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473A -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 Google Patents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473A
KR20180043473A KR1020160136169A KR20160136169A KR20180043473A KR 20180043473 A KR20180043473 A KR 20180043473A KR 1020160136169 A KR1020160136169 A KR 1020160136169A KR 20160136169 A KR20160136169 A KR 20160136169A KR 20180043473 A KR20180043473 A KR 2018004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exposed
rat
intermittent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373B1 (ko
Inventor
이승호
김운중
오충식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3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or modified breeds of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07/00Modified animals
    • A01K2207/35Animals modified by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O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 비행환경과 유사한 저산소 조건이 형성될 수 있는 동물실험용 챔버에 쥐를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챔버에 간헐적으로 저산소 조건을 형성하여 상기 쥐를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시키는 단계; (c) 상기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된 쥐의 간으로부터 RNA를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RNA를 NGS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전자의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된 경우 쥐 간의 유전자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할 수 있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행환경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유전적 변화 및 이를 통해 진행되는 질병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A gene analysis method of Intermittent hypoxia exposed mouse liver}
본 발명은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 비행환경과 유사한 저산소 조건이 형성될 수 있는 동물실험용 챔버에 쥐를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챔버에 간헐적으로 저산소 조건을 형성하여 상기 쥐를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시키는 단계; (c) 상기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된 쥐의 간으로부터 RNA를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RNA를 NGS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전자의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위치한 지상의 모든 생물은 지구상에 존재하게 된 때부터 대기환경에 적응하여 왔다.
대기환경에 변화가 발생하면 이는 모든 생물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생존을 위해서는 이에 적응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인간의 신체기능은 해수면과 유사한 고도에서는 별 영향을 받지 않지만 고공으로 상승하게 되면 그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며 고도에 따라서는 치명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문명의 발전과 생활의 다양화로 인하여 인간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특히 항공우주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전투기 조종사를 포함한 공중근무자들은 저산소, 한랭, 소음, 급가속 등에 의하여 심한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러나 비행환경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유전적 변화 및 이를 통해 진행되는 질병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상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발생하는 신체적, 유전적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기반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365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9971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9235호 등은 저산소 조건에 대한 식물의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벼의 비생물성 스트레스 노출 분석방법, 저산소 조건 하에 배양된 세포로부터의 조정 배지 등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365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9971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923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된 경우 쥐 간의 유전자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할 수 있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행환경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유전적 변화 및 이를 통해 진행되는 질병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비행환경과 유사한 저산소 조건이 형성될 수 있는 동물실험용 챔버에 쥐를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챔버에 간헐적으로 저산소 조건을 형성하여 상기 쥐를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시키는 단계; (c) 상기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된 쥐의 간으로부터 RNA를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RNA를 NGS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전자의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저산소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쥐의 간으로부터 RNA를 수득하고, 상기 RNA를 NGS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며, 상기 유전자의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하는 단계; 및 (g)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경우 및 저산소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헐적 저산소 환경은 8,000~30,000ft의 비행환경과 동일한 저산소 조건에서 오전 30분~2시간 및 오후 30분~2시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쥐는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상 쥐의 경우 발현변화는 Hamp2 및 Ass1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의 경우 발현변화는 Mup17 및 Uox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쥐의 간으로부터 mRNA를 정제, 파편화하고, 1차 cDNA 합성 및 2차 cDNA 합성을 순차적으로 진행한 후, PCR 증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신호체계는 퍼옥시즘 증식 활성화 반응체 신호전달체계, 아디포사이토카인 신호전달체계 또는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된 경우 쥐 간의 유전자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할 수 있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행환경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유전적 변화 및 이를 통해 진행되는 질병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비행환경과 유사한 저산소 조건이 형성될 수 있는 동물실험용 챔버를 나타낸다.
도 2는 시료의 전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NGS 실험에 적합한 RNA quality check을 나타낸다. Co: 정상 쥐, Cs: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 CoH: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정상 쥐, CsH: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
도 4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정상 쥐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나타낸다.
도 5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a) 비행환경과 유사한 저산소 조건이 형성될 수 있는 동물실험용 챔버에 쥐를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챔버에 간헐적으로 저산소 조건을 형성하여 상기 쥐를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시키는 단계; (c) 상기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된 쥐의 간으로부터 RNA를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RNA를 NGS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전자의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동물실험용 챔버는 이상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면 80m 이하까지 그리고 고도 45,000ft까지의 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만들 수 있다(도 1).
상기 간헐적 저산소 환경은 8,000~30,000ft의 비행환경과 동일한 저산소 조건에서 오전 30분~2시간 및 오후 30분~2시간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저산소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쥐의 간으로부터 RNA를 수득하고, 상기 RNA를 NGS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며, 상기 유전자의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하는 단계; 및 (g)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경우 및 저산소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쥐는 정상 쥐 또는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전자 신호체계 및 단백질 대사는 퍼옥시즘 증식 활성화 반응체 신호전달체계(ME1, SCD1 등), 아디포사이토카인 신호전달체계(PPARA, G6PC 등), 인슐린 신호전달체계(SREBF1, SOCS2 등), 당단백질 대사(Glut1, Gclc, Gclm 등)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정상 쥐의 경우 발현변화는 Hamp2 및 Ass1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상기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의 경우 발현변화는 Mup17 및 Uox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의 전처리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시료의 전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쥐의 간으로부터 mRNA를 정제, 파편화하고, 1차 cDNA 합성, 2차 cDNA 합성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한 후, PCR 증폭하였다.
Validate Library를 위해 Agilent DNA 1000 kit을 사용하였으며, Normalize and Pool Libraries를 수행하였다.
도 3은 NGS 실험에 적합한 RNA quality check을 나타낸다.
Co는 정상 쥐, Cs는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 CoH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정상 쥐, CsH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를 나타낸다.
표 1은 Bioanalyzer 2100 Bioanlyzer Desktop system으로 분석한 각 시료의 Library construction 결과를 나타낸다.
혼합한 시료들은 각 16 well plate에 각 시료마다 3번 정도 반복 실험을 할 수 있도록 한 웰에 1㎕를 주입하고 DNA 1000 bioanalyzer labchip에 1㎕를 주입하여 라이브러리 크기 분포 및 농도를 구하고, 10㎕ 부피로 하여 Sequencing에 이용하여 분석 자료를 얻었다.
이 실험에 사용한 장비는 Agilent 사에서 구매한 2100 Bioanalyzer를 이용하였고, Illumina사의 NextSeq 500 Sequencing System을 이용하였다.
No. Case
No.
Sample
ID.
Peak table Region table Adapter
Index
Adapter
Index
Sequence
Volume
Size (bp) Conc .
(ng/ul)
Molarity
( nmol /l)
From(bp) To(bp) Averag e
Size
Size
distribution in CV(%)
Conc .
(ng/ul)
(ul)
1 1 (1차) CsH _L-1 272 56.09 312.9 200 632 330 24.4 51.33 AR001 ATCACG 10
2 2 (1차) Co_L-1 270 53.10 297.8 199 630 328 24.0 48.86 AR002 CGATGT 10
3 3 (1차) Co_L-2 270 52.47 295.0 199 631 322 23.0 51.09 AR003 TTAGGC 10
4 4 (1차) Co_L-3 269 52.03 292.6 199 630 319 23.3 48.67 AR004 TGACCA 10
5 5 (1차) Cs_L-1 266 56.44 321.9 201 632 320 23.7 52.59 AR005 ACAGTG 10
6 6 (1차) Cs_L-2 270 46.75 262.3 200 633 320 23.2 45.02 AR006 GCCAAT 10
7 7 (1차) CoH _L-1 264 51.14 293.2 199 629 316 23.4 48.40 AR007 CAGATC 10
8 8 (1차) CoH _L-2 260 52.06 303.3 198 500 307 20.6 49.44 AR008 ACTTGA 10
9 9 (1차) CoH _L-3 265 51.26 292.6 199 629 322 25.0 49.67 AR009 GATCAG 10
10 10 (1차) Cs-H-L2 260 62.19 362.5 198 633 317 24.9 60.61 AR010 TAGCTT 10
11 2 (2차) Co-L3 265 60.79 347.9 199 633 316 23.3 55.66 AR012 CTTGTA 10
12 4 (2차) CsH L-3 263 62.99 363.4 200 634 316 23.2 58.94 AR013 AGTCAA 10
(실시예 2) 유전자 발현변화
도 4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정상 쥐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나타낸다.
동물실험용 챔버에 정상 쥐를 투입하여 25,000ft의 비행환경과 동일한 저산소 조건에서 오전 1시간 및 오후 1시간 노출시켰다.
노출된 정상 쥐의 간에서 NGS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변화의 피크 패턴을 관찰하였으며, Hamp2, Ass1 순으로 높은 발현변화를 볼 수 있었다.
NGS 유전자 분석결과를 다시 Excel로 통계 처리함으로써 한꺼번에 높고 낮은 발현변화를 나타내는 다양한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나타낸다.
동물실험용 챔버에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를 투입하여 25,000ft의 비행환경과 동일한 저산소 조건에서 오전 1시간 및 오후 1시간 노출시켰다.
노출된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의 간에서 NGS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변화의 피크 패턴을 관찰하였으며, Mup17, Uox 순으로 높은 발현변화를 볼 수 있었다.
NGS 유전자 분석결과를 다시 Excel로 통계 처리함으로써 한꺼번에 높고 낮은 발현변화를 나타내는 다양한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정상 쥐의 경우 signaling pathway 및 metabolism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종류와 분포를 나타낸다.
기존에는 다양한 유전자, 단백질들의 신호체계와 대사 등 Real-time RT PCR를 수십 번 또는 수백 번 실험하여 자료를 얻지만, 본 발명은 한 번에 많은 유전자 발현변화 결과를 얻으므로 비행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발생하는 유전자 변화 및 질환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유전자의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되는 경우 신체적, 유전적 상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Term Count % PValue Genes
mmu03320:PPAR signaling pathway 14 2.372881 7.98E-07 ME1, SCD1, PPARA, PPARD, CPT1A, PCK1, CYP4A10, SORBS1, CYP7A1, CYP4A31, APOA5, ACSL4, CYP4A14, ACSL3, ANGPTL4
mmu04920:Adipocytokine signaling pathway 12 2.033898 5.93E-06 PPARA, G6PC, TNFRSF1B, LEPR, NFKBIA, ACACB, ACSL4, ACSL3, PPARGC1A, CPT1A, CAMKK2, PCK1
mmu00830:Retinol metabolism 12 2.033898 6.89E-06 CYP4A10, CYP2A22, CYP3A16, CYP4A31, CYP26B1, CYP2A5, CYP3A59, CYP26A1, CYP1A2, CYP2B10, CYP4A14, RDH16, RETSAT
mmu04710:Circadian rhythm 6 1.016949 3.01E-05 NPAS2, CRY2, NR1D1, PER1, BHLHE40, ARNTL
mmu00982:Drug metabolism 10 1.694915 5.07E-04 GSTA2, GSTM2, CYP2A22, GSTM3, CYP3A16, CYP2A5, CYP3A59, GSTT2, CYP1A2, CYP2B10
mmu00900:Terpenoid backbone biosynthesis 5 0.847458 7.33E-04 MVD, HMGCR, HMGCS1, MVK, IDI1
mmu04910:Insulin signaling pathway 13 2.20339 0.001219 SREBF1, SOCS2, MKNK2, FOXO1, ACACB, PPARGC1A, PCK1, CBLB, G6PC, PPP1R3C, TSC1, SORBS1, GYS2
mmu00232:Caffeine metabolism 4 0.677966 0.002218 CYP2A22, UOX, CYP2A5, CYP1A2
mmu00980:Metabolism of xenobiotics by cytochrome P450 8 1.355932 0.004344 GSTA2, GSTM2, GSTM3, CYP3A16, CYP3A59, GSTT2, CYP1A2, CYP2B10
mmu01040:Biosynthesis of unsaturated fatty acids 5 0.847458 0.009343 SCD1, ACOT2, ACOT1, ELOVL6, ACOT3
mmu00140:Steroid hormone biosynthesis 6 1.016949 0.01271 CYP17A1, CYP3A16, HSD17B2, CYP7A1, HSD3B5, CYP3A59
mmu00071:Fatty acid metabolism 6 1.016949 0.01271 CYP4A10, CYP4A31, CYP4A14, ACSL4, ACSL3, ALDH3A2, CPT1A
mmu00620:Pyruvate metabolism 5 0.847458 0.038464 ME1, ACACB, ACSS2, ALDH3A2, PCK1
mmu00591:Linoleic acid metabolism 5 0.847458 0.055012 CYP3A16, PLA2G12A, CYP3A59, PLA2G6, CYP1A2
mmu00983:Drug metabolism 5 0.847458 0.062553 CYP2A22, CYP3A16, CYP2A5, UPP2, CYP3A59
mmu00770:Pantothenate and CoA biosynthesis 3 0.508475 0.078645 PANK1, ENPP3, VNN1
mmu00480:Glutathione metabolism 5 0.847458 0.079175 GSS, GSTA2, GSTM2, GSTM3, GSTT2
표 3은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의 경우 signaling pathway 및 metabolism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종류와 분포를 나타낸다.
Term Count % PValue Genes
mmu00900:Terpenoid backbone biosynthesis 9 1.969365 1.08E-09 MVD, HMGCS2, HMGCR, FDPS, HMGCS1, MVK, PMVK, ACAT2, IDI1
mmu03320:PPAR signaling pathway 15 3.282276 4.04E-08 PPARA, PPARD, EHHADH, CPT1A, HMGCS2, CYP4A32, SORBS1, CYP7A1, CYP4A31, APOA5, UBC, GYK, ACSL4, CYP4A14, ACSL3, ANGPTL4
mmu00830:Retinol metabolism 12 2.625821 3.13E-06 CYP3A16, CYP2C69, CYP26A1, CYP2B13, CYP2B10, RDH11, CYP4A32, CYP3A41B, ADH4, CYP3A41A, CYP4A31, CYP4A14, RETSAT, CYP3A44
mmu00071:Fatty acid metabolism 8 1.750547 2.68E-04 CYP4A32, ADH4, EHHADH, CYP4A31, CYP4A14, ACAT2, ACSL4, ACSL3, CPT1A
mmu00100:Steroid biosynthesis 5 1.094092 0.001197 CYP51, SQLE, DHCR7, LSS, SC4MOL
mmu00980:Metabolism of xenobiotics by cytochrome P450 8 1.750547 0.002769 CYP3A16, CYP2C69, ADH4, CYP2S1, CYP3A41B, CYP3A41A, CYP2B13, CYP2B10, CYP3A44
mmu00982:Drug metabolism 8 1.750547 0.00568 CYP3A16, CYP2C69, ADH4, CYP3A41B, FMO3, CYP3A41A, CYP2B13, CYP2B10, CYP3A44
mmu00591:Linoleic acid metabolism 6 1.31291 0.010032 CYP3A16, CYP2C69, PLA2G12A, CYP3A41B, CYP3A41A, PLA2G6, CYP3A44
mmu04110:Cell cycle 10 2.188184 0.011482 CCNB1, CDK1, CDKN1A, CCND1, PLK1, GADD45G, TFDP2, MYC, MCM5, MCM6
mmu00650:Butanoate metabolism 5 1.094092 0.021227 HMGCS2, EHHADH, HMGCS1, AACS, ACAT2
mmu00350:Tyrosine metabolism 5 1.094092 0.025289 DCT, DDC, ADH4, TAT, PNPLA3
mmu04630:Jak-STAT signaling pathway 10 2.188184 0.031481 CCND1, CBLB, IL22RA1, SOCS2, LEPR, IL15RA, IFNGR2, MYC, CISH, IL6RA
mmu00072:Synthesis and degradation of ketone bodies 3 0.656455 0.03214 HMGCS2, HMGCS1, ACAT2
mmu00590:Arachidonic acid metabolism 7 1.531729 0.032361 CYP4A32, CYP2C69, PLA2G12A, CYP4A31, CYP2B13, PLA2G6, CYP2B10, CYP4A14
mmu04640:Hematopoietic cell lineage 7 1.531729 0.034047 IL1R1, ITGA6, TFRC, DNTT, ITGA4, CD24A, IL6RA
mmu00140:Steroid hormone biosynthesis 5 1.094092 0.040131 HSD3B2, CYP3A16, CYP7A1, CYP3A41B, CYP3A41A, CYP3A44
mmu01040:Biosynthesis of unsaturated fatty acids 4 0.875274 0.041831 ACOT2, ACOT1, ELOVL6, ACOT3
mmu04920:Adipocytokine signaling pathway 6 1.31291 0.043697 PPARA, LEPR, ACSL4, ACSL3, CPT1A, CAMKK2
mmu04115:p53 signaling pathway 6 1.31291 0.048594 CCNB1, CDK1, CDKN1A, CCND1, BBC3, GADD45G
mmu04270:Vascular smooth muscle contraction 8 1.750547 0.058331 CYP4A32, PLA2G12A, ADCY6, GNA12, CYP4A31, MYH11, ADRA1A, PLA2G6, CYP4A14
한편 저산소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쥐의 간으로부터 RNA를 수득하고, 상기 RNA를 NGS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며, 상기 유전자의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할 수 있다.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경우 및 저산소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비교함으로써 간헐적 저산소가 신체적, 유전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생 가능한 질환에 관한 연구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생 가능한 질병을 미리 예방할 수도 있다.
정상 쥐,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정상 쥐 및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는 서로 상이한 유전자, 신호체계 및 대사를 나타낸다.
특정질환을 가지는 개체에서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되는 경우 개체에서 발현되는 신체적, 유전적 변화는 질환이 없는 개체에서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되는 경우와 상이하며, 이를 통해 특정질환을 가진 개체가 비행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질환의 변화를 고찰할 수 있으며,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개체의 유전자들이 질환에 관여하는 메커니즘도 분석할 수 있다.

Claims (8)

  1. (a) 비행환경과 유사한 저산소 조건이 형성될 수 있는 동물실험용 챔버에 쥐를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챔버에 간헐적으로 저산소 조건을 형성하여 상기 쥐를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시키는 단계;
    (c) 상기 간헐적 저산소 환경에 노출된 쥐의 간으로부터 RNA를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RNA를 NGS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전자의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저산소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쥐의 간으로부터 RNA를 수득하고, 상기 RNA를 NGS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며, 상기 유전자의 발현변화로부터 유전자, 단백질의 신호체계 및 대사의 상관관계를 수득하는 단계; 및
    (g)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경우 및 저산소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적 저산소 환경은 8,000~30,000ft의 비행환경과 동일한 저산소 조건에서 오전 30분~2시간 및 오후 30분~2시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쥐는 만성부비동염이 유발된 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변화는 Hamp2 및 Ass1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변화는 Mup17 및 Uox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쥐의 간으로부터 mRNA를 정제, 파편화하고, 1차 cDNA 합성 및 2차 cDNA 합성을 순차적으로 진행한 후, PCR 증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신호체계는 퍼옥시즘 증식 활성화 반응체 신호전달체계, 아디포사이토카인 신호전달체계 또는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KR1020160136169A 2016-10-20 2016-10-20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KR101885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169A KR101885373B1 (ko) 2016-10-20 2016-10-20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169A KR101885373B1 (ko) 2016-10-20 2016-10-20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73A true KR20180043473A (ko) 2018-04-30
KR101885373B1 KR101885373B1 (ko) 2018-08-03

Family

ID=6208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169A KR101885373B1 (ko) 2016-10-20 2016-10-20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178B1 (ko) * 2019-01-15 2020-07-1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중력에 노출된 쥐의 유전자 분석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579A (ko) 2005-06-15 2008-04-28 바이엘 바이오사이언스 엔.브이. 저산소 조건에 대한 식물의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120089235A (ko) 2009-07-10 2012-08-09 히스토젠, 인코포레이티드 저산소 조건 하에 배양된 세포로부터의 조정 배지 및 세포외 기질 조성물
KR101499710B1 (ko) 2012-10-25 2015-03-1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벼의 비생물성 스트레스 노출 분석용 키트 및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579A (ko) 2005-06-15 2008-04-28 바이엘 바이오사이언스 엔.브이. 저산소 조건에 대한 식물의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120089235A (ko) 2009-07-10 2012-08-09 히스토젠, 인코포레이티드 저산소 조건 하에 배양된 세포로부터의 조정 배지 및 세포외 기질 조성물
KR101499710B1 (ko) 2012-10-25 2015-03-1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벼의 비생물성 스트레스 노출 분석용 키트 및 분석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xp Physiol., 2009 February, Vol. 94(2), p. 228~239* *
PNAS, 2004 vol. 101, no. 26, p.9698~9703* *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1, Vol. 276, No. 29, p. 27605~2761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178B1 (ko) * 2019-01-15 2020-07-1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중력에 노출된 쥐의 유전자 분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373B1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kamoto et al. Multiple contributing roles for NOS2 in LPS-induced acute airway inflammation in mice
Masubuchi et al. Th1/Th2 cytokine balance as a determinant of ace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KR100985090B1 (ko) 크라이센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확인 방법
Roques et al. The nuclear receptors pregnane X receptor and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ontribute to the impact of fipronil on hepatic gene expression linked to thyroid hormone metabolism
Fasshauer et al. Interleukin-6 is a positive regulator of tumor necrosis factor α-induced adipose-related protein in 3T3-L1 adipocytes
Damodaran et al. Gene expression profiles of the rat brain both immediately and 3 months following acute sarin exposure
KR101885373B1 (ko)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된 쥐 간의 유전자 분석방법
Knaus et al. Large neutral amino acid levels tune perinatal neuronal excitability and survival
Liu et al. Polygonatum sibiricum polysaccharides improve cognitive function in D-galactose-induced aging mice by regulating the microbiota-gut-brain axis
Shi et al. Selection of reference genes for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in concanavalin A-induced hepatitis model
Oliva-Vilarnau et al. Wnt/β-catenin and NFκB signaling synergize to trigger growth-factor-free regeneration of adult primary human hepatocytes
Granata et al. In vitro identification of new transcriptomic and miRNomic profiles associated with pulmonary fibrosis induced by high doses everolimus: Looking for new pathogenetic markers and therapeutic targets
Zhao et al. Hepatic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5′-AMP-induced hypometabolism in mice
John et al. Inhibition of chemokine production from human airway smooth muscle cells by fluticasone, budesonide and beclomethasone
KR102135178B1 (ko) 고중력에 노출된 쥐의 유전자 분석방법
Jin et al. Transcriptomes of injured lamprey axon tips: single-cell RNA-Seq suggests differential involvement of mapk signaling pathways in axon retraction and regener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Ichikawa et al. The mucin biosynthesis stimulated by epidermal growth factor occurs in surface mucus cells, but not in gland mucus cells, of rat stomach
Campisi et al. Cosmic Chronometers: is Spaceflight a Catalyst for Biological Ageing?
KR20170058797A (ko) 비행 환경에서 유전자 발현 분석 방법
US20140093884A1 (en) Process for Identifying Novel Anti-Inflammatory Molecules with Reduced Direct Transrepression of Genes Induced by Glucocorticoids
Ishii Transcriptome analysis of adrenocortical cells in health and disease
Gaasch et al. Hepatocyte growth factor-regulated genes in differentiated RAW 264.7 osteoclast and undifferentiated cells
Cheng et al. Type 2 Immune Response Plays A Critical Role in Trained Immunity
Cheng et al. The glycolysis/HIF-1α axis defines the inflammatory role of IL-4-primed 2 macrophages
Fransson et al. Dysregulated functional and metabolic response in multiple sclerosis patient macrophages correlate with a more inflammatory state, reminiscent of trained immun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