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653A -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 Google Patents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653A
KR20180042653A KR1020160135117A KR20160135117A KR20180042653A KR 20180042653 A KR20180042653 A KR 20180042653A KR 1020160135117 A KR1020160135117 A KR 1020160135117A KR 20160135117 A KR20160135117 A KR 20160135117A KR 20180042653 A KR20180042653 A KR 20180042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adjusting
band
tension adjusting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지
Priority to KR102016013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653A/ko
Publication of KR2018004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2Loops or hooks for hanging-u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에 관한 것이다. 이는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으로서, 신축성이 있는 원단을 재단 및 재봉하여 만든 피복; 상기 피복이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에 인체의 주 근육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피복에 고정된 신축밴드; 및 상기 신축밴드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신축밴드의 장력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탈부착가능 장력조절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의 근육 강화 효과 및 골 관절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SUPPORT WEARING ARTICLE FOR MUSCLE STRENGTHENING WITH TENSION ADJUSTMENT}
본 발명은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근력 및 지구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신축밴드가 구비된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에서, 특히 신축밴드의 장력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탈부착가능 장력조절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의 근육 강화 효과 및 골 관절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생활의 편리성에 따라 운동량 부족 현상이 우려되고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상생활 중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근육강화 기구의 예로서, 코르셋 또는 의료용 서포터 들이 알려져 있다. 나아가, 일상생활에서 착용가능한 피복의 형태로서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0161500 "인체의 몸표면에 압접하여 착용되는 테이핑 기능을 갖는 피복", 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2-0007890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과 같이, 근육을 긴장시켜 운동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테이핑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신축성 있는 원단을 재봉하여 만든 피복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경우, 제조 과정에서 미리 치수가 정해진 상태로 신축 원단이 재단된 후 재봉되어 일정 치수의 피복으로서 제조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사용자 개개인의 사정에 맞춘 근육강화를 위한 맞춤형 피복이 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종래 신축성 원단을 인체의 다양한 근육 형태에 맞추어 재단한 신축밴드를 구비하는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에 있어서, 각각의 신축밴드의 장력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면,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신축밴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사용자 맞춤형의 근육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리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0161500 (1999년 01월 15일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2-0007890 (2012년 01월 25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신축밴드를 구비하는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 각 신축밴드의 장력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탈부착가능 장력조절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의 근육 강화 효과 및 골 관절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은,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으로서, 신축성이 있는 원단을 재단 및 재봉하여 만든 베이스 피복; 상기 베이스 피복이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에 인체의 주 근육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피복에 고정된 신축밴드; 및 상기 신축밴드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신축밴드의 소정 위치들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음줄, 및 상기 이음줄의 길이를 신축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이음줄의 단부는 상기 신축밴드의 소정 위치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부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는 후크 형상이며, 대응하는 상기 신축밴드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이음줄의 단부의 후크 형상이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이음줄의 단부 위치들과 상기 길이조절부의 소정 위치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음줄의 장력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길이조절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음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음줄 감김-풀림 구성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길이조절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길이조절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음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자동으로 동작하는 이음줄 감김-풀림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은,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신축밴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사용자 맞춤형의 근육 강화 효과 및 골 관절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체의 근육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신축밴드를 구비하는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과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수동 조절 구조를 예시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자동 조절 구조를 예시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체의 근육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인체를 정면에서 본 도면 및 (b)인체를 뒤에서 본 모습을 보여준다. 도 2는 종래의 신축밴드를 구비하는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 정면도, (b) 측면도, (c) 배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다양한 근육조직들은 골조직들을 연결하고 지탱함으로써, 직립하거나 움직일 수 있다. 만약 근육조직이 약해지면 움직임에 있어 골조직에 무리가 가고 움직임에 필요한 근력 및 지구력이 떨어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신축밴드를 구비하는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20)은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재단된 베이스 피복부(22)와 근육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신축밴드부(24)를 포함한다. 베이스 피복부(22)를 제조하기 위한 원단은 예컨대 망사와 같은 망조직 형태의 원단으로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탄성사가 적정 비율로 혼합된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신축밴드부(24)는 베이스 피복부(22)와 유사한 원단을 여러겹 겹친 후에 재봉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밴드부(24)는 대체로 좁은 스트립 형태의 신축밴드 원단을 어깨, 팔꿈치, 무릅 등의 근육 부위를 대체로 X자 형태로 교차하여 감싸도록 부착한다. 신축밴드 원단은 베이스 피복부(22)의 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또는 재봉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신축밴드부(24)를 이루는 신축밴드 원단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탄성사가 적정 비율로 혼합된 것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탄력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의 필름을 적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20)은 전신복 형태지만, 도시된 것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상의만으로 또는 하의만으로 또는 어깨, 발, 또는 팔에만 착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예가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과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제공되는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20)은 베이스 피복(22), 신축밴드(24), 및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3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피복(22) 및 신축밴드(24)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베이스 피복부(22) 및 신축밴드부(24)와 유사하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30)는 신축밴드(2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며, 하나 이상의 이음줄(32,34,36,38) 및 길이조절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음줄(32,34,36,38)의 일단은 각각 자유단으로서 탈부착 단부(31,33,35,37)를 구비하며, 이음줄(32,34,36,38)의 타단은 길이조절부(39)에 고정된다.
이음줄(32,34,36,38)의 탈부착 단부(31,33,35,37)는 신축밴드(24)의 소정 위치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부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는 후크 형상이며, 대응하는 신축밴드(24)의 위치에는 이음줄(32,34,36,38)의 탈부착 단부(31,33,35,37)의 후크 형상이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39)는 줄 조절 장치로서, 수동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부(39)이 구체적인 예들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수동 조절 구조를 예시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수동 조절 방식 구성의 길이조절부(40)의 구조가 예시된다. 도시된 길이조절부(4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예컨대 볼륨 부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이음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음줄 감김-풀림 구성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길이조절부(40)는 볼륨부재(41), 릴(43), 기어부재(45), 스프링부재(47), 및 하우징(49)을 포함할 수 있다. 볼륨부재(41)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재이다. 릴(43)에는 하나 이상의 이음줄(L1, L2)의 단부가 고정되어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배치된다. 기어부재(45)는 볼륨부재(41), 릴(43)을 하우징(49)에 대해 강제로 시계방향 회전하거나, 또는 스프링(47)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기계적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예컨대 사용자의 볼륨부재(41) 시계방향 조작함에 따라 릴(43)이 하우징(49)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프링(47)에 대항하여 회전하면서 릴(43) 표면에 이음줄(L1, L2)이 감겨짐으로써 이음줄(L1, L2)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조절되고, 결과적으로 이음줄(L1, L2)의 장력이 강해지도록 조절된다. 한편, 사용자가 볼륨부재(41)를 반시계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스프링(47)의 힘에 의해 풀려짐으로써 이음줄(L1, L2)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조절되고, 결과적으로 이음줄(L1, L2)의 장력이 약해지도록 조절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자동 조절 구조를 예시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자동 조절 방식 구성의 길이조절부(50)의 구조가 예시된다. 도시된 길이조절부(50)는,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예컨대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어신호(즉, 길이조절신호)에 응답하여, 이음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자동으로 동작함으로써 이음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음줄 감김-풀림 구성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길이조절부(50)는 신호수신부(57), 배터리(56), 제어부(55), 구동모터(54), 기어부재(53), 스프링(52) 및 릴(51)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57)는 예컨대 블루투스 방식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이다. 제어부(55)는 예컨대 마이컴과 같이, 신호수신부(57)에서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모터(54)를 동작시킴으로써 릴(51)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다. 배터리(56)는 신호수신부(57), 제어부(55) 및 구동모터(54)에 전원을 공급한다.
릴(51)에는 하나 이상의 이음줄(L1, L2, L3, L4)의 단부가 고정되어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배치된다. 기어부재(53)는 구동모터(54), 릴(51)을 하우징에 대해 강제로 시계방향 회전하거나, 또는 스프링(5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기계적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예컨대 사용자가 장력조절용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장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제어부(55)가 구동모터(54)를 구동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작시킴에 따라 릴(51)이 스프링(52)에 대항하여 회전하면서 릴(51) 표면에 이음줄(L1, L2, L3, L4)이 감겨짐으로써 그 길이가 짧아지도록 조절되고, 결과적으로 이음줄(L1, L2, L3, L4)의 장력이 강해지도록 조절된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다른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55)는 구동모터(5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작시키고 이에 따라 릴(51)이 스프링(52)의 힘에 의해 풀려짐으로써 이음줄(L1, L2, L3, L4)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조절되고, 결과적으로 이음줄(L1, L2, L3, L4)의 장력이 약해지도록 조절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제공되는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의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의 길이조절부(60)의 다른 예가 도시된다. 이 예에서,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60)는 이음줄(L01~L1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이음줄의 장력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62, 64)를 더 포함한다.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60)는 신축밴드(24)(도 3 참조)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며, 도시된 복수의 이음줄(L01~L10)은 베이스 플레이트(68)에 고정되어 있는 길이조절부(62) 뿐만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68) 상에서 일정 길이만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각도조절부(64, 66)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이음줄(L01~L10)의 일단은 각각 자유단으로서 탈부착 단부(E01~E10)를 구비하며, 이음줄 중 일부의 타단은 길이조절부(62)에 고정되지만, 이음줄 중 다른 일부의 타단은 각도조절부(64, 66)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도, 이음줄(L01~L10)의 탈부착 단부(E01~E10)는 신축밴드의 소정 위치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부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는 후크 형상이며, 대응하는 신축밴드의 위치에는 이음줄의 탈부착 단부(E01~E10)의 후크 형상이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62)는 줄 조절 장치로서, 수동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부(62)의 구성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구성과 유사하다.
한편 각도조절부(64, 66)는 베이스 플레이트(68) 상에서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만큼 위치가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조절부(64, 66)의 위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길이조절부(62)의 경우와 유사하게, 모터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시공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20 : 서포트 피복
22 : 베이스 피복
24 : 신축밴드
30 :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
31,33,35,37 : 탈부착 단부
32,34,36,38 : 이음줄
39 : 길이조절부

Claims (5)

  1.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으로서,
    신축성이 있는 원단을 재단 및 재봉하여 만든 베이스 피복;
    상기 베이스 피복이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에 인체의 주 근육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 피복에 고정된 신축밴드; 및
    상기 신축밴드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신축밴드의 소정 위치들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음줄, 및 상기 이음줄의 길이를 신축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이음줄의 단부는 상기 신축밴드의 소정 위치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부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는 후크 형상이며,
    대응하는 상기 신축밴드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이음줄의 단부의 후크 형상이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이음줄의 단부 위치들과 상기 길이조절부의 소정 위치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음줄의 장력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길이조절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음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음줄 감김-풀림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 장력조절장치의 길이조절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길이조절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음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자동으로 동작하는 이음줄 감김-풀림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KR1020160135117A 2016-10-18 2016-10-18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KR20180042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17A KR20180042653A (ko) 2016-10-18 2016-10-18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17A KR20180042653A (ko) 2016-10-18 2016-10-18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53A true KR20180042653A (ko) 2018-04-26

Family

ID=6208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117A KR20180042653A (ko) 2016-10-18 2016-10-18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6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339A (ko) 2018-07-30 2020-02-07 김경용 전자석을 이용한 인조근육모듈 및 이를 포함한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KR20210032585A (ko) *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근육 보조 의류
KR20210033449A (ko) * 2021-03-15 2021-03-26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근육 보조 의류
KR20210033448A (ko) * 2021-03-15 2021-03-26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근육 보조 의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339A (ko) 2018-07-30 2020-02-07 김경용 전자석을 이용한 인조근육모듈 및 이를 포함한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KR20210032585A (ko) *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근육 보조 의류
KR20210033449A (ko) * 2021-03-15 2021-03-26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근육 보조 의류
KR20210033448A (ko) * 2021-03-15 2021-03-26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근육 보조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3644B2 (en) Resistance garments and active materials
US20220312875A1 (en) Garment with compression adjustment arrangement
KR20180042653A (ko) 신축밴드 장력 조절 타입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JP5505631B2 (ja) 腰部筋力補助具
US8323127B2 (en) Sports throwing training device
CN102076287B (zh) 带有夹板的踝支撑件及其使用方法
JP5769699B2 (ja) 手首固定器
JP2009023828A (ja) 中腰作業補助装置
RU2423954C2 (ru) Ре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тягивания пениса
TW202100042A (zh) 調適支撐服飾系統及方法
US11331240B2 (en) Suit type exoskeleton adjustable to user's body size and suit type exoskeleton for knee power assistance
EP2575980B1 (en) Exercise device for use with a prosthesis
EA032887B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держки колена
CN108852596A (zh) 具有至少一个织物绷带的矫形器
JP2015518762A (ja) 装具用の締付け装置
EP1436227A1 (en) Girth strap device
AU773414B2 (en) Elbow brace for teaching baseball throwing
CN105636559B (zh) 拇指矫形器
CN108697521B (zh) 用于在骨科或医疗辅助器械或运动辅助器械处或在其中使绳索转向的转向元件
US20210244106A1 (en) Blood flow restriction sportswear garment
JP2016043083A (ja) 空気袋、加圧ベルト及びそれらを備えた加圧器具
US11559095B2 (en) Body pad for support apparatus
CN218420158U (zh) 一种踝足矫形器
WO2023282836A1 (en) Dog control device
AU2002322200B2 (en) Girth stra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