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498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498A
KR20160115498A KR1020150043292A KR20150043292A KR20160115498A KR 20160115498 A KR20160115498 A KR 20160115498A KR 1020150043292 A KR1020150043292 A KR 1020150043292A KR 20150043292 A KR20150043292 A KR 20150043292A KR 20160115498 A KR20160115498 A KR 20160115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key member
opening
mobile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2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준희
이진환
이수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498A/en
Publication of KR2016011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4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o minimize the manufacturing cost for combination between a key member and a housing of a mobile terminal, optimize the defect ratio and uniformity by replacing the bonding-type combination between the key member and a rubber unit, and resolving the noise and failure issues of the combination between the key member and the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PCB unit on which a first dome and a second dome for generating electronic signal using pressure are mounted; a housing which includes a first opening for exposing the domes to the outside; a first key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to cover the first dome and includes a second opening for exposing the second dome to the outside; a second key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and covers the second dome; a first elastic unit which is combined with the first key member in the dual molding method and includes a first projection protruding towards the first dome; and a second elastic unit which is combined with the second key member in the dual molding method and includes a second projection protruding towards the second dome.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생산 단가를 감소하고 사용자의 클릭률을 최적화하는 물리 키의 구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tructure of a physical key for reducing a production cost and optimizing a click rate of a user.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이동 단말기에는 압력을 가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물리 키가 구비될 수 있다. 물리 키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 외부의 물리적인 대상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키 부재와 변형에 따라 전자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키 부재와 돔 사이에는 클릭 감도를 최적화 하기 위한 러버부가 구비된다. 러버부는 키 부재와 접착제를 통한 본딩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키 부재와 러버부가 본딩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 생산 공정에 있어서 사람에 의해서 일일이 작업해야 하며,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을 보장받을 수 없고, 일정하지 못한 도포 상태에 따라 불량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클릭률 또한 나빠질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physical key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y applying pressure. A physical key can be divided into a key member directly touching an external physical object such as a user's finger, and a dome generating an electronic signal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Between the key member and the dome, a rubber portion for optimizing click sensitivity is provided. The rubber part is generally joined to the key part by an adhesive bonding method. When the key member and the rubber portion are bonded by the bond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work one by one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it is not guaranteed that the adhesive is uniformly applied, and the defective rate may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non- It can get worse.

한편, 키 부재와 키 부재가 고정되는 하우징은 모두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키 부재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유격에 의해서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오 입력이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된다. 반대로 키 부재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밀착된 경우에는 클릭감을 해친다. 또, 키 부재와 하우징 각각의 면과 면이 접촉하게 되어 이물질의 유입될 경우 면 전체가 이물질과 눌러 붙어 굳게 될 위험이 있다.On the other hand, both the key member and the housing to which the key member is fixed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When the space between the key member and the housing is wide, there is a problem such as generating noise or erroneous input due to the clear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gap between the key member and the housing is excessively close, the click feeling is deteriorated. In addition, since the surfaces of the key member and the housing co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a risk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key member and the housing will be pressed and stuck with the foreign matter when the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키 부재와 하우징 간의 결합에 있어서 생산 단가를 최소화 하고, 키 부재와 러버부를 접착제에 의한 본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대체하여 불량률을 낮추고 결합의 균일도를 최적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defect rate and to optimize the uniformity of the coupling in place of replacing the coupling of the key member and the rubber portion by the adhesive in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minimizing the production cost in the coupling between the key member and the housing.

또, 키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에 있어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고장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 problem such as a noise or a trouble which occurs in the coupling of the key member and the housing.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압력에 의해 전자신호를 생성하는 제1 돔 및 제2 돔이 실장된 피씨비부, 상기 피씨비부가 실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돔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돔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돔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키부재,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돔을 커버하는 제2 키부재, 상기 제1 키부재에 이중사출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키부재에 이중사출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접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PCB having a first dome and a second dome mounted thereon to generate an electronic signal under pressure, the PCB is mounted, A first key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to cover the first dome and including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second dome is exposed to the outside, a housing including a first opening exposed to the first housing, A first elastic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key member and covers the second dome, a first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first key member by a double injection method and including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first dome direction, And a second resilient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resilient portion and including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second dom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키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경계와 겹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하우징 방향에 이중사출방식으로 결합하는 제3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key member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overlapping a boundary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third key portion includes a third fixing portion that overlaps the boundary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elastic portion.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탄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1 개구부의 둘레 내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lastic portion is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돔은 상기 제2 돔을 중심축으로 대칭 구비되는 두 개의 상하 돔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 키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경계와 겹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중심축 선상에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ome is a pair of upper and lower dome symmetrically provided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dome, wherein the first key member has a first And a support part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on the central axis line of the fixing part and the first fixing part.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키 부재는 상기 제2 개구부의 경계와 겹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제1 영역은 상기 제2 탄성부이고, 상기 제2 고정부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key member includes a second fixing portion overlapping a boundary of the second opening,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the second elastic port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excluding the first region includes plastic.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키 부재의 양 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wherein the second region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key member.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키 부재의 제2 고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seating part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econd fixing part of the second key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키부재 및 상기 제2 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wherein the first key member and the second key member ar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돔은 볼륨을 제어하는 전자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돔은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wherein the first dome generates an electronic signal for controlling a volume, and the second dome generates an electronic signal for controlling a power source.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키 부재와 러버부의 결합에 대한 생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ion unit cost for the engagement of the key member and the rubber portion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의하면 키 부재의 클릭률를 최적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ck rate of the key member can be optimiz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의하면 키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하고, 이물질의 유입 및 고착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generated due to the coupling of the key member and the housing, and to minimize the defects due to the inflow and attachment of foreign matter.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및 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리어케이스 및 피씨비부의 결합 전 상태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이동 단말기의 일부에 대한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원발명과 관련된 키 부재의 결합 전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은 본원발명과 관련된 키 부재의 결합 전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에 대한 클릭률을 비교한 것이다.
1 and 2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case and a PCB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couplin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A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3;
FIG. 5 is a front view of a key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engagement.
FIG. 6 is a rear view of the key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engagement.
Figure 7 relates to the prior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compares the click rate for the present invention versus the prior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will be.

도 1 및 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1 and 2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도 1 을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folder type, a flip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a watch type, a clip type, a glass type or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 A description of a particular type of mobile terminal, although relevant to a particular type of mobile terminal, is generally applicable to other types of mobile terminals.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body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referring to the mobile terminal 100 as at least one aggregate.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ase (for example, a frame,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that forms an appearance. As show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 output informatio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ase 101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ront case 101. [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In some cases, electronic components may also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Electronic parts that can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include detachable batteries, an identification module, a memory card, and the like. In this case, a rear cover 103 for covering the mounted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Therefore, when the rear cover 103 is separated from the rear case 102, the electronic parts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re exposed to the outside.

도 2 를 참조하면, 후면커버(103)가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a side portion of the rear case 102 can be exposed. In some cases, the rear case 102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rear cover 103 during the engagement. Meanwhile, the rear cover 10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camera 121b and the sound output unit 152b to the outside.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se cases 101, 102, and 103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case provides the internal space, unlike the above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ases provid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 this case, a unibody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from the side to the rear side can be realized.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waterproof unit (not shown) for preventing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waterproof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or between the rear case 102 and the rear cover 103, And a waterproof member for sealing the inside space of the oven.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입력 키(2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1,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51,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n optical output unit 154 First and second cameras 121a and 121b,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a microphone 122, an input key 260,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입력 키(260),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1 and 2, a display unit 151, a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n optical output unit (not shown) A second operation unit 123b and a microphone 122 ar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an input key 260, 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and a second camera 121b.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입력 키(260)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se configurat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These configurations may be excluded or replaced as needed, or placed on different planes.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not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and the input key 26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s an example of a user input unit 123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have.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can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in a tactile manner such as touch, push, scrol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employed in a manner that the user operates the apparatus without touching the user through a proximity touch, a hovering touch, or the like.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figur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a touch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be a mechanical key or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touch key.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can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receives a command such as a menu, a home key, a cancellation, a search,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receives a command from the first or second sound output unit 152a or 152b The size of the sound, and the change of the display unit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입력 키(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키(26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 키(260)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푸시입력을 통한 푸시 키(mechanical key)인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Meanwhile, an input key 26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s another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 The input key 26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put contents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start, end, scrolling, and the like, the size adjustmen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nd the like can be inputted. The input key 26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input, a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push key is a mechanical key.

입력 키(260)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입력 키(260)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키(26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input key 260 may be disposed so as to overlap the front display unit 15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input key 26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terminal body by using the index finger when the user holds the terminal body with one han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input key 260 may be changed.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n a rear input un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 new type of user interface using the rear input unit can be realized. When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no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place of at least a part of th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as a larger screen.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the fingerprint of the user,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uthentication mean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The microphone 122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o receive stereophonic sound.

인터페이스부(195)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95)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9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95 is a path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95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e.g., earphone, external speaker),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e.g.,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9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or a UIM (User Identity Module) or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도 2 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2, a second camera 121b may b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this case,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Such a camera can be named an 'array camera'. When the second camera 121b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images can be taken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a better quality image can be obtained.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The flash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The flash 124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d 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for implementing a speakerphone mode in a call.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antenna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formed in the case. For exampl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see FIG. 1)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Alternatively,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03, or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antenna.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191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In addition,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be wirelessly chargeable through a wireless charger.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magnetic resonance method).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cover 103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so as to cover the battery 191 to restrict the release of the battery 191 and to protect the battery 191 from external impact and foreign matter . When the battery 19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rminal body, the rear cover 10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n accessory that protects the appearance or supports or expands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One example of such an accessory is a cover or pouch that covers or accommodates at least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ver or pouch may be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display unit 151 to expand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other example of an accessory is a touch pen for supplementing or extending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도 3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리어케이스 및 피씨비부(210)의 결합 전 상태에 관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case and a PCB 2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see FIG.

피씨비부(210)는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에 사용되는 전자적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적 부품은 외부로 노출되는 키 부재(260)로부터 입력을 받아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돔(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C unit 210 can mount an electronic component us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see FIG. 1).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include a dome 230 that receives an input from an externally exposed key member 260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상기 피씨비부(210)는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20), 즉, 프론트케이스(101, 도 1 참조)와 리어케이스(102)의 결합 내에 실장 될 수 있다.The PC unit 210 can be mounted in the housing 120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ee FIG. 1), that is, in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see FIG. 1) and the rear case 102 .

한편, 상기 돔(230)은 복수일 수 있고, 그 중 일부를 제1 돔(231) 및 나머지 일부를 제2 돔(232)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제1 돔(231)은 볼륨을 제어하는 전자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돔(232)은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볼륨을 제어하는 전자신호를 생성하는 제1 돔(231)은 특히 두 개일 수 있고,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신호를 생성하는 제2 돔(232)은 특히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e dome 230 can be defined, and a part of the dome 230 can be defined as a first dome 231 and the remaining part can be defined as a second dome 232. In particular, the first dome 231 may generate an electronic signal for controlling the volume, and the second dome 232 may generate an electronic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ource. The first dome 231 for generating the electronic signal for controlling the volume may be in particular two and the second dome 232 for generating the electronic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ource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두 개의 제1 돔(231)은 제2 돔(232)을 대칭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두 개의 제1 돔(231), 하나의 제2 돔(232)을 전제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돔(231) 및 제2 돔(232)의 개수는 각각 다를 수 있으며, 압력에 의해 발생시키는 전자신호 또한 전원 또는 볼륨 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른 신호가 될 수 있다.The two first domes 231 may be 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domes 232. Although the first dome 231 and the second dome 232 ar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ome 231 is not limited to the first dome 231, And the second dome 23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electronic signal generated by the pressure is not limited to the power supply or the volume signal but may be a different signal if necessary.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키 부재(240) 및 제2 키 부재(250)를 모두 포함하여 키 부재(260)라고 칭하고, 제1 돔(231) 및 제2 돔(232)을 모두 포함하여 돔(230)이라고 칭한다.The first key member 240 and the second key member 250 are all referred to as a key member 26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dome 231 including both the first dome 231 and the second dome 232 230).

제1 개구부(222)는 피씨비부(210)에 실장된 상기 제1 돔(231) 및 상기 제2 돔(23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20)의 리어케이스(102)에서 상기 제1 돔(231) 및 상기 제2 돔(232)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222 is formed in the rear case 102 of the housing 120 such that the first dome 231 and the second dome 232 mounted on the PCB 2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231) and the second dome (232).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키 부재(260)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 키 부재(260)가 결합하는 별도의 보조 결합부(221)가 구비되고, 키 부재(260)와 보조 결합부(221)의 결합 모듈은 하우징(120)의 리어케이스(102)에 나사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Or a separat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21 to which the key member 260 is coupled to easily couple the key member 260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upling module of the coupling part 221 may be fixed to the rear case 102 of the housing 120 through a screw or the like.

본 설명에서 상기 복수의 돔(230) 및 제1 개구부(222)는 후면에 있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나, 반드시 후면에 있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정면, 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만약 키 부재(260)가 하우징(120)의 전면, 즉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프론트케이스(101, 도 1 참조)에서 상기 제1 돔(231) 및 상기 제2 돔(232)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plurality of dome 230 and the first opening 222 ar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plurality of dome 230 and the first opening 222 are on the rear surfa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If the key member 26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20, that i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first dome 231 and the second dome 231 232, respectively.

제1 키 부재(240)는 상기 제1 돔(231)에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재로 상기 제1 돔(231)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개구부(22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키 부재(240)의 제1 누름부(241)는 제1 개구부(222)의 영역과 동일하고, 제1 누름부(241)의 둘레에 형성된 제1 고정부(242)는 제1 개구부(222)의 경계와 겹칠 수 있다. 제1 고정부(242)는 제1 누름부(241)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내측면 방향으로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제1 누름부(241)는 제1 개구부(222)에 끼워져 평면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고정부(242)는 제1 키 부재(240)가 상기 제1 개구부(222)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수직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rst key member 2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222 to cover the first dome 231 with a member for transmitting pressure to the first dome 231. The first pressing part 241 of the first key member 240 is the same as the area of the first opening 222 and the first fixing part 242 formed around the first pressing part 241 is the same as the first pressing part 241, May overlap with the boundary of the second electrode 222. The first fixing portion 242 can form a step in the inner sid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t the first pressing portion 241. The first fixing part 241 prevents the first pressing part 24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opening part 222 in the plane direction and the first fixing part 242 prevents the first key part 240 from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part 222 And can prevent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deviating vertically outward.

도 4 는 도 3 의 이동 단말기의 일부에 대한 A-A' 방향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a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키 부재(260) 및 보조 결합부(221)는 키 부재(260)에 구비된 돌출부와 보조 결합부(221)상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함몰부와의 후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키 부재(260)에 구비된 돌출부는 키 부재(260)의 중심축에 구비되므로 키 부재(260)의 상단 또는 하단 양 쪽 중 어느 하나를 누르더라도 키 부재(260)의 기울어짐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예의 경우 키 부재(260) 과 보조 결합부(221)가 후크 결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키 부재(260)는 보조 결합부(221)가 아닌 하우징(120, 도 3 참조)과 곧바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 때, 그 결합 구조 또한 유사할 수 있다.The key member 260 and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21 can be fixed by hooking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key member 260 and the depression provid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n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21 have. Since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key member 260 is provided on the center axis of the key member 260, even if on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key member 260 is pressed, the key member 260 is prevented from tilting. . The key member 260 is coupled to the housing 120 (see FIG. 3) instead of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21. However, the key member 260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20 You may.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may also be similar.

도 5 는 본원발명과 관련된 키 부재(260)의 결합 전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 front view of the key member 260 before eng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키 부재(240)는 상기 제2 돔(232, 도 3 참조)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 개구부(243)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key member 240 may have a second opening 243 to expose the second dome 232 (see FIG. 3) to the outside.

제2 키 부재(250)는 상기 제2 돔(232, 도 3 참조)에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재로 상기 제2 돔(232, 도 3 참조)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2 개구부(24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키 부재(250)의 제2 누름부(251)는 제2 개구부(243)의 영역과 동일하고, 제2 누름부(251)의 둘레에 형성된 제2 고정부(252)는 제2 개구부(243)의 경계와 겹칠 수 있다. 제2 고정부(252)는 제2 누름부(251)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제2 누름부(251)는 제2 개구부(243)에 끼워져 평면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고정부(252)는 제2 키 부재(250)가 상기 제2 개구부(243)의 수직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econd key member 2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243 to cover the second dome 232 (see FIG. 3) with a member for transmitting pressure to the second dome 232 (see FIG. 3) . The second pressing part 251 of the second key member 250 is the same as the area of the second opening part 243 and the second fixing part 252 formed around the second pressing part 251 is the same as the area of the second opening part 243. [ (243). ≪ / RTI > The second fixing portion 252 can form a step in the inner side direction in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51. The second fixing part 252 prevents the second key part 250 from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part 243 And can prevent the detachment to the outside.

도 6 은 본원발명과 관련된 키 부재의 결합 전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6 is a rear view of the key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engagement.

제2 키 부재(250)가 제1 키 부재(240)에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제1 키 부재(240)는 제2 키 부재(250)의 제2 고정부(2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안착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key member 24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252 of the second key member 250 so that the second key member 250 can be easily engaged with the first key member 240. [ As shown in FIG.

키 부재(260)는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키 부재(260)의 소재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키 부재(260)가 플라스틱인 경우 특정 강도 이상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1 키 부재(240)가 삽입 결합되는 제1 개구부(222)를 포함하는 하우징(120)의 소재 또한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The key member 260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The material of the key member 260 may include plastic. When the key member 260 is made of plastic, it can have a rigidity higher than a specific strength. Referring to FIG. 3, the material of the housing 120 including the first opening 222 into which the first key member 240 is inserted may also include plastic.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에 관한 것이다.Figure 7 relates to the prior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체형 러버부재(410)는 제1 키 부재(240) 및 제1 돔(231, 도 3 참조) 사이와 제2 키 부재(250) 및 제2 돔(232, 도 3 참조) 사이에 구비될 수 있을 정도의 영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체형 러버부재(410)는 제1 키 부재(240) 또는 제2 키 부재(25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제1 돔(231, 도 3 참조) 및 제2 돔(232, 도 3 참조)에 전달할 수 있다. 일체형 러버부(410)는 제1 키 부재(240) 및 제2 키 부재(250)의 결합 내측면에 접착제를 통한 본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체형 러버부(410)는 제1 키 부재(240) 및 제2 키 부재(250) 각각에 따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재료비 및 공정의 편의상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보통 이다. 일체형 러버부(410)는 본딩 이전 과정에서 키 부재(260)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키 부재(260)에 구비된 돌출부에 대응되는 결합 개구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러버부(410)는 돔(230, 도 3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당한 면적을 갖는 돌기(4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l rubber member 4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key member 240 and the first dome 231 (see FIG. 3) and between the second key member 250 and the second dome 232 (see FIG. 3) As shown in FIG. 3) and the second dome 232 (see Fig. 3), respectively, to the first key member 240 or the second key member 250, . The integral rubber part 41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key member 240 and the second key member 250 through an adhesive. The integrated rubber part 410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key member 240 and the second key member 250, but it is usually provid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for the sake of material cost and process convenience. The integrated rubber part 410 includes an engagement opening 411 corresponding to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key member 260 so as to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rubber part 41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key member 260 in the process of bonding . The integral rubber portion 410 may include a projection 412 having an appropriate are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ome 230 (see FIG. 3).

일체형 러버부(410)가 돔(230, 도 3 참조)과 키 부재(26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클릭감을 제공한다. 클릭감이란 사용자가 압력을 통해 키 부재(260)를 누르는 경우, 입력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눌러지는 정도를 말한다.The integral rubber portion 410 is provided between the dome 230 (see FIG. 3) and the key member 260,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 click feeling. The click feeling refers to a degree of natural and gentle press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 member 260 through the pressure, while being able to recognize that the key 260 is pressed.

다시 도 6 을 참조하면, 제1 탄성부(310)의 소재는 고무일 수 있다. 도 7 의 종래기술과 달리, 제1 탄성부(310)는 제1 키 부재(240)에 이중사출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탄성부(310)는 제1 키 부재(240)의 내측면에 사출되어 상기 제1 돔(231, 도 3 참조)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34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6, the material of the first elastic part 310 may be rubber. 7, the first elastic part 31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key member 240 in a double injection manner. The first elastic part 31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341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ome 231 (see FIG. 3)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key member 240 .

제1 탄성부(310)는 제1 누름부(241, 도 5 참조)의 후면 영역에 한정되어 사출되고 제1 고정부(242, 도 5 참조)의 후면 영역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탄성부(310)에서 제1 돌기(341)를 제외한 영역은 제1 키 부재(240)의 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사출될 수 있다. 제1 돌기(341)는 제1 키 부재(240)가 하우징(120) 및 제1 돔(231, 도 3 참조)사이에 결합 시 제1 돌기(341)의 일 단은 제1 돔(231, 도 3 참조)과 맞닿을 수 있다.The first elastic portion 310 may be limited to the rear region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41 (see FIG. 5) and may not be included in the rear reg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242 (see FIG. 5). A region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310 excluding the first protrusion 341 may be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key member 240. The first protrusion 341 is engaged with the first dome 231 when the first key member 240 is coupled between the housing 120 and the first dome 231 See Fig. 3).

제2 탄성부(320)의 소재 또한 고무일 수 있다. 제2 탄성부(320)는 제2 키 부재(250)에 이중사출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탄성부(320)는 제2 키 부재(250)의 내측면에 사출되어 상기 제2 돔(232, 도 3 참조)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320 may also be rubber. The second elastic portion 3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key member 250 in a double injection manner. The second elastic portion 320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342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ome 232 (see FIG. 3)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key member 250.

다시 도 5 를 참조하면, 이때 제2 고정부(252)의 제1 영역(2521)은 제2 탄성부(320, 도 5 참조)가 되고, 제2 고정부(252)의 제1 영역(2521)을 제외한 제2 영역(2522)은 상기 제2 누름부(251)와 함께 사출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제1 영역(2521)의 제2 탄성부(320, 도 5 참조)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키 부재(240)의 제2 개구부(243)의 경계와 겹치지만 제1 영역(2521)의 제2 탄성부(320)가 고무 소재이므로 제1 키 부재(240)와 제2 키 부재(250)간에 이동 단말기(100)의 진동 등으로 인한 접촉 및 이격의 반복으로 인한 마찰 및 소음 또한 최소화 할 수 있다. 다만, 제2 고정부(252) 전체가 고무 소재가 되는 경우 제2 키 부재(250)가 제1 키 부재(240)의 제2 개구부(243)를 이탈하여 수직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다. 플라스틱의 제2 영역(2522)은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여 제2 키 부재(250)가 제2 개구부(243)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리는 역할을 한다.5, the first area 2521 of the second fixing part 252 becomes the second elastic part 320 (see FIG. 5), and the first area 2521 of the second fixing part 252 The second region 2522 may be a region of a plastic material to be injected together with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51. [ 5) of the first area 2521 overlaps with the boundary of the second opening 243 of the first key member 240 as described above, but the second elastic part 320 of the first area 2521 Since the elastic part 32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friction and noise due to repetition of contact and separation due to vib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between the first key member 240 and the second key member 250 can be minimized have. However, when the second fixing part 252 is entirely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second key member 250 may be detached from the second opening part 243 of the first key member 240 and deviated vertically outward. The second area 2522 of the plastic prevents this problem and prevents the second key member 2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opening 243.

제1 키 부재(240)에서 고무 사출 영역이 돌기를 포함하는 최소의 영역이 되는데 반해, 제2 키 부재(250)에서는 플라스틱 사출 영역이 최소가 될 수 있다.The rubber injection area in the first key member 240 is the minimum area including the protrusion, while the plastic injection area in the second key member 250 can be the minimum.

제3 탄성부(330)는 제1 고정부(242)에 제1 개구부(222)의 둘레 방향으로 이중 사출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3 탄성부(330)는 플라스틱 소재의 제1 고정부(242)와 하우징(120, 도 3 참조)의 제1 개구부(222, 도 3 참조) 둘레 내측면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을 차단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제1 고정부(242)와 하우징(120)을 더욱 가까이 결합할 수 있어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 동시에 클릭감을 상승 시킬 수 있다.The third elastic portion 3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242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222 to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242. The third elastic portion 330 blocks direct contact of the first fixing portion 242 of the plastic material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222 (see FIG. 3) of the housing 120 (see FIG. 3)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Further, since the first fixing portion 242 and the housing 120 can be further brought closer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learance and increase the click feeling.

또, 제3 탄성부(330)가 없이 제1 고정부(242)와 제1 개구부(222, 도 3 참조)의 둘레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경우, 면과 면이 맞닿게 되고, 액체 등의 이물질이 흘러 굳는 경우에 넓은 면적에 대해 고정이 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3 탄성부(330)가 있는 경우에는 매우 좁은 면적 또는 선 영역의 부분만이 접하게 되므로 이런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제3 탄성부(330)와 제1 고정부(242)의 제1 개구부(222, 도 3 참조)의 둘레는 약 0.05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periphery of the first fixing portion 242 and the first opening portion 222 (see FIG. 3) are in direct contact without the third elastic portion 330, th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If it hardens, it may be fixed to a large area, which may cause problems. When there is the third elastic part 330, only a very narrow area or a portion of the line are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lastic part 330,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such a problem.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opening 222 (see FIG. 3) of the third elastic portion 330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242 may be spaced by about 0.05 mm.

제3 탄성부(330)는 제1 키 부재(240)의 제1 고정부(242) 중 위, 아래 양측 및 좌, 우 양측인 총 네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다른 부품과의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위 양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The third elastic part 330 may be provided at four positions,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fixing part 242 of the first key member 240. Or may be provided only on both sides due to space limitations with other parts.

받침부(245)는 제2 돔(232, 도 3 참조)이 위치하는 제1 키 부재(240)의 중심축 선상에 하우징(120)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245)는 하우징(120)의 제1 개구부(222, 도 3 참조) 둘레의 내측면에 접하여 제 1 키 부재(240)의 위 또는 아래 영역이 눌려졌을 경우 지렛대의 접점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축의 위 영역인 제1 누름부(241)의 위 부분을 누르는 경우에는 제1 키 부재(240)의 상단은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내측으로, 제1 키 부재(240)의 하단은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외측으로 기울어져 클릭감을 전달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중심축의 아래 영역인 제1 누름부(241)의 아래 부분을 누르는 경우에는 제1 키 부재(240)의 상단은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외측으로, 제1 키 부재(240)의 하단은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내측으로 기울어져 클릭감을 전달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245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20 on the central axis line of the first key member 240 where the second dome 232 (see FIG. 3) is located. The support portion 245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222 of the housing 120 (see FIG. 3) and serve as a contact point of the lever when the upper or lower region of the first key member 240 is pushed have. That is, whe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ressing part 241, which is a region above the central axis, is pressed, the upper end of the first key member 24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ee FIG. 1) 240 may be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ee FIG. 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ransmission of the click feeling. On the contrary,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41, which is a region below the central axis, is pressed, the upper end of the first key member 240 is moved outward of the mobile terminal 100 (see FIG. 1) May be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ee FIG. 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click feeling.

이중 사출 탄성부를 사용하는 경우 일체형 러버부(410)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재료 및 생산 비용을 절반 정도로 절약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using the double injection elastic part, it is possible to save about half the material and production cost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integral rubber part 410.

도 8 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에 대한 클릭률을 비교한 것이다.Figure 8 compares the click rate for the present invention versus the prior art.

클릭률은 사용자가 키 부재를 누르는 힘에 따라 클릭되는 정도에 대한 것으로 40~50%가 가장 이상적인 클릭률이 된다. 상단볼륨키, 하단볼륨키 및 전원키에 대한 클릭률은 일체형 러버부(410)를 사용한 경우에는 각각 35.8%, 37.2% 및 41.3%이고, 이중 사출 탄성부를 사용한 경우에는 각각 51.1%, 49.8% 및 53.1%로 모두 클릭률이 높은 효과가 발생한다.The click-through rate is the degree to which a user clicks on a keystroke, 40-50% being the most ideal. The click rate for the upper volume key, the lower volume key, and the power key was 35.8%, 37.2%, and 41.3%, respectively, when the integral rubber part 410 was used, and 51.1%, 49.8%, and 53.1% %, All of which have a high CTR.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단말기 120: 하우징
210: 피씨비부 221: 보조 결합부
222: 제1 개구부 230: 돔
231: 제1 돔 232: 제2 돔
240: 제1 키 부재 241: 제1 누름부
242: 제1 고정부 243: 제2 개구부
244: 안착부 246: 돌출부
250: 제2 키 부재 251: 제2 누름부
252: 제2 고정부 2521: 제1 영역
2522: 제2 영역 260: 키 부재
310: 제1 탄성부 320: 제2 탄성부
330: 제3 탄성부 341: 제1 돌기
342: 제2 돌기 410: 일체형 러버부
411: 일체형 러버부 개구부 412: 일체형 러버부 돌기
100: mobile terminal 120: housing
210: PCB part 221: auxiliary coupling part
222: first opening 230: dome
231: first dome 232: second dome
240: first key member 241: first pressing member
242: first fixing portion 243: second opening
244: seat portion 246:
250: second key member 251: second pressing portion
252: second fixing portion 2521: first region
2522: second region 260: key member
310: first elastic part 320: second elastic part
330: third elastic portion 341: first projection
342: second projection 410: integral rubber part
411: integral rubber part opening part 412: integral rubber part projection

Claims (8)

압력에 의해 전자신호를 생성하는 제1 돔 및 제2 돔이 실장된 피씨비부;
상기 피씨비부가 실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돔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돔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돔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키부재;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돔을 커버하는 제2 키부재;
상기 제1 키부재에 이중사출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키부재에 이중사출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접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PCB having a first dome and a second dome mounted thereon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signal by pressure;
A housing having the PCB mounted thereon and having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dome are exposed to the outside;
A first key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to cover the first dome and including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second dome is exposed to the outside;
A second key member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and covering the second dome;
A first elastic part coupled to the first key member in a dual injection manner and including a first projection projecting in the first dome direction; And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key member in a double injection manner and including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second dome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경계와 겹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에 상기 제1 개구부의 둘레 방향으로 이중사출되어 결합하는 제3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key member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that overlaps the boundary of the first opening and a third elastic part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돔은 상기 제2 돔을 중심축으로 대칭 구비되는 두 개의 상하 돔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 키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경계와 겹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중심축 선상에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dome is two upper and lower dome symmetrically provided about a center axis of the second dome,
The first key member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overlapping the boundary of the first opening; An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on the central axis lin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돔은 상기 제2 돔을 중심축으로 대칭 구비되는 두 개의 상하 돔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 키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경계와 겹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중심축 선상에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dome is two upper and lower dome symmetrically provided about a center axis of the second dome,
The first key member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overlapping the boundary of the first opening; An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on the central axis lin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키 부재의 양 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econd region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key memb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 부재는,
상기 제2 키 부재의 제2 고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key memb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part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part of the second key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부재, 상기 제2 키부재, 상기 제1 돔 및 상기 제2 돔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key member, the second key member, the first dome, and the second dome ar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돔은 볼륨을 제어하는 전자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돔은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ome generates an electronic signal for controlling the volume,
And the second dome generates an electronic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KR1020150043292A 2015-03-27 2015-03-27 Mobile terminal KR201601154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292A KR20160115498A (en) 2015-03-27 2015-03-27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292A KR20160115498A (en) 2015-03-27 2015-03-27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98A true KR20160115498A (en) 2016-10-06

Family

ID=5716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292A KR20160115498A (en) 2015-03-27 2015-03-27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549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8137A1 (en) * 2018-11-27 2020-06-04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Curved glass shell and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8137A1 (en) * 2018-11-27 2020-06-04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Curved glass shell and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499B1 (en) Electroni device
US929184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363342B2 (en) Mobile terminal and arrangement to generate a bending force on a display
US9436225B2 (en) Mobile terminal
KR20160071262A (en) Mobile terminal
KR102603448B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12862B1 (en) Mobile terminal
KR20180138009A (en) Electronic device
KR20160016153A (en) Mobile terminal
KR20150101818A (en) Mobile terminal
KR20190026024A (en) Mobile terminal
KR20160127542A (en) Mobile terminal
KR20160041300A (en) Mobile terminal
KR20170023481A (en) Mobile terminal
KR20190057286A (en) Mobile terminal
KR101659030B1 (en) Terminal of watch type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KR20160126453A (en) Ke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70021147A (en) Mobile terminal
KR20160115498A (en) Mobile terminal
KR20180039903A (en) Electronic device
KR20170017204A (en)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KR101584537B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214480732U (en)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70088712A (en) Mobile terminal
KR20180096180A (en) Mobile 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