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437A -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437A
KR20180043437A KR1020160135769A KR20160135769A KR20180043437A KR 20180043437 A KR20180043437 A KR 20180043437A KR 1020160135769 A KR1020160135769 A KR 1020160135769A KR 20160135769 A KR20160135769 A KR 20160135769A KR 20180043437 A KR20180043437 A KR 20180043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sh
filter
strainer
fluid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봉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케이
(주)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케이, (주)태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케이
Priority to KR102016013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437A/ko
Publication of KR2018004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나 액체 등의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이송관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이물질 제거된 유체가 배관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Metal strainer assembly for fluid filtration}
본 발명은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나 액체 등의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이송관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이물질 제거된 유체가 배관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이나 물, 가스 및 스팀(steam) 등과 같은 각종 유체(流體)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배관을 통하여 특정한 다른 장소로 액체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은 유체를 이동시키는 대부분의 배관은 유체에서 자생적으로 생성되거나 또는 유체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형태의 오물 혹은, 금속배관인 경우에 그 내부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녹이나, 기타 슬러그 등(이하, '이 물질' 이라 함)이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고, 이와 같은 이 물질들은 배관이 막히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런데, 통상 물이나 유류를 이동시키는 배관을 설치하고 조작하기 위해서는 배관 이외에 배관의 내부로 이동하는 액체를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 및 기타 조절밸브 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부품들은 대부분 매우 정밀하고 정교하게 만들어진 부품으로서 배관 내부로 이송되는 각종의 이물질에 의해 쉽게 고장이 나거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이와 같은 배관 내를 통과한 액체에 의하거나 배관 자체의 부식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여러종류의 이물질이 배관을 막거나 이물질에 의한 여러 부품들의 오작동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필터를 내장하면서 배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관의 일정 지점에 스트레이너 필터 조립체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스트레이너 필터 조립체는 내장된 여과필터를 통하여 배관 내의 이물질을 여과시키고, 스트레이너 필터 조립체의 세정작업을 통하여 제거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스크레이너 조립체의 이물질 여과용 필터들은 통상 종이 또는 섬유상 필터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필터는 필터를 구성하는 여과공들의 크기가 작을수록 필터의 포집 효율이 우수하고, 동시에 강도가 클수록 내구성이 우수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종래 스트레이너 필터 조립체 내에 내장되는 여과 필터들은, 미세한 여과공들이 형성되어 우수한 여과 효율을 갖지만, 여과를 요하는 유체의 열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 그리고 여과과정에 발생되는 유체의 저항압에 의해 여과필터 전체의 형상이나 여과공들의 현상이 변형되어서, 지속적으로 안정된 이물질의 여과를 수행하기 어려워 잦은 교체가 요구되는 한계성을 갖는다.
물론, 이 경우 여과공의 직경을 크게 설정하면 유체의 여과에 따른 저항압이 감수되지만, 이는 여과효율을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 여과 필터는 별도의 분리 수납을 위한 부품 구성요소들과, 복잡한 조립과정이 요구되므로 원가가 상승과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한편, 종래 유체 공급라인상에 설치되는 Y형 스트레이너 조립체(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라인(10)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부(22)와, 유입관부(22)로 유입된 유체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나 불순물 등을 여과하는 여과필터(30)가 장착된 여과부(24)와, 상기 여과부(24)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부(2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있어 여과필터는 외벽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원형관체로 이루어져, 개방된 일측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일측으로 배출하면서 유체에 잔류된 이물질을 내부에 여과시켜 포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상기 Y형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구성하는 여과필터의 제조과정은, 금속판재에 타공하여 복수의 여과공을 형성하고 상기 여과공을 중공으로 말아서, 교접단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키는 성형과정을 통해 제작되므로, 고가의 제작 비용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재를 타공한 다음 파이프 형태로 조관한 여과부재는, 우수한 강도에 의해 유체의 여과과정에 형상 변형이 적은 이점은 갖지만, 제조 특성상 미세한 여과공을 형성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고, 여과면적이 좁아 미세한 이물질의 여과가 어렵고 또 여과면적인 좁은 한계성을 갖는다.
제 10-1999-0047948호 제 10-1245884호 제10-057948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314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968호 10-1509234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이송관 사이에 배치되는 배치되는 연결관체 내에 금속메쉬를 형상 가공한 독특한 필터구조를 마련하여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를 도모하고, 필터를 카트리지형으로 구성하여 연결관체 내에 정형화된 조립을 도모하는 한편,
유체의 여과과정에 발생되는 여과압력에 의해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구성하는 메탈 필터의 형상이 함몰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메탈필터는 형상의 변형없이 정형화된 형상을 유지하여 이동하는 유체에 잔류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한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는,
일측에 급유관로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유관로가 형성된 연결관체와;
상기 연결관체의 배유관로 사이에 내설되어, 급유관로를 통해 유입되어 배유관로를 따라 배출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는 중공헤드와, 상기 중공헤드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금속 메쉬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는 연결관체에 형성된 배유관로의 내경에 중공헤드를 체결시켜 배유관로의 내경에 동심구조로 조립되어서,
상기 급유관로를 따라 배유관로에 유입되는 유체는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에 형성된 금속 메쉬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고, 이물질이 여과된 유체는 중공헤드의 중공부를 따라 배유관로에 유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유관로의 내경에는 내경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구성하는 중공헤드의 외경에는 외경 체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는 배유관로의 내경에 중공헤드를 체결을 통해 고정시켜서, 배유관로의 내경에 동심구조로 조립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헤드의 일측에는 예접링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금속 메쉬필터는 타측에는 상기 예접링의 외벽에 외접하는 환형의 조립림부가 형성된 콘형 성형체로 이루어져,
콘형 성형체로 이루어진 금속 메쉬필터는 조립림부를 중공헤드의 예접링에 외접하고, 상기 외접된 조립림부와 예접링은 테두리 용접을 통해 용접되어서, 중공헤드의 일측에 콘형의 금속 메쉬필터가 용접하여 고정된 형태의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형 성형체로 이루어진 금속 메쉬필터는 상대적으로 가는 와이어들이 직조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여과공들을 갖는 여과 메쉬층과, 상대적으로 굵은 와이어들이 직조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여과공들을 갖는 지지 메쉬층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 메쉬층의 내벽에 지지 메쉬층이 적층되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중공헤드의 일측에 금속 메쉬필터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중공헤드를 통해 연결관체의 배유관로에 동심구조로 간편하게 조립되어서, 금속 메쉬필터를 통해 유체에 잔류된 이물질을 여과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 메쉬필터는 지지 메쉬층과 여과 메쉬층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져, 여과 메쉬층을 통한 이물질의 안정적인 여과가 가능하고, 또 여과 메쉬층의 내벽에 적층하여 형성된 지지 메쉬층은 여과 메쉬층에 발생되는 여과압력을 지지하여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메쉬층의 함몰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지지 메쉬층과 여과 메쉬층이 적층되게 형성된 금속 메쉬필터는 콘형으로 이루어져, 자체 형상에 의해 안정된 형태 안정성을 갖고, 또 넓은 여과면적을 갖는 관계로 유체의 신속한 여과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유체 이송관에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통한 이물질의 여과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구성하는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의 세부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있어, 연결관체에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조립하는 조립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있어,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구성하는 메탈 필터의 성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는 상기 도 5에서 메탈 필터를 구성하는 여과 메쉬와 지지 메쉬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유체 이송관에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통한 이물질의 여과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구성하는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의 세부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있어, 연결관체에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조립하는 조립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있어,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구성하는 메탈 필터의 성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는 상기 도 5에서 메탈 필터를 구성하는 여과 메쉬와 지지 메쉬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스나 액체 등의 유체가 이동하는 급유측 유체 이송관(11)과, 배출측 유체 이송관(11) 사이에 간편하게 조립 배치되어 이들 이격된 유체 이송관(11, 12)들을 연통되게 연결하면서, 급유측 유체 이송관(11)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측 유체 이송관(12)에 이물질이 제거된 유체만이 공급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100)는, 일측에 급유측 이송관(11)과 연결되는 급유관로(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유측 유체 이송관(12)과 연결되는 배유관로(112)가 좌우로 일렬로 정렬하여 형성되고, 급유관로(111)와 배유관로(112) 사이에는 역세정관로(113)가 직교하여 형성된 "T"자형의 연결관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체(110)의 급유관로(111)의 단부와 배유관로(112)의 단부에는 각각 배관 이음부(111a, 112a)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체(110)는 단부에 형성된 배관 이음부(111a, 112a)를 통해 각 유체 이송관(11, 12)의 단부에 형성된 배관 이음부(11a, 12a)와 이음되어서 이격된 유체 이송관(11, 12)들 사이를 연통시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 이음부는 도면상에 도시된 플랜지 이음형을 비롯하여, 니플을 통한 니플 이음형 등 다양한 형태의 배관 이음부가 적의 선택되며, 상기 역세정관로(113)의 단부에는 밀폐캡(113a)이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역세정관로(113)를 폐쇄하고, 후술되는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의 역세정과정에서는 개방되어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에서 세정된 이물질을 세정조(미도시)로 배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급유측 유체 이송관(11)을 통해 이동된 유체는 연결관체(110)의 급유관로(111)와 배유관로(11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 배유측 유체 이송관(12)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되며, 상기 연결관체(110)를 구성하는 배유관로(112)에는 급유관로(111)를 통해 유입되어 배유관로(112)로 이동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가 조립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헤드(121)와, 상기 중공헤드(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금속 메쉬필터(122)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는 중공헤드(121)를 통해 연결관체(110)의 배유관로(112)에 동심구조로 고정되어서 금속 메쉬필터(122)를 통해 유체에 잔류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유관로(112)의 내경에 내경 체결부(112b)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를 구성하는 중공헤드(121)의 외경에는 외경 체결부(121a)를 형성하여서,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는 배유관로(112)의 내경에 중공헤드(121)의 외경을 체결시켜 배유관로(112)의 내경에 동심구조로 조립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를 구성하는 중공헤드(121)의 내경에 다각의 렌치홈(121c)을 형성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체(110)의 배유관로(112) 내에 체결되는 중공헤드(121)는, 중공헤드(121)의 중공부(121b)에 진입되어 렌치홈(121c)에 규합되는 렌치(L)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유관로(112) 내에 체결하여 고정되고, 또 렌치(L)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체결이 해체되어 배유관로(112) 내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연결관체(110)의 배유관로(112)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배유관로(112) 내에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를 진입시킨 다음, 중공헤드(121)에 형성된 렌치홈(121c)에 렌치(L)를 진입 및 규합시킨 상태에서 중공헤드(12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배유관로(112) 내에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를 체결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는 중공헤드(121)에 규합된 렌치(L)를 통해 연결관체(110)의 배유관로(112)에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므로, 조립에 따른 편리성과 안정성이 확보되고, 특히 추후 간편한 해체를 통해 신속한 교환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를 구성하는 금속 메쉬필터(122)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측에 환형의 조립림부(122c)가 형성된 콘형의 망상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메쉬필터(122)는 우수한 내식성과 내화학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와이어(122a-a, 122b-a)를 직조하여 형성되어, 복수의 여과공((122a-b, 122b-b)들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금속메쉬(122a, 122b)를 형상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드로잉홈(211)이 형성된 지지금형(210)에 금속 와이어를 직조한 와이어 메쉬(122a, 122b)들을 적층시킨 다음, 콘형의 성형코어(221)가 형성된 승강금형(220)을 하강시켜서, 지지금형(210)에 적층된 와이어 메쉬(222a, 222b)들이 드로잉홈(211)으로 진입되는 콘형의 성형코어(221)에 의해 적층된 상태로 일괄하여 하향 가압되면서, 드로잉홈(211) 내에서 콘형의 망상체로 드로잉 성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금형(210)의 상부면에는 상대적으로 가는 와이어(122a-a)들이 조밀한 간격으로 직조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여과공(122a-b)들을 갖는 여과 메쉬(122a)를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여과 메쉬(122a)의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굵은 와이어(122b-a)들이 넓은 간격으로 직조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여과공(122b-b)들을 갖는 지지 메쉬(122b)를 적층한 다음, 이들 적층된 여과 메쉬(122a)와 지지 메쉬(122b)를 콘형의 성형코어(121)를 통해 하향 가압하여서, 내벽에 지지 메쉬(122b)로 이루어져 강도가 강한 지지 메쉬층(122b')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메쉬층(122b')의 외벽에 우수한 여과성을 갖는 여과 메쉬(122a)로 이루어진 여과 메쉬층(122a')이 적층되게 형성된 콘형의 금속 메쉬필터(122)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성형된 금속 메쉬필터(122)는, 도 2와 같이 중공헤드(121)의 일측에 테두리 용접을 통해 용접되어, 중공헤드(121)의 일측에 콘형의 금속 메쉬필터(122)가 배치된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를 형성하며, 상기 테두리 용접은 아그곤 용접을 통해 구현된다.
이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자면, 상기 중공헤드(121)의 일측에는 예접링(121d)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작업자는 콘형의 망상체로 이루어진 금속 메쉬필터(122)의 조립림부(122c)를 중공헤드(121)의 예접링(121d)에 외접시켜 예비 조립한 다음, 상기 외접된 조립림부(122c)와 예접링(121d)을 테두리 용접을 통해 용융 접합(W)시켜서, 중공헤드(121)의 일측에 콘형의 금속 메쉬필터(122)가 정형화되게 고정된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120)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적층된 와이어 메쉬(122a, 122b)들을 드로잉 성형시켜 지지 메쉬층(122b')과 여과 메쉬층(122a')이 적층되게 형성된 콘형의 금속 메쉬필터(122)는 표면에 별도의 이음부위나 절곡된 부위가 발생되지 아니하는 콘형상으로 성형되므로 제작에 따른 공정의 간소화가 이룩되고, 또 콘형으로 이루어진 금속 메쉬필터(122)는 자체 형상에 의해 안정된 형태 안정성을 갖고, 또 넓은 여과면적을 갖는 관계로 유체의 신속한 여과가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와 같이 상기 지지 메쉬층(122b)의 외벽에 적층하여 형성된 여과 메쉬층(122a')은 직경이 작은 여과공(122a-b)들을 통해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금속 메쉬필터(122) 내에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고, 또 상기 여과 메쉬층(122a')의 내벽에 적층하여 형성된 지지 메쉬층(122b')은 유체의 보조적인 여과와 함께 여과 메쉬층(122b')에 발생되는 여과압력을 지지 및 분산하여서, 이물질을 여과에 따른 여과압력에 의해 여과 메쉬층을 포함하는 금속 메쉬필터(122)가 함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1.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110. 연결관체 111. 급유관로
111a. 배관 이음부 112. 배유관로
112a. 배관 이음부 112b. 내경 체결부
113. 역세정관로 113a. 밀폐캡
120.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 121. 중공헤드
121a. 외경 체결부 121b. 중공부
121c. 렌치홈 121d. 예접링
122. 메탈 필터
122a. 여과 메쉬 122a. 여과 필터층
122a-a. 와이어 122a-b. 여과공
122b. 지지 메쉬 122b'. 지지 필터층
122a-a. 와이어 122a-b. 여과공
122c. 조립림부
11. 급유측 유체 이송관 11a. 배관 이음부
12. 배유측 유체 이송관 12a. 배관 이음부

Claims (4)

  1. 일측에 급유관로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유관로가 형성된 연결관체와;
    상기 연결관체의 배유관로 사이에 내설되어, 급유관로를 통해 유입되어 배유관로를 따라 배출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는 중공헤드와, 상기 중공헤드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금속 메쉬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는 연결관체에 형성된 배유관로의 내경에 중공헤드를 고정시켜 배유관로의 내경에 동심구조로 조립되어서,
    상기 급유관로를 따라 배유관로에 유입되는 유체는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에 형성된 금속 메쉬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고, 이물질이 여과된 유체는 중공헤드의 중공부를 따라 배유관로에 유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유관로의 내경에는 내경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구성하는 중공헤드의 외경에는 외경 체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는 배유관로의 내경에 중공헤드를 체결을 통해 고정시켜서, 배유관로의 내경에 동심구조로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헤드의 일측에는 예접링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금속 메쉬필터는 타측에는 상기 예접링의 외벽에 외접하는 환형의 조립림부가 형성된 콘형 성형체로 이루어져, 콘형 성형체로 이루어진 금속 메쉬필터는 조립림부를 중공헤드의 예접링에 외접하고,
    상기 외접된 조립림부와 예접링은 테두리 용접을 통해 용접되어서, 중공헤드의 일측에 콘형의 금속 메쉬필터가 용접하여 고정된 형태의 금속 메쉬 스트레이너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형 성형체로 이루어진 금속 메쉬필터는 상대적으로 가는 와이어들이 직조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여과공들을 갖는 여과 메쉬층과, 상대적으로 굵은 와이어들이 직조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여과공들을 갖는 지지 메쉬층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 메쉬층의 내벽에 지지 메쉬층이 적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KR1020160135769A 2016-10-19 2016-10-19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KR20180043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769A KR20180043437A (ko) 2016-10-19 2016-10-19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769A KR20180043437A (ko) 2016-10-19 2016-10-19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37A true KR20180043437A (ko) 2018-04-30

Family

ID=6208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769A KR20180043437A (ko) 2016-10-19 2016-10-19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4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5575A (zh) * 2021-04-01 2021-07-27 刘志鹏 一种水利水电施工用管道连接装置
CN116688610A (zh) * 2023-08-08 2023-09-05 西安尔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排水管道的杂质过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5575A (zh) * 2021-04-01 2021-07-27 刘志鹏 一种水利水电施工用管道连接装置
CN116688610A (zh) * 2023-08-08 2023-09-05 西安尔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排水管道的杂质过滤装置
CN116688610B (zh) * 2023-08-08 2023-11-03 西安尔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排水管道的杂质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9600B2 (ja) フィルタ装置
EP3257822B1 (en) Water purifying system having an integrated composite filter cartridge
EP1818089A1 (en) Helical internal support structure for intake screens
CN104114253A (zh) 利用滤筒的加压反向清洗方式的过滤器装置
WO2016095401A1 (zh) 一体复合滤芯和具有其的净水系统
US10981092B2 (en) Filter device
US7635429B2 (en) Fluid filter element
CN101605585B (zh) 反向流自清洗流体过滤器
KR20180043437A (ko) 유체 여과용 메탈 스트레이너 조립체
KR101509234B1 (ko) 스트레이너 필터조립체
CN101247873A (zh) 过滤装置
WO2013012358A1 (ru) Трубопроводный фильтр
US6695966B1 (en) Filter element provided with an ascending pipe
CN213623306U (zh) 全自动自清洗滤水器
EP3160614B1 (de) Filtersystem und flüssigkeitsfilter
CN112005024A (zh) 过滤组件、过滤组件的安装结构及进液管组件
CN210473229U (zh) 一种三级过滤装置
RU122585U1 (ru) Самопромывной сетчатый фильтр
CN207024810U (zh) 一种净水器滤芯的组合式外壳
CN210521925U (zh) 一种高纳污高通量折叠滤芯
RU60875U1 (ru) Элемент фильтрующий
CN205699768U (zh) 一种净水装置用联体滤芯
CN205988615U (zh) 一种净水装置用联体滤芯底座结构
US20040069701A1 (en) Membrane filter
TWI818838B (zh) 逆洗完全潔淨的濾心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