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766A -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 Google Patents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766A
KR20180042766A KR1020160135342A KR20160135342A KR20180042766A KR 20180042766 A KR20180042766 A KR 20180042766A KR 1020160135342 A KR1020160135342 A KR 1020160135342A KR 20160135342 A KR20160135342 A KR 20160135342A KR 20180042766 A KR20180042766 A KR 20180042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etector
main body
electrode detector
em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766A/ko
Publication of KR2018004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61B5/049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는 근전도 검출을 위한 전극 디텍터의 위치조정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전극 디텍터가 수술 상황이나 환자의 신체상태에 맞추어진 적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면서 근전도 계측의 정확도와 성대 움직임 확인의 정밀도가 증대될 수 있고, 전극 디텍터의 위치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져 수술효율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전극 디텍터의 설치가 단순 구조로 구현되어 낮은 제조원가를 통해서도 기능성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으며, 이중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양측 폐의 분리환기가 가능해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는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되고, 내부 통로(11)가 형성되어 환기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튜브 본체(10)와; 튜브 본체(10) 외주면을 감싸도록 튜브 본체(10)에 삽입되고, 설정 길이의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튜브 본체(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근전도 계측을 위한 전극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디텍터(20)와; 전극 디텍터(20)와 일체로 결합되고, 근전도 모니터링장치와 연결되어 전극 디텍터(20)에 의해 검출된 근전도 정보를 근전도 모니터링장치로 전달하는 연결 도선(30)을 포함하여, 환자의 신체 외부로 노출된 연결 도선(30)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전극 디텍터(20)의 이동이 유도되면서 전극 디텍터(2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Endotracheal tube with position-variable electromyography detector}
본 발명은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근전도 검출을 위한 전극 디텍터의 위치조정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전극 디텍터가 수술 상황이나 환자의 신체상태에 맞추어진 적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면서 근전도 계측의 정확도와 성대 움직임 확인의 정밀도가 증대될 수 있고, 전극 디텍터의 위치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져 수술효율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전극 디텍터의 설치가 단순 구조로 구현되어 낮은 제조원가를 통해서도 기능성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으며, 이중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양측 폐의 분리환기가 가능해질 수 있는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중환자 치료시 원활한 호흡유지는 가장 기본적인 사항으로서, 일부 중환자의 경우 기도삽관용 튜브를 통한 호흡유지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기도삽관용 튜브는 자력으로 호흡을 못하는 환자들의 호흡을 인위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환자 후두부에 삽입하여 외부 산소공급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기도삽관용 튜브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44350호 "기관삽관 이중튜브",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7933호 "기관내관 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79539호 "인공호흡용 기관삽입튜브" 등이 안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도삽관용 튜브는 단일 튜브로서 흉강 내의 수술시 양측 폐의 분리환기가 힘든 단점이 있었다.
한편 근전도 모니터링장치(EMG monitoring device)와 연결되는 EMG 기도삽관용 튜브는 흉강 내에서 폐나 식도 등의 수술과정에서 수술도구가 환자의 성대(聲帶)와 접촉하게 될 시 회귀후두신경의 자극으로 인한 성대의 움직임이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EMG 기도삽관용 튜브에는 근전도 모니터링장치와 연결된 전극 디텍터가 부착되는데, 종래 EMG 기도삽관용 튜브는 단일관 구조로 이루어졌는데, 전극 디텍터의 위치가 고정되어 수술 상황이나 환자의 신체상태에 맞추어진 적정 위치에 전극 디텍터를 배치시키는데 번거로움이 많았다. 즉, EMG 기도삽관용 튜브는 기도 삽관 후 환자의 얼굴에 고정되는 부착물에 의해 고정되는데, 수술 진행 중 전극 디텍터의 위치 조절이 필요할 경우, 환자의 얼굴에 고정되어 있는 부착물을 제거한 다음 다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환자의 피부에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었다.
그리고 이중관 구조의 기도삽관용 튜브의 경우 EMG 기도삽관용 튜브가 없었으며, EMG를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이중관 구조의 기도삽관용 튜브는 분리 폐 환기가 목적임에 따라 단일관 구조의 EMG 기도삽관용 튜브에서 처럼 위치 조정이 불가능하며, 카리나(carina)와 성대(vocal cord)까지의 거리가 환자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고정식 EMG 기도삽관용 튜브로는 실용적이지 못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44350호 "기관삽관 이중튜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7933호 "기관내관 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79539호 "인공호흡용 기관삽입튜브"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튜브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튜브 본체에 삽입되는 전극 디텍터가 연결 도선에 의해 이동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근전도 검출을 위한 전극 디텍터의 위치조정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전극 디텍터가 수술 상황이나 환자의 신체상태에 맞추어진 적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면서 근전도 계측의 정확도와 성대 움직임 확인의 정밀도가 증대될 수 있고, 전극 디텍터의 위치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져 수술효율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전극 디텍터의 설치가 단순 구조로 구현되어 낮은 제조원가를 통해서도 기능성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으며, 이중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양측 폐의 분리환기가 가능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되고, 내부 통로(11)가 형성되어 환기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튜브 본체(10)와; 튜브 본체(10) 외주면을 감싸도록 튜브 본체(10)에 삽입되고, 설정 길이의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튜브 본체(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근전도 계측을 위한 전극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디텍터(20)와; 전극 디텍터(20)와 일체로 결합되고, 근전도 모니터링장치와 연결되어 전극 디텍터(20)에 의해 검출된 근전도 정보를 근전도 모니터링장치로 전달하는 연결 도선(30)을 포함하여, 환자의 신체 외부로 노출된 연결 도선(30)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전극 디텍터(20)의 이동이 유도되면서 전극 디텍터(2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에서 전극 디텍터(20)는 5mm 이하 범위에서 설정되는 최대 이격거리값보다 작은 이격거리를 두고 튜브 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튜브 본체(1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에서 튜브 본체(10)는 신체의 기도로 삽입되어 양측 폐를 분리 환기시키는 제1튜브 유닛(12a)과 제2튜브 유닛(12b)이 일체를 이루면서 형성된 이중 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에 의하면, 근전도 검출을 위한 전극 디텍터의 위치조정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전극 디텍터가 수술 상황이나 환자의 신체상태에 맞추어진 적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면서 근전도 계측의 정확도와 성대 움직임 확인의 정밀도가 증대되고, 전극 디텍터의 위치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져 수술효율이 증대되며, 이를 위한 전극 디텍터의 설치가 단순 구조로 구현되어 낮은 제조원가를 통해서도 기능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에 의하면, 튜브 본체가 이중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양측 폐의 분리환기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기도삽관용 튜브, 전극, 전극 디텍터, 근전도 모니터링장치, 연결 도선, 이중 튜브, 근전도 계측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100)는 도 1에서와 같이 튜브 본체(10), 전극 디텍터(20), 연결 도선(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튜브 본체(10)는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 통로(11)가 형성되어 환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튜브 본체(10)는 단일 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중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본체(10)는 도 3에서와 같이 신체의 기도로 삽입되어 양측 폐를 분리 환기시키는 제1튜브 유닛(12a)과 제2튜브 유닛(12b)이 일체를 이루면서 형성된 이중 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 디텍터(20)는 도 2에서와 같이 튜브 본체(10) 외주면을 감싸도록 튜브 본체(10)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정 길이의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튜브 본체(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 디텍터(20)는 표면에 전극을 형성시켜 근전도 계측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디텍터(20)는 5mm 이하 범위에서 설정되는 최대 이격거리값보다 작은 이격거리를 두고 튜브 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튜브 본체(10)에 삽입되어 튜브 본체(1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면서도 이동이 완료된 다음에는 튜브 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디텍터(2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 전극 디텍터(20)를 근위부로 당겨낼 때에는 부드러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전극 디텍터(20)를 원위부로 밀어넣을 때에는 조건을 맞는 강성도(rigidity)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연결 도선(30)은 전극 디텍터(20)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근전도 모니터링장치와 연결되어 전극 디텍터(20)에 의해 검출된 근전도 정보를 근전도 모니터링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100)는 환자의 신체 외부로 노출된 연결 도선(30)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전극 디텍터(20)의 이동이 유도되면서 전극 디텍터(2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100)은 근전도 검출을 위한 전극 디텍터(20)의 위치조정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전극 디텍터(20)가 수술 상황이나 환자의 신체상태에 맞추어진 적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면서 근전도 계측의 정확도와 성대 움직임 확인의 정밀도가 증대될 수 있고, 전극 디텍터(20)의 위치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져 수술효율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전극 디텍터(20)의 설치가 단순 구조로 구현되어 낮은 제조원가를 통해서도 기능성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으며, 이중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양측 폐의 분리환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튜브 본체
11 : 내부 통로
12a : 제1튜브 유닛
12b : 제2튜브 유닛
20 : 전극 디텍터
30 : 연결 도선
100 :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Claims (3)

  1.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되고, 내부 통로(11)가 형성되어 환기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튜브 본체(10)와;
    튜브 본체(10) 외주면을 감싸도록 튜브 본체(10)에 삽입되고, 설정 길이의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튜브 본체(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근전도 계측을 위한 전극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디텍터(20)와;
    전극 디텍터(20)와 일체로 결합되고, 근전도 모니터링장치와 연결되어 전극 디텍터(20)에 의해 검출된 근전도 정보를 근전도 모니터링장치로 전달하는 연결 도선(30)을 포함하여,
    환자의 신체 외부로 노출된 연결 도선(30)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전극 디텍터(20)의 이동이 유도되면서 전극 디텍터(2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전극 디텍터(20)는 5mm 이하 범위에서 설정되는 최대 이격거리값보다 작은 이격거리를 두고 튜브 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튜브 본체(1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3. 제 1항에 있어서,
    튜브 본체(10)는 신체의 기도로 삽입되어 양측 폐를 분리 환기시키는 제1튜브 유닛(12a)과 제2튜브 유닛(12b)이 일체를 이루면서 형성된 이중 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KR1020160135342A 2016-10-18 2016-10-18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KR20180042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342A KR20180042766A (ko) 2016-10-18 2016-10-18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342A KR20180042766A (ko) 2016-10-18 2016-10-18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766A true KR20180042766A (ko) 2018-04-26

Family

ID=6208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342A KR20180042766A (ko) 2016-10-18 2016-10-18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7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2708A1 (en) * 2018-10-31 2020-05-07 Stryk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nerve activity within a trachea of a pati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2708A1 (en) * 2018-10-31 2020-05-07 Stryk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nerve activity within a trachea of a pati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4923B1 (en) Bougie for facilitating an intubation
US6349720B1 (en) Apparatus for acoustically determining position of an endotracheal tube
EP2512571B1 (en) Cuffless tracheal tube
AU2014343497B2 (en) Airway tube
BR112016015900B1 (pt) Acessório de intubação
US11285287B2 (en) Tracheostomy or endotracheal tube adapter for speech
US10729873B2 (en) T-device with one-way valve, flow-occlusion/release system, and pressure release valve
SE522361C2 (sv) Ventilatortub
KR20180042766A (ko) 위치가변형 디텍터 기반 근전도 검출형 기도삽관용 튜브
CN111526912A (zh) 具有优异通气能力,并具有将支气管内导管准确放置在期望支气管中的系统的气管插管促进器
US20110213214A1 (en) Mechanically deployable tracheal tube sensor
WO2015013377A3 (en) Cuffed tracheal tube
US20120089023A1 (en) Parameter-sensing endotracheal tube
US20170203066A1 (en) Tracheostomy or endotracheal tube adapter for speech
WO2011068741A1 (en) Sensing endotracheal tube location
KR101647972B1 (ko) 기도삽관 튜브
KR101635443B1 (ko) 기도삽관 튜브
Kim et al. Anesthetic experience of a patient with tracheomegaly-A case report
Sugeir et al. Bronchoscopy in the intensive care unit
CN204932513U (zh) 一种多功能气管插管
CN212593391U (zh) 基于磁感应技术可引导的双腔气管导管套件
CN213432410U (zh) 一种气管插管
CN212662419U (zh) 插管装置
CN201316469Y (zh) 一种吸氧鼻塞
CN205698777U (zh) 一种鼻咽通气道固定装置以及鼻咽通气道组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