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226A -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과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 - Google Patents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과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226A
KR20180039226A KR1020160130058A KR20160130058A KR20180039226A KR 20180039226 A KR20180039226 A KR 20180039226A KR 1020160130058 A KR1020160130058 A KR 1020160130058A KR 20160130058 A KR20160130058 A KR 20160130058A KR 20180039226 A KR20180039226 A KR 20180039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radle
passive
launching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167B1 (ko
Inventor
홍섭
조수길
김형우
민천홍
김성순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3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1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50/00Obtaining minerals from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05Manipulating or supporting suction pipes or ladders; Mechanical supports or floaters therefor; pipe joints for suction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02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21B19/004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supporting a riser from a drilling or production platform
    • E21B19/006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supporting a riser from a drilling or production platform including heave compens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8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Apparatus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on the drilling tool; Apparatus for counterbalancing the weight of the rods
    • E21B19/09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Apparatus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on the drilling tool; Apparatus for counterbalancing the weight of the rods specially adapted for drilling underwater formations from a floating support using heave compensators supporting the drill st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및 문풀게이트는, 롤블록과 피치블록 지지블록 및 블록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짐발 크래들이 고정, 지지하는 라이저의 플랜지 부와 함께 롤링, 피칭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 및 문풀게이트를 구비하는 선박 또는 플랫폼은 해양환경에 의해 요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 및 문풀게이트가 라이저의 플랜지를 안정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과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Passive gimbal cradle and moon-pool gate for LARS(launch and recovery system) of deep-sea ocean mining system}
본 발명은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및 문풀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양환경으로 인한 모멘트에 의해 파이프 및 라이저에 회전요동이 생겨도 자유도를 확보하여 파이프 및 라이저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과 상기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드릴링 플랫폼 또는 드릴링 선박(이하, "드릴링 플랫폼"으로 통칭한다)에서는 시추를 위하여 드릴링 파이프를 사용한다. 드릴링 파이프가 해저면을 시추하는 동안 드릴링 플랫폼 또는 드릴링 선박(이하, "드릴링 플랫폼"으로 통칭한다)에서는 시추를 위하여 드릴링 파이프를 사용한다. 드릴링 파이프가 해저면을 시추하는 동안 진흙이나 기름 성분이 혼합된 액체(drilling fluid, 드릴링 플루이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드릴링 플루이드가 바다에 노출되어 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릴링 파이프를 둘러싸는 파이프 형태의 구조물인 라이저(riser)가 배치된다. 라이저는 라이저 홀더(riser holder)를 포함되어 라이저의 위치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드릴링 플랫폼은 시추를 위한 드릴링 파이프(108)와 드릴링 파이프(108)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라이저(102)를 포함한다. 선박의 경우, 드릴링 파이프(108)와 라이저(102)는 문풀 (moonpool; 106) 에 배치되어 시추 위치에 적용된다. 또한 드릴링 파이프(108)는 데릭(derrick; 130)에 의해 고정된다.
시추 동안에 데릭(130)이 설치된 선박 또는 플랫폼이 파랑이나 바람에 의하여 요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요동에도 불구하고 라이저(102)를 일정한 위치로 유지하여야 드릴링 파이프(108)에 의한 시추 및 드릴링 플루이드의 누액 방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르레(110, 112, 114)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어(120)가 라이저(102)에 포함된 라이저 홀더(104)에 고정된다. 도르레(110, 112, 114) 중 하나의 도르레(110)는 유압 실린더(116)에 의해 플랫폼에 고정된다. 따라서, 플랫폼이 요동하는 경우, 그 요동은 유압 실린더(116)를 그 요동의 반대방향으로 수축 또는 확장시켜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이저(102)가 와이어(120)에 의해 제어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종래의 드릴링 플랫폼은 선박의 선수 내지 측방향 회전요동(선수방향 회전요동: roll, 측방향 회전요동: pitch)에 대한 라이저(102)의 상대운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회전요동으로 인한 힘을 계측하고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이를 보상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을 사용하는 능동형 장치들의 문제점으로, 계측 장비 및 유압 장비에 의해 전체 장비 사이즈가 커지고 장비 가격이 상승되는 점, 계측이 잘못되거나 유압제어가 실패할 경우에 큰 문제를 불러온다는 점, 계측 또는 유압라인이 파손될 경우에 전체 유지보수를 다시 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늘어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756호 (2012년 4월 16일 등록, 발명의 명칭: 드릴링 플랫폼)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파이프 및 라이저에 회전요동이 생겨도 자유도를 확보하여 파이프 및 라이저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여, 파이프 및 라이저에 회전요동이 생겨도 자유도를 확보하고 파이프 및 라이저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문풀 게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종의 사이즈를 가진 해양플랜트 장비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장비 크기에 제약이 없는 개폐형 짐발 크래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라이저와 함께 투입되는 케이블을 라이저와 같이 연속적으로 내릴 수 있는 상시 개방 구조를 포함하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유압식 능동형 장치들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구현되어 파이프 및 라이저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짐발 크래들은, 일편과 타편이 결합되며, 일편과 타편은 각각, 라이저의 플랜지 부와 함께 롤링 회전할 수 있는 롤블록; 롤블록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고 롤블록과 함께 피칭 회전할 수 있는 피치블록; 피치블록의 외측에 접촉하여 피치블록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지지블록의 저면과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블록하우징; 을 포함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제공한다.
또한, 라이저의 플랜지 부와 접촉하는 롤블록의 일면에 홈이 형성되고, 홈의 일단부에 확장부가 더 형성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롤블록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롤블록체결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롤블록의 외주면에는 롤링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피치블록의 외주면에는 피칭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짐발 크래들은, 라이저의 플랜지 부를 지지하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에 있어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은 일편과 타편이 결합되며, 일편과 타편은 각각, 라이저의 플랜지 부와 함께 롤링 회전할 수 있는 롤블록; 롤블록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고 롤블록과 함께 피칭 회전할 수 있는 피치블록; 피치블록의 외측에 접촉하여 피치블록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록; 지지블록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블록; 및 지지블록의 저면과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블록하우징; 을 포함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풀게이트는, 라이저의 플랜지 부를 지지하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이 설치된 문풀게이트에 있어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은 일편과 타편이 결합되며, 일편과 타편은 각각, 라이저의 플랜지 부와 함께 롤링 회전할 수 있는 롤블록; 롤블록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고 롤블록과 함께 피칭 회전할 수 있는 피치블록; 피치블록의 외측에 접촉하여 피치블록이 피칭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지지블록의 저면과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블록하우징; 을 포함하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한다.
또한, 지지블록에 삽입되어 개폐시 충돌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블록; 을 더 포함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문풀게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블록하우징의 저면 또는 측면에 홀을 더 형성하고, 홀의 내주면에는 나선을 형성하여,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문풀게이트에 볼팅 결합시키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문풀게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짐발 크래들에 따르면, 파이프 및 라이저에 회전요동이 생겨도 자유도를 확보하여 파이프 및 라이저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풀게이트에 따르면, 파이프 및 라이저에 회전요동이 생겨도 자유도를 확보하여 파이프 및 라이저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문풀게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짐발 크래들에 따르면, 이종의 사이즈를 가진 해양플랜트 장비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장비 크기에 제약이 없는 개폐형 짐발 크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짐발 크래들에 따르면, 케이블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상시 개방형 구조가 포함되어 있는 개폐형 짐발 크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짐발 크래들에 따르면, 유압식 능동형 장치들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구현되어 파이프 및 라이저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릴링 플랫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중 롤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각 구성요소들에 그리스웨이가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별 사시도 및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이 문풀게이트에 설치되어 라이저의 플랜지 부를 지지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이 작동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확인하기 위한 구조해석 수행 중의 일부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확인하기 위한 동해석 수행 중의 일부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중 롤블록의 설계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중 피치블록의 설계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각 구성요소들에 그리스웨이가 형성되는 경우의 구성요소별 설계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시제품 중 일편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웨이가 형성되는 경우의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시제품 중 롤블록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웨이가 형성되는 경우의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시제품 중 지지블록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웨이가 형성되는 경우의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시제품 중 일편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이 설치되어 있는 문풀게이트의 설계도면 중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릴링 플랫폼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종래의 드릴링 플랫폼에 관한 설명은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측 상단의 박스 안에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그 일편과 타편이 결합되어 구성됨과,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을 구성하는 상기 일편과 상기 타편이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일편과 상기 타편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롤블록(10)은 그 중심부에 원주면 형태를 가진 홈(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일편과 상기 타편이 결합되어 있을 때, 그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라이저(80)의 플랜지(도면부호 생략) 면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라이저(8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우측에는,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 중 상기 일편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의 우측에 나타낸,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 중 상기 일편에 대한 사시도를 참조하면,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의 상기 일편 및 상기 타편은 각각,
상기 라이저(80)의 플랜지와 함께 롤링될 수 있는 롤블록(10); 상기 롤블록(10)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롤블록(10)과 함께 피칭될 수 있는 피치블록(20); 상기 피치블록(20)의 외측에 접촉하여 상기 피치블록(20)이 피칭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록(30); 및 상기 지지블록(30)의 저면과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블록하우징(50);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이저(80)의 플랜지와 접촉하는 상기 롤블록(10)의 일면에 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홈(11)의 일단부에 확장부(13)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확장부(13)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블록(10)이 받치고 있는 플랜지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상기 롤블록(10)의 강성이 라이저(80)의 양끝단에 위치하는 플랜지의 강성보다 큼으로 인하여 상기 롤블록(10)이 상기 플랜지를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롤블록(10)의 접촉부위 강성을 낮추기 위하여 상기 롤블록(10)의 접촉부위에 변형을 준 것이다.
또한, 상기 확장부(13) 형성의 다른 효과로서,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의 일편과 타편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홈(11)을 통해 상기 라이저(80)의 플랜지를 삽입할 때, 상기 라이저(80)의 플랜지 부를 상기 홈(11)에 보다 쉽게 정렬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롤블록(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롤블록체결가이드(15)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일단부의 롤블록체결가이드(15) 중심부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타단부의 롤블록체결가이드(15) 중심부에는 상기 일단부 롤블록체결가이드(15) 중심부의 볼록부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형성하면, 상기 일편과 상기 타편이 결합될 때, 상기 일편과 상기 타편을 보다 쉽게 정렬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피치블록(20)은, 상기 롤블록(10)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롤블록(10)과 함께 피칭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라이저(80)의 플랜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21)이 형성되고, 그 하부의 상기 홈(21) 주변에 피치블록체결가이드(2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롤블록체결가이드(15) 및 상기 피치블록체결가이드(25)는 각각, 상기 롤블록(10) 및 상기 피치블록(20)의 일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일편과 상기 타편이 결합되어 본 발명의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온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상태에서도, 라이저(80)와 함께 투입되는 케이블이 상기 라이저(80)와 동시에 내려질 수 있는 상시 개방 구조가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블록(30)은, 상기 피치블록(20)의 외측에 접촉하며 상기 피치블록(20)이 피칭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블록(40)이 삽입되는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완충블록(40)을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에 더 포함시키는 경우,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게 될 때, 상기 완충블록(40)이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 내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흡수 및 분산시켜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생기며, 이로써, 풍랑 등이 거세짐으로 인하여 해양 상황이 극한 환경이 되는 때에도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파손되지 않고 라이저(80) 플랜지의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지블록(30)에 완충블록(40)을 더 포함시킴으로 인한 효과는, 그로 인한 비용증가에 비하여 얻는 효과가 상당히 크므로, 완충블록(40)을 생략한 실시는 바람직하지 않은 실시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큰 환경변화가 있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일부 특수 상황에서의 실시에 대해서는 굳이 지지블록(30)에 완충블록(40)을 더 포함시키지 않는 형태로 실시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블록하우징(50)은, 상기 지지블록(30)의 저면과 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라이저(80)의 플랜지가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그 저면 또는 측면에 홀(도시 생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나선이 더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문풀게이트 등의 시설 또는 장치에 설치되는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볼팅 결합될 수 있게 되므로, 수동형 짐발 크래들(60)과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설치되는 문풀게이트 등의 시설 또는 장치 사이의 안착력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사용되는 해양 환경에서는, 파랑, 조류 등으로 인한 외력이 항상 작용하고 있고, 기상 변화에 따라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에 작용하는 상기 외력이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수동형 짐발 크래들(60)과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설치되는 시설 또는 장치 사이의 결합력을 공고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지극히 당연한 사실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아도 누구나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중 롤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롤블록(10)의 외주면에 롤링스토퍼(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롤블록(10)에 상기 롤링스토퍼(17)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피치블록(20)에 상기 롤링스토퍼(17)의 롤링 범위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롤링 범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홈은 상기 롤블록(10)이 롤링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블록(10)의 상면이 상기 피치블록(20)의 상면과 일치될 때를 0도라고 할 때, 상기 롤블록(10)이 일정 각도 이내로 롤링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롤블록(10)의 롤링 각도를 일정 각도 이내로 제한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갑판에 문풀 및 문풀게이트(90)가 위치하며, 상기 문풀게이트(90)에 본 발명의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문풀 및 문풀게이트(90)의 상부에 문풀 타워 구조물이 설치되어, 양광시스템 진수 또는 회수 작업 시 버퍼(Buffer), 양광펌프, 라이저(Riser) 등 해저로 설치되는 것들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 상황에서, 해저에 설치된 양광시스템은 해류 및 조류에 큰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힘은 본 발명의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에 모멘트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에 자유도가 없는 경우 라이저(Riser)에 큰 응력이 발생하여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은 라이저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롤 및 피치 운동에 자유도를 부여하여 최소화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롤블록(10)의 롤링 각도 범위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롤블록(10)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라이저(80)의 플랜지부가 상기 문풀 타워 구조물과 접촉하여, 상기 라이저(80)의 플랜지부가 상기 문풀 타워 구조물에 충격 및 손상을 줄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롤블록(10)의 롤링 각도 범위를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피치블록(20)의 피칭 각도 범위 역시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롤블록(10)의 롤링 각도 범위를 제한하는 사유와 마찬가지의 사유 때문이다. 여기에서, 상기 피치블록(20)의 상면이 지지블록(30)의 상면과 일치될 때, 상기 피치블록(20)의 피칭 각도가 0도인 것으로 보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피치블록(20)의 피칭 각도 범위를 문풀 타워 구조물과의 간섭 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일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각 구성요소들에 그리스웨이가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별 사시도 및 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롤블록(10), 피치블록(20) 및 지지블록(30) 각각에 형성되는 각 그리스웨이(도면부호 생략)의 형태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그리스웨이는 마찰력을 줄이는데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상기 그리스웨이를 형성하는 경우, 각 블록들 사이 접촉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짐발 크래들 구현 및 작동에 있어 큰 이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이 문풀게이트에 설치되어 라이저의 플랜지 부를 지지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심해로 연장되는 라이저(80)의 상단에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으며, 문풀게이트(90)가 닫혔을 때,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이 플랜지 하단을 받치는 구조로,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라이저(80)의 플랜지가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에 얹혀져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랜지가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의 상부에 얹혀지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의 롤블록(10)과 접촉되어 지지되고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롤블록(10)의 강성이 상기 플랜지의 강성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롤블록(10)이 상기 플랜지에 변형 또는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롤블록(10)에 의한 플랜지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롤블록(10)에 형성되는 홈(11)의 일단부에 경사진 형태의 확장부(13)를 더 형성하여 상기 롤블록(10)과 상기 플랜지의 접촉부위 강성을 낮춰줌으로써, 상기 롤블록(10)에 의한 상기 플랜지의 변형 또는 파손 가능성을 낮춰줄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작동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1은 수동형 짐발 크래들(60) 일편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2는 도 6A1의 A-A면 단면도로서, 롤블록(10)이 일정 범위 이내로 롤링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3은 도 6A1의 B-B면 단면도로서, 롤블록(1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롤링가이드(17)를 확인할 수 있으며, 롤블록(10)이 일정 범위 이내로 롤링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1은 수동형 짐발 크래들(60) 일편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2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60) 일편에 포함된 피치블록(20)이 일정 범위 이내로 피칭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B3은 도 6B1의 A-A면 단면도로서, 수동형 짐발 크래들(60) 일편에 포함된 피치블록(20)이 일정 범위 이내로 피칭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B4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60) 일편에 포함된 피치블록(20)이 일정 범위 이내로 피칭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확인하기 위한 구조해석 및 동해석 수행 중의 일부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NSY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으나, 구조해석에 사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을 ANSYS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구조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도 무관할 것이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DAFU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동해석을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으나, 이는 동해석에 사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을 DAFUL 만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동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타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표 1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구조해석 및 동해석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로서, CASE 1은 짐발 크래들과 라이저가 고정 체결되었을 때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를 X, Y, Z 축 방향에 대하여 각각 나타낸 것이며, CASE 2는 본 발명의 수동형 짐발 크래들(60)과 라이저가 체결되었을 때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를 X, Y, Z 축 방향에 대하여 각각 나타낸 것이다. 짐발 크래들이 라이저에 고정되었을 때보다, 본 발명과 같이 문풀 구조물과 간섭이 되지 않는 일정 범위 이내의 각도에서 짐발 크래들이 롤링, 피칭 운동을 가능하게 하였을 때 작용하는 모멘트가 줄어들게 됨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1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중 롤블록의 설계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을 구성하는 일편과 타편 사이의 A-A면에서의 상기 일편에 대한 측면도, 상기 일편 중 롤블록(10)에 대한 A-A면 측면도에서의 B-B면 단면도 및 C-C면 단면도가 포함되어 있고, 각 부위의 치수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에 사용되는 롤블록(10)의 외형 치수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단지 롤블록(10) 구현의 일예일 뿐임을 누구나 잘 알 것이라 생각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중 피치블록의 설계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을 구성하는 피치블록(20)에 대한, 상면도와 상기 상면도에서의 A-A면 측면도, 상기 A-A면 측면도에서의 B-B면 단면도 및 사시도가 나타나 있으며, 각 부위의 치수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에 사용되는 피치블록(20)의 외형 치수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단지 피치블록(20) 구현의 일예일 뿐임을 누구나 잘 이해할 것이라 생각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에 그리스웨이가 형성되는 경우의 구성요소별 설계도면이며, 그리스웨이 형성으로 생기는 이점 및 효과에 대해서는 도 4에 대한 설명에 기재한 바 있으므로, 반복하여 기재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장치의 시제품 중 일편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시제품 일편을 상부에서 촬영한 사진과, 상기 시제품 일편의 내측면이 잘 보이도록 촬영한 사진이 나타나 있다.
도 12의 사진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시제품의 상부에 고리들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시제품의 이동 및 설치 편의를 위하여 구비된 것으로서, 이런 고리는 본 발명의 수동형 짐발 장치(60) 구현 목적과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량이 구비되도록 하거나 생략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도 13,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웨이가 형성되는 경우의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시제품 중 롤블록, 지지블록 및 일편을 촬영한 사진이며, 그리스웨이 형성으로 생기는 이점 및 효과에 대해서는 도 4에 대한 설명에 기재한 바 있으므로, 반복하여 기재하지 않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이 설치되어 있는 문풀게이트의 설계도면 중 측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붉은 점선 박스로 표시하였으며, 수동형 짐발 크래들(60)이 문풀게이트(90)의 중앙 부근에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 : 롤블록 11 : 홈
13 : 확장부 15 : 롤블록체결가이드
17 : 롤링스토퍼
20 : 피치블록 21 : 홈
25 : 피치블록체결가이드 27 : 피칭스토퍼
30 : 지지블록 40 : 완충블록
50 : 블록하우징 60 : 수동형 짐발 크래들
80 : 라이저 90 : 문풀게이트

Claims (14)

  1. 심해저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담당하는 문풀 게이트에 구비되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은, 심해저 플랜트 설비와 해양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라이저의 플랜지 부를 지지하고,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은 일편과 타편으로 분리, 결합 가능하며,
    상기 일편과 타편은 각각,
    상기 라이저의 플랜지 부와 함께 롤링 회전할 수 있는 롤블록;
    상기 롤블록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롤블록과 함께 피칭 회전할 수 있는 피치블록;
    상기 피치블록의 외측에 접촉하여 상기 피치블록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의 저면과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블록하우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의 플랜지 부와 접촉하는 상기 롤블록의 일면에 상기 플랜지 부의 변형을 최소화 하고 안착력을 높이기 위한 격자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블록의 체결 시 오차를 최소화 하고 운용 시 일단부와 타단부의 운동을 일체화시키기 위해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음각 및 양각 롤블록체결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블록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치블록의 외주면과 형상적으로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일정 범위 이상 각도의 롤링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롤링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블록의 외주면에 체결 시 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일단부와 타단부에 음각 및 양각 피치블록체결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블록의 외주면에 지지블록에 형상적으로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일정 범위 이상 각도의 피칭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피칭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블록과 피치블록의 상단부에 상시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는 그리스 주입구가 존재하고 주입된 그리스는 상기 롤블록과 피치블록의 외주면에 존재하는 그리스웨이에 투입되어 밀착 시 마찰력을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8. 심해저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담당하는 문풀 게이트에 구비되는 수동형 짐발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은, 심해저 플랜트 설비와 해양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라이저의 플랜지 부를 지지하고,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은 일편과 타편으로 분리, 결합 가능하며,
    상기 일편과 타편은 각각,
    상기 라이저의 플랜지 부와 함께 롤링 회전할 수 있는 롤블록;
    상기 롤블록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롤블록과 함께 피칭 회전할 수 있는 피치블록;
    상기 피치블록의 외측에 접촉하여 상기 피치블록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저면과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블록하우징; 및
    상기 지지블록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블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의 플랜지 부와 접촉하는 상기 롤블록의 일면에 상기 플랜지 부의 변형을 최소화 하고 안착력을 높이기 위한 격자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롤블록의 체결 시 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음각 및 양각 롤블록체결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롤블록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치블록의 외주면과 형상적으로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일정 범위 이상 각도의 롤링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롤링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블록의 외주면에 체결 시 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일단부와 타단부에 음각 및 양각 피치블록체결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블록의 외주면에 지지블록에 형상적으로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일정 범위 이상 각도의 피칭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피칭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의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짐발 크래들의 일편과 타편 각각을 지지하고 개폐를 통해 심해저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문풀 게이트.
KR1020160130058A 2016-10-07 2016-10-07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과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 KR10187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58A KR101878167B1 (ko) 2016-10-07 2016-10-07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과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58A KR101878167B1 (ko) 2016-10-07 2016-10-07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과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226A true KR20180039226A (ko) 2018-04-18
KR101878167B1 KR101878167B1 (ko) 2018-07-16

Family

ID=6208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058A KR101878167B1 (ko) 2016-10-07 2016-10-07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과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1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789A (ja) * 1986-06-30 1996-12-03 Shell Oil Co ライザー管支持装置
KR200440679Y1 (ko) *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101138756B1 (ko) 2008-10-14 2012-04-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링 플랫폼
KR20140010695A (ko) * 2012-07-16 2014-0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
WO2015149087A2 (en) * 2014-03-26 2015-10-01 Burger Henri Louis A locking gimb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789A (ja) * 1986-06-30 1996-12-03 Shell Oil Co ライザー管支持装置
KR200440679Y1 (ko) *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101138756B1 (ko) 2008-10-14 2012-04-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링 플랫폼
KR20140010695A (ko) * 2012-07-16 2014-0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
WO2015149087A2 (en) * 2014-03-26 2015-10-01 Burger Henri Louis A locking gimb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167B1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81879B (zh) 用于促进船只和离岸结构之间的转移的对接装置
KR101700997B1 (ko) 밸러스트 작용 가능한 회전 대칭형 선체 및 문풀을 갖는 생산 유닛
AU2012213486A1 (en) Production unit having a ballastable rotation symmetric hull and a moonpool
KR20050109516A (ko) 라이저 파이프 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741523B1 (ko) 해양플랫폼
WO2012104309A2 (en) Production unit for use with dry christmas trees
US7086810B2 (en) Floating structure
KR101878167B1 (ko)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과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
US9506301B2 (en) Underwater connection assembly and connection method
KR101434151B1 (ko) 터렛용 체인잠금시스템
KR101549151B1 (ko) 계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102071010B1 (ko) 반잠수형 플랫폼의 건조 방법
KR101616362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735329B1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선박 접안 방법
KR101722449B1 (ko) 수중 터렛 무어링 시스템
US9097374B2 (en) Assembly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a vessel and a turret structure mounted in said vessel
KR101487510B1 (ko) 해양구조물 요잉저감장치
KR20170035498A (ko) 터렛 설치 방법
KR101707517B1 (ko) 비오피 트롤리 설치구조 및 그 비오피 트롤리 설치구조를 갖는 시추 해양구조물
KR102532930B1 (ko) 수중 전자기장 측정장치
KR101606696B1 (ko)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KR102477560B1 (ko) 복합 해양구조물
KR101498254B1 (ko) 경사진 터릿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RU2736248C2 (ru) Морская установка
KR101412477B1 (ko) 터렛 무어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