 접촉면적이 달라지게 되는데, 점 접촉(point contact)을 하는 구형 또는 튜브형태의 필러보다는 선 또는 면 접촉을 하는 시트(sheet)나 플레이트(plate)형상의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고분자 조성물의 열전도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체 필름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이미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200 ℃ 이상의 고온에서 기계적, 전기적 성질을 포함하는 물리적 성질을 유지할 수 있는 고분자 물질이면 사용이 가능하며, 이들의 사용을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질화붕소 복합체는 3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30중량%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질화붕소 복합체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질화붕소 복합체의 분산에 의한 열전도도 향상 및 열전도성의 이방성의 효과가 미미하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수지 내에 함유되는 필러의 양이 과량이어 복합체 필름의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기는 수산화기(-OH)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질화붕소에 수산화기(-OH)를 도입하게 되면 먼저 다층의 적층구조를 가지는 질화붕소가 시트(sheet) 또는 플레이트(plate)의 판상으로 분리되면서 분산액 내에 고른 분산이 유도된다. 또한, 질화붕소에 기능기가 도입됨으로써 질화붕소 복합체 제조단계에 있어서 보다 많은 양의 강자성 물질을 표면에 흡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질화붕소에 도입할 수 있는 기능성기로는 산성기 또는 염기성기 등이 있으나, 이후 부착되는 강자성 물질의 산화 또는 환원반응 등에 의하여 강자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중성의 수산화기(-OH)를 도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러한 수산화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강염기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질화붕소의 표면에 수산화기를 도입하고, 이후 이를 수소이온 농도지수(pH)가 7이 될 때 까지 정제수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산성 용액으로 중화를 진행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은 철, 코발트, 니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이 유체에 분산된 자성유체(magnetic fluid)를 이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산화철(Fe3O4), 마게마이트(γ-Fe2O3), 니켈페라이트(NiFe2O4), 코발트페라이트(CoFe2O4) 등의 미립자가 분산된 자성유체를 사용함으로써 강자성 특성의 변화가 없는 상태로 분산된 기능화된 질화붕소와 효과적인 결합을 통하여 많은 양의 강자성 물질이 기능화된 질화붕소와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질화붕소에 비하여 균일하면서도 많은 양의 강자성 물질을 표면에 흡착할 수 있게 되어 외부의 자기장에 대하여 질화붕소의 효과적인 배향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효과적인 배향에 의하여 우수한 열전도성과 열전도성의 이방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이미드일 수 있고,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는 자기장에 의하여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된 것일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체 필름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이미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200 ℃ 이상의 고온에서 기계적, 전기적 성질을 포함하는 물리적 성질을 유지할 수 있는 고분자 물질이면 사용이 가능하며, 이들의 사용을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폴리이미드는 그 제조과정에서 필러 분산의 용이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아믹산을 제조하고 이를 이미드화 단계를 통하여 내열성과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질화붕소 복합체 배향단계는 질화붕소 복합체를 폴리아믹산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및 분산된 질화붕소 복합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며 폴리아믹산을 이미드화하는 단계를 통하여 우수한 내열성 및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고분자 복합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같이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 예 및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이것에 의해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원 발명의 내용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장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 예 및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질화붕소의 표면 기능화
둥근 플라스크에 일정양의 세라믹계 전도성 무기입자인 질화붕소 넣고, 20 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질 교반 시킨 뒤, 120 ℃의 기름 중탕 하에 밤샘 환류정제 한다. 이 용액을 필터로 걸러 준 후, 수소이온농도지수(pH)가 7이 될 때까지 정제수로 세척하고, 80 ℃의 진공오븐에서 4시간동안 건조하여 수산화기(-OH)로 기능화된 질화붕소(f-BN)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질화붕소 복합체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수산화기(-OH)로 기능화된 질화붕소 4g을 100 mL의 정제수에 분산시킨 3개의 시료를 준비한다. 이때 10 mL의 소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질화붕소가 정제수에 분산되는 것을 돕는다. 분산된 용액에 강자성 물질의 함량이 다르도록 각각 200, 300, 400 μL의 M-300(Sigma Hi-chemical사)의 자성유체를 첨가하고,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질 교반 시킨 뒤, 130 ℃의 기름 중탕 하에 밤샘 환류 정제하였다. 이 용액을 필터로 걸러 준 후, 정제수와 에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80 ℃의 진공오븐에서 4시간동안 건조하여 강자성 물질의 함량이 서로 다른 질화붕소 복합체(mf-BN)를 수득하였다.
<분석예 1> 기능화된 질화붕소의 표면분석
본원 발명의 제조예 1과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표면기능화된 질화붕소 및 질화붕소 복합체의 표면은 Sigma HD(Carl Zeiss사)의 주사전자현미경(FE-SEM)으로 관찰하였고, 함유 원소와 상태는 AXIS Nova(Kratos Analytical 사)의 X선 광전자 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Ultima Ⅳ(Rigaku 사)를 이용하여 X선 회절(X-ray diffraction)에 의한 입자의 결정 패턴을 분석을 하였다.
도 1의 a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전의 질화붕소(Pristine BN)의 표면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b는 이를 확대한 것이며, c는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 복합화된 질화붕소(mf-BN)의 표면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d는 이를 확대한 것이다.
도 1의 a와 b로부터 질화붕소의 깨끗하고 부드러운 표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1의 c와 d로부터 기능화된 질화붕소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강자성 물질이 부착되어 거칠어진 표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mf-BN)의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에 의한 분석결과이다. 도 2에 따르면 질화붕소를 구성하는 질소(N)의 피크인 N1S, 붕소(B)의 피크인 B1S의 피크를 관찰할 수 있고, 또한 수산화기(-OH)의 산소(O)의 피크인 O1S를 관찰함으로써 질화붕소가 수산화기(-OH)에 의한 기능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에 의한 철(Fe)의 피크인 2p, 2p-, 3p, 3s의 피크로 부터 산화철이 복합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의 X선회절(X-ray diffraction) 분석결과이다. 2θ= 26.74°, 41.60°, 43.84°, 50.14°그리고 55.10°에서 고유의 질화붕소 결정구조가 관찰되었으며, 대칭변환은 (002), (100), (101), (102) 그리고 (004)로 확인되었다.(JCPDS card no. 34-042)
그리고, 산화철 입자의 X선회절 결과, 2θ= 30.34°, 35.64°, 43.40°, 57.38°그리고 63.10°에서 고유의 산화철 입자의 결정구조가 관찰되었으며, 대칭변환은 (200), (311), (400), (511) 그리고 (440)로 확인되었다.(JCPDS card no. 19-0629)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의 X선회절 질화붕소와 산화철 입자 모두의 X선회절 결정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질화붕소 표면에 산화철이 복합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의 제조시 산화철 입자의 양에 따른 자기장에 대한 이력현상(hysteresis)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순수한 질화붕소는 자기장에 대한 이력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보여주며, 액체자성의 양에 따라 질화붕소 표면에 산화철이 복합화되는 양이 증가할수록 자기장에 반응하는 질화붕소의 이력현상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의 자기장에 대한 응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 입자를 에탄올에 분산시켜 시간에 따라 자석의 자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약 180초 뒤 분산된 용액의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가 자석 주위에 모두 끌려가 맑아지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면처리 후 강자성 물질인 산화철이 복합화된 질화붕소 용액을 필터에 걸러 제조하였으며, 이때, 여과된 용액 내의 탈착된 산화철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도결합플라즈마(inductively coupled plasma)를 통한 분석한 결과이다. 도 6과 표 1로부터 여과된 용액(Sample)에는 산화철이 검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모든 산화철이 질화붕소 표면에 부착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것으로부터 질화붕소 표면에 부착된 산화철의 양을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도 6과 제조예의 조건으로부터 계산한 자성액체 내 산화철의 함량은 0.1644 내지 0.2192g의 범위이고, 순수한 질화붕소의 무게는 2.01g 이었으며, 표면 개질 후 질화붕소의 무게는 2.195g이었고, 이로부터 표면에 흡착된 산화철의 무게는 0.185g 임을 알 수 있었다.
샘플명 양(ug/kg)
Blank 16
STD 1 0.1 ppm 730
STD 1 0.1 ppm 1,097
STD 1 0.1 ppm 71,636
Sample 19
도 7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온, 50 ℃, 100 ℃, 130 ℃ 각각의 온도에서 환류 정제 후 겉보기 이미지이고, 도 8은 상온, 50 ℃, 100 ℃, 130 ℃ 각각의 온도에서 환류 정제 후 표면 SEM 이미지이다.
각각의 온도에서 같은 시간 질화붕소 표면에 산화철이 부착되는 양이 달랐으며, 최대 130 ℃에서 모든 양의 산화철이 복합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면 SEM 이미지를 통하여 각각의 온도에서 표면에 부착되는 산화철의 양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질화붕소 표면에 강자성 산화철을 복합화하는 기술은 130 ℃의 환류 정제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제조예 3> 폴리아믹산(polyamic acid)의 제조
교반기와 질소주입장치가 부착된 2000 mL의 반응기에 질소가스를 천천히 통과시키고, 4,4-옥시디아닐린(ODA)과 반응 용매인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를 투입하여 용해시킨다. 4,4-옥시디아닐린이 완전히 용해된 후, 피로펠리트산이무수물(PMDA)을 투입하고, 24시간 동안 0 ℃에서 교반을 통해 중합하여 폴리아믹산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폴리이미드/질화붕소 복합체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
열전도성 필러인 산화철이 흡착된 질화붕소(mf-BN) 0.86 g을 폴리아믹산 용액 10g(20 중량% in DMAc)에 넣고, 마그네틱 바를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혼합 용액을 닥터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유리판 위에 필름 캐스팅한 후, 자기장을 띄는 몰드에 넣어 진공 오븐에서 50 ℃에서 4시간 동안 열전도성 필러를 배향시킨다. 이후 건조된 필름을 진공 오븐에서 120, 180, 250 ℃에서 각각 30분, 350 ℃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폴리이미드/질화붕소 복합체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용액에 있어서 폴리아믹산 용액은 10g으로 동일하고, 산화철이 흡착된 질화붕소 복합체(mf-BN)의 중량%는 하기 표 2와 같이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폴리이미드/질화붕소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용액에 있어서 폴리아믹산 용액은 10g으로 동일하고, 질화붕소(BN)의 중량%는 하기 표 2d와 같이 혼합하였다. 혼합 용액을 닥터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유리판 위에 필름 캐스팅한 후, 진공 오븐에서 50 ℃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후 건조된 필름을 진공 오븐에서 120, 180, 250 ℃에서 각각 30분, 350 ℃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비교예 4 내지 6> 폴리이미드/기능화된 질화붕소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용액에 있어서 폴리아믹산 용액은 10g으로 동일하고, 수산기(-OH)로 기능화된 질화붕소(f-BN)의 중량%는 하기 표 2와 같이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9> 폴리이미드/질화붕소 복합체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용액에 있어서 폴리아믹산 용액은 10g으로 동일하고, 산화철이 흡착된 질화붕소 복합체(mf-BN)의 중량%는 하기 표 2와 같이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고분자 복합필름의 열전도도 측정 및 파단면 관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의하여 제조된 고분자 복합체 필름의 열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의하여 제조된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필름에 대하여 Netzsch LFA 447 측정기(Netzsch 사)를 이용하여 25 ℃의 온도에서 ASTM E1461에 따라 열 확산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도 9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고분자 복합필름의 파단면을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복합필름의 파단면은 액화질소 분위기에서 냉각 후 파단 하였다.
도 9의 a와 b는 고분자 내에 산화철로 표면을 복합화한 질화붕소를 혼합하여 자기장의 인가 없이 제조한 필름의 파단면 사진이며, 도 9의 c와 d는 고분자 내에 산화철로 표면을 복합화한 질화붕소를 혼합한 뒤, 자기장을 인가하여 질화붕소를 필름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향시킨 파단면 사진이다.

폴리이미드
(중량%)
질화붕소
(중량%)
열확산도(mm2/s)
Thru-plane In-plane
실시예1 70 30** 0.679 2.088
실시예2 80 20** 0.431 1.813
실시예3 90 10** 0.256 1.555
비교예1 70 30 0.297 3.425
비교예2 80 20 0.199 3.367
비교예3 90 10 0.180 2.101
비교예4 70 30* 0.242 3.907
비교예5 80 20* 0.191 3.486
비교예6 90 10* 0.168 2.212
비교예7 70 30** 0.264 2.700
비교예8 80 20** 0.216 2.238
비교예9 90 10** 0.180 1.781
"*"는 수산기(-OH)로 기능화된 질화붕소(f-BN)
"**"는 산화철이 흡착된 질화붕소 복합체(mf-BN)
표 2에 따르면, 판상형 열전도성 필러를 사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복합체 필름의 열전도도는 판상형 열전도성 필러의 중량%가 클수록 높은 열전도도를 보였고, 산화철이 흡착된 판상형 열전도성 필러를 사용하여 자기장을 띄는 몰드에 넣어 배열시킨 경우에 있어서 자기장을 띄는 몰드에 넣지 않은 경우 또는 산화철이 흡착되지 않은 판상형 열전도성 필러를 사용했을 때보다 수직방향의 열전도도가 더 높은 값을 보이며 수평방향의 열전도도는 낮았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고분자 복합필름 내의 열전도성 필러들의 방향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고분자 내에 산화철로 표면 복합화된 질화붕소를 혼합한 뒤, 자기장을 인가 하여 제조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도 10의 a와 같이 필름 내에 질화붕소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 것을 모식도로 표현하였으며,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고 캐스팅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도 10의 b와 같이 필름 내에 질화붕소가 대부분 수평 방향으로 배향된 것을 모식도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산화철이 흡착되지 않은 판상형 열전도성 필러를 사용할 때 보다는 산화철이 흡착된 판상형 열전도성을 사용하여 자기장을 띄는 몰드에 넣어 제조한 고분자 복합체 필름의 수직방향 열전도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산화철이 흡착된 판상형 열전도성 필러가 자기장에 반응하여 자기장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필러들의 접촉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10)

  1. 질화붕소를 준비하는 질화붕소 준비단계;
    상기 질화붕소에 기능성기를 부여하는 질화붕소 기능화 단계;
    기능성기가 부여된 질화붕소와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을 반응시켜 강자성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를 제조하는 질화붕소 복합체 제조단계; 및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를 고분자 수지에 분산시킨 후 고분자 수지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질화붕소 복합체 배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는 시트(sheet) 또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 기능화 단계는 질화붕소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질화붕소의 표면에 수산화기(-OH)을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 제조단계는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로 자성유체(magnetic fluid)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성유체는 철, 코발트, 니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이 유체에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 배향단계는 질화붕소 복합체를 폴리아믹산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및 분산된 질화붕소 복합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며 폴리아믹산을 이미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7. 고분자 수지 70 내지 97 중량%;
    기능성기가 부여된 질화붕소의 표면에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이 복합화된 질화붕소 복합체 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기는 수산화기(-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은 철, 코발트, 니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이 유체에 분산된 자성유체(magnetic flu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이미드이고, 상기 질화붕소 복합체는 자기장에 의하여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필름.
KR1020160136354A 2016-10-20 2016-10-20 자기장을 이용하여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4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354A KR101854436B1 (ko) 2016-10-20 2016-10-20 자기장을 이용하여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354A KR101854436B1 (ko) 2016-10-20 2016-10-20 자기장을 이용하여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544A true KR20180043544A (ko) 2018-04-30
KR101854436B1 KR101854436B1 (ko) 2018-05-03

Family

ID=6208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354A KR101854436B1 (ko) 2016-10-20 2016-10-20 자기장을 이용하여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467A (ko) * 2021-09-17 2023-03-2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히드록실화된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9392A (ja) 2000-08-31 2002-03-08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部品
JP2004051852A (ja) 2002-07-22 2004-02-19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高分子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27686A1 (en) 2004-12-15 2006-06-15 Meloni Paul A Thermally conductive polyimide film composites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useful in an electronic device
CN103339174A (zh) 2011-01-28 2013-10-02 日东电工株式会社 导热性薄膜及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467A (ko) * 2021-09-17 2023-03-2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히드록실화된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436B1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nguly et al. Photopolymerized thin coating of polypyrrole/graphene nanofiber/iron oxide onto nonpolar plastic for flexible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ing, strain sensing, and non‐contact heating applications
Yu et al. Polymer/boron nitride nanosheet composite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sufficient dielectric strength
Kim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BN/Fe3O4 hybrid particle to enhance interfacial affinity for high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iu et al. Properties of halloysite nanotube–epoxy resin hybrids and the interfacial reactions in the systems
JP6822836B2 (ja) 六方晶窒化ホウ素粉末、その製造方法、樹脂組成物及び樹脂シート
KR100704321B1 (ko) 수지 조성물
Gu et al. Polyaniline assisted uniform dispersion for magnetic ultrafine barium ferrite nanorods reinforced epoxy metacomposites with tailorable negative permittivity
EP2669321A1 (en) Heat-conductive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12812341A (zh) 一种高导热四针状结构复合微粒/聚酰亚胺薄膜及其制备方法
Kumar et al. Study on epoxy resin-based thermal adhesive filled with hybrid expanded graphite and graphene nanoplatelet
Li et al. A thermally conductive and insulating epoxy polymer composite with hybrid filler of modified copper nanowires and graphene oxide
Mekuria et al. The effect of thermally developed SiC@ SiO2 core-shell structured nanoparticles on the mechanical, thermal and UV-shielding properties of polyimide composites
Pan et al. Large‐Scale Production of Rectorite Nanosheets and Their Co‐Assembly with Aramid Nanofibers for High‐Performance Electrical Insulating Nanopapers
KR101854436B1 (ko) 자기장을 이용하여 열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Ma et al. Vertical alignment of carbon fibers under magnetic field driving to enhan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ilicone composites
Song et al. Enhanced thermal diffu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flexible polyimide composite films with magnetically alignable h-BN platelets via ferrofluids hybridization
Wang et al. Enhancement of thermal conductivity of BN-Ni/epoxy resin composites through the orientation of BN-Ni fillers by magnetic field and hot-pressing
Ma et al. Influence of structure of amines on the properties of amines‐modified reduced graphene oxide/polyimide composites
Zhang et al. Improved mechanical, thermal properties and ideal dielectric properties of polyimide composite films by incorporation of boron nitride nanosheets and aramid nanofibers
Yao et al. Preparation of a novel flame retardant based on diatomite/polyethyleneimine modified MWCNT for applications in silicone rubber composites
JP2016035959A (ja) 圧粉磁芯用粉末
Liu et al. Investigation of thermal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duced graphene oxide/polyimide resin composites
Huang et al.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e3O4/carbon nanotube reinforced nanocomposites by a low-magnetic-field induced alignment
Song Synergistic effect of carbon nanofiber decorated with iron oxide in enhancing properties of styrene butadiene rubber nanocomposites
Zhan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of multifunctional poly (arylene ether nitriles)(PEN)/CNTs/Fe3O4 nano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