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168A - 밸브 및 이와 같은 밸브를 구비한 유압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및 이와 같은 밸브를 구비한 유압 작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3168A KR20180043168A KR1020170125023A KR20170125023A KR20180043168A KR 20180043168 A KR20180043168 A KR 20180043168A KR 1020170125023 A KR1020170125023 A KR 1020170125023A KR 20170125023 A KR20170125023 A KR 20170125023A KR 20180043168 A KR20180043168 A KR 201800431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pressure chamber
- pressure
- input
- clos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1—Locking-valves or other detent i.e. load-hold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48/0206—Control by fluid pressure in a system with a plurality of fluid-actuated clutc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0—Clutch systems with a plurality of fluid-actuated clutc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2—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 F16D25/14—Fluid pressure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09—Control by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fluid valves having control pistons, e.g. spoo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1—Valves for clutch control systems; Detail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7—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 F16D2048/0233—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by rotary pump actu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7—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 F16D2048/0233—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by rotary pump actuation
- F16D2048/0245—Electrically driven rotary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57—Hydraulic circuit layouts, i.e. details of hydraulic circuit elements or the arrangement thereof
- F16D2048/0266—Actively controlled valves between pressure source and actuation cylind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57—Hydraulic circuit layouts, i.e. details of hydraulic circuit elements or the arrangement thereof
- F16D2048/0275—Two valves arranged in parallel, e.g. one for coarse and the other for fine control during supplying or draining fluid from the actuation cylind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57—Hydraulic circuit layouts, i.e. details of hydraulic circuit elements or the arrangement thereof
- F16D2048/0278—Two valves in series arrangement for controlling supply to actuation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하우징(130), 입력 압력(E1; E2)이 공급될 수 있는 입력 압력 챔버(138), 출력 압력(A1; A2)이 분기될 수 있는 출력 압력 챔버(140), 출력 압력 챔버(140)와 입력 압력 챔버(138)를 연결하기 위해 종방향(124, 126)으로 연속하는 채널(144)을 구비하여 입력 압력 챔버(138)와 출력 압력 챔버(140) 사이에서 종방향(124, 126)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폐쇄부(142), 및 입력 압력 챔버(138)에 할당되어 있고 제1 폐쇄부(142)에 마주 놓여 있는 제2 폐쇄부(154)를 구비하며, 제1 폐쇄부(142)는, 출력 압력(A1; A2)에 의하여, 제1 폐쇄부(142)가 입력 압력 챔버(138)와 출력 압력 챔버(140) 사이에서 유동 연결을 성취하면서 연속 채널(144)을 통해 제2 폐쇄부(15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열림 위치로부터, 제2 폐쇄부(154)가 연속 채널(144)의 폐쇄 중에 상기 제1 폐쇄부(142)의 밸브 시트(170)에 접하는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밸브(20; 22)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밸브(20; 22)를 구비한 유압 작동 장치(2)와도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밸브 및 이와 같은 클러치 장치용 밸브를 구비한 유압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10 2013 012 538 A1호에는, 더블 클러치 장치용 유압 작동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유압 작동 장치의 액추에이터에 대한 2개의 라인 내에는 잠금 밸브(lock valve)가 각각 하나씩 제공되어 있으며, 이 잠금 밸브에 의해서는, 잠금 밸브의 입력 압력이 줄어들더라도, 개별 액추에이터에 작용하는 출력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잠금 밸브의 잠금 해제는 다른 잠금 밸브의 입력 압력으로 압력을 공급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안전한 잠금 혹은 닫힘을 보장해주는, 클러치 장치의 유압 작동 장치를 위한 잠금 밸브 혹은 밸브를 제작하는 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과제는, 누설 손실이 특히 적은 바람직한 밸브를 구비한 유압 작동 장치를 제작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1 및 11에 명시된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밸브 하우징을 구비한다. 밸브 하우징 내부에는, 입력 압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입력 압력 챔버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 목적을 위해서는 예를 들어 입력 또는 입력 개구가 밸브 하우징 내에 제공될 수 있고, 이 입력 개구는 입력 압력 챔버로 안내된다. 더 나아가, 밸브 하우징 내에는 출력 압력 챔버가 제공되어 있고, 이 출력 압력 챔버로부터는, 예를 들어 클러치 장치용 작동 장치의 액추에이터에 공급될 수 있는 출력 압력이 분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목적을 위해서는 예를 들어 출력 개구가 하우징 내에 제공될 수 있고, 이 출력 개구를 통해서 출력 압력이 분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밸브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폐쇄부를 구비하고, 이 제1 폐쇄부는 또한 제1 폐쇄 피스톤으로서도 지칭될 수 있다. 제1 폐쇄부는 밸브 하우징 내에서 입력 압력 챔버와 출력 압력 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제1 폐쇄부가 입력 압력 챔버를 출력 압력 챔버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오히려 제1 폐쇄부가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채널을 구비하며, 이 채널은 - 적어도 제1 폐쇄부의 열림 위치에서 - 출력 압력 챔버와 입력 압력 챔버의 연결을 위해서 이용된다.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채널로서는 바람직하게 중앙에서 또는 중심에서 연속하는 채널이 다루어진다. 더 나아가, 입력 압력 챔버에는 제1 폐쇄부뿐만 아니라 제1 폐쇄부에 마주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2 폐쇄부도 할당되어 있다. 이로써, 제1 폐쇄부에 뿐만 아니라 제2 폐쇄부에도 입력 압력 챔버 내의 입력 압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 선택된 변형 실시예에 따라 - 제2 폐쇄부가 또한 제2 폐쇄 피스톤으로서도 지칭될 수 있다. 제1 폐쇄부는, 출력 압력 챔버 내의 출력 압력에 의하여, 제1 폐쇄부가 입력 압력 챔버와 출력 압력 챔버 사이에서 유동 연결을 성취하면서 연속 채널을 통해 제2 폐쇄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열림 위치로부터, 제2 폐쇄부가 연속 채널의 폐쇄 중에 제1 폐쇄부의 밸브 시트에 접하는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 압력이 유지될 필요 없이, 제1 폐쇄부의 열림 위치에서 출력 압력 챔버 내에 출력 압력을 구성함으로써 후속적으로 제1 폐쇄부를 압력에 따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로써 출력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출력 압력 챔버 쪽을 향하는 제1 폐쇄부의 유효 피스톤 단면적이 입력 압력 챔버 쪽을 향하는 제1 폐쇄부의 유효 피스톤 단면적보다 큰 경우가 바람직하다. 밸브는, 연속 채널을 구비한 이동 가능한 제1 폐쇄부의 도움으로 밸브의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가 얻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밸브의 제조가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유압 작동 장치 내부에서 공간 절약적이고 유연한 배치 상태도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1 폐쇄부의 닫힘 위치에서 밸브의 대체로 누설 없는 확실한 폐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2 폐쇄부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횡방향으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밸브의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움직일 수 있거나 밸브 하우징 내부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한 편으로는 제2 폐쇄부에서 발생 가능한 제조 부정확성 및 다른 한 편으로는 제1 폐쇄부의 밸브 시트에서 발생 가능한 제조 부정확성이 특히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보상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된다. 더욱이, 이와 같은 상황은, 제1 폐쇄부가 최대한 간극 없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통해 밸브 하우징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특히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간극을 갖는 제2 폐쇄부가 제1 폐쇄부 또는 제1 폐쇄부의 연속 채널과 확실하게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는 경우에 장점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2 폐쇄부는 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밸브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탄력적인 지지의 목적으로 특별한 스프링 요소가 사용될 수 있지만, 또한 추후에 재차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입력 압력 챔버의 밀봉을 위한 탄력적인 밀봉부를 통해서 탄력적인 지지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2 폐쇄부가 밸브의 종축에 대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폐쇄부의 종축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는, 밸브의 닫힘 위치에서 밸브의 특히 확실한 폐쇄가 보장되는데, 특별히 심지어 제2 폐쇄부의 측에 그리고 제1 폐쇄부의 밸브 시트의 측에 더 큰 제조 부정확성이 존재하거나 제1 폐쇄부와 제2 폐쇄부가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더라도, 제2 폐쇄부가 제1 폐쇄부의 밸브 시트에 특히 확실하게 접할 수 있게 된다.
밸브의 특히 간단한 구조, 경우에 따라서는 또한 제2 폐쇄부의 횡방향으로의 이동 가능성 및/또는 밸브의 종축에 대한 제2 폐쇄부의 기울어짐 가능성까지도 보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2 폐쇄부가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는, 특별히 제2 폐쇄부가 밸브 하우징 내부로 상대적으로 간단히 삽입될 수 있으며, 그밖에 추후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안전 기능이 압력 강하, 압력 손실 또는 압력 고장의 경우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폐쇄부가 제1 폐쇄부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 자신의 측에서 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는, 제2 폐쇄부가 자신의 종방향으로의 이동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폐쇄부가 닫힘 위치에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즉 제2 폐쇄부가 연속 채널의 폐쇄 중에 제1 폐쇄부의 밸브 시트에 접하는 위치에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이 보장되었다.
원칙적으로는, 지지부 및 제2 폐쇄부의 서로를 향하는 지지 측들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있거나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제2 폐쇄부의 지지 측이 지지부의 지지 측에서 전체 표면에 걸쳐 지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은 밸브의 종축에 대한 기울어짐 가능성 및/또는 횡방향으로의 이동 가능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지지부 및 제2 폐쇄부의 서로를 향하는 지지 측들은, 지지부에 지지된 제2 폐쇄부가 밸브의 종축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2 폐쇄부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일 지지 측이 예를 들어 다른 지지 측에서 아래로 굴러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지지부와 제2 폐쇄부의 2개 지지 측이 서로에 대해 완전히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태가 피해져야만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제2 폐쇄부의 지지 측이 지지부의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거나/있고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는, 지지부의 지지 측이 폐쇄부의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거나/있고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제1 폐쇄부가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폐쇄부가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제1 최종 위치로부터, 제1 폐쇄부가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2 폐쇄부가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제2 최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후자의 상황은 예를 들어, 제2 폐쇄부가 제1 폐쇄부의 연속 채널을 폐쇄하도록 제1 폐쇄부가 제2 폐쇄부에 접할 정도까지 제2 폐쇄부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음으로써 보장되었다. 따라서, 최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지지부의 도움으로 안전 기능이 구현되었으며, 이와 같은 안전 기능은, 심지어 압력 강하, 압력 손실 또는 압력 고장의 경우에 밸브를 상기와 같은 압력으로 재차 개방하기에 충분히 높은 압력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더라도 밸브의 열림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된 실시예를 토대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2 최종 위치에서 지지부에 지지된 제2 폐쇄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제1 폐쇄부가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어 있는 정지부(stop)가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지부는, 예를 들어 밸브 하우징의 일 계단에서 종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폐쇄부에 외부로 돌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압력 강하 또는 압력 손실의 경우에 지지부의 전술된 안전 기능을 자동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특히 바람직한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에 고정 압력 챔버가 할당되어 있고, 지지부를 제1 최종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압력 챔버에 입력 압력이 제공될 수 있거나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지지부는 예정된 입력 압력 하한값보다 더 작은 입력 압력의 값에서 제1 최종 위치로부터 제2 최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전기식인 추가 작동 장치에 의한 지지부의 의도된 작동이 필요치 않게 되고, 오히려 지지 피스톤으로서도 지칭될 수 있는 지지부는,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해, 입력 압력의 손실 또는 하강에 의해서 제1 최종 위치로부터 제2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폐쇄부는 자신의 열림 위치에서 압축 응력을 받는다. 이때에는, 열림 위치로 압축 응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프링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나사 압축 스프링이 제공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경우에 따라 제2 폐쇄부를 지지부에 접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열림 위치에서 제1 폐쇄부와 제2 폐쇄부 사이에 간격을 야기하기 위하여, 스프링 장치, 경우에 따라서는 나사 스프링이 한 편으로는 제1 폐쇄부에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제2 폐쇄부에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2 폐쇄부는 입력 압력 챔버가 밀봉된 상태에서 밸브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거나 밸브 하우징에서 안내된다. 이때에는, 밀봉부가 중간에 놓여 있는 실(seal) 또는 링 실(ring seal)에 의해서 구현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제2 폐쇄부의 전술된 횡방향으로의 이동 가능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더욱이, 중간에 놓여 있는 실 또는 링 실이 탄력적으로 또는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제1 폐쇄부의 잠금 위치에서 밸브의 확실한 폐쇄를 보장하기 위하여, 제2 폐쇄부는 종방향으로 돌출하는, 밸브 시트에 접하기 위한 부속물을 구비한다. 이때, 돌출하는 부속물은 링 형태로 또는 중앙 부속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속물이 원뿔 모양으로 또는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부속물이 링 형상인 경우에는 링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원뿔 모양으로 또는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부속물의 중앙이 돌출하는 경우에는 부속물 자체가 원뿔 모양으로 또는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밸브 시트는 간단히 서클 선(circle line)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써 입력 압력 챔버 쪽을 향하는 연속 채널의 입구에 있는 각진 에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밸브 시트가 원뿔 모양으로 또는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밸브 시트는 입력 압력 챔버 쪽을 향하는 연속 채널의 입구를 둘러싼다.
출력 압력이 의도에 따라 잠겨 있는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제1 폐쇄부를 안내할 수 있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폐쇄부에는 또한 열림 압력 챔버가 할당되어 있다. 제1 폐쇄부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열림 압력 챔버에 열림 압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에는, 열림 압력 챔버가 제1 폐쇄부와 밸브 하우징 사이에 있는 링 챔버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한 편으로는 제1 폐쇄부가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밸브 하우징의 가이드부와 다른 한 편으로는 제1 폐쇄부와 밸브 하우징 사이에 있는 실 사이에 열림 압력 챔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예정된 출력 압력 상한값보다 더 큰 출력 압력의 값에서 비로소 제1 폐쇄부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예정된 출력 압력 상한값은, 예를 들어 열림 위치로 제1 폐쇄부에 압축 응력을 가하기 위한 전술된 스프링 장치 또는/및 압력 공급 단면적 또는 작용 단면적으로서도 언급되는 제1 폐쇄부의 유효 피스톤 단면적에 의해서 주로 예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폐쇄부의 닫힘 위치에서의 입력 압력의 값이 닫힘 위치를 유지하면서 출력 압력 값 아래로,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예정된 입력 압력 하한값까지 강하할 수 있다.
클러치 장치용의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작동 장치는, 전술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밸브를 구비한다. 이때에는, 더블 클러치 장치용 유압 작동 장치가 2개의 클러치를 구비하여 설계된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욱이, 클러치 장치 또는 더블 클러치 장치가 다판 클러치 장치(multi-plate clutch device) 또는 더블 다판 클러치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작동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밸브에 입력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압력 공급 장치를 구비한다. 더 나아가, 작동 장치는 압력 공급 장치에 연결되는 제1 라인 섹션을 구비하고, 이 제1 라인 섹션은 회전 부싱을 통해 제2 라인 섹션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2개의 라인 섹션 및 회전 부싱은 유압유(hydraulic fluid)를 전달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때, 하나 이상의 밸브는, 이 하나 이상의 밸브가 제2 라인 섹션에 후속하거나 제2 라인 섹션 내부에 통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는, 제1 폐쇄부의 닫힘 위치에서 유지된 출력 압력이 누설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회전 부싱의 영역에서도 작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오히려, 회전 부싱의 영역에서는 강하되었거나 강하할 수 있는 입력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더 큰 누설 손실이 피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제1 라인 섹션이 고정된 상태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예를 들어 고정식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2 라인 섹션은 예를 들어 클러치의 허브(hub) 등과 같은 회전 가능한 부품 내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1 라인 섹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특히, 예를 들어 클러치 허브와 같은 회전 가능한 부품들 내에서도 공간을 줄이는 배치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밸브의 콤팩트한 구조가 장점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하나 이상의 밸브가 제2 라인 섹션과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작동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제1 밸브의 입력 압력 챔버에 제1 입력 압력이 공급될 수 있고, 제2 밸브의 입력 압력 챔버에 제2 입력 압력이 공급될 수 있는 한편, 제1 밸브의 출력 압력 챔버에서는 제1 출력 압력이 분기될 수 있고, 제2 밸브의 출력 압력 챔버에서는 제2 출력 압력이 분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블 클러치 장치 등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장치가 또한 제1 출력 압력을 통해서 작동될 수 있는 제1 클러치용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출력 압력을 통해서 작동될 수 있는 제2 클러치용의 제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개별 액추에이터의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실린더에 개별 출력 압력이 공급될 수 있는 피스톤-실린더-배열체가 다루어질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를 토대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클러치가 예를 들어 교대로 닫히거나 열려야만 하는 경우에, 한 편으로는 제1 출력 압력을 조정할 때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제2 출력 압력을 조정할 때 균일한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 밸브의 열림 압력 챔버에는 제2 입력 압력이 공급될 수 있고, 제2 밸브의 열림 압력 챔버에는 제1 입력 압력이 공급될 수 있다.
작동 장치의 특히 콤팩트한 구조에 도달하기 위하여 그리고 또한 작동 장치의 간단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밸브가 허브 내에 있는 종방향 홀 내부로, 경우에 따라서는 블라인드 홀(blind hole) 내부로 삽입된다. 튜브 모양의 허브에서는, 하나 이상의 밸브가 튜브 모양 허브의 벽 내에 있는 종방향 홀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종방향 홀로서는, 기껏해야 유압유를 공급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라인들만 그 내부로 통하는 블라인드 홀이 다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욱이, 종방향 홀이 닫힘부에 의해서 닫힐 수 있거나 닫혀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며, 이때 종방향 홀이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된 경우에는 단 하나의 닫힘부만 필요하다. 더욱이, 관리의 목적을 위해서는, 닫힘부가 해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해체 가능한 고정부를 통해서 허브 또는 튜브 모양의 허브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게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작동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2는 열림 위치에 있는 제1 폐쇄부 및 제1 최종 위치에 있는 지지부를 구비한 작동 장치 내부에서, 도 1의 제1 밸브를 절단된 측면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닫힘 위치에 있는 제1 폐쇄부 및 제1 최종 위치에 있는 지지부를 구비한 도 2의 밸브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4는 열림 위치에 있는 제1 폐쇄부 및 제2 최종 위치에 있는 지지부를 구비한 도 2의 밸브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작동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2는 열림 위치에 있는 제1 폐쇄부 및 제1 최종 위치에 있는 지지부를 구비한 작동 장치 내부에서, 도 1의 제1 밸브를 절단된 측면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닫힘 위치에 있는 제1 폐쇄부 및 제1 최종 위치에 있는 지지부를 구비한 도 2의 밸브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4는 열림 위치에 있는 제1 폐쇄부 및 제2 최종 위치에 있는 지지부를 구비한 도 2의 밸브를 도시한다.
도 1은, 클러치 장치용의, 특히 더블 클러치 장치용의 유압 작동 장치(2)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더블 클러치 장치는 바람직하게 더블 다판 클러치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더블 다판 클러치 장치는 바람직하게 습식 주행 방식의 더블 다판 클러치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작동 장치(2)는 실제로, 이후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입력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압력 공급 장치(4), 압력 공급 장치(4)에 연결되는 제1 라인 섹션(6), 제1 라인 섹션(6)에 후속하고 회전 부싱(10)을 통해서 제1 라인 섹션(6)과 유동 연결되어 있는 제2 라인 섹션(8), 및 제2 라인 섹션(8)에 후속하는 제1 액추에이터(12) 그리고 제2 라인 섹션(8)에 후속하는 제2 액추에이터(14)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12)는 더블 클러치 장치의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제1 클러치에 할당되어 있고, 제2 액추에이터(14)는 더블 클러치 장치의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제2 클러치에 할당되어 있다.
제1 라인 섹션(6)은 - 압력 공급 장치(4)와 마찬가지로 -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형성은 제1 라인 섹션(6)이 고정식 하우징(16) 내부에 통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도 2). 그와 달리, 제2 라인 섹션(8)은, 제1 라인 섹션이 허브 내에,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허브(1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되어 있음으로써, 제1 라인 섹션(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도 2).
더 나아가, 작동 장치(2)는 제1 밸브(20) 및 제2 밸브(22)를 구비하며, 이 경우에는 2개의 밸브(20, 22)가 제2 라인 섹션(8)에 후속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들 밸브가 제2 라인 섹션(8)과 액추에이터(12 또는 14) 사이에 배치되어 있거나, 도 1에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라인 섹션(8) 내에 통합되어 있다. 이로써, 2개의 밸브(20, 22)는 제2 라인 섹션(8) 또는 클러치 허브(18)와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작동 장치(2)의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도 2에서 제1 밸브(20)에 대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밸브(20, 22)는 각각 클러치 허브(18) 내에 있는 종방향 홀(24) 내부로,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튜브 모양으로 형성된 클러치 허브(18)의 벽(26)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도 2에서 더 알 수 있는 사실은,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된 종방향 홀(24)의 개방된 단부가 닫힘부(28)에 의해서 닫힐 수 있거나 닫혀 있다는 것이며, 이 닫힘부는 바람직하게 클러치 허브(18)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1 액추에이터(12) 및 제2 액추에이터(14)는 각각 실린더(30, 32) 및 이 실린더(30, 32)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34, 36)으로 이루어진, 단일 작용하는 피스톤-실린더-배열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34, 36)에는 귀환 행정 스프링(38, 40)이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있으며, 이 경우 귀환 행정 스프링(38, 40)은, 제1 액추에이터(12)뿐만 아니라 제2 액추에이터(14)까지도 무압력 상태에서 열리거나 열림 위치로 전환 전환되는 것을 야기하며, 이 열림 위치에서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제1 클러치 및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제2 클러치가 열려 있다.
피스톤(34 또는 36)은 귀환 행정 스프링(38 또는 40)의 힘에 대항하여 제1 유압 출력 압력(A1) 또는 제2 유압 출력 압력(A2)에 의해서 닫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제1 액추에이터(12) 또는 제2 액추에이터(14)는 라인(42, 44)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라인은 한 편으로는 제1 또는 제2 액추에이터(12 또는 14)의 입력(46 또는 48)과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제1 밸브(20) 또는 제2 밸브(22)의 출력(50, 52)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밸브(20, 22)의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더 상세하게 논의된다. 라인(42 또는 44)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 측에서는, 제1 또는 제2 밸브(20, 22)의 2개의 입력(54, 56 또는 58, 60)이 각각 라인(62 또는 64)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라인은 제2 라인 섹션(8), 회전 부싱(10) 및 제1 라인 섹션(6)을 거쳐서 압력 공급 장치(4)의 제1 비례 밸브(66) 또는 제2 비례 밸브(68)로 연장된다.
2개의 비례 밸브(66, 68)는 각각 입력(70 또는 72), 라인(62 또는 64)과 연결되어 있는 출력(74 또는 76), 및 제2 출력(78 또는 80)을 구비하며, 이 경우 제2 출력(78, 80)은 각각 하나의 개방된 유압유 용기(82)에 할당되어 있거나 이 유압유 용기로 안내된다. 2개의 비례 밸브(66, 68)는 각각, 가변적인 조절력을 갖고 전자기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마그네틱 밸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비례 밸브(66, 68)는 전자석을 각각 하나씩 구비하며, 이 경우 비례 밸브(66 또는 68)는 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전자석의 조절력은 개별 비례 밸브(66, 68)의 스프링 요소의 복원력에 대항해서 작용하며, 이 경우 제1 비례 밸브(66) 및 제2 비례 밸브(68)는 관련 스프링 요소에 의해서 닫힘 위치로 압축 응력을 받고, 이 닫힘 위치에서는 개별 비례 밸브(66, 68)의 입력(70 또는 72)과 출력(74 또는 76) 사이에서의 관류가 차단되어 있다. 더 나아가, 개별 비례 밸브(66, 68)의 제2 출력(78 또는 80)은 전술된 닫힘 위치에서 개별 비례 밸브(66, 68)의 출력(74 또는 76)과 유동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비례 밸브(66, 68)의 작동은 관련 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전류 인가에 의해서 비례 밸브(66, 68)가 더 강하게 또는 덜 강하게 열림 위치로 조정된다.
라인(62)을 통해서는, 제1 비례 밸브(66)의 출력(74)에서 제1 비례 밸브(66)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제1 유압 입력 압력(E1)이 분기될 수 있는 한편, 라인(64)을 통해서는 제2 비례 밸브(68)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제2 유압 입력 압력(E2)이 분기될 수 있다. 제1 밸브(20)는, 제1 밸브(20) 또는 추후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이 제1 밸브의 제1 폐쇄부가 닫힘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밸브가 라인(42)으로부터 라인(62) 내부로의 관류를 차단하거나 제1 액추에이터(12)의 입력(46)으로부터 제1 비례 밸브(66)의 출력(74)으로의 관류를 막도록 라인(42)과 라인(6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제1 밸브(20)가 이 제1 밸브의 출력(50)으로부터 상기 제1 밸브의 입력(54, 56)으로의 관류를 막는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2 밸브(22)는, 제2 밸브(22) 또는 추후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이 제2 밸브의 제1 폐쇄부가 닫힘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제2 밸브가 라인(44)으로부터 라인(64) 방향으로의 관류를 차단하거나 제2 액추에이터(14)의 입력(48)으로부터 제2 비례 밸브(68)의 출력(76)으로의 관류를 막도록 라인(44)과 라인(6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제2 밸브(22) 또는 추후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이 제2 밸브의 제1 폐쇄부가 닫힘 위치로 전환되면, 제2 밸브(22)의 출력(52)으로부터 입력(58, 60)으로의 관류가 차단된다. 만전을 기하기 위해 언급할 사실은, 라인(62, 74) 내부에 필터(참조 부호 없음)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1 비례 밸브(66)의 입력(70)에 뿐만 아니라 제2 비례 밸브(68)의 입력(72)에도, 시스템 압력으로서도 지칭될 수 있는 유압 메인 압력(P)이 인가된다. 이 목적을 위해 입력(70, 72)은 각각 라인(84, 86)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라인은 개별 비례 밸브(66 또는 68)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 자신의 측에 있는 라인 연결점(88) 내에서 합쳐지며, 이 경우 라인(84, 68) 내부에는 필터(참조 부호 없음)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입력(70, 72)에 인가되는 유압 메인 압력(P)은 라인 연결점(88)에 할당된 유압 펌프(90)에 의해서 발생하며, 이 유압 펌프에는 유압유 용기(92)로부터 필터(참조 부호 없음)를 통해서 유압유가 공급된다. 입력(70, 72)에서 허용되지 않을 정도로 높은 압력을 피하거나 유압 메인 압력(P)을 제한하기 위하여, 초과압 밸브(94)가 더 제공되어 있으며, 이 초과압 밸브는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 하중을 받는 체크 밸브로서 형성되어 있고, 라인 연결점(88)에 할당되어 있다. 초과압 밸브(94)는 라인 연결점(88)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 자신의 측에서 유압유 용기(96)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밸브(20)는 제2 입력 압력(E2)에 의해서 잠금 해제될 수 있는 한편, 제2 밸브(22)는 제1 입력 압력(E1)에 의해서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1 제어 라인(98)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제1 제어 라인은 라인 연결점(100)에서 라인(64) 내부와 통하고 제1 밸브(20)에 있는 제어 입력(102)으로 안내되는 한편, 제2 제어 라인(104)이 더 제공되어 있으며, 이 제2 제어 라인은 라인 연결점(106)에서 라인(62) 내부와 통하고 제2 밸브(22)에 있는 제어 입력(108)으로 안내된다. 이로써, 제1 밸브(20)는 제1 제어 라인(98)을 통해서 제2 입력 압력(E2)을 공급받을 수 있는 한편, 제2 밸브(22)는 제2 제어 라인(104)을 통해서 제1 입력 압력(E1)을 공급받을 수 있다. 언급할 사실은, 제1 또는 제2 밸브(20 또는 22)의 잠금 해제를 위해서 이용되는 제2 또는 제1 입력 압력(E2 또는 E1)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어 라인(98, 104) 내에 원칙적으로 또한 스로틀 또는 그와 유사한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2개 밸브(20, 22)의 구조 그리고 제1 밸브(20)의 예에서 이들 밸브가 유압 작동 장치(2) 내부에 결합하는 상황이 더 상세하게 기술되며, 이 경우 제1 밸브(20)에 대한 진술은 상응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제2 밸브(22)에 적용된다.
도 2에는, 작동 장치(2)를 통해서 작동될 수 있고 도 2에 다만 클러치 허브(18)만 지시되어 있는 더블 클러치 장치의 서로 반대인 축 방향(110, 112), 서로 반대인 방사 방향(114, 116) 및 서로 반대인 원주 방향(118, 120)이 상응하는 화살표들을 참조해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도 2에는 또한 더블 클러치 장치의 축 방향(110, 112)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122)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밸브(20)는 서로 반대인 종방향(124, 126)으로 연장되며, 이 경우 종방향(124, 126)으로 연장되는 밸브(20)의 종축(128)은 더블 클러치 장치의 회전축(122)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밸브(20)는, 제1 종방향 섹션(132), 종방향(124)으로 제1 종방향 섹션(132)에 후속하는 제2 종방향 섹션(134) 및 종방향(124)으로 제2 종방향 섹션(134)에 후속하는 제3 종방향 섹션(136)을 갖춘 실질적으로 튜브 모양의 밸브 하우징(130)을 구비하며, 이 경우 제2 종방향 섹션(134)은 제1 및 제3 종방향 섹션(132, 136)보다 더 작은 내부 직경을 갖고, 가이드 섹션(134)으로서도 지칭될 수 있다. 제1 종방향 섹션(132) 내에는 입력 개구 형상의 입력(54)이 제공되어 있는 한편, 제3 종방향 섹션(136) 내에는 출력 개구 형상의 출력(50)뿐만 아니라 제어 입력 개구 형상의 제어 입력(102)도 제공되어 있다.
입력(54)이 입력 압력 챔버(138)로 안내되고, 이로써 입력 압력 챔버에 제1 입력 압력(E1)이 공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밸브 하우징(130) 내에는 출력 압력 챔버(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출력 압력 챔버로부터 제1 액추에이터(12)에 의해 출력(50)을 통해서 전술된 제1 출력 압력(A1)이 분기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130) 내부에는 또한 제1 폐쇄 피스톤으로서도 지칭될 수 있는 제1 폐쇄부(142)가 배치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튜브 모양으로 형성된 제1 폐쇄부(142)는 종방향(124, 126)으로 한 편으로는 입력 압력 챔버(138)와 다른 한 편으로는 출력 압력 챔버(14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1 폐쇄부(142)는 종방향(124, 126)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밸브 하우징(130)의 제2 종방향 섹션(134)에서 안내된다. 또한, 제1 폐쇄부(142)는 종방향(124, 126)으로 연속하는 채널(144)을 구비하며, 이 채널은 적어도 제1 폐쇄부(142)의 도 2에 도시된 열림 위치에서는 입력 압력 챔버(138)와 출력 압력 챔버(140) 간의 유동 연결을 위해서 이용된다. 이때, 제1 폐쇄부(142)는 밸브 하우징(130)의 제2 종방향 섹션(134)에서 대체로 간극 없이 종방향(124, 126)에 대해 횡방향으로 안내되며, 이 경우에는, 제2 종방향 섹션(134)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제1 폐쇄부(142)의 간극이 추후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제2 폐쇄부의 횡방향으로의 간극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폐쇄부(142)는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정지부(146)를 구비하고, 이 정지부는 - 추후에 재차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 종방향(126)으로는 제2 종방향 섹션(134)의 종방향(124)을 향하는 정면에서 지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지부(14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밸브 하우징(130)의 제3 종방향 섹션(136) 내에는 링 형상의 열림 압력 챔버(1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열림 압력 챔버는 내부로는 제1 폐쇄부(142)에 의해서, 외부로는 밸브 하우징(130)에 의해서, 종방향(126)으로는 제2 종방향 섹션(134)의 정면에 의해서 그리고 종방향(124)으로는 제1 폐쇄부(142)에 있는 외부로 돌출하는 부속물(150)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부속물(150)은 재차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더욱이 밀봉 수단(52)이 내부에 놓여 있는 그루브(groove)를 구비하며, 이 경우 밀봉 수단(152)은 출력 압력 챔버(140)에 대하여 열림 압력 챔버(148)를 밀봉시킨다. 열림 압력 챔버(148)가 제어 입력(102)에 할당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열림 압력 챔버(148)에는 제2 입력 압력(E2) 형태의 열림 압력이 공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밸브 하우징(130)의 제1 종방향 섹션(132) 내에는 입력 압력 챔버(138)에 할당된 제2 폐쇄부(154)가 배치되어 있다. 제2 폐쇄부(154)는 종방향(126)으로 제1 폐쇄부(142)에 마주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폐쇄부(154)는 종방향(124, 126)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밸브 하우징(130)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2 폐쇄부(154)는 제1 폐쇄부(142)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 자신의 측에서, 이로써 종방향(126)으로, 추후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지지부(156)에서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폐쇄부(154)는 베이스 섹션(158)을 구비하고, 이 베이스 섹션은 실질적으로 밸브 하우징(130)의 주변을 둘러싸는 내벽까지 연장된다. 베이스 섹션(158)에는 종방향(124)으로 돌출하는 중앙 부속물(160)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돌출하는 부속물(160)은 원뿔 모양으로 또는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볼 섹션 형상으로 제1 폐쇄부(142)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더 나아가, 제2 폐쇄부(154)는 밸브 하우징(130)의 제1 종방향 섹션(142) 내에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또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2 폐쇄부(154)는 횡방향으로 밸브 하우징(13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제2 폐쇄부(154)의 베이스 섹션(158)은 외부로 향하는, 제1 종방향 섹션(132) 쪽을 향하는 자신의 측에서, 제2 폐쇄부(154)가 도 2에 따른 기본 정렬과 달리 밸브(20)의 종축(128)에 대하여 그리고 이로써 제1 폐쇄부(142)의 종축에 대해서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편으로는 입력 압력 챔버(138)의 밀봉을 구현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밸브 하우징(130) 내부에서 제2 폐쇄부(154)의 횡방향으로 탄력적인 배치 상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폐쇄부(154) 또는 이 폐쇄부의 베이스 섹션(158)은 중간에 놓인 탄성적이거나 탄력적으로 형성된 실 또는 링 실(162)에 의해 밸브 하우징(130)의 제1 종방향 섹션(132)에서 지지 또는 안내된다.
지지부(156) 및 제2 폐쇄부(154)의 종방향(110, 112)으로 서로를 향하는 지지 측(164, 166)은, 이들 지지 측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지 않거나 완전히 평행하게 형성되지 않고, 오히려 지지부(156)에 지지된 제2 폐쇄부(154)가 밸브(20)의 종축(128)에 대하여 그리고 또한 제1 폐쇄부(142)의 종축에 대하여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거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계 또는 형성은, 원하는 경사에 도달하기 위하여, 일 지지 측(164 또는 166)이 다른 지지 측(166 또는 164)에서 아래로 굴러갈 수 있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폐쇄부(154)의 지지 측(166)이 지지부(156)의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거나 전방으로 튀어나와 있거나/있고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지지 측(164)은 휘어지지 않았거나 구부러지지 않은 평면을 형성한다. 원칙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측(164, 166)의 형성이 또한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원칙적으로는 또한 2개의 지지 측(164, 166)이 구부러져 있거나, 앞으로 튀어나와 있거나/있고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입력 압력 챔버(138)는 종방향(124)으로는 실제로 밸브 하우징(130) 및 제1 폐쇄부(142)에 의해서, 종방향(126)으로는 제2 폐쇄부(154)에 의해서 그리고 횡방향으로는 밸브 하우징(130)의 제1 종방향 섹션(132)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입력 압력 챔버(138)에는 입력(54)을 통해 입력 압력(E1)이 공급될 수 있다. 입력 압력 챔버(138) 내부에는 또한 스프링 장치(168)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 나사 스프링 또는 나사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열림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1 폐쇄부(142)에 압축 응력을 가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때, 스프링 장치(168)는 종방향(126)으로 제2 폐쇄부(154)의 베이스 섹션(158)에 지지되어 있거나 지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출하는 부속물(160)은 종방향(124)으로 스프링 장치(168)의 나사 스프링 또는 나사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한편, 스프링 장치(168)는 또한 종방향(124)으로 제1 폐쇄부(142)에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 장치(168)는, 제1 폐쇄부(142)의 일 섹션도 종방향(112)으로 나사 스프링 또는 나사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제1 폐쇄부(142)에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스프링 장치(168)는, 한 편으로는 종방향(126)으로 지지부(156)를 향하도록 제2 폐쇄부(154)에 압축 응력을 가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제1 폐쇄부(142)를 열림 위치로 밀기 위하여 상기 제1 폐쇄부(142)에 종방향(124)으로 압축 응력을 가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제1 폐쇄부(142)는, 이 제1 폐쇄부가 출력 압력(A1)에 의해서, 상기 제1 폐쇄부(142)가 연속 채널(144)을 통해 입력 압력 챔버(138)와 출력 압력 챔버(140) 간에 유동 연결을 성취하면서 제2 폐쇄부(15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도 2에 따른 열림 위치로부터, 제2 폐쇄부(154)가 연속 채널(144)의 폐쇄에 의해 제1 폐쇄부(142)의 밸브 시트(170)에 접하는 도 3에 따른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도 3에 따른 제1 폐쇄부(142)의 닫힘 위치에서는 돌출하는 부속물(160)이 제1 폐쇄부(142)의 밸브 시트(170)에 접하며, 이 경우 밸브 시트(170)는 입력 압력 챔버(138) 쪽을 향하는 연속 채널(144)의 입구(172)를 둘러싸고, 본 실시예에서는 원뿔 모양으로 또는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닫힘 위치(도 3)에서는, 돌출하는 부속물(160)이 종방향(124)으로 연속 채널(144)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긴다.
밸브(20)의 기능 방식에 대해 더 상세하게 논의하기 전에, 이하에서는 먼저 지지부(156) 및 이 지지부의 주변 영역에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지지부(156)는 실제로 종방향(124, 126)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피스톤의 전술된 지지 측(164)은 제2 폐쇄부(154)를 지지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제2 폐쇄부(154) 쪽을 향하고 있다. 그와 달리, 지지 피스톤으로서도 지칭될 수 있는 지지부(156)의 종방향(126)으로 다른 쪽을 향하는 측면(174)은 종방향(126)으로 고정 압력 챔버(176) 쪽을 향하고 있으며, 이 고정 압력 챔버에는 전술된 입력(56)을 통해 제1 입력 압력(E1)이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서 더 알 수 있는 사실은, 지지부(156)가 밸브 하우징(130) 내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클러치 허브(18) 내부에서 실제로 전술된 종방향 홀(24)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며, 이 경우 지지부(156)에는, 고정 압력 챔버(176)를 주변에 대하여 밀봉하기 위하여 외부에 놓인 실(178)이 제공되어 있다. 지지부(156)는,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지지부(156)가 종방향(124)으로 밸브 하우징(130)의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제1 최종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지지부(156)가 본 실시예에서 종방향 홀(24) 내부에 있는 지지 링(180)에 의해 종방향(126)으로 클러치 허브(18)에 지지되어 있는 제2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지지부(156)는 또한 밸브 하우징(1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그 내부에서 안내될 수 있으며, 제1 최종 위치에서 예를 들어 정지부에 또는 밸브 하우징(130)에 있는 일 계단에 종방향(124)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전술된 내용에 보완적으로 더 언급할 사실은, 지지부(156)가 고정 압력 챔버(176) 쪽을 향하는 원형의 유효 피스톤 단면적(F1)을 갖고, 제2 폐쇄부(154)가 입력 압력 챔버(138) 쪽을 향하는 원형의 유효 피스톤 단면적(F2)을 가지며, 제1 폐쇄부(142)가 입력 압력 챔버(138) 쪽을 향하는 링 형상의 유효 피스톤 단면적(F3)을 갖고, 제1 폐쇄부(142)가 열림 압력 챔버(148) 쪽을 향하는 링 형상의 유효 피스톤 단면적(F4)을 가지며, 제1 폐쇄부(142)가 출력 압력 챔버(140) 쪽을 향하는 링 형상의 유효 피스톤 단면적(F5)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F1 > F2 > F1 > F2 > F3이 적용된다.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폐쇄부(142)는 오로지 스프링 장치(168)의 힘과 더불어 입력 압력 챔버(138), 출력 압력 챔버(140), 열림 압력 챔버(148) 및 고정 압력 챔버(176) 내의 압력에 의해서만 전술된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이동되며, 이 경우에는 제1 폐쇄부(142), 제2 폐쇄부(154) 또는 지지부(156)를 이동시키기 위한 또 다른 구동 장치가 전혀 필요치 않다. 이하에서 정확한 기능 방식이 재차 상세하게 기술된다.
이하의 설명은, 2개의 액추에이터(12 및 14)가 처음에는 작동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으로 개방된 클러치로서 형성되어야만 하는 관련 클러치가 개방되어 있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한다. 하지만, 만전을 기하기 위해 언급할 사실은, 밸브(20; 22) 또는 유입 작동 장치(2)에 의해 에너지 소비가 적은 상태에서 자신들의 열림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통상적으로 폐쇄된 클러치도 다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제1 액추에이터(12)가 관련 제1 클러치를 닫을 목적으로 작동되어야만 하는 경우에는, 제1 입력 압력(E1)이 증가하게 되며, 이 경우 입력 압력 챔버(138) 및 고정 압력 챔버(176)에는 라인(62) 및 입력(54 또는 56) 및 라인(62)을 통해 제1 입력 압력(E1)이 공급된다. 제1 입력 압력(E1)의 값이 예정된 입력 압력 하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1 입력 압력(E1)은 고정 압력 챔버(176) 내부에서 지지부(156)가 도 2에 도시된 제1 최종 위치로 확실하게 가압되는 상황을 야기하며, 이와 같은 제1 최종 위치에서는 제2 폐쇄부(154)가 종방향(126)으로, 제1 폐쇄부(142)가 도 2에 따른 열림 위치로뿐만 아니라 도 3에 따른 닫힘 위치로도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부(156)에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따른 열림 위치에 있는 제1 폐쇄부(142)의 도움으로, 입력 압력 챔버(138)가 연속 채널(144)을 통해 출력 압력 챔버(140)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 입력 압력(E1)의 증가는 유사하게 제1 출력 압력(A1)의 증가를 야기하게 되며, 제1 출력 압력은 출력(42)에서 분기되어 액추에이터(12)의 작동을 야기하고, 이로써 관련 제1 클러치의 닫힘을 야기한다.
유효 피스톤 단면적(F3 및 F5)의 전술된 크기 비율로 인해, 제1 출력 압력(A1)의 증가는, 예정된 출력 압력 상한값보다 더 큰 제1 출력 압력(A1)의 값에서 제1 폐쇄부(142)가 도 2에 따른 열림 위치로부터 종방향(126)으로 도 3에 따른 닫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상황을 야기한다. 이때, 이와 같은 이동은, 유효 피스톤 단면적(F3)과 더불어 입력 압력 챔버(138) 내의 제1 입력 압력(E1)으로 인해 그리고 스프링 장치(168) 내에서의 복원력으로 인해 종방향(124)으로 제1 폐쇄부(142)에 작용하는 힘을 극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1 폐쇄부(142)가 도 3에 따른 닫힘 위치에 도달했다면, 압력 공급 장치(4)를 통해서 공급되는 제1 입력 압력(E1)이 감소할 수 있는 한편, 닫힘 위치는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1 입력 압력(E1)은 특히 제1 출력 압력(A1)의 값 아래로 강하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강하는, 이때 강하된 제1 입력 압력(E1)을 토대로 해서 지지부(156)를 고정 압력 챔버(176) 내부에서 도 2 및 도 3에 따른 제1 최종 위치에 계속적으로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기껏해야 예정된 입력 압력 하한값까지만 이루어져야 한다.
제1 밸브(20)의 전술된 형성에 의해서는, 제1 폐쇄부(142)와 제2 폐쇄부(154)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 이들 폐쇄부의 특히 확실하고도 누설 없는 닫힘만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작동 장치(2) 내부에서는 회전 부싱(10)의 영역에서, 특히 이때부터 감소된 제1 입력 압력(E1)이 주도하는 라인(62) 내에서 발생 가능한 누설 손실도 피해진다.
제1 액추에이터(12)가 관련 제1 클러치의 열림을 위해 재차 해체되어야만 하고, 제1 액추에이터(14)가 관련 제2 클러치의 닫힘을 목적으로 작동되어야만 하는 경우에는, 제1 입력 압력(E1) 뿐만 아니라 제2 입력 압력(E2)도 증가한다. 이로써, 입력 압력 챔버(138) 내부에서의 제1 입력 압력(E1) 뿐만 아니라 열림 압력 챔버(148) 내부에서의 열림 압력까지도 증가하게 되며, 이 경우 전술된 열림 압력은 제2 입력 압력(E2)에 상응한다. 이때, 제2 밸브(22)가 제1 밸브(20)를 참조해서 이전에 기술된 방식으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스프링 장치(168)의 스프링력, 유효 피스톤 단면적(F3)과 더불어 입력 압력 챔버(138) 내의 제1 입력 압력(E1)으로부터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힘, 및 유효 피스톤 단면적(F4)과 더불어 열림 압력 챔버(148) 내의 제2 입력 압력(E2)으로부터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힘에 의해서, 유효 피스톤 단면적(F5)과 더불어 출력 압력 챔버(140) 내부의 제1 출력 압력(A1)으로부터 제1 폐쇄부(142)에 작용하는 힘에 대항해서 제1 폐쇄부(142)가 종방향(124)으로 이동하는 상황이 야기되며, 그 결과 상기 제1 폐쇄부는 재차 도 2에 따른 열림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도 3의 잠금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압력 공급 장치(4)에서 압력 손실 또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고, 그 결과로 제1 입력 압력(E1)의 값이 예정된 입력 압력 하한값 아래로 또는 심지어 0까지 떨어지면, 이동 불가능한 지지부(156)는, 제1 폐쇄부(142)가 도 1에 따른 자신의 닫힘 위치에 영구적으로 유지되고, 제1 액추에이터(12) 및 관련 제1 클러치가 영구적으로 작동된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단점을 피하기 위하여, 지지부(156)는 전술된 방식으로 종방향(124, 126)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입력 압력(E1)의 값이 고정 압력 챔버(176) 내에서 예정된 입력 압력 하한값 아래로 떨어지면, 유효 피스톤 단면적(F1)과 더불어 고정 압력 챔버(176) 내의 제1 입력 압력(E1)으로부터 결과적으로 나타나고 지지부(156)에 종방향(124)으로 작용하는 힘은 지지부(156)를 도 3에 도시된 제1 최종 위치에 고정시키기에 더 이상 충분치 않게 되며, 특히 출력 압력 챔버(140) 내의 제1 출력 압력(A1)으로 인해 제1 폐쇄부(142)에 반대 종방향(126)으로 작용하는 그리고 연속 채널(144) 내의 제1 출력 압력(A1)으로 인해 제2 폐쇄부(154)에 반대 종방향(126)으로 작용하는 힘이 더 크게 된다. 그 결과, 지지부(156)는 종방향(126)으로 도 4에 따른 제2 최종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최종 위치에서는, 제1 폐쇄부(142)가 더 이상 자신의 닫힘 위치로 이동될 수 없도록, 특히 정지부(146)가 종방향(126)으로 밸브 하우징(130)의 제2 종방향 섹션(134)의 정면에 지지되도록, 제2 폐쇄부(154)가 지지부(156)에 지지되어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이렇게 함으로써는, 압력 공급 장치(4)가 압력 손실 또는 압력 강하를 경험하거나 압력 공급 장치가 완전히 고장인 경우에, 제1 밸브(20)의 열림 및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제1 클러치의 열림을 야기하는 안전 기능이 만들어진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사실은, 지지부(156) 및 제2 폐쇄부(154)가 원칙적으로는 또한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체형 형성에 의해서는 제2 폐쇄부(154)가 횡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가능성 및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한되거나 어려워지기 때문에, 2개 부분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를 향하고 있는 지지측(164, 166) 사이에 챔버(182)가 제공되어 있고, 이 챔버가 하나 이상의 진공화 또는 환기 개구(184)를 통해서 배기되거나 진공화될 수 있는 경우에도, 2개 부분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작동 장치
4: 압력 공급 장치
6: 제1 라인 섹션
8: 제2 라인 섹션
10: 회전 부싱
12: 제1 액추에이터
14: 제2 액추에이터
16: 고정식 하우징
18: 클러치 허브
20: 제1 밸브
22: 제2 밸브
24: 종방향 홀
26: 벽
28: 닫힘부
30: 실린더
32: 실린더
34: 피스톤
36: 피스톤
38: 귀환 행정 스프링
40: 귀환 행정 스프링
42: 라인
44: 라인
46: 입력
48: 입력
50: 출력
52: 출력
54: 입력
56: 입력
58: 입력
60: 입력
62: 라인
64: 라인
66: 제1 비례 밸브
68: 제2 비례 밸브
70: 입력
72: 입력
74: 출력
76: 출력
78: 제2 출력
80: 제2 출력
82: 유압유 용기
84: 라인
86: 라인
88: 라인 연결점
90: 유압 펌프
92: 유압유 용기
94: 초과압 밸브
96: 유압유 용기
98: 제1 제어 라인
100: 라인 연결점
102: 제어 입력
104: 제2 제어 라인
106: 라인 연결점
108: 제어 입력
110: 축 방향
112: 축 방향
114: 방사 방향
116: 방사 방향
118: 원주 방향
120: 원주 방향
122: 회전 축
124: 종 방향
126: 종 방향
128: 종축
130: 밸브 하우징
132: 제1 종방향 섹션
134: 제2 종방향 섹션
136: 제3 종방향 섹션
138: 입력 압력 챔버
140: 출력 압력 챔버
142: 제1 폐쇄부
144: 연속 채널
146: 정지부
148: 열림 압력 챔버
150: 부속물
152: 밀봉 수단
154: 제2 폐쇄부
156: 지지부
158: 베이스 섹션
160: 부속물
162: 실
164: 지지 측
166: 지지 측
168: 스프링 장치
170: 밸브 시트
172: 입구
174: 측면
176: 고정 압력 챔버
178: 실
180: 지지 링
182: 챔버
184: 배기-/진공화 개구
A1: 제1 출력 압력
A2: 제2 출력 압력
E1: 제1 입력 압력
E2: 제2 입력 압력
F1: 유효 피스톤 단면적
F2: 유효 피스톤 단면적
F3: 유효 피스톤 단면적
F4: 유효 피스톤 단면적
F5: 유효 피스톤 단면적
P: 유압 메인 압력
4: 압력 공급 장치
6: 제1 라인 섹션
8: 제2 라인 섹션
10: 회전 부싱
12: 제1 액추에이터
14: 제2 액추에이터
16: 고정식 하우징
18: 클러치 허브
20: 제1 밸브
22: 제2 밸브
24: 종방향 홀
26: 벽
28: 닫힘부
30: 실린더
32: 실린더
34: 피스톤
36: 피스톤
38: 귀환 행정 스프링
40: 귀환 행정 스프링
42: 라인
44: 라인
46: 입력
48: 입력
50: 출력
52: 출력
54: 입력
56: 입력
58: 입력
60: 입력
62: 라인
64: 라인
66: 제1 비례 밸브
68: 제2 비례 밸브
70: 입력
72: 입력
74: 출력
76: 출력
78: 제2 출력
80: 제2 출력
82: 유압유 용기
84: 라인
86: 라인
88: 라인 연결점
90: 유압 펌프
92: 유압유 용기
94: 초과압 밸브
96: 유압유 용기
98: 제1 제어 라인
100: 라인 연결점
102: 제어 입력
104: 제2 제어 라인
106: 라인 연결점
108: 제어 입력
110: 축 방향
112: 축 방향
114: 방사 방향
116: 방사 방향
118: 원주 방향
120: 원주 방향
122: 회전 축
124: 종 방향
126: 종 방향
128: 종축
130: 밸브 하우징
132: 제1 종방향 섹션
134: 제2 종방향 섹션
136: 제3 종방향 섹션
138: 입력 압력 챔버
140: 출력 압력 챔버
142: 제1 폐쇄부
144: 연속 채널
146: 정지부
148: 열림 압력 챔버
150: 부속물
152: 밀봉 수단
154: 제2 폐쇄부
156: 지지부
158: 베이스 섹션
160: 부속물
162: 실
164: 지지 측
166: 지지 측
168: 스프링 장치
170: 밸브 시트
172: 입구
174: 측면
176: 고정 압력 챔버
178: 실
180: 지지 링
182: 챔버
184: 배기-/진공화 개구
A1: 제1 출력 압력
A2: 제2 출력 압력
E1: 제1 입력 압력
E2: 제2 입력 압력
F1: 유효 피스톤 단면적
F2: 유효 피스톤 단면적
F3: 유효 피스톤 단면적
F4: 유효 피스톤 단면적
F5: 유효 피스톤 단면적
P: 유압 메인 압력
Claims (13)
- 밸브 하우징(130), 입력 압력(E1; E2)이 공급될 수 있는 입력 압력 챔버(138), 출력 압력(A1; A2)이 분기될 수 있는 출력 압력 챔버(140), 상기 출력 압력 챔버(140)와 상기 입력 압력 챔버(138)를 연결하기 위해 종방향(124, 126)으로 연속하는 채널(144)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 압력 챔버(138)와 상기 출력 압력 챔버(140) 사이에서 종방향(124, 126)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폐쇄부(142), 및 상기 입력 압력 챔버(138)에 할당되어 있고 상기 제1 폐쇄부(142)에 마주 놓여 있는 제2 폐쇄부(154)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폐쇄부(142)는, 출력 압력(A1; A2)에 의하여, 상기 제1 폐쇄부(142)가 입력 압력 챔버(138)와 출력 압력 챔버(140) 사이에서 유동 연결을 성취하면서 연속 채널(144)을 통해 제2 폐쇄부(15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열림 위치로부터, 제2 폐쇄부(154)가 연속 채널(144)의 폐쇄 중에 상기 제1 폐쇄부(142)의 밸브 시트(170)에 접하는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밸브(20; 2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폐쇄부(154)가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폐쇄부(154)는 바람직하게 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20; 22).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폐쇄부(154)가 밸브(20; 22)의 종축(128)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20; 22).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폐쇄부(154)가 종방향(124, 126)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폐쇄부(154)는 바람직하게 제1 폐쇄부(142)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 자신의 측에서 지지부(156)에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56) 및 상기 제2 폐쇄부(154)의 서로를 향하는 지지 측(164, 166)은 특히 바람직하게 지지부(156)에 지지된 제2 폐쇄부(154)가 밸브(20; 22)의 종축(128)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2 폐쇄부(154)의 지지 측(166)이 상기 지지부(156)의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거나/있고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있고 상기 지지부(156)의 지지 측(164)이 제2 폐쇄부(154)의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거나/있고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20; 22).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56)는, 제1 폐쇄부(142)가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폐쇄부(154)가 지지부(156)에 지지되어 있는 제1 최종 위치로부터, 제1 폐쇄부(142)가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2 폐쇄부(154)가 지지부(156)에 지지되어 있는 제2 최종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정지부(146)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정지부에는 제1 폐쇄부(142)가 제2 최종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156)에 지지된 제2 폐쇄부(154)로부터 간격을 두고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56)에는 특히 바람직하게 고정 압력 챔버(176)가 할당되어 있고, 상기 고정 압력 챔버에는 지지부(156)를 제1 최종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입력 압력(E1; E2)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56)는 예정된 입력 압력 하한값보다 더 작은 입력 압력(E1; E2)의 값에서 제1 최종 위치로부터 제2 최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20; 22).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부(142)가 열림 위치로 압축 응력을 받으며, 바람직하게는 열림 위치로 압축 응력을 가하기 위해 스프링 장치(168), 경우에 따라서는 나사 압축 스프링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장치가 바람직하게 한 편으로는 제1 폐쇄부(142)에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제2 폐쇄부(154)에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20; 22).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폐쇄부(154)가 입력 압력 챔버(138)의 밀봉 상태에서 밸브 하우징(130)에 지지되거나 안내되며, 바람직하게는 중간에 놓여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력적으로 또는 탄성적으로 형성된 실(162) 또는 링 실(162)에 의해서 지지되거나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20; 22).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폐쇄부(154)가 밸브 시트(170)에 접하기 위한, 종방향(124, 126)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하게는 원뿔 모양의 또는 볼 섹션 형상의 부속물(160)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 시트(170)는 특히 바람직하게 연속 채널(144)의 입력 압력 챔버(138) 쪽을 향하는 입구(172)를 둘러싸거나/둘러싸고 원뿔 모양으로 또는 볼 섹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20; 22).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부(142)에 열림 압력 챔버(148)가 더 할당되어 있으며, 제1 폐쇄부(142)를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열림 압력 챔버에 열림 압력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20; 22).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부(142)는, 예정된 출력 압력 상한값보다 더 큰 출력 압력(A1; A2)의 값에서 비로소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거나/있고 닫힘 위치에서는 입력 압력(E1; E2)의 값이 닫힘 위치를 유지하면서 출력 압력(A1; A2)의 값 아래로, 바람직하게는 예정된 입력 압력 하한값까지 강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20; 22).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밸브(20; 22)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입력 압력(E1; E2)을 공급하기 위한 압력 공급 장치(4), 그에 후속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정지 상태에 있는 제1 라인 섹션(6) 및 회전 부싱(10)을 통해 상기 제1 라인 섹션(6)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라인 섹션(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2 라인 섹션(8)을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20; 22)가 제2 라인 섹션(8)에 후속하거나 상기 제2 라인 섹션 내부에 통합되어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2 라인 섹션(8)과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장치용의, 특히 더블 클러치 장치용의 유압 작동 장치(2).
- 제11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 밸브(20) 및 제2 밸브(22)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밸브(20)의 입력 압력 챔버(138)에는 제1 입력 압력(E1)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2 밸브(22)의 입력 압력 챔버(138)에는 제2 입력 압력(E2)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밸브(20)의 출력 압력 챔버(140)에서는 제1 출력 압력(A1)이 분기될 수 있고, 상기 제2 밸브(22)의 출력 압력 챔버(140)에서는 제2 출력 압력(A2)이 분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출력 압력(A1)을 통해서 작동될 수 있는 제1 클러치용의 제1 액추에이터(12) 및 제2 출력 압력(A2)을 통해서 작동될 수 있는 제2 클러치용의 제2 액추에이터(14)가 제공되어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밸브(20)의 열림 압력 챔버(148)에 제2 입력 압력(E2)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2 밸브(22)의 열림 압력 챔버(148)에 제1 입력 압력(E1)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2).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20; 22)가 허브(18) 내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튜브 모양 허브(18)의 벽(26) 내에 있는 종방향 홀(24)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종방향 홀(24)은 특히 바람직하게 경우에 따라 해체될 수 있는 닫힘부(28)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거나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6012472.5A DE102016012472A1 (de) | 2016-10-19 | 2016-10-19 | Ventil und hydraulische Betätigungs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Ventil |
DE102016012472.5 | 2016-10-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3168A true KR20180043168A (ko) | 2018-04-27 |
Family
ID=6176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5023A KR20180043168A (ko) | 2016-10-19 | 2017-09-27 | 밸브 및 이와 같은 밸브를 구비한 유압 작동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43168A (ko) |
CN (1) | CN107965484B (ko) |
DE (1) | DE10201601247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96286B2 (en) | 2020-02-12 | 2022-07-26 | Borgwarner Inc. | Hybrid-vehicle system |
US11180133B2 (en) | 2020-02-12 | 2021-11-23 | Borg Warner Inc. | Hybrid-vehicle system |
DE102020127947B3 (de) | 2020-10-23 | 2021-10-28 | Universität Rostock | Ventilanordnung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208841A1 (de) * | 1972-02-25 | 1973-08-30 | Bosch Gmbh Robert | Federbelastetes rueckschlagventil |
US3863992A (en) * | 1974-05-10 | 1975-02-04 | Bendix Corp | Inverting limiting relay valve with interlock |
DE3935339C2 (de) * | 1988-10-26 | 1996-02-08 | Tiefenbach Gmbh | Hydraulikventil |
JPH07293721A (ja) * | 1994-04-21 | 1995-11-10 | Kurimoto Ltd | 逆止弁のバイパス弁 |
CN2751169Y (zh) * | 2004-11-19 | 2006-01-11 | 中国农业大学 | 液控换向阀 |
CN101639133B (zh) * | 2009-09-09 | 2010-11-17 | 四川神坤装备股份有限公司 | 自动平衡阀 |
CN103363163B (zh) * | 2012-03-27 | 2015-06-17 | 上海英威腾工业技术有限公司 | 用于电液伺服注塑机的泄压阀 |
CN202769012U (zh) * | 2012-09-29 | 2013-03-06 | 北京航天星汉科技有限公司 | 先导式二位二通电磁截止阀 |
DE102013012538A1 (de) | 2013-07-27 | 2015-01-29 | Borgwarner Inc. | Hvdraulische Steuer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r Doppelkupplung und Verfahren zur hydraulischen Steuerung einer Doppelkupplung |
DE202014007070U1 (de) * | 2014-09-04 | 2015-12-08 | Neoperl Gmbh | Absperrventil |
-
2016
- 2016-10-19 DE DE102016012472.5A patent/DE102016012472A1/de active Pending
-
2017
- 2017-09-27 KR KR1020170125023A patent/KR201800431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09-28 CN CN201710905045.7A patent/CN107965484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6012472A1 (de) | 2018-04-19 |
CN107965484B (zh) | 2021-03-23 |
CN107965484A (zh) | 2018-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25830B1 (en) | Fluid control valve | |
US9482365B2 (en) | Rotary valve | |
TWI596291B (zh) | 具有扣合式座的多埠模組閥 | |
US6220272B1 (en) | In-line control valves | |
KR101369216B1 (ko) | 파일럿식 3위치 스위칭 밸브 | |
JP5456485B2 (ja) | スライド・バルブ | |
KR20180043168A (ko) | 밸브 및 이와 같은 밸브를 구비한 유압 작동 장치 | |
JP2019500558A (ja) | バルブ、特に4/2方向スライドバルブ | |
JP2012057678A (ja) | パイロット式双方向電磁弁 | |
US20080087345A1 (en) | Direct operated cartridge valve assembly | |
US9091355B2 (en) | Main stage in-line pressure control cartridge with optional reverse flow function | |
US11441693B2 (en) | Manual override assembly | |
US11300214B2 (en) | Top entry ball valve | |
US11015720B2 (en) | Closed-loop control valve module | |
JP2008014492A (ja) | カートリッジ弁組立体 | |
EP3553324B1 (en) | Valve and hydraulic system with the same | |
US9518670B2 (en) | Main stage in-line pressure control cartridge with stepped retainer collar | |
US20180195627A1 (en) | Combination valve and bidirectional flow control valve using the same | |
CN110030219B (zh) | 先导换向阀和包括所述先导换向阀的阀系统 | |
KR20190046633A (ko) | 유체용 회전식 피드스루 및 이와 같은 회전식 피드스루를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 |
US20210324961A1 (en) | Spool valve | |
CA2989323A1 (en) | Main stage in-line pressure control cartridge with stepped retainer collar | |
WO2023032576A1 (ja) | 圧力補償弁 | |
WO2017043252A1 (ja) | 複合弁及びそれを用いたソレノイドバルブ | |
EP3610143A2 (en) | A thermostat assembly with double flow enabled pressure balanced sleeve valv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