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713A -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 Google Patents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713A
KR20180042713A KR1020160135217A KR20160135217A KR20180042713A KR 20180042713 A KR20180042713 A KR 20180042713A KR 1020160135217 A KR1020160135217 A KR 1020160135217A KR 20160135217 A KR20160135217 A KR 20160135217A KR 20180042713 A KR20180042713 A KR 2018004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uter case
frame
lower cas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5279B1 (ko
Inventor
고혜란
이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3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2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6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solids; Preparation of sampl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는, 건설 구조물의 결함 및 누수를 판별하기 위한 열화상장치가 융합된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폐쇄시키는 케이스도어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의 인가 및 상기 열화상장치의 검사 또는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 타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열화상장치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건설 구조물의 결함 및 누수를 판별하기 용이하며 장비가 일체화 및 소형화되어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검사 데이터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및 판별 가능하며 비접촉식으로 접근이 어려운 구조물의 결함을 원거리에서 정밀한 탐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Portable Test Kits For The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구조물의 결함 및 누수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장비의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며, 검사 데이터의 확인 및 판별이 용이하고, 원거리에서 정밀 탐사를 가능하게 하는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구조물의 결함 검사는 이미 완공되어 사용되거나 사용 이전 상태 점검을 위해 구조물의 내부를 탐사하는 것으로, 제품 또는 구조물의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내부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가 사용되며, 이러한 검사장비는 부품산업, 건설,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안전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품 또는 구조물의 외부에서 내부 상태 예를 들어 결함 및 누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 방법에는 육안점검, 가속도계, 변형률계 및 비파괴 검사 기술이 이용되는데 육안 점검이나 가속도계나 변형률계를 이용하는 계측의 경우는 구조물 전체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내부 결함을 규명할 수 없으며, 초음파 등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 방법은 단일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촬영한 후,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고장 부위를 진단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에 비해 비교적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현재까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단일 센서를 사용하여 대상물을 검사하는 방법은 해당 센서에 국한되는 검사만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검사를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장비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인력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 비접촉식으로 원거리에서 구조물의 정밀 탐사가 가능하며 장비의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며, 검사 데이터의 확인 및 판별이 용이해 구조물에 발생한 결함을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측정 가능한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의 필요성이 대두하여, 이에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22996호(2015.05.19)를 통해 음향, 초음파 및 영상장치를 이용해 검사 대상물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복합 영상으로 출력함으로써 대상물의 구조를 검사할 수 있는 구조물 검사용 복합 영상 출력 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 검사용 복합 영상 출력 장치는 촬영 영상을 통해 검사 대상물을 복합적으로 진단하여 진단 결과의 정확성과 시인성을 높일 수 있으나 다양한 검사를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장비를 휴대한 상태에서 검사를 위한 해당 장소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 및 이동성이 떨어지며, 촬영된 영상에서 구조물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영상 판단을 위한 컴퓨터 및 판독기기를 이용해야 함으로 검사 결과 및 판독 결과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이 불가능하고, 영상의 측정 및 구조물의 결함 유, 무를 판단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비용, 인력이 투자되어야 하는 문제로 인해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설 구조물의 결함 및 누수를 효과적으로 탐지하며, 장비가 일체화 및 소형화되어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며, 검사 데이터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및 판별 가능하고, 비접촉식 원거리 탐사방법으로 기존의 접촉식 탐사 방법의 단점을 개선한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설 구조물의 결함 및 누수를 판별하기 위한 열화상장치가 융합된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폐쇄시키는 케이스도어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의 인가 및 상기 열화상장치의 검사 또는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 타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열화상장치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 일측에서 상기 열화상장치가 검사 및 측정한 데이터 및 결과 값을 영상으로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으로 배출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과 이격되며, 외부 데이터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입력단자와, 상기 외부입력단자와 이격되며,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충전단자와, 상기 전원충전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으로 인해 충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열화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베터리와, 상기 전원충전단자와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는 전원버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상기 격벽과 이격되어 수납공간을 복수로 구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과, 상기 격벽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수납도어와, 상기 수납도어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수납도어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수납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제어부 및 수납부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면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한쌍의 견인프레임과, 상기 견인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견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견인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견인프레임이 결합된 상기 하부케이스를 견인하는 견인손잡이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 및 상부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의 작용에 의해 인양 및 휴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운반손잡이 및 제2운반손잡이와, 상기 제1운반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측이 이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도어의 일측을 걸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면서 바닥면과 인접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한쌍의 바퀴과, 상기 바퀴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 및 케이스도어의 하부면에서 바닥면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면 일측에서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도어의 측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에 걸림을 제공하는 걸림부와, 상기 케이스도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충격방지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견인프레임은, 다단으로 구비되어 길이가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되어 외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를 견인하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호 중첩되도록 결합되며, 안태나식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걸림을 제공해 상기 상부프레임이 연장된 길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동일선상으로 나란히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어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다단고정구와, 상기 다단고정구에 걸려 상기 상부프레임의 연장된 길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에 내삽되어 있는 스프링으로 인해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견인손잡이에 구비된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또는 내측으로 침강하는 고정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구조물의 결함 및 누수를 판별하기 용이하며 장비가 일체화 및 소형화되어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검사 데이터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및 판별 가능하며 비접촉식으로 접근이 어려운 구조물의 결함을 원거리에서 정밀한 탐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하기에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1)는, 건설 구조물의 결함 및 누수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외부케이스(10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폐쇄시키는 케이스도어(20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의 인가 및 상기 열화상장치(3)의 검사 또는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와 격벽(410)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타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열화상장치(3)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수납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외부케이스(100)가 구비되는데, 이 외부케이스(100)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하기의 도면에 표현된 직사각형 모양의 외부케이스(100)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형태의 모양으로 변경이 가능하고, 강화플라스틱 등의 외부충격에 강한 소재의 재질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제어부(300) 및 수납부(400)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하부케이스(110)가 구비되는데, 이 하부케이스(110)는 상기 제어부(300) 및 수납부(400)가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300) 및 수납부(400)를 내측에 수용하여 이동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배면에는 한쌍의 견인프레임(120)이 구비되는데, 이 견인프레임(120)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배면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가 연장되고, 외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110)를 견인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력을 이용해 상기 하부케이스(110)를 견인하여 끌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견인프레임(120)의 단부에는 견인손잡이(130)가 결합되는데, 이 견인손잡이(130)는 상기 견인프레임(1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견인프레임(120)을 상호 연결하며,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13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견인프레임(120)의 길이를 조절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견인프레임(120)이 결합된 상기 하부케이스(110)를 견인하는 것으로, 한쌍으로 구비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상기 한쌍의 견인프레임(1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며,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외력을 작용시켜 상기 하부케이스(110)를 견인하여 끌고 이동할 수 있고,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131)를 이용해 사용자의 편의에 맞춰 상기 견인프레임(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측면 및 상부 일측에는 각각 제1운반손잡이(140) 및 제2운반손잡이(150)가 구비되는데, 이 제1운반손잡이(140) 및 제2운반손잡이(150)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측면 및 상부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의 작용에 의해 인양 및 휴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측면 일측에 상기 제1운반손잡이(14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제2운반손잡이(150)가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운반손잡이(140) 및 제2운반손잡이(15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인양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운반손잡이(140)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잠금부(160)가 구비되는데, 이 잠금부(160)는 상기 제1운반손잡이(140)를 중심으로 양측이 이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케이스도어(200)의 일측을 걸어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잠금부(160)를 상기 케이스도어(200)에 걸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케이스도어(200)가 고정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휴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내측에 저장되는 상기 열화상장치(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견인프레임(120)은 일측이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결합되는 프레임본체(121)로 구성되는데, 이 프레임본체(121)는 다단으로 구비되어 길이가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배면에 결합되어 외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110)를 견인하는 것으로, 다단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하부케이스(110)를 견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본체(121)의 일측에는 하부프레임(122)이 구비되는데, 이 하부프레임(122)은 상기 프레임본체(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22)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배면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외력이 작용되면 상기 하부케이스(110)가 상기 하부프레임(122)에 인접하여 견인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22)의 내측에는 상부프레임(123)이 결합되는데, 이 상부프레임(123)은 상기 하부프레임(12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호 중첩되도록 결합되며, 안태나식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22)의 내측에 구비되는 중공부에 상기 상부프레임(123)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22)과 상기 상부프레임(123)이 상호 중첩되어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23)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122)에 결합된 하부케이스(110)를 견인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23)에 걸림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22)에 적어도 하나의 다단고정구(124)가 구비되는데, 이 다단고정구(124)는 상기 상부프레임(123)에 걸림을 제공해 상기 상부프레임(123)이 연장된 길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하부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동일선상으로 나란히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어 개방된 것으로, 복수 개의 개방된 홀이 상기 하부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23)이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다단고정구(124)에 걸리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3)에 고정돌출부(125)가 구비되는데, 이 고정돌출부(125)는 상기 다단고정구(124)에 걸려 상기 상부프레임(123)의 연장된 길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상부프레임(123)의 내측에 내삽되어 있는 스프링으로 인해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견인손잡이(130)에 구비된 스위치(131)의 작동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또는 내측으로 침강하는 것으로, 상기 다단고정구(1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다단고정구(124)에 삽입되며 사용자가 상기 견인손잡이(130)에 구비된 스위치(131)를 제어하여 상기 고정돌출부(125)를 상기 다른 위치의 다단고정구(124)로 이동시켜 고정시킴으로 상기 프레임 본체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0)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하부에는 한쌍의 바퀴(111)가 구비되는데, 이 바퀴(111)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면서 바닥면과 인접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바닥면을 지지하며 외력이 작용하면 바닥면과 인접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00)를 견인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 및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케이스도어(20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제1지지바(112)가 구비되는데, 이 제1지지바(112)는 상기 바퀴(111)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10) 및 케이스도어(200)의 하부면에서 바닥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길이 방향이 바닥면과 수직되게 세워지면 상기 하부케이스(110) 및 케이스도어(200)의 하부에 복수 개로 구비된 제1지지바(112)가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배면에는 제2지지바(113)가 구비되는데, 이 제2지지바(113)는 상기 제1지지바(112)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배면 일측에서 바닥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길이 방향이 바닥면과 평행하게되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배면에 구비된 상기 제2지지바(113)가 상기 바퀴(111)와 함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전술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케이스도어(200)가 구비되는데, 이 케이스도어(2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폐쇄시키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일측에서 회동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0)를 개방 및 폐쇄함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수용된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제어부(300)의 확인이 용이하며, 내측에 저장되는 상기 열화상장치(3)의 이탈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도어(200)의 측면 일측에는 걸림부(210)가 구비되는데, 이 걸림부(210)는 상기 케이스도어(200)의 측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160)에 걸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도어(200)가 폐쇄된 후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측면 일측에 구비된 상기 잠금부(160)에 걸림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도어(200)가 폐쇄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도어(200)의 내측에는 충격방지폼(220)이 구비되는데, 이 충격방지폼(220)은 상기 케이스도어(2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으로, 상기 충격방지폼(220)은 상기 케이스도어(200)의 내측에 스펀지 등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소재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내측에 수용되는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제어부(300) 및 열화상장치(3)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비된다.
전술한 외부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제어부(300)가 구비되는데, 이 제어부(3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의 인가 및 상기 열화상장치(3)의 검사 또는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기 열화상장치(3)를 통해 탐색한 건설 구조물의 검사결과 또는 측정결과 값을 현장에서 바로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300)에는 열화상장치(3)를 통해 탐색한 건설 구조물의 검사결과 또는 측정결과 값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10)가 구비되는데, 이 디스플레이부(31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일측에서 상기 열화상장치(3)가 검사 및 측정한 데이터 또는 결과 값을 영상으로 출력시키는 것으로, 열화상장치(3)를 이용한 측정 데이터 및 결과 값을 현장에서 사용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10)는 측정 데이터 및 결과 값의 영상 출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검사 및 측정 메뉴를 열화상장치(3)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열화상장치(3)에 적용된 검사 및 측정 기능에 따라 측정하고자 하는 건설 구조물의 다양한 측정 데이터 및 결과 값을 도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10)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제어부(300)의 일측에 냉각팬(320)이 구비되는데, 이냉각팬(32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10)와 이격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배출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과열로인한 오작동 및 기계결함 등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냉각팬(320)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어부(300)의 일측에 외부입력단자(330)가 구비되는데, 이 외부입력단자(330)는 상기 냉각팬(320)과 이격되며, 외부 데이터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USB포트 등의 외부 데이터 접속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입력단자(330)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전원충전단자(340)가 구비되는데, 이 전원충전단자(340)는 상기 외부입력단자(330)와 이격되며, 전원을 인가시키는 것으로, 전원케이블(370)이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충전베터리(350)에 전원을 인가 시키켜 전력이 충전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원충전단자(340)로부터 인입되는 전력에 의해 전원이 충전되며 상기 제어부(300)의 내측 하부에 충전베터리(350)가 구비되는데, 이 충전베터리(350)는 상기 전원충전단자(34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으로 인해 충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10) 및 열화상장치(3)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사용자가 전원케이블(370)의 연결 없이 상기 열화상장치(3)를 조작하며 상기 제어부(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원충전단자(340)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전원버튼(360)이 구비되는데, 이 전원버튼(360)은 상기 전원충전단자(340)와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1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300) 및 열화상장치(3)에 전원을 인가시켜 작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전술한 하부케이스(110)의 타측에는 격벽(410)에 의해 상기 제어부(300)와 구획되는 수납부(400)가 구비되는데, 이 수납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와 격벽(410)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타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열화상장치(3)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400)에 열화상장치(3) 및 전원케이블(370)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400)에는 상기 격벽(410)과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420)이 구비되는데, 이 구획벽(420)은 상기 격벽(410)과 이격되어 수납공간을 복수로 구획시키는 것으로, 열화상장치(3) 및 전원케이블(370)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격벽(410)과 이격되어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격벽(410)의 상부에는 수납도어(430)가 구비되는데, 이 수납도어(430)는 상기 격벽(410)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납공간의 폐쇄에 의해 내측에 수납되는 열화상장치(3) 및 전원케이블(37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수납도어(430)의 상부 일측에는 수납손잡이(440)가 구비되는데, 이 수납손잡이(440)는 상기 수납도어(43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수납도어(430)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수납손잡이(4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해 상기 수납도어(430)가 회동되어 상기 수납부(400)의 계방 및 패쇄가 용이하게 조작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100)는 하부케이스(110)와 케이스도어(200)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내측에 제어부(300) 및 열화상장치(3)가 수용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외부에서 건설 구조물 등의 측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11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어부(300) 및 수납부(400)를 수용하는 것으로, 하부케이스(110)에 구비되는 제어부(300)와 수납부(400)에 수용되는 열화상장치(3) 등의 다양한 장치들을 하부케이스(110)에 수납하여 휴대 및 이동한 후 건설 구조물을 편리하게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견인프레임(120)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되며, 견인손잡이(130)가 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사용자에 맞춰 견인프레임(120)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외부케이스(100)를 견인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111)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바닥면과 인접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견인손잡이(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외부케이스(100)를 바닥면에서 끌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음으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바(112) 및 제2지지바(113) 하부케이스(110) 및 케이스도어(200)의 하부면과 하부케이스(110)의 배면에 각각 구비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제1지지바(112) 및 제2지지바(113)가 바닥면을 지지함으로 외부케이스(100)가 바닥면에 고정되어 건설 구조물의 검사 및 측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도어(200)는 외부케이스(100)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외부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것으로, 케이스도어(200)의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하여 제어부(300)의 확인이 용이하고, 외부케이스(100)의 내측에 수용되어 건설 구조물 검사에 필요한 열화상장치(3) 등의 다양한 장치들이 외부로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전원의 인가 및 상기 열화상장치(3)의 검사 또는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충전식으로 구비되어 전원의 연결 없이 휴대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가동이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의 메뉴들이 구비되어 외부에서 건설 구조물 검사의 다양한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된 결과 및 데이터를 현장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부(400)는 제어부(300)와 격벽(410)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타측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것으로, 건설 구조물의 검사에 필요한 열화상 장치 및 전원케이블(370) 등의 다양한 장치들을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다른 검사 장비를 추가로 휴대하지 않음으로 휴대 및 이동성이 용이하며 내측에 수용된 검사 장비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1)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3 : 열화상장치 100 : 외부케이스
110 : 하부케이스 111 : 바퀴
112 : 제1지지바 113 : 제2지지바
120 : 견인프레임 121 : 프레임본체
122 : 하부프레임 123 : 상부프레임
124 : 다단고정구 125 : 고정돌출부
130 : 견인손잡이 131 : 스위치
140 : 제1운반손잡이 150 : 제2운반손잡이
160 : 잠금부 200 : 케이스도어
210 : 걸림부 220 : 충격방지폼
300 : 제어부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냉각팬 330 : 외부입력단자
340 : 전원충전단자 350 : 충전베터리
360 : 전원버튼 400 : 수납부
410 : 격벽 420 : 구획벽
430 : 수납도어 440 : 수납손잡이

Claims (7)

  1. 건설 구조물의 결함 및 누수를 판별하기 위한 열화상장치가 융합된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폐쇄시키는 케이스도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의 인가 및 상기 열화상장치의 검사 또는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 타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열화상장치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 일측에서 상기 열화상장치가 검사 및 측정한 데이터 및 결과 값을 영상으로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으로 배출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팬;
    상기 냉각팬과 이격되며, 외부 데이터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입력단자;
    상기 외부입력단자와 이격되며,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충전단자;
    상기 전원충전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으로 인해 충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열화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베터리; 및
    상기 전원충전단자와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는 전원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격벽과 이격되어 수납공간을 복수로 구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
    상기 격벽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수납도어; 및
    상기 수납도어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수납도어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수납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제어부 및 수납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면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가 연장되고, 외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를 견인하는 한쌍의 견인프레임;
    상기 견인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견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견인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견인프레임이 결합된 상기 하부케이스를 견인하는 견인손잡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 및 상부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의 작용에 의해 인양 및 휴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운반손잡이 및 제2운반손잡이; 및
    상기 제1운반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측이 이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도어의 일측을 걸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면서 바닥면과 인접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한쌍의 바퀴;
    상기 바퀴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 및 케이스도어의 하부에서 바닥면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지지바; 및
    상기 제1지지바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면 일측에서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도어의 측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에 걸림을 제공하는 걸림부; 및
    상기 케이스도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충격방지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견인프레임은,
    다단으로 구비되어 길이가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되어 외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를 견인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호 중첩되도록 결합되며, 안태나식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에 걸림을 제공해 상기 상부프레임이 연장된 길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동일선상으로 나란히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어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다단고정구;
    상기 다단고정구에 걸려 상기 상부프레임의 연장된 길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에 내삽되어 있는 스프링으로 인해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견인손잡이에 구비된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또는 내측으로 침강하는 고정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KR1020160135217A 2016-10-18 2016-10-18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KR101855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17A KR101855279B1 (ko) 2016-10-18 2016-10-18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17A KR101855279B1 (ko) 2016-10-18 2016-10-18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713A true KR20180042713A (ko) 2018-04-26
KR101855279B1 KR101855279B1 (ko) 2018-06-25

Family

ID=6208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17A KR101855279B1 (ko) 2016-10-18 2016-10-18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2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6498A (zh) * 2022-03-09 2022-06-03 宋书田 一种便携式建筑工程探测设备及探测方法
CN114608548A (zh) * 2022-03-22 2022-06-10 山东翔林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林业调查规划用便携式测量装置
CN115219661A (zh) * 2022-07-08 2022-10-21 江苏建研建设工程质量安全鉴定有限公司 一种建筑安全检测用便于携带的探伤仪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8359A (ja) 2004-05-26 2005-12-08 Constec Engi Co 撮像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6498A (zh) * 2022-03-09 2022-06-03 宋书田 一种便携式建筑工程探测设备及探测方法
CN114576498B (zh) * 2022-03-09 2023-09-29 广西智众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便携式建筑工程探测设备及探测方法
CN114608548A (zh) * 2022-03-22 2022-06-10 山东翔林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林业调查规划用便携式测量装置
CN114608548B (zh) * 2022-03-22 2023-11-17 山东翔林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林业调查规划用便携式测量装置
CN115219661A (zh) * 2022-07-08 2022-10-21 江苏建研建设工程质量安全鉴定有限公司 一种建筑安全检测用便于携带的探伤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279B1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279B1 (ko) 건설 구조물 검사용 포터블 키트
TWI516139B (zh) 自動無線測試系統
RU2464557C2 (ru) Портативное ска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CN105319231A (zh) 用于x射线荧光分析的手持设备和便携装置
KR20190081311A (ko) 길이 측정 장치 및 시스템
JP5813520B2 (ja) 移動式検査用車両及び検査方法
US2020004930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flaws in metallic pipe
BR102018013581A2 (pt) Método para teste não destrutivo automático de concentricidade de rebite, e, sistema de medição de rebite automatizado
CN105276379B (zh) 检查装置和检查方法
CN213633292U (zh) 一种超声波无损探伤冲压件焊缝检具
KR20200039208A (ko) 콘크리트 내부 박리 탐지용 이동형 능동 열화상 검사장치
KR20180099385A (ko) 이동식 자동차 정비대
KR101494830B1 (ko) 비파괴검사용 콜리메이터 장착 모듈, 이를 포함한 콜리메이터 장치
KR102036000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감지용 전극 검사 장치
US20220148390A1 (en) Functionality testing equipment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cassettes, testing methods for curtains, insertion locks and springs, and checking methods for cassette setup and adhesive identification labels
CN212646689U (zh) 一种用于地质勘探的土壤湿度检测装置
CN209689909U (zh) 一种移动式旋转开关性能测试设备
JP7061505B2 (ja) 煙感知器試験装置
JP7166849B2 (ja) 環境試験装置
CN206020278U (zh) 便携式生物芯片阅读仪
CN208736325U (zh) 一种构件的垂直度/平整度检测装置
CN215375246U (zh) 一种手推式探头装置
JP3540139B2 (ja) 携帯用非破壊検査装置
KR20120073460A (ko) 피검체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JP4672760B2 (ja) 電気計器用信号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