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097B1 -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097B1
KR101621097B1 KR1020090102808A KR20090102808A KR101621097B1 KR 101621097 B1 KR101621097 B1 KR 101621097B1 KR 1020090102808 A KR1020090102808 A KR 1020090102808A KR 20090102808 A KR20090102808 A KR 20090102808A KR 101621097 B1 KR101621097 B1 KR 101621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user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009A (ko
Inventor
이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10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0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1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에서의 콘텐츠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로 접속되는 제2단말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2단말의 종류에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참고하여 상가 UI를 재구성하고, 상기 제2단말로 상기 재구성된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단말이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로부터 상기 재구성된 UI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양한 단말에서 주소록, 즐겨 찾기, 선호 채널 등의 사용자 편의 정보를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고객 정보 또는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고객의 성향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USER INFORMATION SYNC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 정보를 통합 관리가 가능한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산업은 급속한 발전을 거듭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통화량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가운데, 최근 들어 이동통신 분야 사업자들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를 개발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타사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현대의 이동통신 단말은 기술발전에 따라 정보의 저장용량이 매우 증가하게 됨으로써, 많은 수의 주소록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단말 사용자들은 더 많은 양의 주소록을 관리하여 활용하거나, 타인과의 주소록 정보 공유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주소록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과 개인정보 서버에서 각각 개별로 운용 되는바, 정보 변경시에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중복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의 주소록 기능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과 개인정보 서버가 상호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지 않으므로, 주소록 정보를 등록, 변경하고자 할 경우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주소록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다양한 단말에서 즐겨 찾기, 선호 채널 등의 사용자 편의 정보를 공유하지 못하므로 각 단말마다 상기 사용자 편의 정보를 따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단말에서 주소록, 즐겨 찾기, 선호 채널 등의 사용자 편의 정보를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고객 정보 또는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a) 제1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b)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에서의 콘텐츠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로 접속되는 제2단말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2단말의 종류에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참고하여 상가 UI를 재구성하고, 상기 제2단말로 상기 재구성된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단말이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로부터 상기 재구성된 UI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의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UI 상에 상기 검색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연락처 리스트 상에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연락처들을 포함하는 UI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한 즐겨찾기 리스트 상에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즐겨찾기들을 포함하는 UI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한 선호채널 상에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선호채널들을 포함하는 UI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는, 제1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하는 UI 생성부; 접속되는 제2단말의 종류를 판단 하고, 상기 판단된 제2단말의 종류에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UI를 재구성하는 UI 구성부; 및 상기 제2단말로 상기 재구성된 UI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UI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의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I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UI 상에 상기 검색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단말에서 주소록, 즐겨 찾기, 선호 채널 등의 사용자 편의 정보를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고객 정보 또는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고객의 성향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개념을 설 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은 제1단말(110),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 및 제2단말(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단말이다. 즉, 제1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나이, 성별의 정보, 거주지 정보, 현위치 정보, 관심분야, 연락처 리스트, 즐겨찾기 리스트, 또는 선호채널 리스트 등을 입력 받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110)은 도 1에서 TV(121), 컴퓨터(122), 이동통신 단말(123)의 예를 들었으나, 상기 제1단말(110)로서는 그 외에도 노트북, PDA, PMP 등의 다양한 단말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제1단말(110)로부터 상기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제1단말(110)에서 사용된 콘텐츠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때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라 함은 제1단말(110)에서 음악, 동영상, 문서, 사진, 게임, 상품 구매, 또는 콘텐츠 구매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한 정보를 말한다.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 정보와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를 제1단말(11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UI(User Interface)를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와 연관된 UI 테마(theme)를 검색하고,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한다. 즉,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콘텐츠에 따라서 그에 관련된 형태로 UI를 구성한다. 상기 UI 테마는 메뉴의 스타일, 아이콘, 폰트(font) 등이 동일한 하나의 주제로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후,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로 접속되는 제2단말(130)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2단말(130)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제2단말(130)의 종류에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검색된 제2단말(13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참고하여 UI를 재구성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에 접속하는 단말이 TV(131), 컴퓨터 단말(132), 또는 이동통신 단말(133)이냐에 따라서 각기 다른 환경을 가지는데, 이와 같은 각 단말의 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이와 같이 재구성된 UI를 제2단말(130)로 제공한다. 그에 따라, 제2단말(130)은 이와 같이 각 단말에 따라서 최적화되어 재구성된 UI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단말에서 주소록, 즐겨 찾기, 선호 채널 등의 사용자 편의 정보를 통합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단말의 특성에 따라서 최적화된 UI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서 버(120)는 수신부(210), UI 생성부(220), UI 구성부(230), 송신부(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제1단말(11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
UI 생성부(220)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한다. 또한, UI 생성부(220)는 이와 같이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한다.
데이터베이스(250)는 UI에 적용이 가능한 UI 테마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로 접속되는 제2단말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I 생성부(220)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상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의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10)가 제1단말(11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UI 생성부(220)는 상기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구성할 수 있다.
UI 구성부(230)는 접속되는 제2단말(130)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2단말(130)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상기 제2단말(130)의 종류에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검색한다. UI 구성부(230)는 이와 같이 검색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UI를 재구성한다.
송신부(240)는 상기와 같이 재구성된 UI를 제2단말(130)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다(S310).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 제1단말(110)로부터 상기 제1단말(110)에서의 콘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 제1단말(11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320).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UI(User Interface)를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사용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S325),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한다(S330). 이와 같은 UI의 구성 시에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가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에 해당하는 UI 테마(theme)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UI 테마를 UI에 적용하여 UI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마를 적용하면 메뉴의 스타일, 아이콘, 폰트(font) 등의 UI 요소들이 변경된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사용 정보에 따라서 UI 테마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단말(110) 또는 제2단말(130)을 통하여 스케줄 관리 콘텐츠를 사용하여 휴가 일정을 설정하고, 온라인 상에서 비행기표를 예약하거나 휴가용품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화면으로 해변 그림을 설정하고 아이콘을 아쿠아(aqua) 스타일의 아이콘(icon)으로 변경하여 UI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UI를 통하여 해변가 또는 휴가에 관련된 추천 음악 링크와 휴가지 정보 링크 그리고 그에 따른 광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든 정보는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UI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 연동 서버(120)는 제1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와 관련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하거나, 제1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나 광고 등을 포함하여 UI를 구성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의 즐겨찾기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즐겨찾기 리스트 상에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즐겨찾기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주요 즐겨찾기 리스트를 포함하는 UI를 구성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선호채널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선호채널 리스트 상에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선호채널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주요 선호채널 리스트를 포함하여 UI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 제1단말(11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수신하여 상기 관심분야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연락처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연락처 리스트 상에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연락처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주요 연락처 리스트를 포함하여 UI를 구성할 수 있 다.
이후, 제2단말(130)이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와 접속되면(S340),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 접속되는 제2단말(130)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2단말(130)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2단말의 종류에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검색한다(S350). 이후,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 검색된 제2단말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UI를 재구성한다(S360).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제2단말(130)이 TV인 경우에는 TV의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UI를 구성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말(130)이 컴퓨터 단말인 경우에는 컴퓨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UI를 구성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이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최적화된 UI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단말(130)이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에 접속 시에는 고객인증을 위한 로그인 과정을 거치고 로그인이 성공하면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가 상기 제2단말(13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이용한 UI 정보의 검색 및 UI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단말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서 최적화된 UI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단말의 특성에 따라서 UI의 크기뿐만 아니라 UI의 구조 또한 다르게 재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 제2단말(130)이 이동통신 단말로 판단되면 상기 UI에 상기 주요 연락처 리스 트가 포함되도록 UI를 재구성하거나, 상기 된 제2단말(130)이 컴퓨터 단말로 판단되면 상기 UI 상에 상기 주요 즐겨찾기 리스트가 포함되도록 UI를 재구성하거나, 상기 제2단말(130)이 TV로 판단되면 상기 UI 상에 상기 주요 선호채널 리스트가 포함되도록 UI를 재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각 단말의 특성에 따라 가장 사용 빈도수가 높은 메뉴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는 상기와 같이 재구성된 UI를 상기 제2단말(130)로 제공한다(S370). 그에 따라, 상기 제2단말(130)은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120)로부터 상기 재구성된 UI를 수신하여 표시한다(S38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단말에서 주소록, 즐겨 찾기, 선호 채널 등의 사용자 편의 정보를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고객 정보 또는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고객의 성향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단말 120: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
130: 제2단말 121: TV
122: 컴퓨터 단말 123: 이동통신 단말

Claims (9)

  1. (a)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제1단말에서의 콘텐츠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제1단말의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사용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로 접속되는 제2단말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2단말의 종류에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참고하여 UI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2단말로 상기 재구성된 UI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의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UI 상에 상기 검색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연락처 리스트 상에서 사용 빈도수가 상위 순서로 소정 갯수의 연락처들을 포함하는 UI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한 즐겨찾기 리스트 상에서 사용 빈도수가 상위 순서로 소정 갯수의 즐겨찾기들을 포함하는 UI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한 선호채널 상에서 사용 빈도수가 상위 순서로 소정 갯수의 선호채널들을 포함하는 UI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1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하는 UI 생성부;
    접속되는 제2단말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2단말의 종류에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UI를 재구성하는 UI 구성부; 및
    상기 제2단말로 상기 재구성된 UI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I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의 정보에 연관된 UI 테마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UI 테마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I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에서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또는 현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UI 상에 상기 검색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서버.
KR1020090102808A 2009-10-28 2009-10-28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1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08A KR101621097B1 (ko) 2009-10-28 2009-10-28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08A KR101621097B1 (ko) 2009-10-28 2009-10-28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009A KR20110046009A (ko) 2011-05-04
KR101621097B1 true KR101621097B1 (ko) 2016-05-16

Family

ID=4424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808A KR101621097B1 (ko) 2009-10-28 2009-10-28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3798B2 (en) 2016-10-07 2020-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 for creating instruction for channel chang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96B1 (ko) * 2012-01-04 2013-08-13 (주)티아이스퀘어 주소록 연관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49896B1 (ko) * 2014-08-18 2016-08-23 강민정 콘텐츠 제공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204A (ja) * 2000-04-26 2001-11-02 Fuji Xerox Co Ltd ユーザー設定共用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KR100772875B1 (ko) * 2006-05-22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선호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장치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204A (ja) * 2000-04-26 2001-11-02 Fuji Xerox Co Ltd ユーザー設定共用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KR100772875B1 (ko) * 2006-05-22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선호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장치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3798B2 (en) 2016-10-07 2020-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 for creating instruction for channel chang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009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0576B2 (ja) 電子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コンテンツを効果的にクライアント装置に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834945B (zh) 主题变换系统、便携通信设备、服务器装置和计算机程序
AU2010284807B2 (en) Shared data transmitting method, server, and system
US2015036548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ng with electronic devices
US20120102145A1 (en) Server,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CN110088788B (zh) 数字媒体内容相关事件的个性化日历
US8904274B2 (en) In-situ mobile application suggestions and multi-application updates through context specific analytics
AU2014200631B2 (en)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628311B1 (ko) 컨텐츠 브라우저 장치 및 그 방법
CN102223624A (zh) 移动装置的文件下载方法,服务器以及移动装置
CN103119538A (zh) 扩展应用程序服务的设备和方法
KR101967696B1 (ko)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02574B1 (ko) 디바이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201203236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ement
US9503410B2 (en) Sharing of activity metadata via messaging systems
US20150334104A1 (en) Navigation bridge
KR101621097B1 (ko)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1141617A (ja) webページ閲覧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中継サーバ
US87440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end user feedback
WO2021070641A1 (ja) 管理サーバおよび商品検索方法
KR20150020390A (ko) 컨텐츠 추천 방법과 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CN104396341B (zh) 支持联系提醒的系统和方法
CN104809017A (zh) 应用程序分发控制、执行方法及其相应装置
JP4294473B2 (ja) ユーザが選択可能な入力制限因子及び出力成熟度指示子を備えた推薦システム
US20160188163A1 (en) Context sensitive ic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