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240A - 대퇴터널 유도기 - Google Patents

대퇴터널 유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240A
KR20180038240A KR1020160129087A KR20160129087A KR20180038240A KR 20180038240 A KR20180038240 A KR 20180038240A KR 1020160129087 A KR1020160129087 A KR 1020160129087A KR 20160129087 A KR20160129087 A KR 20160129087A KR 20180038240 A KR20180038240 A KR 20180038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nnel
offset
femoral tunnel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7827B1 (ko
Inventor
하철원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6012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827B1/ko
Priority to US16/339,826 priority patent/US11116523B2/en
Priority to EP17858667.3A priority patent/EP3524194B1/en
Priority to CN201780076082.XA priority patent/CN110430828B/zh
Priority to PCT/KR2017/010694 priority patent/WO2018066873A1/ko
Priority to JP2019518248A priority patent/JP6728488B2/ja
Publication of KR2018003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14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applying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62Implants for placement in joint gaps without restricting joint motion, e.g. to reduce arthritic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64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4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의 연장선상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옵셋부;를 포함하는 대퇴터널 유도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대퇴터널 유도기{FEMORAL TUNNEL GUI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퇴터널 유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사용되는 대퇴터널 형성을 위한 대퇴터널 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활동 및 여가 활동의 증가로 십자인대 손상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를 치료하기 위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정형외과 영역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수술 중 하나이다.
고식적인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해부학적 위치가 아닌 등척점(isometric point) 부위에 새로운 인대를 재건하는 방법으로, 성공률은 80%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회전 불안정성에 대하여 제한(constraint)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원래의 전방십자인대(native ACL, native anterior cruciate ligament)를 재건하기 위하여 해부학적 위치(즉, 전방십자인대가 정상 인체에서 뼈에 부착되는 위치)에 전방십자인대를 재건하는 개념에 대하여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경골터널을 통하는 방법으로 해부학적 위치에 대퇴터널 형성할 수 있는 대퇴터널 유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의 연장선상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옵셋부;를 포함하는 대퇴터널 유도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은 8mm 이상 15mm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는,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가 경골터널을 통해 대퇴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관을 관통한 유도핀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는,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가 상기 경골터널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를 일정 정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도핀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옵셋부는, 상기 유도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설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일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의 연장선상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옵셋부; 및 상기 옵셋부와 연결되어 상기 옵셋부와 상기 유도관의 이격 거리를 제어하는 옵셋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퇴터널 유도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옵셋부와 상기 유도관의 이격 거리는 8mm 이상 15mm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는,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가 경골터널을 통해 대퇴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관을 관통한 유도핀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는,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가 상기 경골터널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를 일정 정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도핀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옵셋부는, 상기 유도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설상부 베이스; 상기 유도관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설상부 베이스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상기 가이드부, 상기 하나 이상의 링크 및 상기 설상부 베이스는 4절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옵셋 제어부를 조절하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유도관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상기 유도관과 상기 옵셋부의 이격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대퇴터널 유도기에 의해, 경경골 방법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재건이 용이해지며, 다른 수술법에 비해 수술시간이 짧고, 수술 술기가 용이하며, 또한 해부학적 위치에 터널을 형성할 수 있어 환자에게도 좋은 임상 결과를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대퇴터널 유도기를 이용하여 십자인대재건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대퇴터널 유도기를 이용하여 십자인대재건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퇴터널 유도기를 회전시켜 유도핀을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대퇴터널 유도기를 이용하여 십자인대재건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대퇴터널 유도기를 이용하여 십자인대재건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퇴터널 유도기를 회전시켜 유도핀을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100)는 손잡이(110), 유도관(120) 및 옵셋부(130)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원래의 전방십자인대(native ACL, native anterior cruciate ligament)를 재건하기 위하여 해부학적 위치에 전방십자인대를 재건하는 개념에 대하여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수술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즉, 고식적인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해부학적 위치가 아닌 등척점(isometric point) 부위에 새로운 인대를 재건하는 방법으로, 터널이 해부학적 위치보다 전상방으로 위치되는 경우가 많아 해부학적 위치를 구현하기에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성공률은 80%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회전 불안정성에 대하여 제한(constraint)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기존의 고식적 술기에 사용되던 경 경골터널을 통과하여 사용되는 대퇴터널 유도기(즉, 7 mm 고정 옵셋 등)는 그 효용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원래의 전방십자인대(native ACL, native anterior cruciate ligament)를 재건하기 위하여 해부학적 위치에 전방십자인대를 재건하는 개념에 대하여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경골터널의 경우 해부학적 위치에 터널형성을 하기 위한 수술 방법 및 기구에 대하여 의견이 일치되고 있으나, 대퇴터널의 경우 해부학적 위치에 터널 형성을 하기 위하여 부가적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하는 방법, 이중절개 outside-in 방법, 경경골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부가적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하는 방법은 무릎을 과도하게 굴곡시킨 상태에서 터널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시야가 좋지 않고, 후방 피질골이 파괴될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다. 한편, 이중절개 outside-in 방법은 비교적 과도한 굴곡 없이 해부학적 위치에 터널을 형성할 수 있으나 추가적인 대퇴 부위에 절개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즉, 부가적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하는 방법과 이중절개 outside-in 방법은 수술 방법이 쉽지 않고, 추가적인 절개 및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경경골 방법으로 대퇴터널 형성시, 대퇴터널이 전상방으로 위치하는 경우가 많게 되어 유도기에 내회전을 주어 해부학적 위치에 도달 가능하게 되나, 기존에 사용되던 7 mm 옵셋(offset)의 대퇴터널 유도기로는 내회전을 하여도 후방 대퇴피질로부터의 거리가 7mm로 한정되어, 더 큰 옵셋이 요구되는 해부학적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골터널 유도기는 대략 10 mm 내외의 옵셋(offset)을 갖도록 형성되어, 대퇴터널 형성시 해부학적 위치에 대퇴 터널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대퇴터널 유도기(100)는 손잡이(110), 유도관(120) 및 옵셋부(130)를 포함한다.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도관(120)은 속이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110)의 일 측에 손잡이(1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1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유도관(120)의 일 단부는 손잡이(110)와 연결되고, 유도관(120)의 타 단부에는 옵셋부(1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도관(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골터널 내에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경골터널보다 얇게 형성되어, 경골터널 내에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유도관(120)을 관통하여 유도핀(140)이 삽입될 수 있다.
옵셋부(130)는 유도관(120)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즉, X축 방향)에 있어서 유도관(120)의 연장선상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옵셋부(130)는 유도관(12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132) 및 연결부(132)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설상부(tongue)(131)를 포함한다. 이때 설상부(131)는 대략 유도관(120)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따라서 설상부(131)는 X축 방향에 있어서 유도관(120)의 연장선상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퇴터널 유도기(100)는 이미 형성된 경골터널(311)을 통과하며 대퇴골(320) 절흔부위의 후방 피질골 표면을 기준으로 대퇴터널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상세히, 기존의 경경골 방법으로 대퇴터널을 형성할 경우, 대퇴터널이 전상방으로 위치하는 경우가 많게 되어 대퇴터널 유도기에 내회전을 주는 방법 등으로 유도핀을 가능한한 해부학적 위치에 가깝도록 위치시키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등척점(isometric point) 부위에 대퇴터널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던 대퇴터널 유도기의 경우, 유도관과 옵셋부가 7mm 또는 그 이하만큼 이격되어 있어서, 회전 후에도 후방 피질골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아직도 짧은 문제가 잔존하여, 유도핀이 해부학적 위치에 도달하기에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100)는 옵셋부(130)의 설상부(131)가 유도관(120)의 연장선상으로부터 소정 간격(d), 즉 8mm 이상 15mm 이하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대퇴터널 유도기(100)가 경골터널(311)을 통해 대퇴골(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도핀(140)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터널 유도기(100)가 경골터널(311)을 통과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터널 유도기(10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정도 회전됨으로써 유도핀(140)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의 일반적인 경우를 고려하면, 옵셋부(130)의 설상부(131)가 유도관(120)의 연장선상으로부터 대략 10mm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대퇴터널 유도기에 의해, 경경골 방법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재건이 용이해지며, 다른 수술법에 비해 수술시간이 짧고, 수술 술기가 용이하며, 또한 해부학적 위치에 터널을 형성할 수 있어 환자에게도 좋은 임상 결과를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200)는 손잡이(210), 유도관(220), 옵셋부(230) 및 옵셋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는 해부학적 위치에 대퇴터널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모든 환자들이 같은 위치에 전방십자인대 부착부를 가지는 것은 아니며, 환자별로 보다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에 대퇴터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옵셋을 가진 대퇴터널 유도기가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200)는, 유도관(220)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조절 가능한 옵셋부(230) 및 유도관(220)과 옵셋부(2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옵셋 제어부(240)를 구비하여, 환자별로 보다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에 대퇴터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술 시야에서 옵셋 조정이 가능한 가동형 옵셋 대퇴터널 유도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2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도관(220)은 속이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210)의 일 측에 손잡이(2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1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유도관(220)의 일 단부에는 손잡이(210) 및 옵셋 제어부(240)가 형성되고, 유도관(220)의 타 단부에는 옵셋부(2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옵셋부(230)는 경골터널 내에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경골터널보다 얇게 형성되어, 경골터널 내에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옵셋부(230)는 유도관(220)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즉, X축 방향)에 있어서 유도관(220)의 연장선상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터널 유도기(200)는 옵셋부(230)와 유도관(220)의 이격 거리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옵셋부(230)는 유도관(22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231), 연결부(231)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설상부 베이스(232), 설상부 베이스(232)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설상부(236)를 포함한다. 이때 설상부 베이스(232) 및 설상부(236)는 대략 유도관(220)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따라서 설상부(236)는 X축 방향에 있어서 유도관(220)의 연장선상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옵셋부(230)는 유도관(220)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가이드부(233) 및 설상부 베이스(232)와 가이드부(233)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234)(23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유도관(220)의 일 측에 형성된 옵셋 제어부(240)는 옵셋 선택부(241)를 포함하고, 옵셋 선택부(241)의 조작에 의해 가이드부(233)가 유도관(220)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옵셋부(230)와 유도관(220)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옵셋 선택부(241)가 노브 형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옵셋 선택부(241)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부(233)가 유도관(220)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옵셋 선택부(241)의 일 측에 랙과 피니언 등,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옵셋 선택부(241)가 회전하면 이를 가이드부(233)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가이드부(233)가 유도관(220)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옵셋 선택부(241)의 조작을 가이드부(233)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가 차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연결부(231), 가이드부(233), 제1 링크(234) 및 설상부 베이스(232)는 4절 링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33)가 유도관(220)으로부터 인출되면, 4절 링크부가 전체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옵셋부(230)와 유도관(220)의 이격 거리가 d1이 될 수 있다. 반면, 가이드부(233)가 유도관(220) 내로 인입되면, 4절 링크부가 전체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옵셋부(230)와 유도관(220)의 이격 거리가 d2가 될 수 있다.
이때, 옵셋부(230)와 유도관(220)의 이격 거리는 8mm 이상 15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대퇴터널 유도기(200)가 경골터널(도 2의 311 참조)을 통해 대퇴골(도 2의 320 참조)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도관(220)을 관통한 유도핀(미도시)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대퇴터널 유도기에 의해, 경경골 방법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재건이 용이해지며, 특히 옵셋부(230)와 유도관(22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환자별로 보다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에 대퇴터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술 시야에서 옵셋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치료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대퇴터널 유도기
110: 손잡이
120: 유도관
130: 옵셋부

Claims (12)

  1.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의 연장선상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옵셋부;를 포함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은 8mm 이상 1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는,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가 경골터널을 통해 대퇴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관을 관통한 유도핀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는,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가 상기 경골터널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를 일정 정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도핀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부는,
    상기 유도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설상부;를 포함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6.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일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의 연장선상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옵셋부; 및
    상기 옵셋부와 연결되어 상기 옵셋부와 상기 유도관의 이격 거리를 제어하는 옵셋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부와 상기 유도관의 이격 거리는 8mm 이상 15mm 이하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는,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가 경골터널을 통해 대퇴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관을 관통한 유도핀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는,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가 상기 경골터널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대퇴터널 유도기를 일정 정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도핀이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부는,
    상기 유도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설상부 베이스;
    상기 유도관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설상부 베이스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상기 가이드부, 상기 하나 이상의 링크 및 상기 설상부 베이스는 4절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제어부를 조절하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유도관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상기 유도관과 상기 옵셋부의 이격 거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터널 유도기.
KR1020160129087A 2016-10-06 2016-10-06 대퇴터널 유도기 KR101997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087A KR101997827B1 (ko) 2016-10-06 2016-10-06 대퇴터널 유도기
US16/339,826 US11116523B2 (en) 2016-10-06 2017-09-27 Femoral tunnel guide device
EP17858667.3A EP3524194B1 (en) 2016-10-06 2017-09-27 Femoral tunnel guide device
CN201780076082.XA CN110430828B (zh) 2016-10-06 2017-09-27 股骨隧道导向装置
PCT/KR2017/010694 WO2018066873A1 (ko) 2016-10-06 2017-09-27 대퇴터널 유도기
JP2019518248A JP6728488B2 (ja) 2016-10-06 2017-09-27 大腿トンネル誘導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087A KR101997827B1 (ko) 2016-10-06 2016-10-06 대퇴터널 유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240A true KR20180038240A (ko) 2018-04-16
KR101997827B1 KR101997827B1 (ko) 2019-07-08

Family

ID=6183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087A KR101997827B1 (ko) 2016-10-06 2016-10-06 대퇴터널 유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16523B2 (ko)
EP (1) EP3524194B1 (ko)
JP (1) JP6728488B2 (ko)
KR (1) KR101997827B1 (ko)
CN (1) CN110430828B (ko)
WO (1) WO201806687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8368A1 (en) * 1998-03-31 2005-10-13 Yon Steven A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oling- or cryo-therapies for, e.g., angioplasty with reduced restenosis or pulmonary vein cell necrosis to inhibit atrial fibrillation employing tissue protection
WO2011056279A1 (en) * 2009-08-27 2011-05-12 Tyco Healthcare Group Lp Femoral guide for acl repair having adjustable offse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0693A (en) 1992-02-19 1996-05-28 Mcguire; David A. Femoral guide and methods of precisely forming bone tunnels in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of the knee
US5514144A (en) * 1993-12-20 1996-05-07 Bolton; Carl W. Drill guide device for the arthroscopic anatomic placement of a straight tibio-femoral bone tunnel for ACL reconstruction
US5466243A (en) * 1994-02-17 1995-11-14 Arthr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suture anchor through a hollow cannulated grasper
US5681333A (en) 1995-11-08 1997-10-28 Arthr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utilizing bone tunnels for suture attachment
FR2744621B1 (fr) * 1996-02-09 1998-04-03 Lars Determination des tunnels femoral et tibial pour la reconstruction isometrique du ligament croise anterieur
US7594912B2 (en) * 2004-09-30 2009-09-29 Intuitive Surgical, Inc. Offset remote center manipulator for robotic surgery
US6695883B2 (en) * 2002-04-11 2004-02-24 Theodore W. Crofford Femoral neck fixation prosthesis
JP2004358057A (ja) * 2003-06-06 2004-12-24 Univ Nihon 大腿骨骨折における骨接合インプラント用ガイドピン案内治具
JP4245505B2 (ja) 2004-04-12 2009-03-25 邦夫 原 膝前十字靭帯再建手術における誘導具
US7736364B2 (en) 2006-02-02 2010-06-15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CL reconstruction
US9155546B2 (en) * 2007-12-21 2015-10-13 Smith & Nephew, Inc. Surgical aimer
US9545261B2 (en) * 2011-07-29 2017-01-17 Smith & Nephew, Inc. Instrument guide
US9232950B2 (en) * 2013-03-15 2016-01-12 Depuy (Ireland) Femoral orthopaedic surgical instruments for setting offset
US20160074151A1 (en) * 2013-05-03 2016-03-17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ment and site preparation of rotator cuff grafts
CN103892873B (zh) * 2014-04-10 2015-10-28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关节镜下前交叉韧带重建的股骨隧道定位器
CA2996597A1 (en) * 2015-08-27 2017-03-02 Focal Healthcare Inc. Moveable interface between a stepper and a stabilizer
WO2017049146A1 (en) * 2015-09-18 2017-03-23 Actuated Medical, Inc. Device and system for insertion of penetrating member
CN105287003B (zh) * 2015-12-08 2017-08-25 微创(上海)医疗机器人有限公司 机械臂及其工作方法
JP6893036B2 (ja) * 2016-06-27 2021-06-23 株式会社A−Traction 手術支援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手術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8368A1 (en) * 1998-03-31 2005-10-13 Yon Steven A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oling- or cryo-therapies for, e.g., angioplasty with reduced restenosis or pulmonary vein cell necrosis to inhibit atrial fibrillation employing tissue protection
WO2011056279A1 (en) * 2009-08-27 2011-05-12 Tyco Healthcare Group Lp Femoral guide for acl repair having adjustable off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4194A4 (en) 2020-07-01
EP3524194B1 (en) 2022-03-30
CN110430828A (zh) 2019-11-08
EP3524194A1 (en) 2019-08-14
US11116523B2 (en) 2021-09-14
KR101997827B1 (ko) 2019-07-08
US20200046380A1 (en) 2020-02-13
JP6728488B2 (ja) 2020-07-22
JP2019530515A (ja) 2019-10-24
WO2018066873A1 (ko) 2018-04-12
CN110430828B (zh)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9358B2 (en) Targeting instruments,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20180280069A1 (en) Bone fixation system, assembly, implants, devices, alignment guides, and methods of use
JP6038656B2 (ja) エネルギー吸収システムの移植のための位置決め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282647B2 (en) Femoral guide for ACL repair having adjustable offset
US8298239B2 (en) Tibial guide for ACL repair having interchangeable and/or rotatable outrigger
JP5503878B2 (ja) Acl再建術の間に脛骨管の位置を確定するためのデバイス
Iobst et al. Simultaneous acute femoral deformity correction and gradual limb lengthening using a retrograde femoral nail: technique and clinical results
US8343161B2 (en) Femoral guide for ACL repair having multiple lumen
WO2006125009A2 (en) Convergent tunnel guide apparatus and method
JP2009195705A (ja) Acl再建術の間に大腿骨管を作製するためのガイド
WO2011133407A2 (en) Tibiotalar arthrodesis guide
US20100049202A1 (en) Femoral guide for acl repair having reduced profile for left/right knee configurations
US8430884B2 (en) Femoral guide for ACL repair having selectively deployable femoral surface engagement member
Fragomen et al. Lengthening of the femur with a remote-controlled magnetic intramedullary nail: retrograde technique
Kucukkaya et al. Surgical techniques for lengthening and deformity correction of the femur with lengthening nails
KR101997827B1 (ko) 대퇴터널 유도기
CN104207831B (zh) 一种复位关节周围骨块并固定的微创适形复位器
KR101660955B1 (ko) 전방십자인대 재건 시 대퇴 터널 형성을 위한 단계적 굴곡 확장 시스템
RU2161454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каналов в большеберцовой и бедренной костях под имплантаты крестообразных связок и кондуктор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CN204133580U (zh) 一种复位关节周围骨块并固定的微创适形复位器
US20100049199A1 (en) Tibial guide for acl repair having moveable distal features
Pankaj et al. Anatomic Sing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s Using Variable Length Looped Button Device
Chang et al. Anatomic Sing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he Flexible Drilling/Reaming system: A Preliminary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