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167A -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167A
KR20180038167A KR1020160128898A KR20160128898A KR20180038167A KR 20180038167 A KR20180038167 A KR 20180038167A KR 1020160128898 A KR1020160128898 A KR 1020160128898A KR 20160128898 A KR20160128898 A KR 20160128898A KR 20180038167 A KR20180038167 A KR 2018003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
surfactant
composition
weight
gum ro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353B1 (ko
Inventor
연영흠
Original Assignee
연영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영흠 filed Critical 연영흠
Priority to KR102016012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3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to enhance the sticking of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은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함에 따라,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생분해되어 친환경적일 수 있으며, 농약의 젖음성과 부착성이 향상됨에 따라, 농약의 분무 내지 살포 작업 횟수가 줄고, 농약의 사용량이 줄어들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면서도 농약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SPREADER CONTAINING GUM ROSIN DERIVATIVE AND METHOD OF MAKING SAME}
본 발명은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재배하거나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병, 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고,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 내지 억제시키기 위해 살균제, 살충제, 성장 호르몬제, 제초제 등 다양한 종류의 농약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농약은 농작물에 분무 내지 살포되어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부착되거나 농작물에 흡수됨으로써, 그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부착된 농약은 비, 바람, 습기에 의해 쉽게 유실되어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에 따라, 일반적으로 농약과 농약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전착제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전착제(Spreader)는 농약과 농약이 살포되는 농작물의 표면장력을 낮추고 결합력을 높여 농작물의 줄기, 잎,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과 부착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장시간 동안 농약이 농작물에 부착되게 하여 농약에 의해 농작물이 지속적으로 보호되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농약의 젖음성과 부착성이 향상됨에 따라, 농약의 분무 내지 살포 작업 횟수가 줄고, 농약의 사용량이 줄어들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면서도 농약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착제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17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DOS70(Sodium bis(2-ethylhexyl)), LES270(Alcohols, (C12-14), ethoxylated, monoethers with sulfuric acid, sodium salts), SP90(Alcohols, C12-14-secondary, ethoxylated), TDE7(Polyoxyethylene tridecyl ehter), TM15(Ethoxylated cocoalkyl amines), 및 실록산 계열의 화학물질 기반의 성분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화학물질 기반의 전착제들은 젖음성 및 부착성 효과가 낮으며 습도, 바람, 및 온도변화에 취약할 뿐 아니라, 생분해되지 못하고 토양, 하천 등에 잔류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76588호에서는 레시틴 유사 유화제, 오일, 및 수상성분으로 구성되어 유해한 화학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효능 지속이 우수한 나노좀 형태의 무공해 농약용 전착제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 효과가 미미하고, 나노좀 형태의 전착제를 제조하는 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특허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서는 전착제들이 생분해되지 않아 토양, 하천 등에 잔류하면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17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75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포함함에 따라,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생분해되어 친환경적인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틸렌옥사이(ethylene oxide),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검로진과 축합반응시켜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하고,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혼합하고 이를 가열, 냉각, 여과함으로써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생분해되어 친환경적인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전착제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젖음성 및 부착성이 향상된 농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전착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착제 조성물은 상기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검로진 유도체 25 ~ 59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 0.1 ~ 10중량%, 및 상기 용제 40 ~ 7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로진 유도체는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검로진이 축합반응된 축합물일 수 있다.
상기 검로진은 아비에트산(abietic acid), 네오아비에트산(neoabietic acid), 팔루스트르산(palustric acid), 디하이드로 아비에트산(dihydro abietic acid), 및 피마릭산(pimar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로진 유도체는 상기 검로진의 산기(acid radical)와 옥시에틸렌(oxy-ethylene), 및 옥시프로필렌(oxy propylene)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옥시에틸렌(oxy-ethylene), 및 옥시프로필렌(oxy propylene)은 1 : 100 ~ 100 : 1 의 몰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증류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로진을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축합반응 하여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 3 단계, 상기 가열된 혼합물을 냉각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이용한 전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와 상기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를 1 : 100 ~ 100 : 1 의 몰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에서 계면활성제를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40 ~ 60 ℃에서 1 ~ 2 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포함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농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은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포함함에 따라,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생분해되어 친환경적일 수 있다. 또한,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검로진 유도체 25 ~ 59 중량%, 계면활성제 0.1 ~ 10 중량%, 및 용제 40 ~ 72 중량%로 포함함으로써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농약의 젖음성과 부착성이 향상됨에 따라, 농약의 분무 내지 살포 작업 횟수가 줄고, 농약의 사용량이 줄어들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면서도 농약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에틸렌옥사이(ethylene oxide),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검로진과 축합반응시켜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하고,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혼합하고 이를 가열, 냉각, 여과함으로써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생분해될 수 있어 친환경적인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약은 상기의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를 포함함에 따라,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젖음성 및 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로진 유도체의 화학 구조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은 ‘전착제 조성물’로 간략하게 호칭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농약과 혼합되어 사용되는 보조제로서,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포함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은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생분해되어 친환경적인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은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천연물질인 검로진이 축합반응된 축합물 형태의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함에 따라,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을 향상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생분해 가능하여 친환경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은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은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검로진 유도체 25 ~ 59 중량%, 계면활성제 0.1 ~ 10 중량%, 및 용제 40 ~ 7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비로 구성된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에 의해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검로진 유도체는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검로진이 축합반응된 축합물일 수 있다. 검로진은 산 소나무 수간에서 채취한 검 또는 올레오레진에서 얻은 로진으로서, 아비에트산을 주성분으로 네오아비에트산, 레포피마르산, 하이드로 아비에트산, 피마르산, 덱스톤산 등의 수지산을 비롯하여 소량의 회분을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질이다.
본 실시예의 검로진 유도체는 농약과 농약이 부착되어야 하는 대상물질, 예를 들어,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 표면의 표면장력을 낮추고 결합력을 향상시켜 농약의 젖음성과 부착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면서도 장시간 동안 농약이 농작물에 부착되게 하여 농약의 효능에 의해 농작물이 지속적으로 보호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검로진 유도체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검로진의 축합반응에 의한 고분자 형태의 축합물로서, 검로진과 반응하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혼합물은 순서와 횟수에 상관없이 검로진과 축합반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검로진 유도체는 다양한 형태의 고분자 축합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로진 유도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도 1에서 X 는 -CH2-, -CH2CH2-, -CH(CH3)CH2-, -C3H6-, 및 C4H8-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Y 는 -CH2-, -CH2CH2-, -CH(CH3)CH2-, -C3H6-, 및 C4H8-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며, Z 는 -CH2-, -CH2CH2-, -CH(CH3)CH2-, -C3H6-, 및 C4H8-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a 는 0 ~ 10, b 는 0 ~ 10 및 c 는 0 ~ 100 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검로진 유도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검로진 유도체는 검로진-에틸렌옥사이드, 검로진-프로필렌옥사이드, 검로진-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검로진-프로필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 검로진-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 검로진-프로필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는 각 성분의 결합관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검로진은 아비에트산(abietic acid), 네오아비에트산(neoabietic acid), 팔루스트르산(palustric acid), 디하이드로 아비에트산(dihydro abietic acid), 및 피마릭산(pimar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피마릭산은 덱스트로 피마릭산(Dextro pimaric acid), 이소 덱스트로 피마릭산(Isodextro pimaric aci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검로진은, 검로진 총 중량 기준으로 아비에트산 25 ~ 50 중량%, 네오 아비에트산 13 ~ 17 중량%, 팔루스트르산 4 ~ 13 중량%, 디하이드로 아이에트산 4 ~ 15 중량%, 및 피마릭산 18 ~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검로진은 상기의 성분 중에서 아비에트산을 가장 높은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검로진과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의 축합반응에서는 검로진에 포함된 산의 산기(acid radical)와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이 반응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는 산소를 포함하는 환상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축합반응 시에 고리가 풀리면서 에틸렌옥사이드는 옥시에틸렌(oxy-ethylene, -O-CH2-CH2-) 형태로 변환되고, 프로필렌옥사이드는 옥시프로필렌(oxy propylene, -O-CH2-CH2(CH3)-) 형태로 변환되어 산기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검로진 유도체는 검로진의 산기 일부에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oxy propylene)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비에트산에는 카르복시기(-COOH)가 형성되어 있는데,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과 아비에트산이 반응하게 되면, 아비에트산의 카르복시기에서 수소가 제거되면서 산소에 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 옥시에틸렌과 옥시프로필렌의 혼합물이 부가 내지 중합되어 결합되면서 고분자 축합물인, 검로진 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과 검로진의 아비에트산이 축합반응하게 되면 본 실시예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은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의 표면과 농약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농약의 부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장시간 동안 농약이 농작물이 부착되어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의 표면과 농약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젖음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농작물의 표면에 농약이 넓게 퍼진 형태로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시간 동안 농약이 농작물에 부착되어 농약의 효능에 의해 농작물이 장시간 동안 보호되면서도 농약의 사용량이 줄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생분해되지 못해 토양, 하천 등에 잔류하면서 환경을 오염시키던 종래의 화학물질 기반의 전착제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은 천연물질인 검로진을 이용함에 따라, 생분해되어 친환경적이다.
본 실시예의 검로진 유도체에는 검로진의 산기에 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이 동시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검로진 유도체 내에서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은 1 : 100 ~ 100 : 1의 몰 비율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 : 50 ~ 50 : 1의 몰 비율,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 10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7 ~ 7 : 1의 몰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의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의 혼합 몰 비율은 검로진 유도체 내에서 옥시에틸렌이나 옥시프로필렌의 결합순서, 결합수와는 상관없이 검로진 유도체 내에 형성되어 있는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의 몰 농도에 의한 비율을 의미한다.
특히, 검로진 유도체 내에서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이 1 : 7 ~ 7 : 1의 몰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전착제 조성물에 의한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검로진 유도체 내에서 검로진에 부가 내지 중합되어 결합된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의 총 몰수는 5 ~ 25 몰, 바람직하게는 8 ~ 22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몰일 수 있다.
만약, 검로진 유도체 내에서 검로진에 부가 내지 중합되어 결합된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의 총 몰수가 5 미만일 경우,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 향상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총 몰수가 25몰을 초과할 경우, 친수성이 강해져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 향상 효과가 저하되고 다른 제제와의 혼용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물에 의해 쉽게 제거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성과 형태를 갖는 본 실시예의 검로진 유도체는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25 ~ 59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검로진 유도체가 25 중량% 이하일 경우,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검로진 유도체가 59 중량%를 초과할 경우,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농약과 전착제 조성물이 쉽게 혼합되지 않고, 상기의 전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농약의 분무 내지 살포가 어려워질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의 젖음성과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계면활성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으면 검로진 유도체와 용제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소량 첨가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만약,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계면활성제가 0.1 중량% 미만일 경우 표면장력의 저하가 충분하지 않아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의 젖음성과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6 중량%를 초과할 경우 친수성이 강해져 물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농약의 젖음성, 및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용제는 상기의 전착제 조성물과 계면활성제와 함께 혼합되는 물질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증류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증류수를 모두 포함할 경우,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농약과 농작물의 표면장력을 더욱 낮추어 젖음성 및 부착성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은 용제에 검로진 유도체와 계면활성제가 융해되어 있는 액체 상태로 형성되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용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증류수를 용제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1 ~ 2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 ~ 35 중량%, 및 증류수 40 ~ 7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5 ~ 22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5 ~ 35 중량%, 및 증류수 45 ~ 7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비율로 혼합된 용제를 사용함에 따라 검로진 유도체 및 계면활성제가 고르게 혼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농약과 농작물의 표면장력을 더욱 낮추어 젖음성 및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용제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증류수는 상기의 비율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범위로 혼합될 수 있다.
용제는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40 ~ 72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용제가 40 중량% 미만일 경우 전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사용성이 떨어지고 농약과의 혼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72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전착제 조성물 내에서 검로진 유도체의 농도가 지나치게 묽어져 전착제로서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은 상기된 성분 이외에도 동결방지제, 방부제, 증량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동결방지제, 방부제, 증량제는 농약과 혼용되어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은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의 표면과 농약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농약의 부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장시간 동안 농약이 농작물이 부착되어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의 표면과 농약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젖음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농작물의 표면에 농약이 넓게 퍼진 형태로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시간 동안 농약이 농작물에 부착되어 농약의 효능에 의해 농작물이 장시간 동안 보호되면서도 농약의 사용량이 줄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생분해되지 못해 토양, 하천 등에 잔류하면서 환경을 오염시키던 종래의 화학물질 기반의 전착제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전착제 조성물은 천연물질인 검로진을 이용함에 따라, 생분해되어 친환경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검로진을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축합반응하여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 3 단계, 상기 가열된 혼합물을 냉각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이용한 전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 ~ 5 단계를 통해, 농작물의 잎, 줄기, 및 병충해에 대한 농약의 젖음성과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생분해되어 친환경적인 전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 1 단계에서는 검로진을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축합반응하여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한다. 먼저, 반응기에 검로진과 촉매를 투입하고 90 ~ 105 ℃의 온도로 가열한다. 가열이 끝난 후, 기체(가스) 상태의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검로진과 반응시킴으로서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옥사이드는 옥시에틸렌으로, 프로필렌옥사이드는 옥시프로필렌으로 변환되어 검로진과 결합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로진과 촉매가 담겨진 반응기에 에틸렌옥사이드 가스를 일정량 주입함으로써 ‘검로진-옥시에틸렌’구조, 프로필렌옥사이드 가스를 일정량 주입함으로써 ‘검로진-옥시프로필렌’구조, 에틸렌옥사이드 가스와 프로필렌옥사이드 가스 일정량을 동시에 주입함으로써 ‘검로진-(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구조, 에틸렌옥사이드 가스와 프로필렌옥사이드 가스 일정량을 동시에 주입한 후 에틸렌옥사이드 가스를 일정량 추가 주입하면 ‘검로진-(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n-옥시에틸렌’구조, 옥사이드 가스와 프로필렌옥사이드 가스 일정량을 동시에 주입한 후 프로필렌옥사이드 가스를 일정량 추가 주입하면 ‘검로진-(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n-옥시프로필렌’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검로진 유도체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에서 옥시에틸렌과 옥시프로필렌의 결합 순서 내지 위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은 여러 번 나누어 반응기에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로진과 촉매가 담겨진 반응기에 에틸렌옥사이드를 1차 주입한 뒤에, 프로필렌옥사드를 2차 주입하여 ‘검로진-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구조의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고,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 혼합물을 1차 주입한 뒤에, 에틸렌옥사이드를 2차 주입함으로써 ‘검로진-(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옥시에틸렌’ 구조의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가스의 주입 횟수는 별도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된 바와 같이, 검로진 유도체 내에서 검로진에 부가 내지 중합되어 결합된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의 총 몰수가 최대 20 몰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검로진은 아비에트산(abietic acid), 네오아비에트산(neoabietic acid), 팔루스트르산(palustric acid), 디하이드로 아비에트산(dihydro abietic acid), 및 피마릭산(pimar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산들의 ‘산기’가 반응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따른다.
한편, 제 1 단계에서 검로진이 담겨진 반응기에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동시에 투입되어 검로진과 축합반응할 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는 1 : 100 ~ 100 : 1의 몰 비율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 : 50 ~ 50 : 1의 몰 비율,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 10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7 ~ 7 : 1의 몰 비율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검로진 유도체 내에서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이 1 : 7 ~ 7 : 1의 몰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전착제 조성물에 의한 농약의 젖음성, 부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상기의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의 혼합 몰 비율은 검로진 유도체 내에서 옥시에틸렌이나 옥시프로필렌의 결합 순서, 결합수와는 상관없이 검로진 유도체 내에 형성되어 있는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로필렌의 몰 농도에 의한 비율을 의미한다.
한편, 제 1 단계에서 투입되는 에틸렌옥사이드 1 몰은 옥시에틸렌 1 몰로 변환되고, 프로필렌옥사이드 1 몰은 옥시프로필렌 1몰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투입 몰수에 따라 옥시에틸렌과 옥시프로필렌의 몰수가 변할 수 있다.
제 2 단계에서는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제 2 단계에서는 상기의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교반할 수 있다. 이때, 계면활성제가 추가로 혼합되어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교반은 마그네틱바, 교반막대 내지 교반 봉을 이용하여 균일한 속도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계에서는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검로진 유도체를 25 ~ 59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 50 중량5,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45 중량%로 포함하고, 계면활성제를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5 중량5,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5 중량%로 포함하며, 용제를 40 ~ 72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 70 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60 중량%로 투입할 수 있다.
제 3 단계에서는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한다. 본 실시예의 제 3 단계에서는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40 ~ 60 ℃, 바람직하게는 45 ~ 55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에서 약 1 ~ 2 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만약, 혼합물의 가열이 40 ℃ 미만에서 실시될 경우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가 고르게 혼합되지 못할 수 있고, 가열이 60 ℃ 이상에서 실시되면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가 서로 반응하여 새로운 형태의 화합물이 형성되거나 일부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가 분해되어 전착제 조성물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제 3 단계에서 가열이 실시되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검로진 유도체, 계면활성제, 및 용제가 고르게 혼합된 전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제 4 단계에서는 제 3 단계에서 가열된 혼합물을 냉각한다. 본 실시예의 제 4 단계에서는 가열된 혼합물을 상온까지 냉각할 수 있으며, 냉각은 가열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방치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제 5 단계에서는 제 4 단계에서 냉각된 혼합물을 여과한다. 본 실시예의 제 5 단계에서는 냉각된 혼합물을 여과함으로써 불순물을 제거하여 전착제 조성물의 제조를 완성할 수 있다. 여과로는 감압여과가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젖음성 및 부착성이 향상된 농약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 1 - 17
먼저, 검로진 1 몰과 촉매를 반응기에 투입하여 약 95 ℃로 가열한 뒤, 1차로 가스의 에틸렌옥사이드 1 몰과 프로필렌옥사이드 1 몰을 동시에 반응기에 주입(1차 주입)시켜 검로진과 반응시킨 뒤, 에틸렌옥사이드 5 몰을 추가로 주입(2차 주입)시켜 반응시킴으로써, ‘검로진-(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옥시에틸렌’구조의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검로진 유도체 40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 중량%, 용제 55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약 5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고, 상온에서 방치하여 냉각한 뒤 여과함으로써 전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용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16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2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아래의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울 갖는 전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검로진 유도체
검로진
(mol)
1차 주입 2차 주입
에틸렌
옥사이드의 사용량
(mol)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사용량
(mol)
에틸렌
옥사이드의 사용량
(mol)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사용량
(mol)
실시예 1 1 1 1 5 -
실시예 2 1 1 1 10 -
실시예 3 1 1 2 10 -
실시예 4 1 1 3 10 -
실시예 5 1 1 3 15 -
실시예 6 1 2 1 10 -
실시예 7 1 2 2 5 -
실시예 8 1 2 2 10 -
실시예 9 1 2 3 10 -
실시예 10 1 3 3 5 -
실시예 11 1 3 3 10 -
실시예 12 1 1 1 - 5
실시예 13 1 2 2 - 5
실시예 14 1 0.1 1 - 10
실시예 15 1 0.5 10 - 10
실시예 16 1 1 0.1 10 -
실시예 17 1 10 0.5 10 -
검로진 유도체
(중량%)
계면활성제
(중량%)
용제
(중량%)
실시예 1 40 5 55
실시예 2 38 5 57
실시예 3 45 5 50
실시예 4 40 5 55
실시예 5 40 5 55
실시예 6 42 5 55
실시예 7 40 5 55
실시예 8 40 5 55
실시예 9 40 5 55
실시예 10 40 5 55
실시예 11 40 5 55
실시예 12 40 5 55
실시예 13 40 5 55
실시예 14 40 5 55
실시예 15 40 5 55
실시예 16 40 5 55
실시예 17 40 5 55
비교예 1
증류수로 이루어진 전착제 조성물.
비교예 2
DOSS70로 이루어진 전착제 조성물.
비교예 3
NP-3로 이루어진 전착제 조성물.
비교예4
DOS70(Sodium bis(2-ethylhexyl)) 약 20 중량%, NP-8(nonyl phenyl ether) 40 중량%, IPA(isopropyl alcohol) 약 10 중량%, 잔량의 정제로수 이루어진 전착제 조성물.
비교예 5 내지 8
아래의 표 3 내지 4와 같은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교예 5 내지 8의 전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검로진 유도체
(순서)
검로진
(mol)
1차 주입 2차 주입
에틸렌
옥사이드의 사용량
(mol)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사용량
(mol)
에틸렌
옥사이드의 사용량
(mol)
비교예 5 1 0.1 10 5
비교예 6 1 20 10 0
비교예 7 1 1 1 5
비교예 8 1 1 1 5
검로진 유도체
(중량%)
계면활성제
(중량%)
용제
(중량%)
비교예 5 40 5 55
비교예 6 40 5 55
비교예 7 10 5 85
비교예 8 80 3 17
실험예 1 : 표면장력 측정
상기의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17에 따른 검로진 유도체와 비교예 1 내지 8에 따른 검로진 유도체의 표면장력을 측정하여 하기의 표 5에 개시하였다.
표면장력은 실시예 1 내지 17에 따른 검로진 유도체와 비교예 1 내지 8에 따른 검로진 유도체 각각 1 Kg을 상온의 물에 약 2,000 배 희석한 뒤, 일부 시료를 채취하여 표면장력기(shimatsu WET 6000)으로 측정하였다.
검로진 유도체 표면장력
(dyne/cm)
검로진 유도체 표면장력
(dyne/cm)
실시예 1 31.51 비교예 1 72.78
실시예 2 37.73 비교예 2 33.58
실시예 3 34.41 비교예 3 35.05
실시예 4 35.03 비교예 4 34.40
실시예 5 34.62 비교예 5 45.22
실시예 6 33.79 비교예 6 49.60
실시예 7 31.93 비교예 7 31.51
실시예 8 35.04 비교예 8 31.51
실시예 9 33.59
실시예 10 32.76
실시예 11 37.11
실시예 12 32.08
실시예 13 32.99
실시예 14 37.25
실시예 15 36.89
실시예 16 37.55
실시예 17 37.64
증류수로 이루어진 비교예 1의 표면장력은 72.78 이나, 실시예 1 내지 17에 따른 검로진 유도체의 표면장력은 31.51 ~ 37.73 으로 현저하게 표면장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7의 검로진 유도체의 표면장력 값과 비교예 2 내지 4의 화학물질 기반의 전착제의 표면장력 값이 거의 유사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표면장력 저하능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검로진 유도체 내에서 옥시에틸렌과 옥시프로필렌의 몰 비율의 범위가 1 : 100 ~ 100 : 1을 벗어난 비교예 5의 검로진 유도체는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몰 비율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17의 검로진 유도체에 비해 표면장력 저감 효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검로진에 중합된 옥시에틸렌과 옥시프로필렌의 총 몰수의 합이 25몰을 초과하는 비교예 6의 검로진 유도체는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몰 비율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17의 검로진 유도체에 비해 표면장력 저감 효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부착성 측정 및 상태 관찰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17에 따른 전착제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8에 따른 전착제 조성물의 부착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실시예 1 내지 17에 따른 전착제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8에 따른 전착제 조성물 각각을 약 2,000 배의 증류수와 혼합하여 희석시킨 후, 각각에 염료(청색)를 약 20 ppm 첨가한다. 이들 각각을 스프레이 건으로 약 40 cm 떨어진 곳에서 45도 각도로 아크릴판에 분무한 후에 상온에서 약 24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이어서, 염료가 혼합된 각각의 전착제 조성물이 분무된 아크릴 판을 직각으로 세운 후, 증류수를 분무하여 5 분간 방치한 뒤, 남아 있는 염료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3회 반복함으로써, 부착성을 측정하여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증류수에 희석하지 않은, 실시예 1 내지 17에 따른 전착제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8에 따른 전착제 조성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
전착제 조성물 초기 부착력 부착력 1
(%)
부착력 2
(%)
부착력 3
(%)
실시예 1 100 80 75 70
실시예 2 100 75 70 70
실시예 3 100 75 70 65
실시예 4 100 70 65 65
실시예 5 100 70 60 55
실시예 6 100 70 65 60
실시예 7 100 75 70 70
실시예 8 100 70 65 65
실시예 9 100 70 60 55
실시예 10 100 75 70 75
실시예 11 100 60 60 55
실시예 12 100 80 75 70
실시예 13 100 75 70 70
실시예 14 100 70 60 55
실시예 15 100 70 60 55
실시예 16 100 70 65 60
실시예 17 100 70 60 55
비교예 4 100 30 15 10
비교예 5 100 40 30 15
비교예 6 100 35 20 10
비교예 7 100 10 5 5
비교예 8 100 90 90 85
전착제 조성물 상태 전착제 조성물 상태
실시예 1 갈색 투명 액체 실시예 13 갈색 투명 액체
실시예 2 실시예 14
실시예 3 실시예 15
실시예 4 실시예 16
실시예 5 실시예 17
실시예 6 비교예 2 무색 투명 액체
실시예 7 비교예 7 옅은 갈색 투명 액체
실시예 8 비교예 8 짙은 갈색의 점성 액체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7의 전착제 조성물의 부착력이 화학물질 기반의 전착제인 비교예 4 보다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검로진 유도체 내에서 에틸렌옥사이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몰 비율의 범위가 1 : 100 ~ 100 : 1을 벗어난 비교예 5의 전착제 조성물은 실시예 1 내지 17의 전착제 조성물에 비해 부착력이 낮음을 알 수 있다.
표 6-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검로진 유도체가 매우 소량으로 사용된 비교예 7의 전착제 조성물은 옅은 갈색의 투명 액체로서 부착력이 현저히 낮았으며, 본 실시예의 검로진 유도체가 매우 과량으로 사용된 비교예 8의 전착제 조성물은 실시예 1 내지 17에 비해 매우 짙은 갈색의 액체로서 점성을 갖으며 부착력이 매우 높았다. 이에 따라, 검로진 유도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부착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범위를 초과하여 검로진 유도체가 사용된 경우, 전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되어 분무 내지 살포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실험예 3 : 살충효과 비교
살충제 성분을 포함하는 농약과 실시예 1, 비교예 4, 5, 6, 및 7의 전착제 조성물을 혼합한 뒤, 이를 벼에 분무한 뒤, 시간이 지남에 따른 살충률을 측정하였다. 사용된 농약과 전착제 조성물의 종류에 따른 이화명유충의 살충효과에 대해 표 8에 나타내었으며, 녹색매미충의 살충효과에 대해 표 9에 나타내었다.
처리 살충률(%)
농약 전착제 조성물 4 시간 3 일 7 일 10 일
- - 0 0 5 0
Brodan 31.5 EC(Chlorpyrifos/BPMC 유제) - 82.50 57.50 35.50 2.50
실시예 1 100 95.00 62.50 0
비교예 2 87.50 77.50 25.0 0
비교예 5 92.50 80.22 42.08 0
비교예 6 70.52 56.52 19.25 0
비교예 7 62.5 35.78 15.36 0
처리 살충률(%)
농약 전착제 조성물 4 시간 3 일 7 일 10 일
- - 0.00 0.00 5.00 2.50
Cypermethrine 5 % EC(Cypermethrine 5 % 유제) - 30.00 12.50 2.50 0.00
실시예 1 30.00 12.60 2.50 2.50
비교예 2 22.50 10.00 2.50 0.00
비교예 5 25.65 10.55 2.50 0.00
비교예 6 17.56 9.22 1.25 0.00
비교예 7 15.05 5.45 0.00 0.00
표 8-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착제 조성물과 농약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살충률이 더 높으며 오래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착제 조성물에 의해 농약의 부착성이 향상되어 농작물의 표면에 장시간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농작물의 살충효과가 장시간 지속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농약의 부착성이 향상되어 농약의 효능이 오래 지속됨에 따라, 농약의 분무 내지 살포 작업 횟수가 줄어들고 농약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착제 조성물 내에 검로진 유도체의 양이 매우 소량 첨가된 비교예 7의 전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부착성이 저하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살충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착제 조성물은
    상기 전착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검로진 유도체 25 ~ 59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 0.1 ~ 10 중량%, 및 상기 용제 40 ~ 7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로진 유도체는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검로진이 축합반응된 축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로진은
    아비에트산(abietic acid), 네오아비에트산(neoabietic acid), 팔루스트르산(palustric acid), 디하이드로 아비에트산(dihydro abietic acid), 및 피마릭산(pimar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로진 유도체는
    상기 검로진의 산기(acid radical)와 옥시에틸렌(oxy-ethylene), 및 옥시프로필렌(oxy propylene)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에틸렌(oxy-ethylene), 및 옥시프로필렌(oxy propylene)은 1 : 100 ~ 100 : 1 의 몰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증류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10.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검로진을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축합반응하여 검로진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검로진 유도체, 및 용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 3 단계;
    상기 가열된 혼합물을 냉각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이용한 전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와 상기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를 1 : 100 ~ 100 : 1 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이용한 전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계면활성제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이용한 전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40 ~ 60 ℃에서 1 ~ 2 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로진 유도체를 이용한 전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 1 항의 전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농약.
KR1020160128898A 2016-10-06 2016-10-06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6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98A KR101906353B1 (ko) 2016-10-06 2016-10-06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98A KR101906353B1 (ko) 2016-10-06 2016-10-06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167A true KR20180038167A (ko) 2018-04-16
KR101906353B1 KR101906353B1 (ko) 2018-10-10

Family

ID=6208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898A KR101906353B1 (ko) 2016-10-06 2016-10-06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506B1 (ko) 2022-12-26 2024-01-03 김미양 생체 정보를 이용한 심리 분석 및 빅데이터 구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159B1 (ko) 2020-06-03 2020-10-30 곽의섭 유황, 휴믹산 및 풀빅산을 함유하는 친환경 농작물 영양 전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9966A (en) * 1997-12-30 2000-03-21 Aquatrols Corporation Of America, Inc. Agrochemical emulsion concentrates
JP4916718B2 (ja) 2005-12-28 2012-04-18 花王株式会社 農薬用展着剤組成物
JP5805445B2 (ja) 2010-07-12 2015-11-04 花王株式会社 農薬用効力増強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506B1 (ko) 2022-12-26 2024-01-03 김미양 생체 정보를 이용한 심리 분석 및 빅데이터 구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353B1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3226C (en) Liquid herbicidal agents
CN101541178A (zh) 提高植物干生物量的方法
CN109438071A (zh) 一种可控制释放的药肥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1999053764B1 (en) Improvements in herbicides
KR101906353B1 (ko) 검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896959A (zh) 含高效氯氟氰菊酯和毒死蜱的复合杀虫杀螨纳米水剂及其用途
US9693562B2 (en) Liquid insecticide composition
CN110463693A (zh) 一种用于水剂农药的增效剂及其应用
JP4201061B2 (ja) 種籾を処理する組成物
CN110037014B (zh) 一种含卵磷脂与d-柠檬烯的复配增效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5011704A1 (en) Insecticidal compositions compatible with fertilizers
CN112471170B (zh) 一种草甘膦异丙胺盐水剂助剂
KR20180082254A (ko) 부착성 및 젖음성이 향상된 전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534041A (zh) 杀虫剂及其使用方法
CN104970026B (zh) 一种除草剂组合物及其用途
US11523612B2 (en) Pes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oxime carbamate and use thereof
CN114009429A (zh) 一种植物保护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20031B1 (ko) 부착성과 젖음성이 향상된 살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4552582A (en) Cotton defoliant compositions
CN105746561A (zh) 一种多肽类农药有效成分在悬浮剂中的应用技术
KR101784513B1 (ko) 희토류를 포함하는 원예 작물의 병충해 방제용 살균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Brown Chemical Defoliation of Cotton VII. Effectiveness of Adjuvants Under Several Specific Plan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1
CN106954633A (zh) 一种棉花脱叶剂及其制备方法
CN117136965B (zh) 一种丙炔草铵膦可湿性粉剂、制备方法及应用
CN116114703A (zh) 防治桑树赤锈病的复配药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