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903A -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903A
KR20180039903A KR1020160131266A KR20160131266A KR20180039903A KR 20180039903 A KR20180039903 A KR 20180039903A KR 1020160131266 A KR1020160131266 A KR 1020160131266A KR 20160131266 A KR20160131266 A KR 20160131266A KR 20180039903 A KR20180039903 A KR 20180039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electronic device
button
uni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문열
이춘화
권정민
김범식
이준석
민진기
정규창
이일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1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9903A/en
Publication of KR2018003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9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Casings portable; hand h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hysical key, which improves waterproof reliability and click feeling and, further, improves durability.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ase which forms appearance and has an open unit; a button which is included to be exposed to one outer area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open unit; a dome key which is included in one inner area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open unit and generates a signal by pressing the button; and a waterproof member which is includ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dome key. The waterproof member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mpression unit which transmits compression force applied to the button to the dome key by including an elastic member; a waterproof unit which forms a recessed area where a part of the button is settled by being connected with the compression unit and shields the open unit; and a reinforcement unit which is formed in the recess area and is combined with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버튼(Button)의 방수 구조를 구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a waterproof structure of a button.

전자 장치에 있어서, 돔 키를 이용한 물리 키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돔 키는 작용한 일정 이상의 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구조를 의미한다.In the electronic device, a physical key structure using a dome key may be provided. The dome key refers to a structure that is compressed by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o generate an input signal.

돔 키는 물리적인 가압을 필요로 한다. 물리적인 가압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전자 장치의 물리적 변형 부분이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방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dome key requires physical pressure. The need for physical pressurization means that there is a physical deformation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which means that a waterproofing problem can occur.

방수 성능 구현을 위해 필요한 경우 해당 부분의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방수 구조는 버튼과 돔 키 사이에 제1 방수 러버의 구비가 될 수 있다.If necessary for the waterproof performanc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part can be implemented. The waterproof structur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waterproof rubber between the button and the dome key.

제1 방수 러버는 물리 키 구현을 위해 불가피하게 케이스에 형성된 홀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방수 구조를 구현한다.The first waterproof rubber implements a waterproof structure by blocking holes formed in the case from the outside inevitably for physical key implementation.

제1 방수 러버는 탄성을 갖는 소재, 대표적으로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방수 러버는 버튼에 작용한 힘을 돔 키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waterproof rubb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ypically silicon or the like. The first waterproof rubber transmits the force acting on the button to the dome key.

하지만 제1 방수 러버를 구비하는 경우 고려해야하는 사항이 있다.However, there are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the first waterproof rubber is provided.

첫 번째는 물리 키 구조에 있어서의 클릭감이다.The first is the click feeling in the physical key structure.

클릭감이 좋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버튼을 적당한 힘으로 눌릴 수 있으면서도 눌러졌는지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 키 구조에 있어서 클릭감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A good sense of click means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button is being pushed and pressed with the appropriate force. Click feel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hysical key structure.

두 번째는 제1 방수 러버의 내구성에 관한 것이다.The second relates to the durability of the first waterproof rubber.

제1 방수 러버는 돔 키에 적절한 힘을 전달하기 위해 탄성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탄성 소재는 일반적으로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수 러버에는 반복되는 물리 키의 클릭에 의해 양 쪽에서 가압되어 피로가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크랙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The first waterproof rubber uses an elastic material to transmit the proper force to the dome key. The elastic material may generally include natural rubber, silicone, or the like. The first waterproof rubber is pressurized on both sides by the repetition of the physical key, and fatigue occurs, resulting in damage such as cracks.

손상된 제1 방수 러버는 방수 성능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클릭감 또한 저하 시키게 된다.The damaged first waterproof rubber lowers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further lowers the click feeling.

상기 고려 사항들을 감안한 물리 키 구조가 필요하다.A physical key structure that takes these considerations into account is need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물리 키 영역의 방수 구조의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reliability of a waterproof structure of a physical key area.

또 다른 목적은 물리 키의 클릭감을 향상 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lick feeling of physical keys.

또 다른 목적은 물리 키의 내구성을 향상 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i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physical keys.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 외측 일 영역에 노출 구비되는 버튼,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 내측 일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압축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키 및 상기 버튼 및 돔 키 사이에 구비된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버튼에 작용된 압축력을 상기 돔 키에 전달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의 일부가 안착되는 함몰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방수부 및 상기 함몰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부 및 방수부에 결합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ase having an opening and having an opening;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the button being exposed to a region outside the case; And a waterproof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dome key, the dome key being provided in one region for generating a signal by the compression of the button, and the waterproof member including a resilient material, A waterproof portion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portion to form a recessed region in which a part of the button is seated and to shield the opening portion, and a waterproof portion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and coupled to the compression portion and the waterproof portion, And a reinforc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소재를 포함하는 필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s a film including a polycarbonate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압축부는 상기 함몰 영역 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compressing portion includes a projecting portion having a convex shape toward the recessed region side, and the reinforcing portion includes a project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ed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압축부의 상기 함몰 영역 반대 면은 평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epression area of the compression section is plana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압축부 및 상기 방수부는 실리콘 소재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compression portion and the waterproof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물리 키 영역의 방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proof reliability of the physical key area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물리 키의 클릭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ick feeling of the physical ke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물리 키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Als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of the physical key is improv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은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 물리 키 구조가 포함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에서 물리 키 구조가 포함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방수 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수 부재와 비교를 위한 다른 형태의 방수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hysical key structure.
2A and 2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directions.
3 shows a cross section including a physical key structure in an electronic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cross section of a waterproof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nother type of waterproof member for comparison with the waterproof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전자 장치에 있어서, 돔 키를 이용한 물리 키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돔 키는 작용한 일정 이상의 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구조를 의미한다.In the electronic device, a physical key structure using a dome key may be provided. The dome key refers to a structure that is compressed by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o generate an input signal.

돔 키는 물리적인 가압을 필요로 한다. 물리적인 가압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전자 장치의 물리적 변형 부분이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방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dome key requires physical pressure. The need for physical pressurization means that there is a physical deformation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which means that a waterproofing problem can occur.

방수 성능 구현을 위해 필요한 경우 해당 부분의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방수 구조는 버튼과 돔 키 사이에 제1 방수 러버의 구비가 될 수 있다.If necessary for the waterproof performanc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part can be implemented. The waterproof structur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waterproof rubber between the button and the dome key.

제1 방수 러버는 물리 키 구현을 위해 불가피하게 케이스에 형성된 홀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방수 구조를 구현한다.The first waterproof rubber implements a waterproof structure by blocking holes formed in the case from the outside inevitably for physical key implementation.

제1 방수 러버는 탄성을 갖는 소재, 대표적으로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방수 러버는 버튼에 작용한 힘을 돔 키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waterproof rubb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ypically silicon or the like. The first waterproof rubber transmits the force acting on the button to the dome key.

하지만 제1 방수 러버를 구비하는 경우 고려해야하는 사항이 있다.However, there are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the first waterproof rubber is provided.

첫 번째는 물리 키 구조에 있어서의 클릭감이다.The first is the click feeling in the physical key structure.

클릭감이 좋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버튼을 적당한 힘으로 눌릴 수 있으면서도 눌러졌는지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 키 구조에 있어서 클릭감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A good sense of click means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button is being pushed and pressed with the appropriate force. Click feel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hysical key structure.

두 번째는 제1 방수 러버의 내구성에 관한 것이다.The second relates to the durability of the first waterproof rubber.

제1 방수 러버는 돔 키에 적절한 힘을 전달하기 위해 탄성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탄성 소재는 일반적으로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수 러버에는 반복되는 물리 키의 클릭에 의해 양 쪽에서 가압되어 피로가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크랙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The first waterproof rubber uses an elastic material to transmit the proper force to the dome key. The elastic material may generally include natural rubber, silicone, or the like. The first waterproof rubber is pressurized on both sides by the repetition of the physical key, and fatigue occurs, resulting in damage such as cracks.

손상된 제1 방수 러버는 방수 성능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클릭감 또한 저하 시키게 된다.The damaged first waterproof rubber lowers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further lowers the click feeling.

상기 고려 사항들을 감안한 물리 키 구조가 필요하다.A physical key structure that takes these considerations into account is needed.

도 1은 종래의 전자 장치(300)에서 물리 키 구조가 포함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300 including a physical key structure.

케이스(310)는 전자 장치(3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310)의 외측에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320)이 구비되고, 버튼(320)이 가압되면 제1 방수 러버(330)에 의해 돔 키(340)를 누른다. 돔 키(340)는 가압에 의해 입력 키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case 3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A button 320 for inputting a key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310. When the button 320 is pressed, the dome key 340 is pressed by the first waterproof rubber 330. The dome key 340 generates an input key signal by pressurization.

제1 방수 러버(330)는 케이스(310)의 개구부(311)에서 방수 구조를 구현하고 동시에 압축됨으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클릭감을 발생시킨다.The first waterproof rubber 330 implements a waterproof structure at the opening 311 of the case 310 and is compressed at the same time, thereby causing the user to generate a clicking feeling.

제1 방수 러버(330)는 형상 유지를 위한 프레임(331)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331)은 일반적으로 메탈 소재를 포함하여 제1 방수 러버(330)에 일정 정도 이상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waterproof rubber 330 may have a frame 331 for maintaining the shape thereof. The frame 331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so as to maintain a rigidity of at least a certain level on the first waterproof rubber 330.

프레임(331) 소재의 일 예로 SUS가 있다.One example of the material of the frame 331 is SUS.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방수 러버(330)는 버튼(320)과 돔 키(340)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가압되므로 내구성이 문제된다. 일반적인 기준으로 키 누름 10만회에도 제1 방수 러버(330)는 손상되지 않아야 하나, 종래의 구조에 의해서는 2만5천여 회에 의해 손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waterproof rubber 330 is repeatedly pressed between the button 320 and the dome key 340, durability is a problem. As a general criterio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waterproof rubber (330) should not be damaged even with a key press of 100,000 times, but it is damaged by the conventional structure by 25,000 times.

도 2a 및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100)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2A and 2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개시된 전자 장치(100)는 바 형태의 이동 전자 장치(100)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전자 장치(100)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전자 장치(100)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disclosed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bar shaped mobile electronic device 100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folder type, a flip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a watch type, a clip type, a glass type or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 The description of a particular type of electronic device 100, which will be relevant to a particular type of electronic device 100, is generally applicable to other types of electronic devices 100. [

여기에서, 전자 장치(100) 바디는 전자 장치(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100 body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referring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at least one aggregate.

전자 장치(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case (e.g.,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that forms an appearance. As show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전자 장치(100)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전자 장치(100)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output informatio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ase 101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ogether with the front case 101. [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In some cases, electronic components may also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Electronic parts that can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include detachable batteries, an identification module, a memory card, and the like. In this case, a rear cover 103 for covering the mounted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Therefore, when the rear cover 103 is separated from the rear case 102, the electronic parts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re exposed to the outside.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when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a side portion of the rear case 102 can be exposed. In some cases, the rear case 102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rear cover 103 during the engagement. Meanwhile, the rear cover 10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camera 121b and the sound output unit 152b to the outside.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se cases 101, 102, and 103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case provides the internal space, unlike the above example where a plurality of cases provid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 this case, a unibody electronic device 100 in which a synthetic resin or metal is side-to-back can be implemented.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waterproof portion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proof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or between the rear case 102 and the rear cover 103, And a waterproof member for sealing the inside space of the oven.

물리 키 영역의 방수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physical key area will be described later.

전자 장치(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51,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 light output unit 154, Cameras 121a and 121b,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a microphone 122, an interface unit 160,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전자 장치(100)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전자 장치(100)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전자 장치(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1A and 1B, a display unit 151, a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nd a display unit 144 are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 second operation unit 123b, a microphone 122, and an interface unit (not shown)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light output unit 154, the first camera 121a, And an electronic device 100 in which 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and a second camera 121b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전자 장치(100) 바디의 후면이 아닌 전자 장치(100)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se configurat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These configurations may be excluded or replaced as needed, or placed on different planes.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not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exist in two or mor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In this case,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51 so that a control command can be received by a touch method.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sensor senses the touch, and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e touch.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a letter or a number, an instruction in various modes, a menu item which can be designated, and the like.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a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may be a metal wire .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inside the display.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151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touch senso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123. In some cases, the touch screen may replace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call sound to a user's ear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implemented as a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playback sounds. ). ≪ / RTI >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provided with an acoustic hole for emitting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acoustic output unit 152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ound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along an assembly gap (for example, a gap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structures. In this case,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made simpler because the holes that are formed independently for apparent acoustic output are hidden or hidden.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The optical output unit 154 is configured to output light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Examples of the event include a message reception, a call signal reception, a missed call, an alarm, a schedule notification, an email recept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154 to terminate the light output when the event confirm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mode or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s an example of a user input portion 123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have.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can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in a tactile manner such as touch, push, scrol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employed in a manner that the user operates the apparatus without touching the user through a proximity touch, a hovering touch, or the like.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물리 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물리 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figur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a touch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be a mechanical key or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physical key.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can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receives a command such as a menu, a home key, a cancellation, a search,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receives a command from the first or second sound output unit 152a or 152b The size of the sound, and the change of the display unit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한편, 전자 장치(100)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rear inpu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another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The rear input unit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input contents can be set variously.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start, end, scrolling, and the like, the size adjustmen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nd the like can be inputted. The rea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input, a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후면 입력부는 전자 장치(100)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전자 장치(100)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so as to overlap the front display unit 15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body. As an example, the rear input may be locat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uch that when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device 100 body with one hand, the rear input may be easily manipulated using the index fing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input unit may be changed.

이처럼 전자 장치(100)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전자 장치(100)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전자 장치(100)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If a rear input un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 new type of user interface using the rear input unit can be realized.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ouch screen or rear input unit replaces at least a part of th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o that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are not arranged, the display unit 151 can be configured as a larger screen.

한편, 전자 장치(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the fingerprint of the user,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uthentication mean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The microphone 122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o receive stereophonic sound.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is a path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60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for example, an earphone or an external speaker),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implemented as a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or a UIM (User Identity Module) or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전자 장치(100)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A second camera 121b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body. In this case,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Such a camera can be named an 'array camera'. When the second camera 121b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images can be taken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a better quality image can be obtained.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The flash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The flash 124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전자 장치(100)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 second acoustic outpu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body.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for implementing a speakerphone mode in a call.

전자 장치(100)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전자 장치(100)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전자 장치(100)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antenna may be embedded in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formed in the case. For exampl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fetchable from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lternatively,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03, or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antenna.

전자 장치(100) 바디에는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전자 장치(100) 바디에 내장되거나, 전자 장치(100)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191 built in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detachably configured outside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In addition,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be wirelessly chargeable through a wireless charger.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magnetic resonance method).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전자 장치(100)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cover 103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so as to cover the battery 191 to restrict the release of the battery 191 and to protect the battery 191 from external impact and foreign matter . When the battery 19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rear cover 10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전자 장치(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supplemented with an accessory that protects the appearance or that aids or extends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ne example of such an accessory is a cover or pouch that covers or accommodates at least on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cover or pouch may be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display portion 151 to expand the functiona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other example of an accessory is a touch pen for supplementing or extending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100)에서 물리 키 구조가 포함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 cross section including a physical key structure in an electronic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전자 장치(100)의 케이스(210)는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210)는 전술한 프론트 케이스(210)(101, 도 2a 참조) 및 리어 케이스(210)(102, 도 2a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The case 2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ms an appearance. The case 210 may include the front case 210 (see FIG. 2A) and the rear case 210 (see FIG. 2A), and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rear cover as the case may be .

즉, 케이스(210)는 물리 키가 구비되는 하우징의 의미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 물리 키는 특히 이동 단말기의 사이드 키가 될 수 있다. 이후 설명은 이동 단말기의 사이드 키인 제2 조작유닛(123b, 도 2b 참조)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위치 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물리 키(Mechanical Key)로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라면 어디든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case 210 includes the meaning of the housing in which the physical key is provided. I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mobile terminal, the physical key may be a side key of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see FIG. 2B), which is a side key of the mobile terminal, is a physical key that performs other functions or perform other func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user input unit.

케이스(210)는 물리 키 구조를 구비하기 위한 개구부(211)를 가진다. 물리 키에서 전자 신호 발생을 담당하는 구성은 케이스(210)의 내부에, 이러한 전자 신호 발생 구성에 물리적인 변형을 전달하는 구성은 케이스(210)의 외부에 구비되므로 개구부(211)는 이러한 두 구성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case 210 has an opening 211 for providing a physical key structure. Since the configuration for carrying out the generation of the electronic signal in the physical key is provided inside the case 210 and th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physical deformation to the electronic signal generating configuration is provided outside the case 210, Thereby providing a space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버튼(220)은 케이스(210)의 외측, 특히 개구부(211)에 대응되는 일 영역에 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버튼(220)은 사용자가 직접 가압하는 부재에 해당한다. 버튼(220)은 일반적으로 일정 강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220 may be exposed on one side of the case 210, specifically on the opening 211. The button 220 corresponds to a member that the user directly presses. The button 220 may include a polycarbonate material having a generally constant stiffness.

버튼(220)은 개구부(211)를 관통하는 형상을 가져 가압에 의해 돔 키(240)를 간접적으로 누를 수 있다. 버튼(220)으로부터 돔 키(240)로 압력을 전달하는 방수 부재(23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button 220 has a shap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211 and can indirectly press the dome key 240 by press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aterproof member 230 that transfers pressure from the button 220 to the dome key 240 will be described later.

돔 키(240)는 개구부(211)에 대응되는 케이스(210)의 내측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돔 키(240)는 일정 크기의 가압이 발생하면 눌러져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dome key 240 may be provided on one inner side of the case 210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211. The dome key 240 is pressed when a predetermined size of pressure is generated to generate a signal.

돔 키(240)는 전자 장치(100)에 실장된 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 241)에 구비될 수 있다.The dome key 240 may be provid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241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본 발명에서는 돔 키(240)로 한정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ome key 24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방수 부재(230)는 버튼(220) 및 돔 키(240) 사이에 구비되어 버튼(220)에 발생한 압축력을 돔 키(24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방수 부재(230)는 지지부(234)를 포함하고, 지지부(234)는 개구부(211) 경계에 걸쳐져 방수 부재(230)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proofing member 230 is provided between the button 220 and the dome key 240 to transmit the compression force generated in the button 220 to the dome key 240. The waterproof member 230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234 and the support portion 234 may extend over the boundary of the opening 211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waterproof member 230.

방수 부재(23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소재의 복원력에 의해 버튼(220)이 가압되어 돔 키(240)를 누른 이후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며, 버튼(220)이 원 위치로 복원하는 힘을 제공한다.The waterproofing member 230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When the button 220 is pres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and pressed after the dome key 240 is depressed, the button 220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button 220 provides a force for restoring the original position.

압축부(231)는 방수 부재(230)의 일 영역을 구성하여 버튼(220)에 작용한 힘을 돔 키(2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압축부(231)는 직접적으로 힘을 받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영역에 해당하며, 따라서 높은 내구도를 필요로 한다.The compression unit 231 constitutes one area of the waterproofing member 230 and transmits the force acting on the button 220 to the dome key 240. The compression section 231 corresponds to a region directly acting as a force receiving or transmitting, and thus requires a high durability.

압축부(231)의 내측면은 볼록한 형상의 돌출부(2311)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2311)는 버튼 돌기(221)가 직접 맞닿아 가압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압축부(231)가 평면이 아닌 돌출 형상의 돌출부(2311)를 갖는 이유는 소재에 의한 탄성 성질뿐만 아니라 형상에 의해 탄성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The inn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portion 231 may have a protruding portion 2311 having a convex shape. The projecting portion 2311 may be a region where the button projection 221 directly abuts and is pressed. The reason why the compression portion 231 has a protruding portion 2311 which is not a flat surface is to improve the elastic property by the shape as well as the elastic property by the material.

돌출부(2311)는 반 구 형상을 띨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반 구 형상일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적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The projection 2311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However,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semi-spherical shape, but may be a shap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narrower toward the inner side.

방수부(232)는 방수 부재(230)의 또 다른 일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방수부(232)는 압축부(231)의 외측 경계에 연결되어 압축부(231)와 함께 버튼(220)의 일부, 특히 버튼 돌기(221)가 안착되는 함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The waterproof portion 232 may constitute another area of the waterproof member 230. The waterproof part 232 is connected to the outer boundary of the compression part 231 to form a depression area in which a part of the button 220, particularly the button protrusion 221, is seated together with the compression part 231.

함몰 영역은 버튼 돌기(221)가 가압 방향인 종 방향 및 횡 방향에 대해 방수 부재(2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pression area can prevent the button projection 221 from separating from the waterproofing member 2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as the pressing direction.

방수부(232)의 내측면은 버튼 돌기(221)가 횡 방향으로 의도하지 않게 유동하지 않도록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proof portion 232 may have a corresponding diameter so that the button protrusion 221 does not inadvertently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방수부(232)는 개구부(21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방수 단차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방수 단차부(233)에 의한 방수부(232)의 직경은 개구부(211)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어 개구부(211)와 방수 부재(230)의 사이에 틈을 막아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proof portion 232 may have a waterproof step 233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211. The diameter of the waterproof portion 232 by the waterproof step 23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211 to prevent the liquid from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opening 211 and the waterproof member 230 .

압축부(231) 및 방수부(232)는 동일 소재에 의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부(231) 및 방수부(232)를포함하여 탄성부(235)로 정의한다. 탄성부(235)는 후술하는 방수 단차부(233) 및 지지부(234) 구성까지 포함한다.The compression portion 231 and the waterproof portion 232 may be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this case, the elastic portion 235 is defined as including the compression portion 231 and the waterproof portion 232. The elastic portion 235 includes the waterproof stepped portion 233 and the support portion 234 described later.

탄성부(235)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여 탄성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235 may have elastic properties including a silicon material.

보강부(236)는 압축부(231) 및 방수부(232)를 포함하는 탄성부(235)의 함몰 영역에 결합할 수 있다. 보강부(236)의 내구성은 압축부(231)의 내구성보다 높다. 보강부(236)는 압축부(231)의 버튼(220) 측 면을 덮어 압축부(231)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reinforcing portion 236 can engage with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235 including the compression portion 231 and the waterproof portion 232.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ing portion 236 is higher than the durability of the compression portion 231. The reinforcing portion 236 covers the surface of the compression portion 231 on the button 220 and protects the compression portion 231.

또한 보강부(236)는 압축부(231)뿐만 아니라 방수부(232) 및 지지부(234)까지 연장 형성되어 방수 부재(230)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프레임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236 may extend to the waterproof portion 232 and the support portion 234 as well as the compression portion 231 to function as a frame for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of the waterproof member 230.

보강부(23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reinforcing portion 236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방수 부재(23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cross section of a waterproofing member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강부(236)는 필름 형태의 얇은 레이어로 구비되어 방수 부재(230)의 일측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강부(236)는 특히 함몰 영역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면(2361)을 가질 수 있다. 돌출면(2361)은 압축부(231)의 돌출부(2311)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돌출면(2361)은 얇은 레이어로 구비되므로 돌출부(2311)의 형상과 동일한 경향을 띨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236 may be formed in a thin film-like layer to form one side of the waterproofing member 230. The reinforcing portion 236 may have a protruding surface 2361 protruding inwardly into the recessed region. The protruding surface 236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2311 of the compression portion 231. Since the protruding surface 2361 is provided as a thin layer, the protruding surface 2361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protruding portion 2311.

따라서 돌출면(2361)은 함몰 영역의 내측에서 반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protruding surface 2361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inside the recessed region.

둘출면을 갖는 얇은 레이어는 소재 및 형상의 특성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져 클릭감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변형성도 동시에 뛰어나 반복되는 가압에 의한 피로가 적다.A thin layer having a denting surface has an elasticity tha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the shape, thereby improving the click feeling, and furthermore, the deformability is also excellent at the same time.

보강부(236)는 상기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포함하는 특정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236 may be formed of a polycarbonate material to satisfy the above requirements. Or a polycarbonate material.

상기 소재 및 형상의 특징에 의해 찢어지거나 닳는 성질도 종래 대비 완화 될 수 있어 압축부(231) 또는 방수부(232)가 찢어져 방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The tearing and wear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the shape can be alleviat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so that the compression portion 231 or the waterproof portion 232 can be torn to prevent the waterproof performance from deteriorating.

압축부(231)의 외측면, 즉 함몰 영역의 반대 면은 돔 키(240)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돔 키(240)의 접촉 면이 평면을 포함하는 경우 압축부(231)의 외측면 또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압축부(231)와 돔 키(240)가 안정적으로 접해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section 231, that i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epression area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dome key 240. That is, wh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dome key 240 includes a plane,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portion 231 is also formed in a plane so that the compression portion 231 and the dome key 240 can stably contact and transmit force .

평면의 압축부(231) 외측면은 상기 이유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두께를 형성하여 방수 부재(230)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막는다.The outer surface of the compressed portion 231 of the flat surface forms an unnecessary thickness as well as the above-mentioned reason, thereby preventing the thickness of the waterproof member 230 from becoming thick.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보강부(236)는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볼록면이 형성된 보강부(236)에 실리콘 소재의 압축부(231) 및 방수부(232)가 이중 사출의 형태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The reinforced portion 236 of the polycarbonate material may be injection molded. A compression part 231 and a waterproof part 232 of a silicone material can be insert-injected into a reinforced part 236 having a convex surface in the form of a double injec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방수 부재(230)와 비교를 위한 다른 형태의 방수 부재(350)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proofing member 350 for comparison with the waterproofing member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방수 부재(230)와 구분하기 위해 제2 방수 러버(350)로 명명한다. 본 발명의 방수 부재(230)와 달리 탄성부(235)의 외측면, 즉 함몰 영역의 반대 면에 보강 필름(351)이 구비될 수 있다. 보강 필름(351)의 소재가 본 발명의 보강부(236, 도 4 참조)와 동일하다 하더라도 형상 및 위치의 차이에 의해 본 발명과 달리 압축부(231)의 손상을 막을 수 없고, 동시에 클릭감도 저하될 수 밖에 없다.And is referred to as a second waterproof rubber 350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waterproof member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film 35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part 235,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cessed area, unlike the waterproof member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aterial of the reinforcing film 351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inforcing portion 236 (see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compression portion 231 from being damaged by the difference in shape and position, It can not but be reduced.

따라서 보강 필름(351)은 본 발명의 보강부(236)와 같이 탄성부(235)의 내측, 즉 함몰 영역에 형성되고, 나아가 돌출면(2361, 도 4 참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film 35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235, that is, in the recessed region like the reinforcing portion 236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more, has the projecting surface 2361 (see FIG. 4).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자 장치 123: 사용자 입력부
210: 케이스 211: 개구부
220: 버튼 221: 버튼 돌기
230: 방수 부재 231: 압축부
2311: 돌출부 232: 방수부
233: 방수 단차부 234: 지지부
235: 탄성부 236: 보강부
2361: 돌출면 240: 돔 키
241: 기판 310: 케이스
311: 개구부 320: 버튼
330: 제1 방수 러버 331: 프레임
340: 돔 키 350: 제2 방수 러버
351: 보강 필름
100: electronic device 123: user input
210: case 211: opening
220: button 221: button projection
230: waterproof member 231:
2311: projection part 232: waterproof part
233: Waterproof step 234: Support
235: elastic portion 236: reinforced portion
2361: protruding surface 240: dome key
241: substrate 310: case
311: opening 320: button
330: first waterproof rubber 331: frame
340: dome key 350: second waterproof rubber
351: reinforced film

Claims (5)

외관을 형성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 외측 일 영역에 노출 구비되는 버튼;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 내측 일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압축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키; 및
상기 버튼 및 돔 키 사이에 구비된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버튼에 작용된 압축력을 상기 돔 키에 전달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의 일부가 안착되는 함몰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방수부; 및
상기 함몰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부 및 방수부에 결합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A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d having an opening;
A button that is exposed to a region outside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 dome key provided in a region inside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to generate a signal by compression of the button; And
And a waterproof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dome key,
The waterproof member
A compression unit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for transmitting a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to the dome key;
A waterproof part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part to form a recessed area in which a part of the button is seated and to shield the opening; And
And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and coupled to the compression portion and the waterproof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소재를 포함하는 필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s in the form of a film including a polycarbonate materia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함몰 영역 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mpressing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having a convex shape toward the recessed region side,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ncludes a project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ng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의 상기 함몰 영역 반대 면은 평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epressed area of the compression portion is plana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 및 상기 방수부는 실리콘 소재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ression portion and the waterproof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KR1020160131266A 2016-10-11 2016-10-11 Electronic device KR201800399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66A KR20180039903A (en) 2016-10-11 2016-10-11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66A KR20180039903A (en) 2016-10-11 2016-10-11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903A true KR20180039903A (en) 2018-04-19

Family

ID=6208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266A KR20180039903A (en) 2016-10-11 2016-10-11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990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7762A (en) * 2016-06-20 2017-12-2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Press-key structure and electric kettle
WO2020004788A1 (en) * 2018-06-28 2020-01-02 일진디스플레이(주) Button structure with drainage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7762A (en) * 2016-06-20 2017-12-2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Press-key structure and electric kettle
CN107527762B (en) * 2016-06-20 2020-09-0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Key structure and electric kettle
WO2020004788A1 (en) * 2018-06-28 2020-01-02 일진디스플레이(주) Button structure with drainag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8658A (en) Mobile terminal
KR101612862B1 (en) Mobile terminal
KR20180049916A (en) Mobile terminal
KR20190026024A (en) Mobile terminal
KR20150084600A (en) Mobile terminal
KR20170023481A (en) Mobile terminal
KR20190057286A (en) Mobile terminal
KR20180039903A (en) Electronic device
KR101830964B1 (en) Mobile terminal
KR20160126453A (en) Ke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70021147A (en) Mobile terminal
KR20170014629A (en) Mobile terminal
KR20190037967A (en) Mobile terminal
KR20200019412A (en) Mobile terminal
KR20170017204A (en)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KR101584537B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75503B1 (en) Mobile terminal
KR101578435B1 (en) Mobile terminal
KR20180065174A (en)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KR20190053756A (en) display device
KR20160115498A (en) Mobile terminal
KR20170088712A (en) Mobile terminal
KR20160006438A (en) Mobile terminal
KR101592942B1 (en) Mobile terminal
KR20160150543A (en) Mobile 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