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802A -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802A
KR20180039802A KR1020160130857A KR20160130857A KR20180039802A KR 20180039802 A KR20180039802 A KR 20180039802A KR 1020160130857 A KR1020160130857 A KR 1020160130857A KR 20160130857 A KR20160130857 A KR 20160130857A KR 20180039802 A KR20180039802 A KR 2018003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memory area
memory cells
refresh operation
referenc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813B1 (ko
Inventor
안수홍
박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0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813B1/ko
Priority to US15/427,221 priority patent/US9966135B2/en
Priority to CN201710189261.6A priority patent/CN107919152B/zh
Publication of KR2018003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35Evaluating degradation, retention or wearout, e.g. by counting writing cy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33Disturbance prevention or evaluation; Refreshing of disturbed memory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9Arrangements for evaluating degradation, retention or wearout, e.g. by counting erase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Dram (AREA)

Abstract

데이터 저장 장치는 참조 메모리 영역 및 노멀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참조 메모리 영역에 근거하여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판단 결과에 따라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노멀 메모리 영역 중 제1 메모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노멀 메모리 영역 중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제외한 제2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DATA STORAG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외부 장치의 라이트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 장치는 외부 장치의 리드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외부 장치에 내장되어 동작하거나, 분리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외부 장치에 연결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카드, CF(Compact Flash) 카드, 스마트 미디어 카드, 메모리 스틱, 다양한 멀티 미디어 카드(MMC, eMMC, RS-MMC, MMC-micro), SD(Secure Digital) 카드(SD, Mini-SD, Micro-SD), UFS(Universal Flash Storage) 또는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낸드 플래시(NAND Flash) 또는 노어 플래시(NOR Flash)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 장치, FeRAM(Ferroelectrics Random Access Memory), PC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ReRAM(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는데 소모되는 전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는 참조 메모리 영역 및 노멀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참조 메모리 영역에 근거하여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판단 결과에 따라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노멀 메모리 영역 중 제1 메모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노멀 메모리 영역 중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제외한 제2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참조 메모리 영역에 근거하여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노멀 메모리 영역 중 제1 메모리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노멀 메모리 영역 중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제외한 제2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은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는데 소모되는 전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2a 및 도2b는 메모리 셀들의 드리프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a 및 도3b는 참조 메모리 영역에 대한 상태 모니터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1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5는 도1의 상태 모니터부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7은 도6의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 웨어 레벨링 동작 및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도6의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 웨어 레벨링 동작 및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도6의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외부의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파워를 공급받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ReRAM(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낸드 플래시(NAND Flash) 또는 노어 플래시(NOR Flash)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 장치, FeRAM(Ferroelectrics Random Access Memory), PC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및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제어부(110), 참조 메모리 영역(120) 및 노멀 메모리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참조 메모리 영역(120) 및 노멀 메모리 영역(130)에 대해 라이트 동작 및 리드 동작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의 데이터 신뢰성을 보장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기타 관리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동작들은 후술될 바와 같이 상태 모니터 동작 및 리프레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태 모니터부(111) 및 리프레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모니터부(111)는 노멀 메모리 영역(130)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참조 메모리 영역(120)의 상태 악화를 모니터할 수 있다. 상태 모니터부(111)는, 소정 상태로 존재하도록 라이트되었던 참조 메모리 영역(120)의 참조 메모리 셀들이 드리프트 현상에 의해 임계 상태로 변화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참조 메모리 영역(120)의 참조 메모리 셀들은 노멀 메모리 영역(130)의 노멀 메모리 셀들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태 모니터부(111)는 참조 메모리 영역(120)의 상태 악화를 모니터함으로써 노멀 메모리 영역(130)의 상태 악화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모니터부(111)는 소정 상태로 존재하도록 라이트되었던 참조 메모리 셀들 중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개수가 임계 개수를 초과할 때, 노멀 메모리 영역(130)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태 모니터부(111)는 참조 메모리 셀들 중 임계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는 참조 메모리 셀을 타겟 참조 메모리 셀로서 카운트할 수 있다.
리프레시부(112)는 상태 모니터부(111)의 판단에 따라 노멀 메모리 영역(130)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리프레시부(112)는 기존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노멀 메모리 영역(130)의 노멀 메모리 셀들의 상태는 라이트 동작이 수행된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드리프트 현상에 의해 악화될 수 있지만, 리프레시 동작을 통해 회복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노멀 메모리 영역(130)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한 후에, 참조 메모리 영역(120)의 참조 메모리 셀들이 소정 상태로 존재하도록 참조 메모리 영역(120)에 대해 라이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참조 메모리 영역(120)은 노멀 메모리 영역(130)의 상태 악화를 다시 반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참조 메모리 영역(120)은 상태 모니터부(111)에 의해 상태 악화가 모니터될 수 있다. 참조 메모리 영역(120)은 저장된 데이터의 변경을 통해 상태 악화가 판단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메모리 영역(120)에 포함된 참조 메모리 셀들은 모두 소정 상태로 존재하도록 라이트될 수 있다.
노멀 메모리 영역(130)은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리프레시부(112)에 의해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2a 및 도2b는 메모리 셀들의 드리프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a 및 도2b에서 가로축(R)은 메모리 셀의 저항값을 의미하고, 세로축(Cell #)은 메모리 셀들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우선, 참조 메모리 영역(120) 및 노멀 메모리 영역(130)의 메모리 셀은 라이트 동작을 통해 저장되는 데이터 값에 따라 셋 상태 또는 리셋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셋 상태와 리셋 상태는 메모리 셀의 저항값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즉, 리드 저항값(Rrd)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진 메모리 셀은 셋 상태로 존재하고, 리드 저항값(Rrd)보다 큰 저항값을 가진 메모리 셀은 리셋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도2a에서 상태 분포(D1)는 셋 상태에 있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고, 상태 분포(D2)는 리셋 상태에 있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에 대한 리드 동작은 메모리 셀로 소정 전류를 통과시켜, 메모리 셀을 통과한 전류량을 기준 전류량과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기준 전류량은 리드 저항값(Rrd)에 대응하는 전류량, 즉, 리드 저항값(Rrd)을 가진 메모리 셀을 통과한 전류량일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셀의 저항값이 리드 저항값(Rrd)보다 작을 때, 즉, 메모리 셀을 통과한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보다 클 때 메모리 셀은 셋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셋 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 즉, 셋 데이터가 리드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셀의 저항값이 리드 저항값(Rrd)보다 클 때, 즉, 메모리 셀을 통과한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보다 작을 때 메모리 셀은 리셋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리셋 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 즉, 리셋 데이터가 리드될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메모리 셀의 저항값이 증가하는 드리프트 현상(201)이 발생하면, 상태 분포(D1)는 상태 분포(D3)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리드 저항값(Rrd)을 기준으로 리드 동작이 수행되면 셋 데이터가 라이트되었던 메모리 셀들(202)로부터 리셋 데이터가 리드될 수 있으므로, 리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드리프트 현상(201)은 참조 메모리 영역(120) 및 노멀 메모리 영역(130)에서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도3a 및 도3b는 참조 메모리 영역(120)에 대한 상태 모니터부(11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a를 참조하면, 우선, 참조 메모리 영역(120)의 참조 메모리 셀들은 셋 상태로 존재하도록 라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참조 메모리 셀들은 상태 분포(D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도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드리프트 현상에 의해 참조 메모리 셀들의 저항값들은 증가할 수 있고, 상태 분포(D1)는 상태 분포(D4)로 이동할 수 있다.
상태 모니터부(111)는 참조 메모리 셀들 중 임계 저항값(Rth1)을 기준으로 상태가 악화된 참조 메모리 셀들, 즉, 임계 저항값(Rth1)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는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302)을 카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모니터부(111)는 임계 저항값(Rth1)에 대응하는 임계 전류량에 근거하여 참조 메모리 셀들에 대해 리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임계 전류량은 임계 저항값(Rth1)에 대응하는 전류량, 즉, 임계 저항값(Rth1)을 가진 메모리 셀을 통과한 전류량일 수 있다. 즉, 상태 모니터부(111)는 참조 메모리 셀들로 전류를 각각 통과시켜, 참조 메모리 셀들을 통과한 전류량들을 임계 전류량과 각각 비교하고, 임계 전류량보다 작은 전류량에 대응하는 참조 메모리 셀들을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302)로서 카운트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상태 모니터부(111)는 임계 저항값(Rth1)에 대응하는 임계 전류량에 근거한 리드 동작에서 리셋 데이터가 리드되는 참조 메모리 셀들을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302)로서 카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모니터부(111)는 카운트된 개수가 임계 개수를 초과할 때, 노멀 메모리 영역(130)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임계 저항값(Rth1)은 리드 저항값(Rrd)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고, 임계 개수는 마진(301)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3b는 도3a와 다르게 설정된 임계 저항값(Rth2)과 임계 개수에 따라 상태 모니터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3b에서도 참조 메모리 영역(120)의 참조 메모리 셀들은 셋 상태로 존재하도록 라이트되고, 참조 메모리 셀들은 상태 분포(D1)를 형성할 수 있다.
상태 모니터부(111)는 모든 참조 메모리 셀들이 임계 저항값(Rth2)보다 큰 저항값들을 가질 때, 즉, 참조 메모리 셀들의 상태 분포(D1)가 상태 분포(D5)로 이동할 때,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상태 모니터부(111)는 임계 저항값(Rth2)에 대응하는 임계 전류량에 근거한 리드 동작에서 모든 참조 메모리 셀들로부터 리셋 데이터가 리드될 때,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임계 저항값(Rth2)은 마진(303)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태 모니터 동작은, 셋 상태로 라이트된 메모리 셀의 저항값이 리드 저항값(Rrd)까지 증가하는데 걸리는 시간, 즉, 드리프트 시간을 실험적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 내에서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드리프트 시간은 메모리 셀에 셋 데이터를 라이트한 후, 리셋 데이터로 리드될 때까지 리드 동작을 반복하는 테스트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도4는 도1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단계(S110)에서, 제어부(110)는 참조 메모리 영역(120)의 참조 메모리 셀들이 소정 상태, 예를 들어, 셋 상태로 존재하도록 참조 메모리 셀들에 대해 라이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상태 모니터부(111)는 참조 메모리 영역(120)에 근거하여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태 모니터부(111)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5를 통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될 때, 절차는 단계(S130)로 이동할 수 있다.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될 때, 절차는 종료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리프레시부(112)는 노멀 메모리 영역(130)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5는 도1의 상태 모니터부(111)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5에 도시된 절차는 도4의 단계(S120)의 실시 예일 수 있다.
단계(S210)에서, 상태 모니터부(111)는 참조 메모리 영역(12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참조 메모리 셀들 중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을 카운트할 수 있다.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 각각은 임계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상태 모니터부(111)는 참조 메모리 셀들로 전류를 각각 통과시키고, 참조 메모리 셀들을 통과한 전류량들을 임계 저항값에 대응하는 임계 전류량과 각각 비교하고, 임계 전류량보다 작은 전류량에 대응하는 참조 메모리 셀들을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로서 카운트할 수 있다.
단계(S220)에서, 상태 모니터부(111)는 카운트된 개수가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카운트된 개수가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절차는 단계(S230)로 이동할 수 있다. 카운트된 개수가 임계 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 절차는 종료할 수 있다.
단계(S230)에서, 상태 모니터부(111)는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1)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데이터 저장 장치(1)는 컨트롤러(10)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의 라이트 동작 및 리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의 데이터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리프레시 관리부(11)를 통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의 리프레시 동작을 제어하고,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 웨어 레벨링부(12)를 통해 웨어 레벨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리프레시 관리부(11)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가 리프레시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상태 모니터부(211)에 의해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될 때, 리프레시 관리부(11)는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노멀 메모리 영역(230)에서 제1 메모리 영역(231)을 결정하고, 노멀 메모리 영역(230) 중 제1 메모리 영역(231)을 제외한 제2 메모리 영역(232)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메모리 영역(231)은, 이전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 후부터 현재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된 때까지, 웨어 레벨링 동작이 수행된 메모리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메모리 영역(231)은 웨어 레벨링 동작을 통해 드리프트 효과가 제거된 적이 있으므로 리프레시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지 않음으로써 리프레시 동작에 소모되는 전력 및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웨어 레벨링부(12)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의 노멀 메모리 영역(230)이 고르게 마모되도록 웨어 레벨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웨어 레벨링 동작은 라이트 동작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 레벨링 동작이 수행된 제1 메모리 영역(231)은 드리프트 효과가 일단 제거된 적이 있으므로 리프레시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웨어 레벨링부(12)는 웨어 레벨링 동작이 수행된 메모리 영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는 도1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되고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는 상태 모니터부(211) 및 리프레시부(212)를 포함하는 제어부(210), 참조 메모리 영역(220) 및 노멀 메모리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태 모니터부(211)는 참조 메모리 영역(220)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함으로써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될 때,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제1 메모리 영역(231)을 결정하도록 컨트롤러(200)의 리프레시 관리부(11)로 보고할 수 있다. 리프레시부(212)는 리프레시 관리부(11)의 제어에 따라 노멀 메모리 영역(230)에서 제1 메모리 영역(231)을 제외한 제2 메모리 영역(232)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7은 도6의 데이터 저장 장치(1)에서 웨어 레벨링 동작 및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설명의 간편화를 위해, 어드레스 "0"부터 "7"까지에 대응하는 메모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노멀 메모리 영역(230)을 도시한다.
설명을 시작하기 전에, 도7에서 웨어 레벨링 동작은 스왑 알고리즘에 따라 선택된 제1 및 제2 메모리 유닛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 레벨링부(12)는 웨어 레벨링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메모리 유닛들 중 제1 메모리 유닛을 순차적으로, 예를 들어,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면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웨어 레벨링부(12)는 웨어 레벨링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제1 메모리 유닛에 대해 그 다음 어드레스의 메모리 유닛을 제2 메모리 유닛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웨어 레벨링부(12)는 웨어 레벨링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제1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와 제2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유닛들은 고르게 액세스될 수 있고, 웨어 레벨링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제2 메모리 유닛은 제1 메모리 유닛에 대해 그 다음 어드레스의 메모리 유닛이 아닌, 소정 규칙에 따라 선택된 다른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시간대(T1)에, 상태 모니터부(211)에 의해 리프레시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리프레시 관리부(11)는 어드레스 "0"부터 "7"까지의 모든 메모리 유닛들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대(T1) 및 시간대(T2) 사이에서 호스트 장치의 제어에 따라 라이트 동작 및 리드 동작과 같은 다양한 호스트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웨어 레벨링 동작은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에 의한 라이트 동작이 소정 횟수만큼 수행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결과, 시간대들(T2~T4)에 웨어 레벨링 동작이 스왑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대(T2)에 웨어 레벨링부(12)는 제1 및 제2 메모리 유닛들, 즉, 어드레스 "0" 및 "1"의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대(T3)에 웨어 레벨링부(12)는 어드레스 "1" 및 "2"의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대(T4)에 웨어 레벨링부(12)는 어드레스 "2" 및 "3"의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대(T5)에, 상태 모니터부(211)에 의해 리프레시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리프레시 관리부(11)는 이전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었던 시간대(T1)부터 시간대(T5) 사이에 웨어 레벨링 동작이 수행된 어드레스 "0"부터 "3"까지의 메모리 유닛들을 제외한 어드레스 "4"부터 "7"까지의 메모리 유닛들에 대해서만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어드레스 "0"의 메모리 유닛에서는 시간대(T2)에 웨어 레벨링 동작을 통해 라이트 동작이 수행되면, 그전에 발생한 드리프트 효과는 제거될 것이다. 그리고, 어드레스 "0"의 메모리 유닛에서는 시간대(T2)부터 시간대(T5)까지 미약한 드리프트 효과만 발생했을 뿐이므로, 리프레시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어드레스 "1"부터 "3"까지의 메모리 유닛들에서도 드리프트 효과가 제거된 바 있으므로 리프레시 동작이 생략될 수 있고, 따라서, 리프레시 동작에 소모되는 전력 및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도8은 도6의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 웨어 레벨링 동작 및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에서 웨어 레벨링 동작으로 스왑 알고리즘이 적용되었던 것과 달리, 도8에서 웨어 레벨링 동작은 갭 지정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갭 알고리즘에서도 웨어 레벨링 동작이 수행될 2개의 메모리 유닛들, 즉, 갭으로 지정될 메모리 유닛과 이전에 갭으로 지정되었던 메모리 유닛이 선택될 수 있다. 웨어 레벨링부(12)는 웨어 레벨링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메모리 유닛들 중 갭으로 지정될 메모리 유닛을 순차적으로, 예를 들어,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면서 선택할 수 있다. 갭으로 지정된 메모리 유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웨어 레벨링부(12)는 웨어 레벨링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갭으로 지정될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전에 갭으로 지정되었었던 메모리 유닛에 카피할 수 있다. 즉, 웨어 레벨링부(12)는 웨어 레벨링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면서 갭을 교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메모리 유닛들은 고르게 액세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대(T11)에서, 상태 모니터부(211)에 의해 리프레시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됨에 따라 어드레스 "1"부터 "7"까지의 메모리 유닛들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어드레스 "0"의 메모리 유닛은 갭으로 지정된 영역이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에 의한 라이트 동작이 시간대(T11)부터 소정 횟수만큼 수행된 이후, 시간대(T12)에서 웨어 레벨링부(12)는 어드레스 "1"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를 어드레스 "0"의 메모리 유닛으로 카피하고, 갭을 어드레스 "0"의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어드레스 "1"의 메모리 유닛으로 교체할 수 있다. 유사하게, 호스트 장치에 의한 라이트 동작이 시간대(T12)부터 소정 횟수만큼 수행된 이후, 시간대(T13)에서 웨어 레벨링부(12)는 어드레스 "2"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를 어드레스 "1"의 메모리 유닛으로 카피하고, 갭을 어드레스 "1"의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어드레스 "2"의 메모리 유닛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에 의한 라이트 동작이 시간대(T13)부터 소정 횟수만큼 수행된 이후, 시간대(T14)에서 웨어 레벨링부(12)는 어드레스 "3"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를 어드레스 "2"의 메모리 유닛으로 카피하고, 갭을 어드레스 "2"의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어드레스 "3"의 메모리 유닛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대(T15)에, 상태 모니터부(211)에 의해 판단에 따라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리프레시 관리부(11)는 이전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었던 시간대(T11)부터 시간대(T15) 사이에 웨어 레벨링 동작이 수행된 메모리 유닛들, 즉, 갭이었던 어드레스 "0"부터 "3"까지의 메모리 유닛들을 제외한 어드레스 "4"부터 "7"까지의 메모리 유닛들에 대해서만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도록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시간대들(T11, T15) 사이에서 갭이었던 어드레스 "0"부터 "2"까지의 메모리 유닛들은 라이트 동작을 통해 드리프트 효과가 제거된 적이 있고 현재 갭인 어드레스 "3"의 메모리 유닛은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리프레시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도9는 도6의 컨트롤러(10)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9의 절차를 시작하기에 앞서 컨트롤러(10)는 상태 모니터부(211)의 보고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의 리프레시 동작을 제어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S310)에서, 컨트롤러(10)는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노멀 메모리 영역(230) 중 제1 메모리 영역(231)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는 이전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 후부터 스왑 동작이 수행된 메모리 유닛들을 제1 메모리 영역(23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0)는 이전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 후부터 갭으로 지정된 메모리 유닛들을 제1 메모리 영역(23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는 컨트롤러(10)의 제어에 따라 노멀 메모리 영역(230) 중 제1 메모리 영역(231)을 제외한 제2 메모리 영역(232)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10: 제어부
111: 상태 모니터부
112: 리프레시부
120: 참조 메모리 영역
130: 노멀 메모리 영역

Claims (12)

  1. 참조 메모리 영역 및 노멀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참조 메모리 영역에 근거하여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판단 결과에 따라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노멀 메모리 영역 중 제1 메모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노멀 메모리 영역 중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제외한 제2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상기 참조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참조 메모리 셀들 중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개수가 임계 개수를 초과할 때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 각각은 임계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는 데이터 저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상기 참조 메모리 셀들로 전류를 각각 통과시키고, 상기 참조 메모리 셀들을 통과한 전류량들을 상기 임계 저항값에 대응하는 임계 전류량과 각각 비교하고, 상기 임계 전류량보다 작은 전류량에 대응하는 참조 메모리 셀들을 상기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로서 카운트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기 참조 메모리 셀들이 소정 상태로 존재하도록 상기 참조 메모리 셀들에 대해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이전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 후부터 스왑 동작이 수행된 메모리 유닛들을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으로 결정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이전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 후부터 갭으로 지정된 메모리 유닛들을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으로 결정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7. 참조 메모리 영역에 근거하여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노멀 메모리 영역 중 제1 메모리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노멀 메모리 영역 중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제외한 제2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참조 메모리 셀들 중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을 카운트하되, 상기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 각각은 임계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는, 카운트하는 단계;
    카운트된 개수가 임계 개수를 초과할 때,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을 카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메모리 셀들로 전류를 각각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참조 메모리 셀들을 통과한 전류량들을 상기 임계 저항값에 대응하는 임계 전류량과 각각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 전류량보다 작은 전류량에 대응하는 참조 메모리 셀들을 상기 타겟 참조 메모리 셀들로서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기 참조 메모리 셀들이 소정 상태로 존재하도록 상기 참조 메모리 셀들에 대해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이전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 후부터 스왑 동작이 수행된 메모리 유닛들을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 레벨링 동작의 수행 이력에 근거하여, 이전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 후부터 갭으로 지정된 메모리 유닛들을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60130857A 2016-10-10 2016-10-10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63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857A KR102634813B1 (ko) 2016-10-10 2016-10-10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5/427,221 US9966135B2 (en) 2016-10-10 2017-02-08 Data storag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1710189261.6A CN107919152B (zh) 2016-10-10 2017-03-27 数据存储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857A KR102634813B1 (ko) 2016-10-10 2016-10-10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802A true KR20180039802A (ko) 2018-04-19
KR102634813B1 KR102634813B1 (ko) 2024-02-13

Family

ID=6183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857A KR102634813B1 (ko) 2016-10-10 2016-10-10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66135B2 (ko)
KR (1) KR102634813B1 (ko)
CN (1) CN1079191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252A (ko) * 2019-10-18 2021-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시스템 및 상변화 메모리 장치 리프레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9179B1 (en) * 2017-10-06 2020-09-29 EMC IP Holding Company LLC Decentralized access management i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tilizing persistent memory
CN109192236A (zh) * 2018-07-27 2019-01-11 深圳市泰芯微科技有限公司 一种非挥发性存储器(nvm)自适应参考电流的产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022A (ko) * 2007-03-28 2010-03-11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제어된 스크럽 데이터 판독에 의해 트리거되는 플래시 메모리 리프레시 기술
KR20100097041A (ko) * 2009-02-24 2010-09-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메모리 컨트롤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28014A (ko) * 2011-05-16 2012-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80045091A (ko) * 2016-10-24 2018-05-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웨어-레벨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111B1 (ko) 1998-08-19 2000-12-01 윤종용 그래픽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제어방법 및 회로
WO2011067795A1 (en) * 2009-12-02 2011-06-09 Ferdinando Bedeschi Refresh architecture and algorithm for non-volatile memories
US20120243299A1 (en) * 2011-03-23 2012-09-27 Jeng-Jye Shau Power efficient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KR101586723B1 (ko) * 2012-10-12 2016-02-02 주식회사 솔루엠 전자 태그 장치, 전자 선반 시스템, 및 전자 태그 장치의 화면 리플레시 방법
KR102107470B1 (ko) 2013-02-07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시 방법
KR20160056056A (ko) * 2014-11-11 201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2405054B1 (ko) * 2015-11-27 2022-06-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022A (ko) * 2007-03-28 2010-03-11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제어된 스크럽 데이터 판독에 의해 트리거되는 플래시 메모리 리프레시 기술
KR20100097041A (ko) * 2009-02-24 2010-09-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메모리 컨트롤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28014A (ko) * 2011-05-16 2012-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80045091A (ko) * 2016-10-24 2018-05-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웨어-레벨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252A (ko) * 2019-10-18 2021-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시스템 및 상변화 메모리 장치 리프레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2169A1 (en) 2018-04-12
CN107919152A (zh) 2018-04-17
CN107919152B (zh) 2021-03-02
US9966135B2 (en) 2018-05-08
KR102634813B1 (ko)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0303B (zh) 基於寫入頻率將資料寫至記憶體不同部份之方法、非暫態電腦可讀媒體與裝置
US8699287B2 (en) Techniques for increasing a lifetime of blocks of memory
US845291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for erase operation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2275094B1 (ko)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초한 저장 매체에 기입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8347024B2 (en) Memory system monitoring data erasing time or writing time
KR102351660B1 (ko) 전력 관리 메커니즘을 갖는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0289317B2 (en) Memory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for write amplification aware wear leveling
KR101687502B1 (ko) 메모리 제어기,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메모리 제어 방법
TW201802683A (zh) 用於資料儲存裝置的損耗平均方法
US9424177B2 (en) Clock switching method, memory controller and memory storage apparatus
WO2015057458A1 (en) Biasing for wear leveling in storage systems
US8402204B2 (en) Methods for measuring usable lifespan and replacing an in-system programming code of a memory device, and data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US9400746B2 (en) Data storage device and flash memory control method
CN108897492B (zh) 一种数据写入方法和装置
US9361201B2 (en) Memory system and memory controller
CN107958690B (zh) 数据存储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634813B1 (ko)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327544B2 (en) Memor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2204514A (zh) 用于保留非易失性存储器的预期寿命的技术
KR20170052172A (ko)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9588695B2 (en) Memory access bases on erase cycle time
CN107346216B (zh) 一种存储设备及其数据处理方法
KR102678654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5509447A (zh) 固态硬盘的动态slc机制实现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