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193A -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193A
KR20180042193A KR1020180044100A KR20180044100A KR20180042193A KR 20180042193 A KR20180042193 A KR 20180042193A KR 1020180044100 A KR1020180044100 A KR 1020180044100A KR 20180044100 A KR20180044100 A KR 20180044100A KR 20180042193 A KR20180042193 A KR 20180042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ral
ginsenoside
skin
ppm
ginseno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803B1 (ko
Inventor
류권렬
김동현
염명훈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04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80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꽃의 성분인 플로랄진세노사이드(Floral ginsenoside)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꽃의 특이 진세노사이드인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를 함유하여 피부 항산화, 항노화, 미백, 보습 및 항염증 효과가 탁월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floral ginsenoside}
본 발명은 인삼 꽃의 성분인 플로랄진세노사이드(Floral ginsenoside)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꽃의 특이 진세노사이드인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를 함유하여 피부 항산화, 항노화, 미백, 보습 및 항염증 효과가 탁월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하게 되고, 피부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노화가 진행되거나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는 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화의 현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화합물(free radical scavengers) 또는 과산화물 생성 억제물질과 같은 항산화제들이 이들 산화물들에 기인하는 노화 및 각종 질환의 억제 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된다.
한편, 인삼은 다년생 뿌리 작물로 보통 4년에서 6년이 자란 인삼의 뿌리를 채취하여 이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뿌리에 국한된 연구에서 벗어나 줄기, 잎, 열매, 꽃 등 다양한 부위를 연구하여 인삼의 이용을 다각화하고 있다. 또한, 웰빙 등의 추세에 따른 인삼의 수요가 증가하고 뿌리 이외의 부위를 이용한 산업적 이용과 연구가 늘어가고 있다.
최근 인삼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이외의 다양한 인삼의 유효 성분을 찾아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도 검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진세노사이드와 유효 성분들이 건강 기능성 식품, 화장품 등의 개발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인삼 뿌리의 진세노사이드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 인삼 진세노사이드를 찾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기존의 인삼 진세노사이드와는 다른 인삼꽃 유래 플로랄진세노사이드가 피부 항산화, 항노화, 미백 및 보습 효과가 탁월히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효능이 뛰어난 인삼꽃 유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여 피부 항산화, 항노화, 미백, 보습 및 항염증 효과가 뛰어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꽃 유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꽃 유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인삼 진세노사이드에 비해 항산화, 항노화, 미백, 보습, 항염증 등에 우수한 피부 효능을 나타내며,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플로랄진세노사이드(Floral ginsenoside)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인삼 꽃에서 분리한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 내지 10으로 표현되는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꽃 유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외용제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때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하기 효능이 미비하며, 50중량% 초과이면 독성 및 효능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효과, 콜라겐 생성 촉진 또는 MMP-1 억제 효과를 갖는 피부 노화 억제 또는 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멜라닌 생성 억제 또는 색소침착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유도하고 유지시키는 피부 보습 및 아토피증상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보습용 또는 아토피증상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로랄진세노아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지조절 또는 항염증 효과, 즉 염증인자의 생성을 억제하여 여드름을 비롯한 피부 트러블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항염증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는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또는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현탁액, 연고, 로션, 스프레이 등의 약학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인삼의 꽃(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1kg에 물 5L를 가하여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 후 에틸아세테이트와 여과한 추출물을 동량으로 섞어 분별깔대기로 물층을 얻은 뒤 물층에 다시 동량의 n-부탄올을 섞어 분별깔대기로 n-부탄올 층을 획득하여 순상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역상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시키고 최종적으로 HPLC를 통해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0.0053%), B(0.057%), C(0.014%), D(0.0054%), E(0.0014%), F(0.0046%), M(0.0023%), N(0.0016%), O(0.0055%) 및 P(0.0090%)를 제조하였다.
각 플로랄진세노사이드의 13C-NMR 데이터는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및 F에 대한 13C-NMR 데이터
1 2 3 4 5 6
C-1 39.6 39.5 39.4 39.4 39.3 39.3
C-2 28.0 28.0 28.1 28.2 26.8 26.8
C-3 78.8 78.9 78.6 78.6 89.0 88.9
C-4 40.4 40.4 40.3 40.4 39.8 39.8
C-5 61.5 61.5 61.8 61.8 56.5 56.5
C-6 80.1 80.1 67.8 67.8 18.5 18.5
C-7 45.3 45.2 47.5 47.5 35.3 35.2
C-8 41.2 41.2 41.2 41.3 40.2 40.2
C-9 50.1 50.3 50.0 49.9 50.5 50.2
C-10 39.8 39.8 39.4 40.4 37.1 37.1
C-11 31.1 31.2 30.9 30.9 32.2 31.1
C-12 70.3 70.5 70.2 70.6 71.1 70.5
C-13 49.3 49.3 49.2 49.2 49.0 49.7
C-14 51.5 51.5 51.4 51.5 51.8 51.6
C-15 30.7 30.6 30.8 30.7 31.4 30.7
C-16 26.8 26.5 26.7 26.4 26.8 26.5
C-17 51.5 52.2 52.1 52.1 54.2 52.3
C-18 17.6 17.6 17.6 17.7 16.0 16.0
C-19 17.6 17.6 17.5 17.5 16.5 16.3
C-20 83.2 83.2 83.3 83.2 73.3 83.2
C-21 22.6 23.2 21.8 23.3 27.9 23.3
C-22 32.9 39.7 32.8 39.9 40.4 39.7
C-23 26.7 126.6 26.7 126.7 127.3 126.6
C-24 89.9 138.0 90.1 138.1 135.8 138.1
C-25 145.8 81.3 146.2 81.3 81.3 81.3
C-26 113.3 25.2 113.3 25.4 25.2 25.2
C-27 17.8 25.4 17.8 25.2 25.3 25.4
C-28 31.8 31.8 32.0 32.0 28.2 28.2
C-29 16.4 16.4 16.5 16.5 16.7 16.8
C-30 17.3 17.1 17.4 17.3 17.1 17.2
C-1' 106.0 105.9 98.0 98.2 105.1 106.9
C-2' 75.5 75.5 74.9 75.1 83.6 75.8
C-3' 79.6 78.1 79.4 78.9 78.1 78.8
C-4' 72.0 72.0 72.1 72.2 71.8 72.0
C-5' 78.1 79.6 76.4 76.4 78.1 78.3
C-6' 63.1 63.1 69.5 68.5 63.0 63.1
C-1'' 98.1 98.3 105.1 110.2 106.1 98.3
C-2'' 75.1 75.3 72.2 83.3 77.1 75.3
C-3'' 79.2 78.0 74.2 78.8 78.4 78.9
C-4'' 71.8 71.1 68.8 86.2 71.9 71.7
C-5'' 78.0 78.7 66.0 62.9 78.2 78.2
C-6'' 63.1 63.2 62.9 63.2
125MHz 및 150MHz에서 피리딘-d 5에서 측정함.
플로랄진세노사이드 M, N, O 및 P에 대한 13C-NMR 데이터
1 2 3 4
C-1 39.5 39.5 39.2 39.3
C-2 27.8 27.8 26.8 26.7
C-3 78.8 78.8 89.1 89.5
C-4 40.0 40.0 39.7 40.6
C-5 60.9 61.0 56.5 61.8
C-6 79.4 74.8 18.5 67.6
C-7 45.9 46.0 35.1 47.6
C-8 41.3 41.3 40.1 41.2
C-9 50.0 49.7 50.2 49.9
C-10 39.8 39.8 37.0 38.9
C-11 30.9 30.9 30.9 30.8
C-12 70.2 70.3 70.6 70.3
C-13 49.1 49.2 49.7 49.2
C-14 51.5 51.5 51.5 51.4
C-15 30.8 30.8 30.6 30.8
C-16 26.7 26.7 26.4 26.7
C-17 51.8 51.8 52.1 51.7
C-18 17.5 17.5 16.1 17.6
C-19 17.4 17.3 16.3 17.4
C-20 83.4 83.5 83.2 83.5
C-21 22.4 22.4 23.3 22.4
C-22 36.2 36.2 40.0 36.2
C-23 23.1 23.3 126.7 23.3
C-24 126.1 126.0 138.0 123.8
C-25 131.0 131.1 81.3 131.1
C-26 25.8 25.8 25.1 25.8
C-27 17.8 17.8 25.4 17.9
C-28 32.2 32.2 28.2 31.4
C-29 17.6 17.6 16.6 16.8
C-30 17.3 17.4 17.2 17.5
C-1' 101.8 101.8 105.1 105.3
C-2' 79.0 79.4 83.5 83.5
C-3' 78.2 78.5 78.0 78.0
C-4' 72.7 72.1 72.0 71.9
C-5' 78.2 78.2 78.0 78.1
C-6' 63.3 63.3 62.8 63.0
C-1'' 101.9 101.9 106.0 106.0
C-2'' 72.3 72.4 77.1 77.0
C-3'' 72.4 72.4 78.8 78.5
C-4'' 74.2 74.3 71.7 71.8
C-5'' 69.5 69.5 78.1 78.1
C-6'' 18.7 18.7 62.9 63.0
C-1''' 98.1 98.2 98.2 98.2
C-2''' 75.1 75.0 75.2 75.0
C-3''' 78.2 79.1 78.1 79.2
C-4''' 71.8 71.8 71.8 71.9
C-5''' 76.5 76.7 76.4 76.7
C-6''' 68.5 69.2 68.4 69.2
C-1'''' 110.6 104.5 110.2 104.5
C-2'''' 83.2 72.0 83.2 72.1
C-3'''' 78.5 74.1 78.4 74.1
C-4'''' 86.2 68.4 86.1 68.4
C-5'''' 63.0 65.4 62.8 65.4
125MHz 및 150MHz에서 피리딘-d 5에서 측정함.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시험(DPPH 테스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플로랄진세노사이드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기 라디칼인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항산화제는 산화됨)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DPPH 산화 억제 효능을 비교 측정함으로써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인 플로란진세노사이드에 대해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흡광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와 상기에서 수득한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P 및 양성대조군을 각각 10㎕씩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양성대조군으로는 널리 사용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Trolox)를 사용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한다.
DPPH 분석 결과
시험물질 IC50(ppm)
트롤록스(Trolox) 46
실시예 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20
플로랄진세노사이드 B 2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C 19
플로랄진세노사이드 D 20
플로랄진세노사이드 E 23
플로랄진세노사이드 F 22
플로랄진세노사이드 M 2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N 18
플로랄진세노사이드 O 19
플로랄진세노사이드 P 21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 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와 비교하여도 그 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항산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항노화 효과 시험I(콜라게나제 발현 억제 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플로랄진세노사이드의 콜라게나제 생성 억제능을 토코페롤 및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토코페롤 및 EGCG는 항산화물질로서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P, 토코페롤 및 EGCG 각각을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콜라게나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콜라게나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처리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1
시험물질 콜라게나제 발현 정도(%)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 75
EGCG 60
실시예 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7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B 66
플로랄진세노사이드 C 69
플로랄진세노사이드 D 65
플로랄진세노사이드 E 64
플로랄진세노사이드 F 64
플로랄진세노사이드 M 67
플로랄진세노사이드 N 63
플로랄진세노사이드 O 69
플로랄진세노사이드 P 68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가 낮을수록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높고 피부내의 콜라겐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 생성되는 주름의 양은 적어진다. 상기 표 4에서 보면, 본 발명에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보다도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항노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항노화 효과 시험 II(프로콜라겐 생성 촉진 효능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의 프로콜라겐 생성능을 비타민 C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프로콜라겐은 콜라겐 생성 유도 물질로 콜라겐 생성과 노화 방지에 필요한 물질이며, 비타민 C는 콜라겐의 합성에 필수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P, 비타민 C 각각을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지 중에 유리된 프로콜라겐의 양을 프로콜라겐 타입-1 C-펩타이드 EIA 키트(procollagen type-1 C-peptide EIA kit)(MK101, Takar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비처리군에서의 프로콜라겐 생성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의 프로콜라겐 생성 정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프로콜라겐 생성 정도(%)
비처리군 100
비타민 C 120
실시예 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12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B 122
플로랄진세노사이드 C 119
플로랄진세노사이드 D 125
플로랄진세노사이드 E 126
플로랄진세노사이드 F 124
플로랄진세노사이드 M 118
플로랄진세노사이드 N 126
플로랄진세노사이드 O 120
플로랄진세노사이드 P 119
프로콜라겐의 생성 정도가 높을수록 콜라겐의 생성 정도가 높아지며, 따라서 피부 주름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 5에서 보면, 본 발명에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겐의 합성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비타민 C와 프로콜라겐의 생성 촉진 정도가 유사한 정도이거나 그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프로콜라겐 생성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내 콜라겐의 생성을 도와 항노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미백 효과 시험(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하이드로퀴논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Dooley, T.P. et al, Skin pharmacol, 7, pp 188-200)를 DMEM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tetradecanoylphorbol)-13-아세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를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한 다음,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각 시험물질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시험물질로는 하이드로퀴논과 상기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를 각각 10ppm의 농도로 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Figure pat00012
시험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
비처리군 100
하이드로퀴논(양성 대조군) 41.1
실시예 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40.5
플로랄진세노사이드 B 39.4
플로랄진세노사이드 C 41.5
플로랄진세노사이드 D 40.2
플로랄진세노사이드 E 39.6
플로랄진세노사이드 F 42.2
플로랄진세노사이드 M 40.4
플로랄진세노사이드 N 41.7
플로랄진세노사이드 O 40.0
플로랄진세노사이드 P 41.4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공지된 미백 물질인 하이드로퀴논과 유사한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피부 내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자극감 시험
공지된 미백 물질인 코직산과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플로랄진세노사이드의 사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따가움,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에 민감한 패널 15명을 대상으로 따가움, 화끈거림 등 자극감의 정도를 실험하였다.
피험자에게 코직산(kojic acid, YM chemical 통해 구입)과 플로랄진세노사이드 (상기 실시예 1)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을 각각 0.5㎖씩 좌우를 무작위로 바꾸어 적용하여 문지르고 0.1점 단위로 하여 0~3.0 사이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0 ~ 0.4: 자극 없음
0.5 ~ 1.0: 약간 자극이 있음
1.1 ~ 2.0: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2.1 ~ 3.0: 자극이 심함
구분 코직산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
(실시예 1)
따가움 0.85 0.18
화끈거림 0.50 0.24
평균 0.68 0.21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직산의 경우는 따가움, 화끈거림이 어느 정도 있어 보통 약간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자극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은 화끈거림과 따가움 모두 거의 느낄 수 없을 정도여서 대체로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코직산과는 다르게 자극감이 없어 보다 양호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피부 보습 시험(인간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유도 시험)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인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의 피부장벽기능 및 피부 보습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흡광도를 이용한 시험으로 일차 배양한 인간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후,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를 하기 표 8과 같이 조성된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 세포를 수확(cell harvest)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를 가하여 3분간 소니케이션(sonication)을 수행하고 난 후, 10분간 끓였다. 이를 1200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를 하여 분리한 침전물을 다시 PBS 1㎖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 일부를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세포 분화 정도의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 농도에 시험물질을 첨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사용농도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
대조군 Low Ca2+(0.03 mM) 100
Hign Ca2+(1.2 mM) 206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0.1 ppm 111
0.05 ppm 123
플로랄진세노사이드 B 0.1 ppm 109
0.05 ppm 125
플로랄진세노사이드 C 0.1 ppm 107
0.05 ppm 12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D 0.1 ppm 109
0.05 ppm 122
플로랄진세노사이드 E 0.1 ppm 107
0.05 ppm 123
플로랄진세노사이드 F 0.1 ppm 110
0.05 ppm 120
플로랄진세노사이드 M 0.1 ppm 109
0.05 ppm 122
플로랄진세노사이드 N 0.1 ppm 108
0.05 ppm 119
플로랄진세노사이드 O 0.1 ppm 109
0.05 ppm 123
플로랄진세노사이드 P 0.1 ppm 110
0.05 ppm 124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질형성세포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의 양을 측정하여 세포분화 촉진효과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각질형성세포에서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 보습능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추출물 (실시예 1) 5.0
스쿠알란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1~10 및 비교제조예 1]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제조예 1~10 및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조예 1의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제조예6 제조예7 제조예8 제조예9 제조예10 비교제조예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5.0 - - - - -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B - 5.0 - - - -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C - - 5.0 - - -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D - - - 5.0 - -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E - - - - 5.0 -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F - - - - - 5.0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M - - - - - - 5.0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N - - - - - - - 5.0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O - - - - - - - - 5.0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P - - - - - - - - - 5.0 -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밀납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유동파라핀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제형예 2] 영양크림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추출물 (실시예 1) 5.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참고예 2] 제조예 11~20 및 비교제조예 2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제조예 11~20 및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조예 2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제조예11 제조예12 제조예13 제조예14 제조예15 제조예16 제조예17 제조예18 제조예19 제조예20 비교제조예2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5.0 - - - - -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B - 5.0 - - - -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C - - 5.0 - - -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D - - - 5.0 - -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E - - - - 5.0 -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F - - - - - 5.0 -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M - - - - - - 5.0 -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N - - - - - - - 5.0 -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O - - - - - - - - 5.0 - -
플로랄진세노사이드 P - - - - - - - - - 5.0 -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유동파라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시험예 7]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아토피 증상(가려움, 진무름, 심한 건조증)으로 진단받았거나, 육안관찰로 아토피 유사 증상을 보이는 10~50대 사이의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4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제형예 1, 2 및 비교제조예 1, 2의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을 제공하여, 아토피 증상을 보이는 부위에 매일 2회씩 12주 동안 도포하도록 하였다. 효능 평가는 12주 처치 후 설문 조사를 통해 개선 정도를 본인이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하였다. 설문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을 "가려움", "건조함", "각질발생", "비듬", "홍반", "부어오름", "피부 균열" 및 "진물과 습집" 등으로 나누고 상기 증상이 있는 경우 각각의 증상에 대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한 후에 이를 평균하여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를 개인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응답자수 (인)
현저히 개선 개선 변화없음 악화
제형예 1 3 7 10 0
제형예 2 7 9 4 0
비교제조예 1 2 4 14 0
비교제조예 2 5 9 6 0
상기 표 13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예 1 및 2를 도포한 군이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제조예 1 및 2를 도포한 군보다 전반적으로 아토피 증상이 더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 각각에 대한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토피 증상(가려움, 진무름, 심한 건조증)으로 진단받았거나, 육안관찰로 아토피 유사 증상을 보이는 10~50대 사이의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10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제조예 1~10의 영양화장수를 제공하여, 아토피 증상을 보이는 부위에 매일 2회씩 12주 동안 도포하도록 하였다. 효능 평가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응답자수 (인)
시험물질 현저히 개선 개선 변화없음 악화
제조예 1 3 7 10 0
제조예 2 4 7 9 0
제조예 3 3 6 11 0
제조예 4 3 7 10 0
제조예 5 5 8 7 0
제조예 6 3 5 12 0
제조예 7 4 6 10 0
제조예 8 4 5 11 0
제조예 9 3 6 11 0
제조예 10 5 8 7 0
비교제조예 1 2 4 14 0
상기 표 14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예 1 및 2를 도포한 경우와 같이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 각각을 함유한 제조예 1~10을 사용하더라도 전반적으로 아토피 증상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8] 인간 피부에서 표피지질(총 세라마이드) 생성량 증가 효과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이 실제 인간 피부에서의 지질 합성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Carbopol ETD 2020 0.5%, TEA 0.45%, 시험물질 5%, 및 탈이온화된 물로 100을 맞추어 사용하였다. 12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팔뚝에 50ml 폴리프로필렌 코르니컬 튜브(polypropylene cornical tube)의 직경만큼 영역을 표시한 후 매일 2회씩 대조군들과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을 20μl씩 도포하면서 피검자를 2군으로 나누어 3일째와 11일째 생성 지질량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지질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팔뚝을 수돗물을 이용하여 씻은 다음 스카치 810 매직테이프(Scotch 810 Magic tape) 로 1회 테이프 스트립핑(tape stripping)한 후 자른 50 ml 폴리프로필렌 코르니컬 튜브를 저장소(reservoir)로 사용하여 1ml의 사이클로헥산/에탄올(cyclohexane/ethanol)(4:1)을 첨가한 다음 약 1분간 섞어 준 뒤 이를 새로운 튜브에 옮기고 다시 1 ml의 사이클로헥산/에탄올(1:1)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 후 튜브에 모았다. 이 후 이를 50℃에서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다음 500μl의 클로로포름/메탄올(2:1)에 녹인 후 각 시험물질들을 CAMAG사의 자동화 TLC 샘플러-4(Automated TLC sampler-4)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판에 점적하고, AMD(Automated Multiple Development)를 이용하여 하기 표 15과 같은 조성비의 전개 용매로 전개하였다.
클로로포름 메탄올 아세트산 헥산 디에틸에테르 페트롤리움 에테르 용매이동거리
(cm)
1차 40 10 1 - - - - 6.0
2차 190 9 - - - - - 6.5
3차 - - - 2 12 3 - 7.5
4차 - - - - - - 100 Top
TLC 판을 전개시킨 후 TLC 스캐너-II(CAMAG 사: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570 nm 파장에서 각 밴드(band)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비처치군의 세라마이드 생성량을 100%로 환산한 각 처치군의 세라마이드 생성량은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처리 후 3일 경과(%) 처리 후 11일 경과(%)
대조군 무처리군 100 100
대조군 운반제(Vehicle) 98 94
대조군 글리세린(5%) 102 108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104 11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B 107 114
플로랄진세노사이드 C 105 112
플로랄진세노사이드 D 106 113
플로랄진세노사이드 E 104 113
플로랄진세노사이드 F 107 115
플로랄진세노사이드 M 108 115
플로랄진세노사이드 N 106 114
플로랄진세노사이드 O 105 114
플로랄진세노사이드 P 107 116
상기 표 16의 결과에서,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처치한 3일 후에 음성대조군(무처리군/비히클) 대비 세라마이드 생성량의 증가 상태를 보였고 양성대조군(글리세린) 보다도 세라마이드 생성량이 증가함을 보였다. 그리고 11일 후에는 지질 생성능이 음성대조군(운반제)과 양성대조군(글리세린)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플로랄진세노사이드에 의한 세라마이드 증가를 입증하는 것이다.
세라마이드의 생성이 증가하면, 각질층의 형성이 증가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며, 이를 통하여 각질층의 피부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플로랄진세노사이드는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9] 여드름 및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
실험에 참여한 인원은 평소 여드름을 비롯한 피부 트러블이 심한 여성 20명으로, 항온항습실에서 얼굴을 비누로 수세한 후 30분간 적응시키고, 여드름 개수 및 염증이 동반된 개수를 비교하여 피부 트러블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피시험자들에게 상기 제형예 1, 2 및 비교제조예 1, 2의 영양화장수 및영양크림을 각각 4주일 동안 사용하게 한 다음 여드름 및 피부 트러블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제형예 1
(5명)
제형예 2
(5명)
비교제조예 1
(5명)
비교제조예 2
(5명)
피부 트러블 개선비율 60% 80% 25% 55%
상기 표 17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을 포함한 제형예 1, 2를 4주간 도포한 결과 기존 여드름 수의 감소 및 염증 동반 트러블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 각각에 대한 여드름및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평소 여드름을 비롯한 피부 트러블이 심한 여성 50명으로, 항온항습실에서 얼굴을 비누로 수세한 후 30분간 적응시키고, 여드름 개수 및 염증이 동반된 개수를 비교하여 피부 트러블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피시험자들에게 상기 제조예 1~10의 영양화장수를 각각 4주일 동안 사용하게 한 다음 여드름 및 피부 트러블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8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피부 트러블 개선비율
제조예 1 65%
제조예 2 60%
제조예 3 55%
제조예 4 65%
제조예 5 60%
제조예 6 60%
제조예 7 55%
제조예 8 50%
제조예 9 55%
제조예 10 65%
비교제조예 1 25%
상기 표 18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예 1 및 2를 도포한 경우와 같이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 각각을 함유한 제조예 1~10을 사용하더라도 여드름 및 피부 트러블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10] 항염증효과: LPS(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종양괴사인자 (TNF-α)의 생합성 억제 효과
인체 각질형성세포를 105개의 농도로 12웰 평판배양기에 배양하였고, LPS를 처리한 후, 실시예 1의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인삼꽃 추출물 1, 10 및 100 ppm을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6~24시간 배양한 다음 세포를 수확해서 ELISA(Pharmingen 555212)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TNF-α의 양을 정량하였다.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측정한 값과의 비교치를 표 19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은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배양한 비처리군이다.
시험물질 TNF-α 생합성(%)
실시예 1 플로랄진세노사이드A 100 ppm 10
10 ppm 32
1 ppm 62
플로랄진세노사이드B 100 ppm 13
10 ppm 40
1 ppm 68
플로랄진세노사이드C 100 ppm 12
10 ppm 37
1 ppm 66
플로랄진세노사이드D 100 ppm 11
10 ppm 33
1 ppm 61
플로랄진세노사이드E 100 ppm 13
10 ppm 34
1 ppm 65
플로랄진세노사이드F 100 ppm 12
10 ppm 36
1 ppm 61
플로랄진세노사이드M 100 ppm 10
10 ppm 33
1 ppm 64
플로랄진세노사이드N 100 ppm 11
10 ppm 35
1 ppm 66
플로랄진세노사이드O 100 ppm 12
10 ppm 31
1 ppm 60
플로랄진세노사이드P 100 ppm 13
10 ppm 33
1 ppm 61
대조군 100
상기 표 19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는 염증유발인자 LPS에 의한 TNF-α의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피부 트러블 개선에 기여할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이 때 사용한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추출물은 실시예 1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한 인삼꽃 추출물로서,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B, C, D, E, F, M, N, O 및 P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제형예 3] 마사지 크림
하기 표 2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추출물 (실시예 1) 5.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팩
하기 표 2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추출물 (실시예 1) 5.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C, D, E, F, O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인삼꽃 유래 플로랄진세노사이드(Floral ginsenos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C, D, E, F, O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인삼꽃 유래 플로랄진세노사이드(Floral ginsenos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3.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C, D, E, F, O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인삼꽃 유래 플로랄진세노사이드(Floral ginsenos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플로랄진세노사이드 A, C, D, E, F, O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인삼꽃 유래 플로랄진세노사이드(Floral ginsenos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44100A 2018-04-16 2018-04-16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7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100A KR101877803B1 (ko) 2018-04-16 2018-04-16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100A KR101877803B1 (ko) 2018-04-16 2018-04-16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604A Division KR101860109B1 (ko) 2011-09-22 2011-09-22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193A true KR20180042193A (ko) 2018-04-25
KR101877803B1 KR101877803B1 (ko) 2018-07-13

Family

ID=6208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100A KR101877803B1 (ko) 2018-04-16 2018-04-16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8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12A2 (ko) * 2008-06-13 2009-12-1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꽃 또는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803B1 (ko) 201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36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77254B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1824897B1 (ko)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22471A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88912A (ko) 텐저레틴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03198A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4067590A (ja) 女性ホルモ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1558182B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86679B1 (ko) 효소 처리된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7019679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glycine gracilis oil
KR101427573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0149A (ko) 마가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7790B1 (ko) 황숙종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7803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7123A (ko)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7574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