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787A -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787A
KR20180038787A KR1020160129854A KR20160129854A KR20180038787A KR 20180038787 A KR20180038787 A KR 20180038787A KR 1020160129854 A KR1020160129854 A KR 1020160129854A KR 20160129854 A KR20160129854 A KR 20160129854A KR 20180038787 A KR20180038787 A KR 20180038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de
control code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297B1 (ko
Inventor
김벽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297B1/ko
Priority to US15/713,927 priority patent/US10623798B2/en
Priority to EP17195056.1A priority patent/EP3306943B1/en
Priority to CN201710934324.6A priority patent/CN107920278B/zh
Publication of KR20180038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8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mapping a matrix of displayed objects on the screen to the numerical key-matrix of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3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channel n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specially adapted to be executed by a peripheral of the client device, e.g. by a 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코드를 검출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어 코드,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을 학습하고,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 UI와 각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해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될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processor,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선호 채널 UI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각종 주변 장치 예컨대, STB, BD(blu-ray disk), 오디오, 모바일, PC, 및 외장 메모리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 장치로 인하여 매우 많은 수의 채널을 통해 소스(영상 및 소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 주변 장치는 각기 다른 원격 제어 장치로 구동될 수도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약속된 식별 코드를 사용하는 당사 리모컨의 키 번호 인식하여 최근 이용한 채널 등의 UI를 생성하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약속된 식별 코드를 사용하지 않는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선호 채널 UI를 생성할 수 있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코드를 검출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어 코드,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을 학습하고,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 UI와 각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해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될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 코드,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을 학습하는 단계; 및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 UI와 각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될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프로세서는, 출력 영상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채널 변경에 따른 제어 코드 및 상기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을 선별하는 필터링부; 선별된 채널 변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와 채널 정보를 조합하여 학습하는 조합부; 및 학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와 채널 정보 중에서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적어도 제어 코드와 채널 정보에 대해 조작시에 채널 변경되는 선호 채널 UI를 생성하는 UI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약속된 식별 코드를 사용하지 않는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선호 채널 UI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호 채널 UI 생성 및 제어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 학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 UI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10),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3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10)는 영상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10)는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셋탑 박스(STB), 모바일 단말, PC, 외부 메모리(예: USB, SD card 등) 등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주변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와 제1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D-sub(D-subminiature),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SD card, USB, MMC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 및 주변 장치(1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3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제1 원격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20)와 약속된 식별 코드를 사용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원격 제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키의 키 코드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식별 코드(예: custom code)를 포함하는 제어 코드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송신할 수 있다. 키 코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채널 변경, 전원 온/오프, 메뉴 선택 등을 원격 제어하는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원격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를 다른 주변 장치로 송신함에 따라 다른 주변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원격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2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다른 주변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주변 장치의 제어 코드를 다른 주변 장치의 식별 코드와 다른 주변 장치에 대해 제어될 키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후자의 제2 원격 제어 장치는 주변 장치(10) 중 적어도 하나와 약속된 식별 코드를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원격 제어 장치는 주변 장치(10) 중 디스플레이 장치(20)와 현재 연결된 제1 주변 장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코드를 송신하여 제1 주변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제2 원격 제어 장치(30)는 제1 주변 장치의 식별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에 대응하는 키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코드를 송신하여 제1 주변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30)와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IR)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및 초음파 통신 등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원격 제어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장치(20) 또는 원격 제어 장치(30)의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리모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내부 채널 또는 외부 채널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영상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채널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구성요소(예: 튜너(tunner))에 의해 변경 가능한 채널이고, 외부 채널은 주변 장치(10)의 구성요소에 의해 변경 가능한 채널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10)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디스플레이(240, 도 2 참조)에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10)로부터 제공된 소리를 스피커(250, 도 2 참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코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10)로부터의 수신된 신호,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영상 및 스피커로 출력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선호 채널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채널 정보는 선호 채널의 개요를 표시하는 선호 채널 UI(user interface)와 각 선호 채널로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호 채널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자체적으로 전환 가능한 내부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10)의 채널 변경으로 전환 가능한 외부 채널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지정된 메뉴가 선택될 때 등에 선호 채널 UI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호 채널 UI 중에서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면, 선택된 채널로 채널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채널이 외부 채널이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선택된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제1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원격 제어 장치는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를 선택된 외부 채널에 대응하는 주변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선택된 외부 채널에 대응하는 주변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선택된 외부 채널의 소스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선택된 외부 채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코드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용자 선호 채널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선호 채널 선택 시에 다른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선호 채널로 채널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채널 변경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1 통신 모듈(210), 제2 통신 모듈(220), 메모리(230), 디스플레이(240), 스피커(25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구성요소는 각기 다른 장치에 포함되어 통신부 등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250)는 외부 장치이고, 다른 구성요소는 디스플레이 장치(20)에 포함되어, 플러그 등으로 연결된 스피커(250)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30)와 무선(또는 유선)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모듈(210)은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IR)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및 초음파 통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원격 제어 장치(3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210)은 제1 원격 제어 장치 또는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코드를 추출하여 프로세서(26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60)로부터 전달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제1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IR 수신기 및 광대역(wide band) IR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 모듈(220)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를 제공하는 주변 장치(10)로부터 소스를 제공받아 프로세서(2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D-sub(D-subminiature),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메모리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SD card, USB, MMC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채널 식별 정보, 선호 채널 제어 정보 및 코드 해석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식별 정보는 채널 이름 텍스트, 채널 이름 소리 및/또는 채널 로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 채널 제어 정보는 프로세서(260)에 의해 생성된 선호 채널 UI 및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해석용 정보는 각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코드를 해석하고 제1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해석 가능한 제어 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코드 해석용 정보는 디바이스 타입, 키 종류 및 키 코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40)는 프로세서(260)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화면 상에 선호 채널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화면은 홈 버튼, 메뉴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 표출되는 화면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평면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곡면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250)는 프로세서(260)의 지시에 따른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 내에 구비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외부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와 소정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제1 통신 모듈(210)로부터의 제어 코드, 내부 채널 또는 외부 채널(예: 제2 통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된 영상과 소리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선별적으로 학습하여 선호 채널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코드 해석용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통신 모듈(210)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내부 채널 또는 외부 채널을 통해 수신된 영상과 소리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예: 채널 이름 등)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제어 코드의 수신 후에 채널 정보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채널 변경이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검출된 채널 정보가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하면, 채널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채널이 변경되면, 변경된 채널의 유지 시간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변경된 채널의 유지 시간이 지정된 임계시간 이상이면, 채널 변경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제2 통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 및 검출된 제어 코드를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학습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을 학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30) 대신에 주변 장치(10)의 외부 키를 조작함에 따라 채널 변경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프로세서(260)는 제2 통신 모듈(220)을 통한 제어 코드와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사용자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이라고 판단하면, 변경된 채널을 선호 채널 또는 선호 채널 후보라고 판단하고, 해당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와 채널 정보를 조합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는 복수의 제어 코드를 송신하므로, 프로세서(260)는 복수의 제어 코드 중에서 채널 변경에 관련된 제어 코드를 선별적으로 학습할 필요가 있다. 프로세서(260)는 주기적으로 영상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채널 정보가 이전의 채널 정보와 상이하면, 채널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채널 변경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인식시간(예: 10초) 동안 수신된 제어 코드를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제어 코드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수신된 제어 코드 간의 간격이 지정된 인식 간격(예: 3초) 이내인 제어 코드들을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들로 조합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지정된 인식시간 동안 수신된 제어 코드 중에서 수신 간격이 인식 간격 이내인 제어 코드들을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로 판단하여 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와 채널 정보를 메모리(230)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선호 채널 또는 선호 채널 후보 중에서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위 몇 개의 채널에 대한 선호 채널 UI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전체 선호 채널 목록 중에서 사용빈도가 임계빈도 이상인 채널에 대한 선호 채널 UI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선호 채널 UI를 표출할 때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선호 채널 UI로 제공되는 선호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를 제1 통신 모듈(2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30)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어 코드를 제1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제1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원격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현재 채널은 물론 다른 채널로 연결된 주변 장치에 대해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식별코드를 사용하지 않는(또는, 알지 못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코드로부터도 사용자의 선호 채널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파악된 선호 채널의 UI를 자동으로 생성함에 따라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60)는 반송파 확인부(261), 디코더(262), 영상 이벤트 검출부(263), 소리 이벤트 검출부(264), 필터링부(265), 조합부(266) 및 UI 생성부(267)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의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되거나, 병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260)의 구성들은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 모듈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에 포함된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60)는 AP,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메모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파 확인부(261)은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20~60kHz 대역의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파 확인부(261)는 광대역 IR 수신기(Receiver)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일 수 있다. 반송파 확인부(261)는 제1 통신 모듈(2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반송파 확인부(261)는 확인된 반송파 주파수를 디코더(262)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파 주파수는 38kHz, 56kHz 등 리모컨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반송파 확인부(261)는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IR)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및 초음파 통신의 주파수 대역을 파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62)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코드 해석용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로부터 제어 코드를 추출 및 해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코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와 약속된 제1 식별 코드(예: 커스텀 코드)와 상이한 다른 제2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디코더(262)는 디바이스 타입, 키 종류 및 키 코드를 기반으로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코드를 해석할 수 있다. 디코더(262)는 해석된 제어 코드를 필터링부(265)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262)는 제1 통신 모듈(2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디코더(262)는 반송파 주파수를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이용하여 변경된 채널의 제어 코드를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이벤트 검출부(263)는 외부 채널 또는 내부 채널을 통해 수신된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주변 장치(10)의 채널일 수 있다. 내부 채널은 안테나, 튜너 등의 내부 구성요소의 제어에 의한 변경 가능한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이벤트 검출부(263)는 출력 영상의 특정 영역에서 텍스트(text) 또는 이미지 등을 인식하고, 인식결과와 저장된 채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예: 비교하여) 채널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특정 영역은 채널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예컨대, 디스플레이(240)의 오른쪽 상단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이벤트 검출부(263)는 주기적으로 수신된 영상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영상 이벤트 검출부(263)는 제1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제어 코드를 수신한 시점 이후로 수신된 영상 변화를 분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이벤트 검출부(264)는 외부 채널 또는 내부 채널을 통해 수신된 소리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이벤트 검출부(264)는 예컨대,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스피커(250)로 출력될 소리 또는 출력된 소리에서 채널 정보(예: 채널 이름)를 인식 및 검출할 수 있다. 소리 이벤트 검출부(264)는 인식된 소리 중에서 메모리(230)에 포함된 채널 식별 정보(예: 채널 이름)에 대응하는 채널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리 이벤트 검출부(264)는 주기적으로 수신된 소리를 분석할 수 있다. 소리 이벤트 검출부(264)는 제1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제어 코드를 수신한 시점 이후로 수신된 소리를 분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이벤트 검출부(264)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서 수신된 소리를 분석하여 채널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미도시)는 원격 제어 장치(30)에 구비된 것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프로세서(260)(예컨대, 소리 이벤트 검출부 등)는 예컨대, 첫 번째 제어 코드를 수신한 시점에 원격 제어 장치(30)에 마이크 - 온을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원격 제어 장치(30)는 프로세서(260)의 지시에 따라 마이크(미도시)를 온시키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소리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예컨대, 제어 코드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는 시점에 원격 제어 장치(30)에 마이크(미도시) 구동 오프를 지시할 수도 있다. 그러면, 원격 제어 장치(30)는 마이크(미도시)를 구동 오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원격 제어 장치(30)가 자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키 조작이 종료된 후에 마이크(미도시) 전원을 오프시킬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프로세서(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의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부(265)는 수신된 제어 코드, 영상 분석 결과 및 소리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265)는 영상 분석 결과 및 소리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검출된 채널 정보가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한지를 확인하고, 검출된 채널 정보가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하면 채널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필터링부(265)는 제어 코드를 수신한 이후 영상 분석 결과 및 소리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서 채널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링부(265)는 제어 코드를 수신한 이후 영상 분석 결과 및 소리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서 채널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출력이 발생하지 않는 채널로의 채널 변경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부(265)는 변경된 채널의 유지 시간을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이용하여 채널 변경이 사용자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265)는 변경된 채널의 유지시간이 지정된 임계시간(예: 30분)이면, 사용자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부(265)는 제2 통신 모듈(220)을 통해 검출된 제어 코드를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학습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을 학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변 장치(10)의 외부 키를 조작함에 따라 채널 변경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필터링부(265)는 제2 통신 모듈(220)을 통한 제어 코드와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합부(266)는 필터링부(265)에 의해 선별된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 및 채널 정보를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합부(266)는 선별된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 및 선별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조합할 수 있다.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해서는 복수의 제어 코드가 송수신되므로, 조합부(266)는 복수의 제어 코드를 연관시킴에 따라 선별된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를 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합부(266)는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제어 코드 중에서 채널 변경에 관련된 제어 코드를 선별적으로 학습할 필요가 있다. 조합부(266)는 채널 변경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인식시간(예: 10초) 동안 수신된 제어 코드를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로 조합할 수 있다. 조합부(266)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제어 코드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합부(266)는 수신된 제어 코드 간의 간격이 지정된 인식 간격(예: 3초) 이내인 제어 코드들을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로 선별할 수 있다. 조합부(266)는 지정된 인식시간 동안 수신된 제어 코드 중에서 수신 간격이 인식 간격 이내인 제어 코드들을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로 판단하여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합부(266)는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와 채널 정보를 선호 채널 또는 선호 채널 후보로서 메모리(230)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합부(266)는 선호 채널 또는 선호 채널 후보를 인식한 횟수도 연관시켜 메모리(230)에 기록할 수 있다. 제어 코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식별 코드 또는 다른 주변 장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 생성부(267)는 선호 채널 후보와 메모리(230)에 저장된 선호 채널 UI 또는 선호 채널 목록을 비교하여 선호 채널 후보에 대한 선호 채널 UI를 생성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생성부(267)는 선호 채널 후보로의 채널 변경을 지정된 임계 횟수(예: 2번) 이상 인식한 경우에 선호 채널 후보에 대한 선호 채널 UI를 생성할 수 있다. 선호 채널 UI는 선호 채널에 대한 개략 정보(예: 채널 로고 등)로 포함하되, 각 선호 채널 UI가 선택되면, 각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와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각 선호 채널 UI가 선택되면, 제1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를 송신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I 생성부(267)는 생성된 선호 채널 UI와 제어 명령(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를 연관시켜 메모리(230)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UI 생성부(267)는 인식 횟수와 관계 없이 선호 채널 후보에 대한 선호 채널 UI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선호 채널 UI를 생성할 수도 있다. UI 생성부(267)는 선호 채널 UI를 생성한 선호 채널 중에서 임계기간(예: 30일) 동안 사용되지 않은 선호 채널을 삭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 제공부(268)는 특정 화면이 출력될 때 선호 채널 UI를 출력할 수 있다. 특정 화면은 특정 버튼(예: 홈 버튼, 메뉴 버튼, 선호 채널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 출력되는 메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I 제공부(268)는 선호 채널 UI로 제공되는 선호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면, 메모리(230)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검색하고, 검색된 제어 명령을 제1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제1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르면, UI 제공부(268)는 제어 명령을 변경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I 제공부(268)는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주변 장치(10)가 제1 인터페이스(예: HDMI)로 연결된 상태이면, 제1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대신에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채널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예: HDMI-CEC)을 송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채널 변경을 위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호 채널 UI 생성 및 제어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에서는 사용자가 셋탑 박스의 리모컨인 제2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5', '0', '1' 키를 소정 시간 내에 조작하여 채널 SBB로 채널 변경된 경우에 선호 채널 UI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사용자가 제2 원격 제어 장치의 '5', '0', '1' 키를 순차적으로 조작하면, 제2 원격 제어 장치는 '5' 키 코드와 셋탑 박스의 키 코드로 구성된 제1 제어 코드(411), '0' 키 코드와 셋탑 박스의 키 코드로 구성된 제2 제어 코드(412) 및 '1' 키 코드와 셋탑 박스의 식별 코드로 구성된 제3 제어 코드(413)를 순차적으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각 제어 코드(411~413)의 파형은 하나의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210)은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1 내지 제3 제어 코드(411~413)를 포함하는 3개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에서 제1 내지 제3 제어 코드(411~413)를 각기 추출하여 프로세서(26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제1 내지 제3 제어 코드(411~413)이 디스플레이 장치(20)와 약속된 제1 식별 코드를 포함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메모리(230)에 기록된 코드 식별용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3 제어 코드를 해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제1 내지 제3 제어 코드(411~413)를 해석한 결과, 제1 내지 제3 제어 코드(411~413)는 숫자 키이며, '5' 키 코드, '0' 키 코드, '1'의 키 코드를 포함하고, 셋탑 박스의 식별 코드인 제2 식별 코드를 포함함을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변경된 501 채널의 출력 영상의 소정 영역(예: 오른쪽 상단(420))에서 채널 로고 'SBB'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30)로부터 채널 SBB가 임계 횟수(예: 2번) 이상 인식되었으나, 아직 선호 채널로 등록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채널 SBB의 선호 채널 UI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널 SBB의 선호 채널 UI(430)는 채널 SBB의 개략 정보(예: 채널 로고)와 해당 UI가 조작되면 제1 내지 제3 제어 코드(411~413)를 송신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이 연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에 표출된 복수의 선호 채널 UI 중에서 채널 SBB의 선호 채널 UI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30)로부터 선택된 선호 채널인 채널 SBB로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1 내지 제3 제어 코드를 순차적으로 송신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검색하고, 제1 통신 모듈(210)를 통해 제1 원격 제어 장치(30)로 검색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원격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 명령에 따라 셋탑 박스로 소정 시간 내에 제1 내지 제3 제어 코드(411~413)를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셋탑 박스는 제1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의 제1 내지 제3 제어 코드(411~413)를 수신하면, SBB 채널로 채널 변경하고, SBB 채널의 영상과 소리를 제1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30)로 선택된 선호 채널인 SBB 채널로 채널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30)가 아닌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 명령을 송신함에 따라 선호 채널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호 채널 UI에서 선택한 채널 SBB에 대한 소스를 제공하는 셋탑 박스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HDMI 채널에 연결되어 있고, HDMI 채널이 외부 입력으로 설정되어, 셋탑 박스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현재 소스 기기로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6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30)를 이용하지 않고, HDMI-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기능을 이용하여 셋탑 박스로 SBB 채널 변경을 지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 학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프로세서(260)는 주기적으로 제어 코드, 출력 영상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제1 통신 모듈(21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으면,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제1 통신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호 채널 UI 생성 기능이 선택되면, 동작 510 내지 56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프로세서(260)는 제어 코드,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소리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가 변경됨을 확인하면, 채널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제어 코드를 수신한 후 소리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사용자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변경된 채널이 지정된 임계시간 동안 유지되면, 사용자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출력 영상의 특정 영역으로부터 채널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출력 소리를 인식하여 채널 이름이 확인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프로세서(260)는 사용자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이면, 채널 정보와 제어 코드를 조합(또는 연관)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프로세서(26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에 제어 코드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추가로 연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해당 제어 코드와 채널 정보의 인식 횟수도 기록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선호 채널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변경된 채널이 UI 생성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생성 조건은 변경된 채널이 임계횟수(예: 3번) 이상 인식되었으나, 아직 선호 채널로 등록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동작 550에서, 변경된 채널이 UI 생성 조건에 부합하면, 프로세서(260)는 변경된 채널에 대한 선호 채널 UI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550에서, 프로세서(260)는 선호 채널 UI와 제어 코드(또는, 제어 명령)을 연관시켜 메모리(230)에 기록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변경된 채널이 UI 생성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프로세서(260)는 변경된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 채널 정보와 인식 횟수를 메모리(230)에 기록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프로세서(260)는 변경된 채널을 선호 채널 후보로 판단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선호 채널 UI를 생성하기 위해 변경된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 채널 정보와 인식 횟수를 메모리(230)에 기록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님을 판단하면, 프로세서(260)는 확인된 채널 변경을 무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제1 통신 모듈(210)에 의해 선호 채널 등록 기능이 해제되기 전까지 동작 510 내지 57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 UI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프로세서(26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지정된 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메뉴는 제1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홈 버튼, 메뉴 버튼, 선호(즐겨 찾기, 최근 이용) 채널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일 수 있다.
동작 620에서, 프로세서(26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지정된 메뉴가 선택되면, 선호 채널의 개략 정보를 포함하는 선호 채널 UI를 표출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선호 채널의 개략 정보는 선호 채널의 채널 이름 및/또는 채널 로고 등일 수 있다.
동작 630에서, 프로세서(2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호 채널 UI에 포함된 선호 채널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선호 채널 UI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프로세서(26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선택된 채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640에서,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30)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를 송신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제1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제1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호 채널 UI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내부 채널뿐만 아니라, 주변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채널도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제1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중인 사용자는 선호 채널에 대해서는 제2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외부 채널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코드를 검출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어 코드,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을 학습하고,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 UI와 각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해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될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코드,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채널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영상의 지정된 영역의 채널 이름 및 채널 로고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정보를 검출하면, 검출된 상기 채널 정보가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한지를 확인하고, 상기 검출된 채널 정보가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하면, 채널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인식 기법에 의해 상기 출력 소리를 인식하고, 인식된 소리 중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채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 정보를 검출하면, 검출된 상기 채널 정보가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한지를 확인하고, 상기 검출된 채널 정보가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하면, 채널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코드를 수신한 이후 상기 출력 영상과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변경된 채널이 지정된 임계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서,
    디바이스 타입, 키 종류 및 키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 인식용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 인식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코드로부터 제어될 키의 정보인 키 코드를 해석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제1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코드를 송신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제1 식별 코드와 상이한 제2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코드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코드를 검출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코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키 코드를 해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코드와 상기 제1 식별 코드를 각기 조합하여 상기 각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코드를 송신할 것을 지시하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호 채널 UI에 포함된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채널로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 코드,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을 학습하는 단계; 및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 UI와 각 선호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될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채널 변경을 학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채널 정보가 검출되면,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채널 정보가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하면, 상기 채널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3항에서,
    변경된 상기 채널이 지정된 임계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채널이 상기 임계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3항에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2항에서, 상기 채널 변경을 학습하는 단계는,
    디바이스 타입, 키 종류 및 키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 인식용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 코드를 해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2항에서, 상기 제어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는,
    제1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코드 및 상기 제1 식별 코드와 상이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코드를 검출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2항에서,
    지정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 UI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호 채널 UI에 포함된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위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 중에서 지정된 제1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출력 영상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채널 변경에 따른 제어 코드 및 상기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을 선별하는 필터링부;
    선별된 채널 변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와 채널 정보를 조합하여 학습하는 조합부; 및
    학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와 채널 정보 중에서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적어도 제어 코드와 채널 정보에 대해 조작 시에 채널 변경되는 선호 채널 UI를 생성하는 UI 생성부
    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20. 제19항에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제어 코드, 상기 출력 영상 및 출력 소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가 검출되면,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한지를 확인하고, 검출된 상기 채널 정보가 상기 이전에 검출된 채널 정보와 상이하면,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채널 변경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프로세서.
KR1020160129854A 2016-10-07 2016-10-07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60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854A KR102604297B1 (ko) 2016-10-07 2016-10-07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5/713,927 US10623798B2 (en) 2016-10-07 2017-09-25 Processor for creating instruction for channel chang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EP17195056.1A EP3306943B1 (en) 2016-10-07 2017-10-05 Processor for creating instruction for channel chang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201710934324.6A CN107920278B (zh) 2016-10-07 2017-10-09 用于创建用于频道改变的指令的处理器、显示设备和显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854A KR102604297B1 (ko) 2016-10-07 2016-10-07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787A true KR20180038787A (ko) 2018-04-17
KR102604297B1 KR102604297B1 (ko) 2023-11-21

Family

ID=6019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854A KR102604297B1 (ko) 2016-10-07 2016-10-07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23798B2 (ko)
EP (1) EP3306943B1 (ko)
KR (1) KR102604297B1 (ko)
CN (1) CN1079202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6873B2 (en) 1998-10-29 2010-08-03 Medtronic Mini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cclusions in an ambulatory infusion pump
WO2012171572A1 (en) 2011-06-16 2012-12-20 Tecpharma Licensing Ag Device for administering a fluid product
KR102546026B1 (ko) 2018-05-21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인식 정보 획득
KR102599951B1 (ko) * 2018-06-25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1343564B2 (en) * 2019-08-14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ed learning platform of a content provider and method thereof
WO2023055492A1 (en) * 2021-09-28 2023-04-06 Arris Enterprises Llc Device and method to switch television operation to primary content mode after displaying an important content on secondary input mo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7253A1 (en) * 2006-06-20 2008-05-29 Min Zhang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n-screen media sources
KR20140089695A (ko) * 2013-01-07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2241B2 (ja) * 2005-05-31 2012-02-08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受像機
KR101621097B1 (ko) 2009-10-28 2016-05-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432608B2 (en) * 2012-03-29 2016-08-30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connected to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KR101365614B1 (ko) * 2012-08-23 201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커넥티트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75491A1 (en) 2012-09-13 2014-03-13 Avermedia Technologies, Inc. Error proof method for recording and recording device
US9602875B2 (en) * 2013-03-15 2017-03-21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Broadcast content resume reminder
CN104184971A (zh) * 2013-05-28 2014-12-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遥控系统、电子装置及遥控方法
KR101966940B1 (ko) 2013-11-15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US10028011B2 (en) * 2014-01-22 2018-07-17 Verizon and Redbox Digital Entertainment Services, LLC Predictive storage of broadcast content
CN104202640B (zh) * 2014-08-28 2016-03-30 深圳市国华识别科技开发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智能电视交互控制系统和方法
US9905125B2 (en) * 2016-02-22 2018-02-27 Echostar Technologies L.L.C. Remote control with microphone used for pairing the remote control to a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7253A1 (en) * 2006-06-20 2008-05-29 Min Zhang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n-screen media sources
KR20140089695A (ko) * 2013-01-07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3285A1 (en) 2018-04-12
EP3306943A2 (en) 2018-04-11
CN107920278A (zh) 2018-04-17
CN107920278B (zh) 2021-11-19
EP3306943B1 (en) 2022-02-02
US10623798B2 (en) 2020-04-14
KR102604297B1 (ko) 2023-11-21
EP3306943A3 (en)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297B1 (ko)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EP2960882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778927B2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45747B1 (ko)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06785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N105027574A (zh) 在语音识别系统中控制显示装置的显示装置和方法
US10616636B2 (en) Setting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of display device
US20160063894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voice guidance function, a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corresponding voice guidance method
KR201500719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통합 리모컨 및 이의 설정 방법
EP371963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7008200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400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US9210357B1 (en) Automatically pairing remote
KR2018009805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8559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324379B1 (en) Display device, an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setting method and system for same
EP32915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display apparatus
US1146221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36032A (ko) 영상처리장치 및 기록매체
KR20190054462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87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설정 방법
US988321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10088401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9447A (ko) 센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