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096A -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단말이 허용 리스트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단말이 허용 리스트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096A
KR20180039096A KR1020187006198A KR20187006198A KR20180039096A KR 20180039096 A KR20180039096 A KR 20180039096A KR 1020187006198 A KR1020187006198 A KR 1020187006198A KR 20187006198 A KR20187006198 A KR 20187006198A KR 20180039096 A KR20180039096 A KR 20180039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cells
list
setup message
measurement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데르 벨데 힘케 반
김상범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3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단말의 측정 보고 방법은, 주변 셀에 대한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1 셀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할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단말이 허용 리스트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다수의 캐리어가 집적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불필요한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통신 방법을 발전시키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단말간 단말 통신, 복수 개의 셀을 운용하는 주파수 집적 시스템, 대규모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 등이 그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캐리어가 집적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불필요한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측정 보고 방법은, 주변 셀에 대한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1 셀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할지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보고 절차가 개시되기로 결정되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3 셀들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셀들은 상기 제1 셀들 중에서 일부이거나, 상기 제1 셀들 전부와 일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셀들은 상기 제1 셀들 전부와 일치하거나, 상기 제1 셀들 중에서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는, 제1 리스트와 제2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대상 정보,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들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할지 지시하는 측정 보고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3 셀들은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셀들이고, 상기 제2 셀들은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리스트는 제1 PCI (physical cell identity) 범위 내의 셀들이고, 상기 제2 리스트는 제2 PCI 범위 내의 셀들일 수 있다.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상기 제3 셀들을 식별하기 위한 PCI들, 및 상기 제3 셀들에 대한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신호 또는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의 측정 보고 수신 방법은, 주변 셀에 대한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1 셀들에 대한 측정이 수행되고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 보고 절차가 개시되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3 셀들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정 보고를 수행하는 단말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주변 셀에 대한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1 셀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할지 결정하고, 상기 측정 보고 절차가 개시되기로 결정되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3 셀들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주변 셀에 대한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1 셀들에 대한 측정이 수행되고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 보고 절차가 개시되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3 셀들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불필요한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다수의 캐리어가 집적된 단말의 측정 보고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 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많은 수의 캐리어가 집적된 단말의 측정 보고 오버 헤드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특히, 단말이 불필요한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지국으로 불필요한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단말의 측정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되고 단말에서 실행된다. 하나의 측정은 측정 식별자 (measurement ID, 이하 measId)로 특정되며 어떤 대상을 측정하고, 어떤 조건이 충족되면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등으로 정의된다. 상기 측정 대상은 measurement object라 불리며, 이하 measObject로 표기한다. 상기 측정 결과 보고 조건은 report configuration에 의해서 설정되며, 상기 report configuration은 이하 reportConfig로 표기한다.
단말에는 다양한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개의 측정이 설정될 수 있다. 측정의 목적에 따라, 특정 주변 셀의 측정 결과만 고려해서 측정 결과 보고 트리거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임의의 주파수에서 단말에게 새로운 서빙 셀을 설정하고자 상기 임의의 주파수의 주변 셀의 채널 품질이 일정 기준 이상이 되면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집적 가능한 셀은 동일한 기지국의 제어를 받는 셀들이므로, 단말이 다른 기지국의 셀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측정의 대상이 되는 주변 셀, 측정 결과 보고 트리거링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셀,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측정 결과가 보고되는 주변 셀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주변 셀을 아래 3 가지 셋으로 분류한다.
(1) 셋 1: 셋 1에 포함되는 주변 셀에 대해 단말은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측정 결과 트리거링 여부 판단 시 셋 1의 주변 셀들은 제외 (즉 측정 결과 evaluation 미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지역에 따라 비정상적인 전파 상황으로 인해 원거리에 있는 셀의 전파가 수신될 수 있으며, 이러한 셀들은 이동성이나 캐리어 집적에서 전혀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으므로, 셋 1에 포함된다.
(2) 셋 2: 셋 2에 포함되는 주변 셀에 대해 단말은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 트리거링 여부 판단 시 셋 2 주변 셀을 고려 (즉 측정 결과 evaluation 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다시 말해서 셋 2는 측정 결과 보고 절차의 개시 여부 및 측정 결과의 보고에 모두 관련된다.
- 전술한 시나리오와 같이 소정의 셀들에 의해서만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측정 결과 보고 트리거가 가능한 셀들을 셋 2에 포함시킨다.
(3) 셋 3: 셋 3에 포함되는 주변 셀에 대해 단말은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 트리거링 여부 판단 시 셋 3 주변 셀을 고려하지 않고 (즉 측정 결과 evaluation 미수행),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측정 결과를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다시 말해서 제 3 셋은 측정 결과 보고 절차 개시 여부와는 관련되지 않고, 측정 결과 보고에는 관련된다.
- 셋 3는 셋 1에도 포함되지 않고 셋 2에도 포함되지 않는 주변 셀들로 구성된다.
각 셋에 대한 단말의 동작은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셋 1, 셋 2, 및 셋 3를 특정하기 위해 measObject 별로 제 1 리스트와 제 2 리스트가 설정된다.
제 1 리스트 (black list)에는 적어도 하나의 PCI (Physical Cell Identity) range 정보가 수납되며, 해당 PCI range에 속하는 주변 셀은 셋 1에 속한다. PCI range (physCellIdRange )는 시작 PCI 식별자와 range 정보로 구성된다. Range 정보는 PCI range에 속하는 셀의 개수를 나타낸다.
제 2 리스트 (white list)에는 적어도 하나의 PCI range 정보가 수납되며, 해당 PCI range에 속하는 주변 셀은 셋 2에 속한다.
이때, 제 1 리스트와 제 2 리스트는 상호 배타적이다. 다시 말해서 제 1 리스트에 속하는 주변 셀은 제 2 리스트에 포함될 수 없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셋 3를 위해서는 별도의 리스트가 정의되지 않으며, 셋 3은 아래와 같이 암묵적 룰로 결정된다.
- 임의의 measObject에 대해서 리스트 2가 설정되지 않을 경우, 해당 measObject에 대해서는 셋 3가 존재하지 않는다.
- 임의의 measObject에 대해서 리스트 2가 설정될 경우, 관련된 reportConfig에 리스트 2 사용이 지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셋 3는 상이하게 정의된다.
- 관련된 reportConfig에서 리스트 2 사용이 지시되지 않았다면, 해당 measId에 대해서는 셋 3가 설정되지 않는다.
- 관련된 reportConfig에 리스트 2 사용이 지시되었다면, 해당 measId에 대한 셋 3는 셋 1에도 속하지 않고 셋 2에도 속하지 않는 주변 셀들로 구성된다.
제 1 리스트 (혹은 셋 1)은 모든 measurement에 대해 공통으로 적용된다. 다시 말해서 임의의 measObject에 제 1 리스트가 설정되었을 때, 상기 measObject가 어떤 measId와 연결되더라도 (혹은 어떤 reportConfig와 연결되더라도) 제 1 리스트는 항상 적용된다 (혹은 항상 유효하다).
반면 제 제 2 리스트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measurement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임의의 measObject에 제 2 리스트가 설정되었을 때, 상기 measObject와 연결된 reportConfig에서 제 2 리스트를 사용할 것을 지시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제 2 리스트가 유효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리스트가 유효하지 않다. 예컨대, measObject x에 제 1 리스트와 제 2 리스트가 모두 설정되어 있고, reportConfig y에는 제 2 리스트를 사용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고, reportConfig z에는 제 2 리스트를 사용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만약 measId 1은 measObject x 및 reportConfig y와 연결(연관, 매핑)되고 measId 2는 measObject x 및 reportConfig z와 연결된다면, 리스트 1은 measId 1과 measId 2에 모두 적용되는 반면, 리스트 2는 measId 1에만 적용된다.
다시 말해서 단말은 measObject x를 측정함에 있어서, 상기 측정이 measId 1을 위한 측정인지 measId 2를 위한 측정인지를 막론하고 리스트 1에서 특정된 셀들을 제외하고 측정을 수행한다.
단말은 measId 1에 대한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할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리스트 2에서 특정된 셀들의 측정 결과만을 고려하고 (혹은 리스트 2에서 특정된 셀들만을 applicable cell로 고려하고), measId 2에 대한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할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리스트 1에서 특정된 셀들을 제외한 모든 셀들의 특정 결과만을 고려한다 (혹은 리스트 1에서 특정된 셀들을 제외한 모든 셀들을 applicable cell로 고려한다).
measId 1에 대한 측정 결과 보고가 트리거되면 단말은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때 단말은 셋 2에 속하는 주변 셀 중, 측정 결과 보고 트리거링 조건을 충족시킨 주변 셀의 결과를 상기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셋 2와 셋 3에 속한 주변 셀의 측정 결과 중, 측정 결과가 가장 좋은 소정의 m개의 측정 결과를 상기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상기와 같이 셋 1, 셋 2, 셋 3를 정의해서 측정의 대상이 되는 주변 셀, 측정 결과 보고 트리거링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셀,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측정 결과가 보고되는 주변 셀을 유연하게 결정할수 있다. 제 1 리스트에 속하는 주변 셀들에 대해 단말은 해당 셀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측정 결과 보고 트리거링 여부 결정 시 상기 셀들의 측정 결과(만약 의도치 않게 측정하였다면)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측정 결과를 포함시키지 않는다.2 리스트에 속하는 주변 셀들에 대해 단말은 해당 세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 보고 트리거링 여부 결정 시 상기 셀들의 측정 결과를 고려하고,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측정 결과를 포함시킬 수 있다. 1 리스트에도 속하지 않고 2 리스트에도 속하지 않는 주변 셀들에 대해 단말은 해당 셀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 보고 트리거링 여부 결정 시 상기 셀들의 측정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측정 결과를 포함시킬 수 있다.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들(105, 110, 115, 120)과 이동성 관리 엔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라 칭하기로 한다)(125) 및 서빙 게이트웨이(S-GW: Serving-Gateway, 이하 “S-GW”라 칭하기로 한다)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terminal))(135)은 상기 ENB들(105, 110, 115,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도 1에서 상기 ENB들(105, 110, 115, 120)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상기 ENB들(105, 110, 115, 120)는 UE(135)와 무선 채널을 통해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 서비스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상기 ENB들(105, 110, 115, 120)이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고속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ENB(105, 110, 115, 120)들은 상기 단말(135)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AMC,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상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상기 MME(125)는 상기 단말(135)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패킷 데이터 컨버젼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이하 “PDCP”라 칭하기로 한다) 계층들 (205, 240),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 칭하기로 한다) 계층들 (210, 235), 매체 접속 제어 (MAC: 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라 칭하기로 한다) 계층들 (215,230)을 포함한다. 상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들(205, 240)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하기로 한다)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 계층들(210, 235)은 PDCP 패킷 데이터 유닛(PDU: Packet Data Unit, 이하 “PDU”라 칭하기로 한다)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자동 반복 요구(ARQ: Automatic Repeat reQuest, 이하 “ARQ”라 칭하기로 한다) 동작 등을 수행한다. 상기 MAC 계층들(215, 230)은 한 단말이 포함하는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를 역다중화하여 RLC PDU들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들(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생성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을 송출하고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305)으로부터 순방향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315)와 순방향 중심 주파수가 f3인 캐리어(310)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캐리어들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305)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3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들을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3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기지국이 송출하고 수신하는 순방향 캐리어와 상향 링크 캐리어들을 어그리게이션하는 것을 “기지국 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라고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서로 다른 기지국들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순방향 캐리어들과 상향 링크 캐리어들을 어그리게이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이 송출하는 하나의 순방향 캐리어와 상기 기지국이 수신하는 하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때, 최대 전송 속도와 어그리게이트되는 캐리어들의 수는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순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특히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다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다'는 것으로 표현할 것이며, 프라이머리 서빙 셀(이하 PCell)과 세컨더리 서빙 셀(이하 SCell), 혹은 활성화된 서빙 셀 등의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상기 용어들은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그대로의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캐리어, 컴포넌트(component) 캐리어, 서빙 셀 등의 용어가 혼용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 1(405)은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를 송/수신하고 기지국 2(415)는 중심 주파수가 f2인 캐리어를 송/수신할 때, 단말(430)이 순방향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와 순방향 중심 주파수가 f2 캐리어를 어그리게이션(결합)하면, 하나의 단말이 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수신되는 캐리어들을 어그리게이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를 “기지국 간(inter-ENB) 캐리어 어그리게이션(혹은 기지국 간 CA(Carrier Aggregation))”이라고 명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다중 연결 (Dual Connectivity; DC, 이하 “DC”라 칭하기로 한다)이라 한다.
예를 들어 다중 연결(DC)이 설정되었다는 것은 기지국 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설정되었다는 것, 하나 이상의 셀 그룹이 설정되었다는 것, 보조 셀 그룹(SCG: Secondary Cell Group)가 설정되었다는 것, 서빙 기지국이 아닌 다른 기지국의 제어를 받는 세컨더리 셀(SCell: Secondary Cell, 이하 “SCell”이라 칭하기로 한다)이 적어도 하나 설정되었다는 것, pSCell(primary SCell)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 서빙 eNB (SeNB: Serving eNB, 이하 “SeNB“라 칭하기로 한다)를 위한 MAC 엔터티(entity)가 설정되어 있다는 것, 단말에 2 개의 MAC 엔터티들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 등을 의미한다.
도 5에 측정과 관련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전체 동작을 도시하였다. 단말(505)과 기지국(510) 및 다수의 캐리어와 셀로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505)은 임의의 서빙 셀을 통해 기지국(510)과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설정한다 (515 단계). 기지국(510)은 단말(505)과 본격적인 통신을 수행하기에 앞서, 단말(505)의 성능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단말(505)과 성능 보고 절차를 수행한다 (520 단계). 상기 성능 보고 절차는 기지국(510)이 단말(505)에게 성능 요청 메시지 (UECapabilityEnquiry)를 전송하고, 단말(505)이 기지국(510)으로 성능 정보 메시지 (UECapabilityInformation)을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단말(505)은 상기 과정을 통해서, 기지국(510)에게 자신의 CA 성능, 예를 들어 CA가 지원되는 밴드 조합 및 밴드 조합 별로 지원 가능한 서빙 셀의 개수 등을 보고한다.기지국(510)은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505)에게 측정을 설정한다 (530 단계). 상기 측정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505)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특정 주파수에 대한 주변 셀 측정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CA를 위해 CA가 가능한 주파수에 대한 주변 셀 측정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기지국(510)은 단말(505)에게 하나 이상의 측정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측정은 measId에 의해서 특정된다.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는 measObject, reportConfig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measObject 별로 리스트 1과 리스트 2가 포함될 수 있다. reportConfig에는 리스트 2 사용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505)은 설정된 측정에 대해서 소정의 규칙을 적용해서 측정을 수행한다 (540 단계). 단말(505)은 리스트 1을 고려해서 측정에서 배제할 주변 셀을 결정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measId에 대해서 측정 보고 조건이 충족되면,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한다. 단말(505)은 리스트 2와 리스트 2 적용 지시자를 고려해서 어떤 셀들의 측정 결과를 평가해서 측정 보고 절차 개시 여부를 판단할지 결정한다.
단말(505)은 측정 보고 (measurement report)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545 단계). 단말(505)은 리스트 1, 측정된 셀들의 측정 결과 등을 고려해서 어떤 셀들의 측정 결과를 상기 보고 메시지에 포함시킬지 결정한다. 측정 보고 제어 메시지가 완성되면, 단말(505)은 기지국(510)에게 상향 링크 전송 자원을 요청하고, 기지국(510)으로부터 상향 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 받는다 (550 단계). 단말(505)은 할당 받은 상향 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해서 측정 보고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560 단계). 측정 보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510)은, 측정 보고 메시지의 측정 결과를 참조해서, 단말(505)을 핸드 오버하거나 단말(505)에 새로운 서빙 셀을 추가하거나, 단말(505)에 설정된 서빙 셀을 교체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565 단계).도 6에 주변 셀을 측정하는 연결 상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하였다. 605 단계에서 단말은 measConfig를 수신한다. measConfig는 적어도 하나의 measObject, 적어도 하나의 reportConfig, 적어도 하나의 measId로 구성된다.
정보의 종류 설명
측정 대상에 대한 설정 정보 단말에는 하나 이상의 측정 대상(measObject)이 설정될 수 있으며, 각 측정 대상은 아래 정보로 구성된다. masObjectId: 다수의 측정 대상이 설정되어 있을 때 하나의 측정 대상을 특정하는 식별자이며, 1 ~ 32 사이의 값을 가지는 제 1 식별자와 33 ~ 64 사이의 값을 가지는 제 2 식별자 중 하나가 사용된다. Carrier Frequency: 측정 대상의 중심 주파수를 지시하는 정보제 1 리스트: PCI (Physical Cell Identity) range로 특정된다.제 2 리스트: PCI (Physical Cell Identity) range로 특정된다.제 1 리스트는 제 1 셋을 특정하고 제 2 리스트는 제 2 셋을 특정한다.
보고 설정에 대한 정보 단말에는 하나 이상의 ‘보고 설정 (reportConfig)’이 설정될 수 있다. 각 reportConfig는 아래 정보로 구성된다. reportConfigId: 다수의 보고 설정이 설정되어 있을 때 하나의 보고 설정을 특정하는 지시자이며 1 에서 32 사이의 값을 가진다. 이벤트 종류: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이며, A1, A2, A3, A4, A5 (규격 36.331 참조) 등의 이벤트가 정의되어 있다. maxReportCells: 측정 결과 보고에 포함될 수 있는 셀의 최대 개수. 서빙 셀의 측정 결과 역시 포함 됨.제 2 리스트 적용 지시자: measurement report 트리거링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관련된 measObject의 제 2 리스트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제 2 리스트를 적용한다는 것은 제 2 리스트에 포함되는 주변 셀들의 측정 결과만을 evaluation해서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할지 여부를 판단함을 의미한다. 제 2 리스트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관련된 measObject에 의해서 특정되는 주파수에서 측정되는 주변 셀 중 제 1 리스트에 속하는 주변 셀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주변 셀들의 측정 결과를 evaluation해서 측정 결과 보고 트리거 여부를 판단함을 의미한다.
측정 식별자 정보 하나의 측정은 보고 설정과 측정 대상으로 구성되며 측정 식별자로 특정된다. 하나의 측정에 대해서 measId, reportConfigId, measObjectId가 시그날링되며 이들은 서로 연결/연관/매핑된 것으로 간주된다. 예컨대, measId x, reportConfig y, measObjectId z가 하나의 측정을 정의하는 경우, reportConfig y와 measObjectId z와 measId x는 서로 연결/연관/매핑된다
620 단계에서 단말은 측정을 수행한다. 단말은 measId와 연결/연관/매핑된 measObject 중, 측정 시 측정 갭이 필요치 않은 measObject에 대해서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갭이 필요한 measObject에 대해서는 이미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다면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측정을 유보한다.단말은 임의의 measObject에 대한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해당 measObject의 제 1 셋에 속하는 주변 셀들을 제외한 나머지 셀들에 대해서 측정을 수행한다. 즉 단말은 제 2 셋과 제 3 셋에 속하는 셀들에 대해서 측정을 수행하고 제 1 셋에 속하는 셀들에 대해서는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임의의 셀에 대해서 측정을 한다는 것은, 상기 셀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의 수신 강도(Received Power)와 품질(Received Quality)을 측정함을 의미한다.
단말의 물리 계층은 소정의 주기로 상기 제 2 셋과 제 3 셋에 속하는 주변 셀들(혹은 측정 가능한 주변 셀들 중 셋 1을 제외한 주변 셀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 단말은 measurement period 마다 상기 측정된 결과 값들을 가공한 값, 예를 들어 평균 값을 RRC 계층으로 전달하고, RRC 계층은 상기 물리 계층이 전달한 측정 결과에 대해서 L3 filtering을 적용해서 filtered result, Fn을 산출한다.
L3 필터링이란, 측정 결과가 오래될수록 그 영향이 줄어들도록 측정결과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며, 아래 수식에 따라 산출된다.
Fn = (1-a) * Fn-1 + a * Mn
where
Mn is the latest received measurement result from the physical layer;
Fn is the updated filtered measurement result, that is used for evaluation of reporting criteria or for measurement reporting;
Fn-1 is the old filtered measurement result, where F0 is set to M1 when the first measurement result from the physical layer is received; and
a = 1/2(k/4), where k is the filterCoefficient for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quantity received by the quantityConfig;
단말의 RRC는 Fn을 소정의 문턱치와 비교하거나 여러 셀의 Fn을 비교해서, 즉 Fn을 evaluate해서 measurement report를 트리거할지 여부 (혹은 measurement reporting procedure를 개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임의의 measId에 대한 측정 보고 절차 트리거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단말은 연관된 reportConfig에서 제 2 리스트 적용 지시자가 True(setup, establish 등 다른 이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로 설정되어 있는지 검사해서 어떤 주변 셀의 측정 결과를 비교할 것인지 결정한다. 상기 지시자가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혹은 상기 지시자가 상기 reportConfig에 포함되어 있다면; 이 둘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단말은 제 2 셋에 속하는 셀들의 측정 결과만을 고려해서, measurement reporting procedure를 개시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혹은 제 2 셋에 속하는 셀들을 applicable cell로 간주한다.
Measurement reporting procedure를 트리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 applicable cell의 측정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제 2 리스트가 설정되고 제 2 리스트 적용 지시자가 설정된 경우 단말은 제 2 리스트에 속하는 주변 셀을 applicable cell로 간주한다. 반면 제 2 리스트가 설정되지 않거나, 제 2 리스트는 설정되어 있지만 제 2 리스트 적용 지시자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제 1 리스트에 속하는 셀을 제외한 모든 측정 가능한 주변 셀을 applicable cell로 간주한다. 단말은 applicable cell들을 대상으로 이벤트 충족 여부를 검사한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plicable 셀의 layer 3 filtering 이 후의 측정 결과가 entry condition을 충족시킨다면, 측정 결과 보고 절차를 트리거한다 (즉 measurement reporting procedure를 개시한다). 다시 말해서 제 2 리스트가 설정되고 제 2 리스트 적용 지시자가 설정된 경우에는, 제 2 리스트에 속하는 주변 셀들의 측정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고려해서 측정 결과 보고 절차 트리거 여부를 판단한다. 제 2 리스트가 설정되지 않았거나, 제 2 리스트가 설정되었다 하더라도 제 2 리스트 적용 지시자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리스트에 속하는 셀들을 제외한 나머지 주변 셀들의 측정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고려해서 측정 결과 보고 절차 트리거 여부를 판단한다. 후술하겠지만 일단 측정 결과 보고 절차가 개시되면, 단말은 제 2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 주변 셀이라 하더라도, 소정의 조건(제 1 리스트에 속하지 않으며, 제 1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 다른 셀들과 비교했을 때 측정 결과가 가장 양호한 m개의 셀에 속하는 조건)이 충족된다면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측정 결과를 포함시킨다. 625 단계에서 단말은 측정 결과 보고 과정이 트리거된 measId에 대해서 측정 결과 보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측정 결과 보고 제어 메시지에는 measResult가 수납되며, measResult에는 아래 정보들이 수납된다.
정보의 종류 설명
measId 관련된 측정 식별자
measResultPCell PCell에 대한 측정 결과; PCell의 기준 신호에 대해서 측정한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와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가 보고된다.
MeasResultNeighCells 연결된 측정 대상의 주변 셀 대한 측정 정보; maxReportCells 만큼의 측정 결과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하나의 측정 결과에는 주변 셀을 특정하는 PCI와 해당 셀의 기준 신호에 대해서 측정한 RSRP 혹은 RSRQ가 포함된다.해당 measObject에 2 리스트가 설정되고, 해당 reportConfig에 제 2 리스트 지시자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단말은 제 2 셋의 주변 셀 측정 결과 및 제 3 셋의 주변 셀 측정 결과 중 가장 우수한 m (=maxReportCells )개의 측정 결과를 상기 측정 정보에 포함시킨다.해당 measObject에 제 1 리스트 및 2 리스트가 설정되고, 해당 reportConfig에 제 2 리스트 지시자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혹은해당 measObject에 2 리스트가 설정되고, 해당 reportConfig에 제 2 리스트 지시자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단말은 제 1 셋의 주변 셀을 제외한 주변 셀(즉 셋 2와 셋 3의 주변 셀) 측정 결과 중 가장 우수한 m개의 측정 결과를 상기 측정 정보에 포함시킨다.
63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measResult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송수신부(705), 제어부(7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720), 제어 메시지 처리부(735), 및 각종 상위 계층 처리부(725, 7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720)와 제어부(710) 등은 MAC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도 7에서는 편의상 구분하지 않았지만 DC가 설정되었을 때는 MCG를 위한 MAC 장치와 SCG를 위한 MAC 장치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송수신부(705)는 서빙 셀의 순방향 채널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역방향 채널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705)는 상기 다수의 서빙 셀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705)는 하나 이상의 RF 회로/전단 (Radio Frequency Circuit/Front En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RF 회로/전단의 동작 주파수가 설정될 수 있다. 송수신부(705)는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시점에 주파수간 측정을 수행하거나, 소정의 시점에 현재 서빙 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서빙 셀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720)는 상위 계층 처리부(725, 7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7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7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725, 7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73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735)는 RRC 계층 장치이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해서 필요한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해서 측정 설정 정보 등을 제어부(7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측정 보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위 계층 처리부(725, 730)는 서비스 별로 구성될 수 있다. FTP(File Transfer Protocol)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720)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72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송수신부(705)를 통해 수신된 스케줄링 명령, 예를 들어 상향 링크 그랜트,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assignment) 등을 확인하여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전송 자원으로 상향 링크 전송이 수행되거나 하향 링크 수신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705)와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또한 상술한 단말의 각 종 제어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즉, 제어부(710)는 도 5와 도 6에 기술된 동작 중 단말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기지국 장치는 송수신부 (805), 제어부(8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820), 제어 메시지 처리부 (835), 각종 상위 계층 처리부 (825, 830), 및 스케줄러(8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송수신부(805)는 순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역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805)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다중화 및 역다중화부(820)는 상위 계층 처리부(825, 8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8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8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825, 8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835), 혹은 제어부 (8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제어 메시지 처리부(835)는 단말이 전송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해서 필요한 동작을 취하거나, 단말에게 전달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위 계층 처리부(825, 830)는 베어러 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S-GW 혹은 또 다른 기지국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RLC PDU로 구성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820)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820)로부터 전달된 RLC PDU를 PDCP SDU로 구성해서 S-GW 혹은 다른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스케줄러(815)는 단말의 버퍼 상태, 채널 상태 등을 고려해서 단말에게 적절한 시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송수신부(805)에게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처리하거나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제어부(810)는 또한 상술한 측정 및 무선 자원 제어와 관련된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즉, 제어부(810)는 도 5와 도 6에 기술된 동작 중 기지국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5)

  1. 단말의 측정 보고 방법에 있어서,
    주변 셀에 대한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1 셀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할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보고 절차가 개시되기로 결정되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3 셀들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들은 상기 제1 셀들 중에서 일부이거나, 상기 제1 셀들 전부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셀들은 상기 제1 셀들 전부와 일치하거나, 상기 제1 셀들 중에서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는,
    제1 리스트와 제2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대상 정보,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들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할지 지시하는 측정 보고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3 셀들은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셀들이고,
    상기 제2 셀들은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는 제1 PCI (physical cell identity) 범위 내의 셀들이고,
    상기 제2 리스트는 제2 PCI 범위 내의 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상기 제3 셀들을 식별하기 위한 PCI들, 및 상기 제3 셀들에 대한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신호 또는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기지국의 측정 보고 수신 방법에 있어서,
    주변 셀에 대한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1 셀들에 대한 측정이 수행되고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 보고 절차가 개시되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3 셀들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들은 상기 제1 셀들 중에서 일부이거나, 상기 제1 셀들 전부와 일치하고,
    상기 제3 셀들은 상기 제1 셀들 전부와 일치하거나, 상기 제1 셀들 중에서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는,
    제1 리스트와 제2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대상 정보,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들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할지 지시하는 측정 보고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3 셀들은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셀들이고,
    상기 제2 셀들은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측정 보고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주변 셀에 대한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1 셀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할지 결정하고, 상기 측정 보고 절차가 개시되기로 결정되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3 셀들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는, 제1 리스트와 제2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대상 정보,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들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할지 지시하는 측정 보고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3 셀들은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셀들이고, 상기 제2 셀들은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주변 셀에 대한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1 셀들에 대한 측정이 수행되고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 보고 절차가 개시되면,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3 셀들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는, 제1 리스트와 제2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대상 정보,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들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절차를 개시할지 지시하는 측정 보고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3 셀들은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셀들이고, 상기 제2 셀들은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87006198A 2015-09-04 2016-09-05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단말이 허용 리스트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39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14541P 2015-09-04 2015-09-04
US62/214,541 2015-09-04
PCT/KR2016/009896 WO2017039415A1 (ko) 2015-09-04 2016-09-05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단말이 허용 리스트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096A true KR20180039096A (ko) 2018-04-17

Family

ID=5818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198A KR20180039096A (ko) 2015-09-04 2016-09-05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단말이 허용 리스트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67990B2 (ko)
EP (1) EP3346751B1 (ko)
KR (1) KR20180039096A (ko)
WO (1) WO2017039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2013B2 (en) * 2017-06-16 2022-09-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CN108401535A (zh) * 2018-01-22 2018-08-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配置方法及装置、接收功率的确定方法及装置和基站
US11013046B1 (en) 2020-01-09 2021-05-18 Sprint Spectrum L.P. Dynamic control of secondary-connection addition threshold based on secondary-connection addition failures
US10939365B1 (en) 2020-02-25 2021-03-02 Sprint Spectrum L.P. Dynamic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secondary-coverage scan list for dual-conne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3830A1 (ja) * 2008-12-26 2010-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装置
CN102356666A (zh) 2009-03-23 2012-02-15 诺基亚公司 在连接模式中的csg小区的测量配置和报告
KR101670513B1 (ko) 2009-06-01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결과 보고 방법 및 장치
KR20110048456A (ko)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US8548474B2 (en) * 2011-01-07 2013-10-01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 neighbor cell relation repor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730919B2 (en) * 2011-09-25 2014-05-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mo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8767581B2 (en) * 2012-03-28 2014-07-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ordinated multipoint (CoMP)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
WO2014052412A2 (en) * 2012-09-26 2014-04-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operation in long-term evolution (lte) systems
US10111150B2 (en) * 2013-02-15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ndover in an LTE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67990B2 (en) 2020-02-18
US20180249362A1 (en) 2018-08-30
EP3346751B1 (en) 2021-10-27
EP3346751A4 (en) 2018-07-11
EP3346751A1 (en) 2018-07-11
WO2017039415A1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3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erving and neighboring cells
TWI772651B (zh) 無線通訊方法與無線通訊裝置
JP6798018B2 (ja) 低いピーク対平均電力比を有する復調基準信号および粒度を伴う割振り情報
JP6097371B2 (ja) 干渉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6386197B2 (ja) マスタデバイスおよびスレーブデバイスにおけるクリアチャネルアセスメントプロシージャ
EP3878126B1 (en) Separately communicat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based channel information for multiple transmit receive points
KR102648835B1 (ko) 복수의 pmax 파라미터를 이용한 셀 선택 및 재선택 방법
KR102008650B1 (ko) 강화된 허가 보조 액세스를 위한 주기적 및 비주기적 csi 리포팅 절차들
EP2630744B1 (en) Enhanced inter-network access node scheduling coordination and signaling support for advanced receiver algorithms
JP202110640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装置
US20200213888A1 (en)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EP29429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e capability informait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08235A (ko)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93863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240022925A1 (en) L1/l2-centric mobility - neighbour cell measurements
US105679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 using permission list by terminal in which multiple carriers are set
KR20180049775A (ko) 5G New Radio 초광대역 지원 방법 및 장치
US20220039133A1 (en) Centraliz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EP35205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JP2017046077A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無線通信方法
WO2022094603A1 (en) Channel occupancy information multi-access reporting
EP4264869A1 (en) Adaptive discovery channel measurement time configurations
CN111988107B (zh) 用于干扰协调的方法和装置
WO2023044702A1 (en) Rssi measurement for cbr calculation
WO2022220988A1 (en) Channel occupancy ratio calc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