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783A -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 Google Patents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783A
KR20180039783A KR1020160130522A KR20160130522A KR20180039783A KR 20180039783 A KR20180039783 A KR 20180039783A KR 1020160130522 A KR1020160130522 A KR 1020160130522A KR 20160130522 A KR20160130522 A KR 20160130522A KR 20180039783 A KR20180039783 A KR 20180039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dor
unit
concentration
mal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052B1 (ko
Inventor
김영진
류동호
Original Assignee
영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0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4Sulphides, e.g. H2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은 악취 측정유닛을 통해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에 대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부가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비교하여 초과함을 판단하면 제어모듈을 통해 제2챔버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다수의 분사기를 통해 축사 내로 분사 배출되도록 하여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가 관리됨으로써,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Odor Management Portal System}
본 발명은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전반적인 향상에 따라 육류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축산업의 발전으로 대량생산 및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축산농가에서는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하여 축사 내에 대량 사육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축사 내에는 사육되는 가축들의 호흡과 분뇨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증가와 악취 등으로 혼탁도가 극심하여 생육환경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산화탄소와 악취 및 먼지 등은 축사 관리를 어렵게 하고 전염성 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폐단과 함께 새끼 가축들에게는 매우 치명적인 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처럼 축사 내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로 약 200종의 성분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황화수소는 무색의 가연성 가스이며 낮은 농도에서도 썩은 달걀냄새가 나며, 공기보다 비중이 높기 때문에 지상에 머무르며, 환기가 잘 안 되는 축사 내에 축적되게 된다. 이러한 황화수소를 만성적으로 흡입하게 되면 눈 및 호흡기와 신경계통에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치명적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는 상온 상압에서 무색의 가스로써 0.7ppm 이상의 농도에서 코를 찌르는 듯한 자극적이고 불쾌한 악취를 내며, 4ppm 농도에서는 눈에 자극을 주는 정도로 코와 호흡기계통의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축사의 악취는 축사 바닥, 사료급여장치, 가축 몸체 등 축사 부대시설과 축사 내부에 일시 저장된 분뇨에서 발생하고,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은 공기 중에 떠 있거나 축사 바닥면에 가라앉아 있는 먼지 입자와 결합하여 퍼져나간다.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가축과 관리자 모두에게 위해 요인으로 작용함으로 정화를 위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감소시키기 위한 종래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49558호의 "오존수를 이용한 축사의 환경개선"(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악취 저감 시스템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악취 저감 시스템의 경우, 관리자가 축사 내 악취의 정도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악취 저감 시스템의 경우, 관리자가 축사 내 악취의 정도를 축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악취 저감 시스템의 경우, 축사 내 악취 물질들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및 습도를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자가 축사 내 악취의 정도를 외부에서도 파악할 수 있으며, 축사 내에 악취 저감 장치를 위해 마련되어야 하는 별도의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은, 축사 내부에 설치되어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축사 내에 제공할 수 있는 분사유닛; 상기 축사 내에 설치되어 축사 내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감지하는 악취 측정유닛; 및 상기 악취 측정유닛을 통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분사유닛을 통한 축사 내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에 대한 분사 제공형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악취 측정유닛은,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부로 마련되는 통합악취센서; 및 상기 통합악취센서를 통해 생성된 악취물질들의 개별농도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유닛은, 내부에 용수가 저장되는 제1챔버; 내부에 상기 악취저감약품이 저장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에 관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배관; 상기 이동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배관을 통해 이동되어져 온 물질의 분사 배출을 수행하는 다수의 분사기; 상기 이동배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제어되며 상기 제1챔버 또는 제2챔버로부터 상기 이동배관으로 배출되어지는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 측정유닛은, 상기 통합악취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에 대한 기준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합악취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각각 비교하여 기준농도를 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를 통해 축사 내 다수의 악취물질들의 개별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농도가 개별 기준농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챔버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상기 다수의 분사기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악취센서는, 상기 축사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황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황화수소 센서부; 상기 축사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는 암모니아 센서부; 상기 축사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부; 및 상기 축사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상기 황화수소, 암모니아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측정하는 복합악취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은, 상기 악취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통합악취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에 대한 기준정보가 저장된 기준정보저장부; 상기 기준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각각 비교하여 기준농도를 넘는지 판단하는 농도판단부; 및 상기 농도판단부를 통해 축사 내 다수의 악취물질들의 개별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농도가 개별 기준농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챔버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상기 다수의 분사기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명령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은, 상기 축사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축사환경정보를 생성하는 축사환경측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축사환경측정유닛은 생성된 상기 축사환경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축사환경측정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축사환경정보에 포함된 축사 내 온도 및 습도 대한 축사환경기준정보가 저장된 축사환경기준정보저장부; 및 상기 축사환경기준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축사환경측정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축사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온도 및 습도를 넘는지 판단하는 축사환경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신호생성부는, 상기 축사환경판단부를 통해 축사환경정보에 포함된 축사 내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제1챔버 내 저장된 용수가 상기 다수의 분사기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은,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축사가 위치한 지역의 기온, 습도,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기상정보수신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상정보수신유닛은 상기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관리단말로 상기 악취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 상기 축사환경측정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축사환경정보 및 상기 기상정보수신유닛으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악취 측정유닛을 통해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에 대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부가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비교하여 초과함을 판단하면 제어모듈을 통해 제2챔버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다수의 분사기를 통해 축사 내로 분사 배출되도록 하여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가 관리됨으로써,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축사환경측정유닛을 통해 측정된 축사 내 온도 및 습도를 축사환경기준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축사 내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축사환경판단부가 축사 내 온도 및 습도와 비교하여 초과함을 판단되면 제어모듈을 통해 제1챔버 내 저장된 용수가 다수의 분사기를 통해 축사 내로 분사 배출되도록하여 축사 내 온도 및 습도가 관리됨으로써,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악취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된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 축사환경측정유닛을 통해 생성된 축사 내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수신유닛을 통해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된 축사가 위치한 지역의 기상정보가 관리단말로 전달되어, 관리자는 관리단말을 통해 축사 외부에서 축사 내 악취 정도 및 축사 내 온도 및 습도, 축사가 위치한 지역의 기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라 악취저감약품이 축사 내 분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라 용수가 축사 내 분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일 실시예는 분사유닛(100), 악취 측정유닛(200), 제어모듈(300), 관리서버(400), 축사환경측정유닛(500), 기상정보수신유닛(600), 관리단말(700)을 포함한다.
먼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제1실시예에 따라 악취저감약품이 축사(F) 내 분사되는 흐름에 관해 설명하면, 악취 측정유닛(200)을 통해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기반으로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와 비교하여 기준농도를 초과하는 악취 물질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모듈(300)이 분사유닛(100)을 제어하여 악취저감약품이 축사(F) 내에 분사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제1실시예에 따라 용수가 축사(F) 내 분사되는 흐름에 관해 설명하면, 축사환경측정유닛(500)을 통해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축사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축사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축사환경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모듈(300)이 분사유닛(100)을 제어하여 용수가 축사(F) 내에 분사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악취 측정유닛(200)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 축사환경측정유닛(500)을 통해 측정된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유닛을 통해 측정된 축사(F)가 위치한 지역의 기상정보가 관리서버(400)로 전송된다. 또한, 관리서버(400)는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관리단말(700)로 전달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구성요소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분사유닛(100)은 축사(F) 내부에 설치되어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축사(F) 내에 분사 제공한다.
또한, 분사유닛(100)은 제1챔버(110), 제2챔버(120), 이동배관(130), 다수의 분사기(1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챔버(110)에는 용수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용수는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제2챔버(120)에는 악취저감약품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악취저감약품은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이동배관(130)은 제1챔버(110) 및 제2챔버(120) 일측에 연결되어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에 관한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이동배관(130)은 파이프 및 튜브 등 용수 및 악취저감약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분사기(140)는 이동배관(1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이동배관(130)을 통해 이동되어져 온 물질의 분사 배출을 수행한다.
그리고, 다수의 분사기(140)는 스프링클러와 같이 물질을 흩어서 뿌리는 기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는 이동배관(130)의 일측에 설치되고 하술될 제어모듈(300)을 통해 제어되며 제1챔버(110) 또는 제2챔버(120)로부터 이동배관(130)으로 배출되어지는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을 조절한다.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는 다수의 분사기(140)를 각기 제어함으로써, 축사(F) 내 특정 지역에만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을 분사 제공할 수 있다.
악취 측정유닛(200)은 축사(F) 내에 설치되어 축사(F) 내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감지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악취 측정유닛(200)은 통합악취센서(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판단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악취센서(210)는 황화수소 센서부(211), 암모니아 센서부(212),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부(213) 및 복합악취 센서부(214)를 포함한다.
여기서, 황화수소 센서부(211)는 축사(F)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황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암모니아 센서부(212)는 축사(F)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부(213)는 축사(F)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복합악취 센서부(214)는 축사(F)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황화수소, 암모니아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측정한다.
부가적으로, 축사(F)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악취 배출원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가스센서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통합악취센서(210)를 통해 생성된 악취물질들의 개별농도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20)는 하술될 판단부를 통해 판단되는 정보를 하술될 제어모듈로 전송한다.
여기서, 저장부(230)에는 통합악취센서(210)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F)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에 대한 기준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판단부(24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통합악취센서(210)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F)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각각 비교하여 기준농도를 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부(240)를 통해 축사(F) 내 다수의 악취물질들의 개별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농도가 개별 기준농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하술될 제어모듈(300)은 제2챔버(120)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다수의 분사기(140)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의 상태를 제어한다.
제어모듈(300)은 판단부(240)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분사유닛(100)을 통한 축사(F) 내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에 대한 분사 제공형태를 제어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어모듈(300)은 판단부(240)를 통해 축사(F) 내 다수의 악취물질들의 개별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농도가 개별 기준농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2챔버(120)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다수의 분사기(140)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의 상태를 제어하고, 하술될 축사환경측정유닛(500)으로부터 용수배출조절명령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1챔버(110) 내 저장된 용수가 다수의 분사기(140)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의 상태를 제어한다.
부가적으로, 두가지 경우가 함께 실시되는 경우에는 제어모듈이 제1챔버(110) 내 저장된 용수 및 제2챔버(120)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다수의 분사기(140)를 통해 함께 분사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악취 측정유닛(200)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전달받는다.
축사환경측정유닛(500)은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축사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축사환경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송신하며, 생성된 축사환경정보를 축사내환경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온도 및 습도를 넘는지 판단한다.
또한, 축사환경측정유닛(500)은 온도 센서(510), 습도 센서(520), 축사내환경기준정보저장부(530), 축사내환경판단부(540) 및 용수배출조절명령신호생성부(5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 센서(510)는 축사(F) 내 온도를 측정한다.
또한, 습도 센서(520)는 축사(F) 내 습도를 측정한다.
추가적으로, 축사환경측정유닛(500)은 온도 센서(510)를 통해 측정된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 센서(520)를 통해 측정된 축사(F) 내 습도가 포함된 축사환경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축사내환경기준정보저장부(530)에는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축사환경기준정보가 저장되어있다.
여기서, 축사내환경판단부(540)는 축사내환경기준정보저장부(530)에 저장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온도 센서(510)를 통해 측정된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 센서(520)를 통해 측정된 축사(F) 내 습도가 포함된 축사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를 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축사내환경판단부(540)를 통해 축사환경정보에 포함된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용수배출조절명령신호생성부(550)는 제어모듈(300)이 제1챔버(110) 내 저장된 용수가 다수의 분사기(140)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용수배출조절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300)에 전달한다.
기상정보수신유닛(600)은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축사(F)가 위치한 지역의 기온, 습도,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송신한다.
그리하여, 관리서버(400)는 악취 측정유닛(200)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 축사환경측정유닛(500)으로부터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수신유닛(600)으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한다.
관리단말(700)은 관리서버(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관리서버(400)로부터 악취 측정유닛(200)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 축사환경측정유닛(500)으로부터 수신한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수신유닛(600)으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전달받는다.
2.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
(1) 악취저감약품이 축사 내 분사되는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제1실시예에 따라 악취저감약품이 축사 내 분사되는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축사(F) 내 설치된 악취측정유닛의 통합악취센서(210)가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각각 측정한다. 그리고 판단부(240)가 저장부(230)에 저장된 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통합악취센서(210)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F)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각각 비교하여 기준농도를 넘는지 판단한다. 판단부(240)를 통해 축사(F) 내 다수의 악취물질들의 개별 농도 중 기준농도를 초과하는 악취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모듈(300)이 제2챔버(120)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다수의 분사기(140)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의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농도롤 저감시킨다.
(2) 용수가 축사 내 분사되는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제1실시예에 따라 용수가 축사 내 분사되는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축사(F) 내 설치된 축사환경측정유닛(500)이 온도 센서(510) 및 습도 센서(520)를 통해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가 포함된 축사환경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축사내환경판단부(540)가 축사내환경기준정보저장부(530)에 저장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축사환경정보와 각각 비교하여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를 넘는지 판단한다. 축사내환경판단부(540)를 통해 축사환경정보에 포함된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용수배출조절명령신호생성부(550)가 제어모듈(300)이 제1챔버(110) 내 저장된 용수가 다수의 분사기(140)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용수배출조절명령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모듈(300)에 전달하여, 축사(F) 내 용수가 다수의 분사기(140)를 통해 분사 제공됨으로써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다.
(3) 악취 물질들의 개별농도,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가 전달되는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제1실시예에 따라 악취 물질들의 개별농도,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가 관리단말로 전달되는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통합악취센서(210)를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는 통신부(22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전송된다. 축사환경측정유닛(500)이 측정된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수신유닛(600)이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축사(F)가 위치한 지역의 기온, 습도,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기상정보가 관리서버(400)로 송신된다.
그리고, 관리서버(400)는 관리단말(700)로 악취 측정유닛(200)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 축사환경측정유닛(500)으로부터 수신한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수신유닛(600)으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전달함으로써, 관리자는 관리단말(700)을 통해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농도, 축사환경정보 및 축사(F)가 위치한 지역의 기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분사유닛(100a), 악취 측정유닛(200a), 제어모듈(300a), 관리서버(400a), 축사환경측정유닛(500a), 기상정보수신유닛(600a), 관리단말(700a)을 포함한다.
먼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전체 흐름에 관해 설명하면, 악취 측정유닛(200a)을 통해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는 관리서버(400a)로 송신되며 농도판단부(420a)가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기반으로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와 비교하여 기준농도를 초과하는 악취 물질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리서버(400a)는 제어모듈(300a)로 제어명령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모듈(300a)은 분사유닛(100a)을 제어하여 악취저감약품이 축사(F) 내에 분사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축사환경측정유닛(500a)은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축사환경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400a)로 축사환경정보를 송신하고 축사환경판단부(450a)는 축사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축사환경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초과함을 판단하는 경우, 관리서버(400a)는 제어모듈(300a)로 제어명령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모듈(300a)은 분사유닛(100a)을 제어하여 용수가 축사(F) 내에 분사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악취 측정유닛(200a)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 축사환경측정유닛(500a)을 통해 측정된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유닛을 통해 측정된 축사(F)가 위치한 지역의 기상정보가 관리서버(400a)로 전송된다. 또한, 관리서버(400a)는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관리단말(700a)로 전달한다.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구성요소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분사유닛(100a)은 축사(F) 내부에 설치되어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축사(F) 내에 분사 제공한다.
또한, 분사유닛(100a)은 제1챔버(110a), 제2챔버(120a), 이동배관(130a), 다수의 분사기(140a)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챔버(110a)에는 용수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용수는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제2챔버(120a)에는 악취저감약품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악취저감약품은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이동배관(130a)은 제1챔버(110a) 및 제2챔버(120a) 일측에 연결되어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에 관한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이동배관(130a)은 파이프 및 튜브 등 용수 및 악취저감약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분사기(140a)는 이동배관(130a)의 일측에 연결되어 이동배관(130a)을 통해 이동되어져 온 물질의 분사 배출을 수행한다.
그리고, 분사기(140a)는 스프링클러와 같이 물질을 흩어서 뿌리는 기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a)는 이동배관(130a)의 일측에 설치되고 하술될 제어모듈(300a)을 통해 제어되며 제1챔버(110a) 또는 제2챔버(120a)로부터 이동배관(130a)으로 배출되어지는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을 조절한다.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a)는 다수의 분사기(140a)를 각기 제어함으로써, 축사(F) 내 특정 지역에만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을 분사 제공할 수 있다.
악취 측정유닛(200a)은 축사(F) 내에 설치되어 축사(F) 내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감지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악취 측정유닛(200a)은 통합악취센서(210a) 및 통신부(220a)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악취센서(210a)는 황화수소 센서부(211a), 암모니아 센서부(212a),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부(213a) 및 복합악취 센서부(214a)를 포함한다.
여기서, 황화수소 센서부(211a)는 축사(F)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황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암모니아 센서부(212a)는 축사(F)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부(213a)는 축사(F)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복합악취 센서부(214a)는 축사(F)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황화수소, 암모니아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측정한다.
부가적으로, 축사(F)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악취 배출원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가스센서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a)는 통합악취센서(210a)를 통해 생성된 악취물질들의 개별농도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제어모듈(300a)은 하술될 농도판단부(420a) 또는 축사환경판단부(450a)를 통해 하술될 관리서버(400a)로부터 송신되는 제어명령신호를 기반으로 분사유닛(100a)을 통한 축사(F) 내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에 대한 분사 제공형태를 제어한다.
관리서버(400a)는 악취 측정유닛(200a)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전달받는다.
축사환경측정유닛(500a)은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축사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축사환경정보를 관리서버(400a)로 송신한다.
여기서, 관리서버(400a)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관리서버(400a)는 기준정보저장부(410a), 농도판단부(420a), 명령신호생성부(430a), 축사환경기준정보저장부(440a) 및 축사환경판단부(450a)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준정보저장부(410a)에는 통합악취센서(210a)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F)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에 대한 기준정보가 저장되어있다.
또한, 농도판단부(420a)는 기준정보저장부(410a)에 저장된 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악취 측정유닛(200a)으로부터 송신된 축사(F)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각각 비교하여 기준농도를 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농도판단부(420a)를 통해 축사(F) 내 다수의 악취물질들의 개별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농도가 개별 기준농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명령신호생성부(430a)는 제2챔버(120a)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다수의 분사기(140a)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제어모듈(300a)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300a)에 전달한다.
그리고, 축사환경기준정보저장부(440a)에는 축사환경측정유닛(500a)으로부터 수신되는 축사환경정보에 포함된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 대한 축사환경기준정보가 저장되어있다.
또한, 축사환경판단부(450a)는 축사환경기준정보저장부(440a)에 저장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축사환경측정유닛(500a)으로부터 수신된 축사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온도 및 습도를 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축사환경판단부(450a)를 통해 축사환경정보에 포함된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명령신호생성부(430a)는 제어모듈(300a)이 제1챔버(110a) 내 저장된 용수가 다수의 분사기(140a)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300a)에 전달한다.
정리하자면, 관리서버(400a)로부터 제어모듈(300a)로 송신되는 제어명령신호는 농도판단부(420a)로 인해 명령신호생성부(430a)를 통해 생성될 때 축사(F) 내 악취저감약품이 분사 제공되도록하며, 축사환경판단부(450a)로 인해 명령신호생성부(430a)를 통해 생성될 때 축사(F) 내 용수가 분사 제공되도록 제어모듈(300a)을 제어한다.
기상정보수신유닛(600a)은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축사(F)가 위치한 지역의 기온, 습도,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를 관리서버(400a)로 송신한다.
그리하여, 관리서버(400a)는 악취 측정유닛(200a)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 축사환경측정유닛(500a)으로부터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수신유닛(600a)으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한다.
관리단말(700a)은 관리서버(400a)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관리서버(400a)로부터 악취 측정유닛(200a)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 축사환경측정유닛(500a)으로부터 수신한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수신유닛(600a)으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전달받는다.
4.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
(1) 악취저감약품이 축사 내 분사되는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제2실시예에 따라 악취저감약품이 축사 내 분사되는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축사(F) 내 설치된 악취측정유닛의 통합악취센서(210a)가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각각 측정한다. 그리고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는 관리서버(400a)로 송신된다. 또한, 농도판단부(420a)가 기준정보저장부(410a)에 저장된 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통합악취센서(210a)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F)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각각 비교하여 기준농도를 넘는지 판단한다. 농도판단부(420a)를 통해 축사(F) 내 다수의 악취물질들의 개별 농도 중 기준농도를 초과하는 악취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명령신호생성부(430a)가 제어모듈(300a)이 제2챔버(120a)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다수의 분사기(140a)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150a)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300a)에 전달함으로써, 축사(F) 내 악취저감약품이 분사유닛(100a)을 통해 분사 제공되어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농도롤 저감시킨다.
(2) 용수가 축사 내 분사되는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제1실시예에 따라 용수 축사 내 분사되는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축사(F) 내 설치된 축사환경측정유닛(500a)이 온도 센서(510a) 및 습도 센서(520a)를 통해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가 포함된 축사환경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축사환경정보는 관리서버(400a)로 송신되며, 축사환경판단부(450a)가 축사환경기준정보저장부(440a)에 저장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축사환경정보와 각각 비교하여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를 넘는지 판단한다. 축사환경판단부(450a)를 통해 축사환경정보에 포함된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명령신호생성부(430a)가 제어모듈(300a)이 제1챔버(110a) 내 저장된 용수가 다수의 분사기(140a)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모듈(300a)에 전달하여, 축사(F) 내 용수가 다수의 분사기(140a)를 통해 분사 제공됨으로써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다.
(3) 악취 물질들의 개별농도,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가 전달되는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1000)의 제2실시예에 따라 악취 물질들의 개별농도,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가 관리단말로 전달되는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통합악취센서(210a)를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는 통신부(220a)를 통해 관리서버(400a)로 전송된다. 그리고, 축사환경측정유닛(500a)이 측정된 축사(F) 내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수신유닛(600a)이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축사(F)가 위치한 지역의 기온, 습도,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기상정보가 관리서버(400a)로 송신된다.
그리고, 관리서버(400a)는 관리단말(700a)로 악취 측정유닛(200a)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 축사환경측정유닛(500a)으로부터 수신한 축사환경정보 및 기상정보수신유닛(600a)으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전달함으로써, 관리자는 관리단말(700a)을 통해 축사(F) 내 악취 물질들의 농도, 축사환경정보 및 축사(F)가 위치한 지역의 기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악취 측정유닛(200a)을 통해 축사(F)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축사(F)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에 대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부가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비교하여 초과함을 판단하면 제어모듈을 통해 제2챔버(120a)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다수의 분사기(140a)를 통해 축사(F) 내로 분사 배출되도록하여 축사(F)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가 관리됨으로써,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0 :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100, 100a : 분사유닛
110, 110a : 제1챔버
120, 120a : 제2챔버
130, 130a : 이동배관
140, 140a : 분사기
150, 150a : 조절밸브
200, 200a : 악취 측정유닛
210, 210a : 통합악취센서
211, 211a : 황화수소 센서부
212, 212a : 암모니아 센서부
213, 213a :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부
214, 214a : 복합악취 센서부
220, 220a : 통신부
230 : 저장부
240 : 판단부
300, 300a : 제어모듈
400, 400a : 관리서버
410a : 기준정보저장부
420a : 농도판단부
430a : 명령신호생성부
440a : 축사환경기준정보저장부
450a : 축사환경판단부
500, 500a : 축사환경측정유닛
510, 510a : 온도 센서
520, 520a : 습도 센서
530 : 축사내환경기준정보저장부
540 : 축사내환경판단부
550 : 용수배출조절명령신호생성부
600, 600a : 기상정보수신유닛
700, 700a : 관리단말
F : 축사

Claims (10)

  1. 축사 내부에 설치되어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축사 내에 제공할 수 있는 분사유닛;
    상기 축사 내에 설치되어 축사 내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감지하는 악취 측정유닛; 및
    상기 악취 측정유닛을 통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분사유닛을 통한 축사 내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에 대한 분사 제공형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악취 측정유닛은,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부로 마련되는 통합악취센서; 및
    상기 통합악취센서를 통해 생성된 악취물질들의 개별농도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내부에 용수가 저장되는 제1챔버;
    내부에 상기 악취저감약품이 저장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에 관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배관;
    상기 이동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배관을 통해 이동되어져 온 물질의 분사 배출을 수행하는 다수의 분사기;
    상기 이동배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제어되며 상기 제1챔버 또는 제2챔버로부터 상기 이동배관으로 배출되어지는 용수 또는 악취저감약품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측정유닛은,
    상기 통합악취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에 대한 기준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합악취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각각 비교하여 기준농도를 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를 통해 축사 내 다수의 악취물질들의 개별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농도가 개별 기준농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챔버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상기 다수의 분사기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악취센서는,
    상기 축사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황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황화수소 센서부;
    상기 축사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는 암모니아 센서부;
    상기 축사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부; 및
    상기 축사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들 중 상기 황화수소, 암모니아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측정하는 복합악취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은,
    상기 악취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통합악취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기준농도에 대한 기준정보가 저장된 기준정보저장부;
    상기 기준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축사 내 다수의 악취 물질들의 개별 농도와 각각 비교하여 기준농도를 넘는지 판단하는 농도판단부; 및
    상기 농도판단부를 통해 축사 내 다수의 악취물질들의 개별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농도가 개별 기준농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챔버 내 저장된 악취저감약품이 상기 다수의 분사기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명령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은,
    상기 축사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축사환경정보를 생성하는 축사환경측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축사환경측정유닛은 생성된 상기 축사환경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축사환경측정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축사환경정보에 포함된 축사 내 온도 및 습도 대한 축사환경기준정보가 저장된 축사환경기준정보저장부; 및
    상기 축사환경기준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축사환경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축사환경측정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축사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온도 및 습도를 넘는지 판단하는 축사환경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신호생성부는, 상기 축사환경판단부를 통해 축사환경정보에 포함된 축사 내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축사환경기준정보에 따른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를 초과함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제1챔버 내 저장된 용수가 상기 다수의 분사기를 통해 분사 배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은,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축사가 위치한 지역의 기온, 습도,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기상정보수신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상정보수신유닛은 상기 기상정보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관리단말로 상기 악취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된 악취 물질들의 농도, 상기 축사환경측정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축사환경정보 및 상기 기상정보수신유닛으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KR1020160130522A 2016-10-10 2016-10-10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KR101858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22A KR101858052B1 (ko) 2016-10-10 2016-10-10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22A KR101858052B1 (ko) 2016-10-10 2016-10-10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783A true KR20180039783A (ko) 2018-04-19
KR101858052B1 KR101858052B1 (ko) 2018-05-21

Family

ID=6208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522A KR101858052B1 (ko) 2016-10-10 2016-10-10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0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638B1 (ko) * 2019-06-03 2020-01-17 조희승 조형물에 적용되는 도시환경 및 미세먼지 자동 제어시스템
KR102183531B1 (ko) * 2019-12-16 2020-11-26 아진시스템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자동 방역시스템의 사육장
KR102185378B1 (ko) * 2020-02-20 2020-12-01 안형일 Ict 융복합 축산악취 확산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37407A (ko) * 2021-04-02 2022-10-12 이창규 축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144553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홍익솔루스 내구도가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4451B1 (ko) * 2022-11-25 2023-06-20 주식회사 유씨랩 IoT 기반으로 악취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87169B1 (ko) * 2022-12-08 2023-10-10 재단법인 축산환경관리원 축산시설악취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265B1 (ko) * 2021-07-02 2024-04-29 주식회사 아이하랑 미세먼지 저감장치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동작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638B1 (ko) * 2019-06-03 2020-01-17 조희승 조형물에 적용되는 도시환경 및 미세먼지 자동 제어시스템
KR102183531B1 (ko) * 2019-12-16 2020-11-26 아진시스템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자동 방역시스템의 사육장
KR102185378B1 (ko) * 2020-02-20 2020-12-01 안형일 Ict 융복합 축산악취 확산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37407A (ko) * 2021-04-02 2022-10-12 이창규 축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144553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홍익솔루스 내구도가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4451B1 (ko) * 2022-11-25 2023-06-20 주식회사 유씨랩 IoT 기반으로 악취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87169B1 (ko) * 2022-12-08 2023-10-10 재단법인 축산환경관리원 축산시설악취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052B1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052B1 (ko) 악취 관리 포털 시스템
EP2709442B1 (en) Vaccine and health-related applications for ruminant breath monitoring system
US7360503B2 (en) Atomization system for odor and environmental control in livestock holding areas
CN106577340B (zh) 一种利用畜牧用智能饮水器的饮水方法
KR101433789B1 (ko)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
WO2003071980A3 (en) Low reservoir detection and variable dosing for a spray deterrent animal training system
JP2007082419A (ja) 動物の飼育舎管理方法とオゾン水製造装置
CN112327981A (zh) 一种养殖业物联网智能实时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102053642B1 (ko)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KR20160090061A (ko) 자동 음수공급장치
KR100871666B1 (ko) 오존수 자동화 공급장치
Branigan et al. Behavioural responses to environmental hypercapnia in two eusocial species of African mole rats
KR20150030666A (ko) 가금류의 인도적 대량 도살 및 사육장의 살균을 위한 이산화탄소 기반 방법 및 시스템
Kochetova et al. Development of microclimate control system in cattle barns for cattle housing in the Perm region
CN108304017A (zh) 一种养殖场环境监测和控制方法及系统
CN218607430U (zh) 畜禽养殖巡检防疫系统
AT407097B (d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und gegebenenfalls betreuung von nutztieren
KR102345583B1 (ko) 비가열식 방제기 시스템
KR20230070577A (ko) 축사의 환경 모니터링 및 자동제어시스템
CN205379480U (zh) 一种自动感应消毒设备
Kocaman et al. Combination of fan ventilation system and spraying of oil-water mixture on the levels of dust and gases in caged layer facilities in Eastern Turkey
JP2002281852A (ja) 家畜類の飼育方法、飼育設備
KR20130014209A (ko) 오존과 오존 살균수를 이용한 동물위해요소 살균 장치
KR20220123847A (ko) 개별 제어가 가능한 악취 제거 자동 분사시스템
Banhazi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pollutants in three different livestock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