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472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472A
KR20180042472A KR1020160115412A KR20160115412A KR20180042472A KR 20180042472 A KR20180042472 A KR 20180042472A KR 1020160115412 A KR1020160115412 A KR 1020160115412A KR 20160115412 A KR20160115412 A KR 20160115412A KR 20180042472 A KR20180042472 A KR 20180042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racket
circuit board
connecto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련
임근홍
연상흠
이득희
공기혁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6011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472A/ko
Publication of KR2018004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04G21/025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data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손목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상면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고, 하면은 손목에 맞닿게 되고, 내부에 부품을 수용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브라켓의 하면과 대향되게 위치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에 실장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커넥터부,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가 방출한 빛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창,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상기 커넥터부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를 단자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넥터 개구부 및 상기 투광창의 주변을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서 둘러싸도록 결합된 차광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이 손에 들고 사용하는 형태(hand-held type)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하는 형태(wearable type)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되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라고 칭해지고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 중에서는 손목 시계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장 널리 보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손목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변화를 측정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센서는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미국 공개특허 제2015-0157219호(2015.06.11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착용감이 좋으면서 착용 시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형화, 특히 슬림화된 구조를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항상 신체에 착용하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서 장시간 전자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배터리가 탑재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가 슬림화된 구조를 가지는 것과 충분한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하는 것이 양립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자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 슬림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회로 기판과 광학 센서 부품의 구조 및 결합관계가 적용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전자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 슬림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면서 광학 센서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손목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면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고, 하면은 손목에 맞닿게 되고, 내부에 부품을 수용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브라켓의 하면과 대향되게 위치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에 실장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커넥터부,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가 방출한 빛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창,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상기 커넥터부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를 단자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넥터 개구부 및 상기 투광창의 주변을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서 둘러싸도록 결합된 차광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광창은,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형성된 투광용 개구부 및 상기 투광용 개구부를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서 덮는 투광용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광용 개구부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하나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투광용 윈도우는 상기 복수의 투광용 개구부를 모두 덮는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제1 수광부 및 제2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를 가로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투광창의 내측 주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하단은 상기 투광창의 내측 주변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 주변의 회로 기판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하 방향의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쿠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개구부의 내측 주변에 결합된 마그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커넥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제1 마그넷 및 제2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넷의 하면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회로 기판과 광학 센서 부품이 공간 효율적으로 설계되고 결합되어 전자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 슬림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품의 광 누설을 최소화하여 전자 장치의 광학 센서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부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부분의 분해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전자 장치이다. 전자 장치는 손목에 감겨서 착용되는 스트랩(미도시)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손목시계와 같은 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단독으로 또는 사용자의 다른 무선통신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집 및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수집 및 가공한 생체 신호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른 무선통신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부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배터리,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광학 센서, 무선통신 모듈, 안테나 장치, 신호처리부, 제어부, 전원관리부 및 커넥터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품들은 전자 장치의 브라켓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부품들 중 몇몇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브라켓(10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브라켓(100)은 상부 구조물(101)과 하부 구조물(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조물(101)과 하부 구조물(102)은 서로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브라켓(100)의 상면이라 함은 전자 장치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었을 때, 손목과 접하는 부분의 반대면을 의미한다. 또한, 브라켓(100)의 하면이라 함은 전자 장치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었을 때, 손목과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 브라켓(100)에 적용되는 상하의 방향 기준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른 구성들에도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브라켓(10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결합된다. 브라켓(100)의 상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를 들어, LCD, OLED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도트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잉크 방식으로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등이 될 수 있으나, 상기 나열한 것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하부에는 배터리가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전자 장치의 다양한 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되어 재사용될 수 있는 2차 전지일 수 있다. 배터리는 커넥터부(500)를 통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브라켓(100)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300)은 브라켓(100)의 하면과 대향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터리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회로 기판(3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회로 기판(300)은 상면(301)과 하면(302) 모두에 부품 및 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는 양면 실장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300)에는 광학 센서(400), 무선통신 모듈(350), 신호처리부(350), 제어부(350), 전원관리부(350) 및 커넥터부(500)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전원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100)의 하면은 전자 장치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었을 때, 손목과 맞닿게 된다. 브라켓(100)의 하면에는 투광창(110)과 커넥터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투광창(110)을 통해서는 광학 센서(400)의 빛이 통과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개구부(120)를 통해서는 커넥터부(500)의 단자면(50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부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부분의 분해 저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뒤집어서 바라본 것으로, 도 1 및 도 2과 비교하여 상하의 방향이 반대로 바뀌어 있다.
회로 기판(300)의 하면(302)에는 광학 센서(400)가 실장된다. 광학 센서(400)는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를 포함한다. 수광부(420)는 제1 수광부 및 제2 수광부를 포함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광부(420)는 발광부(410)를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는 회로 기판(300)의 하면(302) 상에서 서로 인접하지만 각각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실장될 수 있다.
광학 센서(400)는 발광부(410)가 사용자의 피부에 빛을 방출하여 반사되는 빛을 수광부(420)가 감지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광학 센서(400)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심박수 및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의 하면(302)에는 또한, 커넥터부(500)가 실장된다. 커넥터부(500)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단자면(501)을 포함한다. 커넥터부(500)를 통해 배터리는 충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500)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입출력이 수행될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의 하면(302)은 브라켓(100)의 하부 구조물(10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브라켓(100)의 하면에는 투광창(110) 및 커넥터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투광창(110)은 광학 센서(400)의 발광부(410)가 방출하거나 수광부(420)가 감지하려는 빛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투광창(110)은 복수 개가 형성되어,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 하나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투광창(110)은 3개가 형성되어, 발광부(410)와 제1, 제2 수광부(420)와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410)에 대응하는 투광창(110)은 발광부(410)가 방출하는 빛이 통과하게 된다. 수광부(420)에 대응하는 투광창(110)은 수광부(420)가 감지하려는 빛이 통과하게 된다.
투광창(110)은 투광용 개구(111)부와 투광용 윈도우(112)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광용 개구(111)부는 브라켓(100)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투광용 개구(111)부는 브라켓(100)의 하면에서 서로 인접하지만 각각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투광용 개구(111)부는 발광부(410) 또는 수광부(4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투광용 윈도우(112)는 투광용 개구(111)부를 덮는 구조물이다. 투광용 원도우는 발광부(410)가 방출하는 빛에 대해서 광 투과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용 윈도우(112)는 예를 들어, 광 투과성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광용 윈도우(112)는 투과용 개구부를 브라켓(100)의 외부에서 덮을 수 있다. 또한, 투광용 윈도우(112)는 복수의 투광용 개구(111)부를 모두 덮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개구부(120)는 브라켓(100)의 하면에서 커넥터부(500)와 대향되게 형성된다. 커넥터 개구부(120)는 커넥터부(500)의 단자면(501)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단자면(501)이 커넥터 개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뒤집어서 바라본 것으로, 도 1 및 도 2과 비교하여 상하의 방향이 반대로 바뀌어 있다.
도 4와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투광창(110)의 내측 주변에는 차광 부재(430)가 결합된다. 차광 부재(430)는 투광창(110)의 주변을 브라켓(100)의 내측에서 둘러싸도록 결합된다.
차광 부재(430)는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 부재(430)의 복수의 관통홀은 각각 하나의 발광부(410) 또는 수광부(420) 및 하나의 투광창(110)에 대응될 수 있다. 관통홀의 상단은 대응되는 하나의 발광부(410) 또는 수광부(420)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의 상단은 대응되는 하나의 발광부(410) 또는 수광부(420) 주변의 회로 기판(300)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의 하단은 대응되는 하나의 투광창(110)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의 하단은 대응되는 하나의 투광창(110)의 투광용 개구(111)의 내측 주변에 결합될 수 있다. 차광 부재(430)에 의해 수광부(420) 및 발광부(410) 사이는 가로막히게 된다.
차광 부재(430)의 하단은 브라켓(100)의 내측 하면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광 부재(430)의 하단은 브라켓(100)의 내측 하면과 접착용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반면, 차광 부재(430)의 상단은 회로 기판(300)의 하면(302)과 접촉될 뿐 고정 결합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차광 부재(430)는 차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광 부재(430)는 발광부(410)가 방출하는 빛에 대해서 차광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광 부재(430)는 상하 방향의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쿠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 부재(430)는 그 높이가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는 회로 기판(300)의 하면(302)과 브라켓(100)의 내측 하면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었다가, 전자 장치가 결합되어 회로 기판(300)과 브라켓(100)의 하면 사이의 상하 방향 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회로 기판(300)의 하면(302) 및 브라켓(100)의 내측 하면과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부재(430)는 흑색 계열의 가요성 플라스틱, 고무, 스폰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광부(420)는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빛이 투광창(110)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반사되어 수광부(420)로 조사된 것을 감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수광부(420)는 발광부(410)에서 바로 수광부(420)로 조사되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수광부(420)는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빛이 브라켓(100)의 하면이나 투광용 윈도우(112)에서 반사되어 수광부(420)로 조사되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빛은 수광부(420)에서 감지될 경우 노이즈에 해당되어, 광학 센서(400)의 측정 정확도를 떨어트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차광 부재(430)는 이러한 노이즈에 해당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차광 부재(430)에 의해 광학 센서(400)의 측정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브라켓(100) 하면의 커넥터 개구부(120) 주변에는 마그넷(13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넷(130)은 커넥터 개구부(120) 주변의 브라켓(100) 하면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00)의 하면의 내측에는 마그넷(13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마그넷(130)은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넷(130)의 자력은 브라켓(100)의 하면 외부까지 미치게 된다. 마그넷(130)은 커넥터부(500)에 연결되는 외부 커넥터를 결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커넥터(미도시)는 브라켓(100)의 하면 외부에서 커넥터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결합된다. 외부 커넥터도 마그넷(130)을 포함하는데, 외부 커넥터의 마그넷(130)은 외부 커넥터가 커넥터부(500)와 연결되었을 때 전자 장치의 마그넷(130)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인력에 의해 외부 커넥터가 전자 장치의 커넥터부(500)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넷(130)은 제1 마그넷(131) 및 제2 마그넷(132)을 포함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그넷(131)과 제2 마그넷(132)은 커넥터 개구부(120)를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130)은 대략적으로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면(301)은 회로 기판(300)의 하면(302)과 대향되고 하면(302)은 브라켓(10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제1 마그넷(131) 및 제2 마그넷(132)은 각각의 하면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된다. 예를 들어, 제1 마그넷(131)의 하면은 N극으로 착자되고, 제2 마그넷(132)의 하면은 S극으로 착자될 수 있다. 마그넷(130)의 하면에서 발생한 자력은 브라켓(100)의 하면 외부까지 미치게 된다.
이를 통해, 외부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전자 장치의 커넥터부(500)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커넥터의 마그넷도 2개가 형성되어, 전자 장치의 마그넷(130)의 하면과 대향하게 되는 면의 극성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전자 장치의 커넥터부(500)와 근접해야만 인력이 발생하여 결합이 이뤄지고, 미리 정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근접하게 되면 척력이 발생하여 결합이 이뤄지지 않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뒤집어서 바라본 것이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차광 부재(430)의 하단은 브라켓(100)의 내측 하면과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광 부재(430)의 하단은 브라켓(100)의 내측 하면과 접착용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차광 부재(430)의 상단은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가 실장된 회로 기판(300)의 하면(302)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차광 부재(430)는 그 높이가 회로 기판(300)의 하면(302)과 브라켓(100)의 내측 하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브라켓 101: 상부 구조물
102: 하부 구조물
200: 디스플레이 장치
300: 회로 기판 301: 회로 기판의 상면
302: 회로 기판의 하면
110: 투광창 111: 투광용 개구
112: 투광용 윈도우
120: 커넥터 개구부 130: 마그넷
131: 제1 마그넷 132: 제2 마그넷
400: 광학 센서 410: 발광부
420: 수광부 430: 차광 부재
500: 커넥터 501: 단자면

Claims (12)

  1. 손목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면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고, 하면은 손목에 맞닿게 되고, 내부에 부품을 수용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브라켓의 하면과 대향되게 위치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에 실장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커넥터부;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가 방출한 빛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창;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상기 커넥터부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를 단자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넥터 개구부; 및
    상기 투광창의 주변을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서 둘러싸도록 결합된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창은,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형성된 투광용 개구부; 및
    상기 투광용 개구부를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서 덮는 투광용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용 개구부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하나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투광용 윈도우는 상기 복수의 투광용 개구부를 모두 덮는 하나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제1 수광부 및 제2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투광창의 내측 주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하단은 상기 투광창의 내측 주변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 주변의 회로 기판에 접촉되는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하 방향의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쿠션 재질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개구부의 내측 주변에 결합된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커넥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제1 마그넷 및 제2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넷의 하면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되는 전자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전자 장치.
KR1020160115412A 2016-09-08 2016-09-08 전자 장치 KR20180042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412A KR20180042472A (ko) 2016-09-08 2016-09-08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412A KR20180042472A (ko) 2016-09-08 2016-09-08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472A true KR20180042472A (ko) 2018-04-26

Family

ID=6208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412A KR20180042472A (ko) 2016-09-08 2016-09-08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47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468A1 (en) * 2019-02-18 2020-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US11573351B2 (en) 2020-03-06 2023-02-07 Apple, Inc. Optical sensor having a magnetic optical barrier
US11717197B2 (en) 2019-09-27 2023-08-08 Apple Inc.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oxygen saturation
US11723563B1 (en) 2020-09-11 2023-08-15 Apple Inc. Correcting for emitted light wavelength variation in blood-oxygen saturation measurements at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857298B1 (en) 2019-09-06 2024-01-02 Apple Inc. Devices having matter differentiation detectors
US12074244B2 (en) 2020-09-14 2024-08-27 Apple Inc. Optical sensor package with magnetic component for device attachm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468A1 (en) * 2019-02-18 2020-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US11540736B2 (en) 2019-02-18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US11857298B1 (en) 2019-09-06 2024-01-02 Apple Inc. Devices having matter differentiation detectors
US12042255B2 (en) 2019-09-06 2024-07-23 Apple Inc. Devices having matter differentiation detectors
US11717197B2 (en) 2019-09-27 2023-08-08 Apple Inc.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oxygen saturation
US12076142B2 (en) 2019-09-27 2024-09-03 Apple Inc.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oxygen saturation
US11573351B2 (en) 2020-03-06 2023-02-07 Apple, Inc. Optical sensor having a magnetic optical barrier
US11723563B1 (en) 2020-09-11 2023-08-15 Apple Inc. Correcting for emitted light wavelength variation in blood-oxygen saturation measurements at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2074244B2 (en) 2020-09-14 2024-08-27 Apple Inc. Optical sensor package with magnetic component for device attach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2472A (ko) 전자 장치
EP3148406B1 (en) Optical pulse-rate sensor pillow assembly
US11474483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1725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hysiological information of a user
CN114207552B (zh) 可穿戴电子装置及组装方法
EP3148409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342480A1 (en) Optical pulse-rate sensing
KR102457325B1 (ko) 광 센서들을 이용한 광통신
US11640144B2 (en) Watch with optical sensor for user input
EP2573710A1 (en) Water-tight and dust-tight mounting of a fingerprint sensor in a mobile phone
TW201436760A (zh) 電子機器
KR20200120407A (ko) 생체 센서 및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TWM494342U (zh) 具有紫外線感測器的智慧型手錶
CN114072046B (zh) 包括导电连接构件的电子装置
KR20210037092A (ko)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06947A (ko) 바디 센서(body sensor)
KR20220017192A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80237B1 (en) Wearable device with display
US20200182688A1 (en) Optical sens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24394A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40000380A1 (en) Wearable device
US20230293110A1 (en) Optical Sensor in a Button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946536B1 (ko) 전자 장치
CN117784575A (zh) 智能穿戴设备
KR20230140299A (ko) 복수의 전극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