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158A - 진공 텀블러 - Google Patents

진공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158A
KR20180038158A KR1020160128869A KR20160128869A KR20180038158A KR 20180038158 A KR20180038158 A KR 20180038158A KR 1020160128869 A KR1020160128869 A KR 1020160128869A KR 20160128869 A KR20160128869 A KR 20160128869A KR 20180038158 A KR20180038158 A KR 20180038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cuum
vacuum release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201B1 (ko
Inventor
이병욱
안효민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2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05B11/00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3039
    • B05B11/30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시킨 상태에서 펌핑부재의 펌핑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기를 진공시키고 용기의 진공 유지시에는 상부캡을 고정후크에 회전결합식으로 고정시키므로 용기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산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의 진공 해제시에는 상부 진공 해제핀의 가압으로 진공 해제공을 개방하여 용기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므로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질 경우, 유입 방지부의 캡 내부에 형성된 안내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펌핑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므로 안정적이면서도 펌핑부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진공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텀블러{vacuum tumbler}
본 발명은 진공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시킨 상태에서 펌핑부재의 펌핑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기를 진공시키고 용기의 진공 유지시에는 상부캡을 고정후크에 회전결합식으로 고정시키므로 용기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산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의 진공 해제시에는 상부 진공 해제핀의 가압으로 진공 해제공을 개방하여 용기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므로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질 경우, 유입 방지부의 캡 내부에 형성된 안내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펌핑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므로 안정적이면서도 펌핑부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진공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테이크아웃(Take-out) 음식문화가 이미 보편적인 문화가 되어 자동차와 사무실 등 이동 중에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테이크아웃 형태의 커피전문점이 늘어나면서 뜨거운 액상의 내용물을 담아 이동하면서 마시는 현대인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러한 뜨거운 액상의 내용물을 담기 위해 단열기능 및 외관이 미려한 디자인을 가진 다양한 컵들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컵 중에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텀블러이다. 상기 텀블러(tumbler)는 일반적으로 굽과 손잡이가 없는 큰 잔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통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용기의 상단부에 마개를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커피나 음료를 담아 마시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 용기에 비해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좋아 최근 뜨거운 커피나 음료를 담는 용기로서 각광받고 있다.
상기 텀블러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767호로 텀블러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텀블러는, 누름버튼을 누르면서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회동버튼이 회전하면서 누름스프링을 가압하게 됨과 동시에 걸림훅이 하부덮개에서 이탈하게 되고, 상부덮개는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용기의 배출공을 개방하여 사용자가 수시로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된 텀블러는 용기 내부의 음료를 따뜻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이점은 있으나, 상부덮개를 닫아 용기를 밀폐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이미 공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부덮개를 닫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 할수록 공기의 접촉으로 인해 음료가 산화되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등록된 텀블러는 상부덮개와 배출공 사이의 틈새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음료가 오염되어 세균이나 곰팡이가 쉽게 발생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시킨 상태에서 펌핑부재의 펌핑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기를 진공시키고 용기의 진공 유지시에는 상부캡을 고정후크에 회전결합식으로 고정시키므로 용기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산폐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의 진공 해제시에는 상부 진공 해제핀의 가압으로 진공 해제공을 개방하여 용기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므로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진공 텀블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질 경우, 유입 방지부의 캡 내부에 형성된 안내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펌핑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므로 안정적이면서도 펌핑부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진공 텀블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진공 텀블러는, 내부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장착되어 내부에 공기 배출부가 고정되며 상부에는 펌핑부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어 펌핑부의 작동에 의해 관통공을 개폐하면서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용기 내부의 공기배출을 안내하며 상기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질 경우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시켜 내용물이 펌핑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유입 방지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며 용기의 진공시에는 상부캡을 회전시켜 결합턱이 고정후크로부터 이탈되게 한 후 상부캡의 가압으로 펌핑부재가 작동동간 내에서 탄력있게 작동하면서 용기 내부를 진공시키며 진공 유지시에는 상부캡을 가압회전시켜 결합턱이 고정후크에 결합되게 하는 펌핑부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진공 해제공에 하부 진공 해제핀이 긴밀하게 장착되며 용기의 진공 해제시에는 상·하부 진공 해제핀의 가압으로 진공 해제공을 개방시켜 용기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 해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시킨 상태에서 펌핑부재의 펌핑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기를 진공시키고 용기의 진공 유지시에는 상부캡을 고정후크에 회전결합식으로 고정시키므로 용기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산폐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의 진공 해제시에는 상부 진공 해제핀의 가압으로 진공 해제공을 개방하여 용기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므로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질 경우, 유입 방지부의 캡 내부에 형성된 안내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펌핑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므로 안정적이면서도 펌핑부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고정부의 고정후크가 상부캡의 결합홈에 위치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상부캡을 가압하여 작동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상부캡의 가압을 해제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작동공간을 배출시켜 용기를 진공시키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상부캡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캡의 결합턱이 고정후크에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상부캡이 고정부에 고정되어 용기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상·하부 진공 해제핀의 가압으로 진공 해제공을 개방시켜 용기의 진공을 해제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진공 텀블러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유입 방지부의 캡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상태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진공 텀블러(100)는, 내부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110)가 구성되고, 상기 용기(110)의 상부에 장착되어 내부에 공기 배출부(130)가 고정되며 상부에는 펌핑부(150)가 고정되는 고정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20)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어 펌핑부(150)의 작동에 의해 관통공(131)을 개폐하면서 용기(110) 내부에 남아있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용기(110) 내부의 공기배출을 안내하며 상기 용기(11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질 경우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시켜 내용물이 펌핑부(15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유입 방지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20)의 상부에 장착되며 용기(110)의 진공시에는 상부캡(153)을 회전시켜 결합턱(153b)이 고정후크(122)로부터 이탈되게 한 후 상부캡(153)의 가압으로 펌핑부재(151)가 작동동간(121a) 내에서 탄력있게 작동하면서 용기(110) 내부를 진공시키며 진공 유지시에는 상부캡(153)을 가압회전시켜 결합턱(153b)이 고정후크(122)에 결합되게 하는 펌핑부(15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20)에 형성되는 진공 해제공(161)에 하부 진공 해제핀(162)이 긴밀하게 장착되며 용기(110)의 진공 해제시에는 상·하부 진공 해제핀(162)(166)의 가압으로 진공 해제공(161)을 개방시켜 용기(110)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 해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용기(110) 상부의 내주면에 실링부재에 의해 긴밀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작동공간(121a)이 형성되는 고정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121)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후크(122)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배출부(130)는, 상기 고정부(12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131)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131)에 결합되는 체크밸브(132)가 구비되며, 상기 체크밸브(132) 상부의 고정부(120)에 고정되어 체크밸브(132)를 지지하면서 용기(1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방사상으로 통공(133a)이 형성되는 지지부재(133)가 구비되고, 상기 통공(133a)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33)를 고정부(120)에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13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통공(133a)은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 방지부(140)는, 상기 고정부(120) 하부에 장착되는 캡(141)이 구비되고, 상기 캡(141)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캡(141)과 고정부(120)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돌출리브(142)가 구비되며, 상기 캡(141) 내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고정부(120) 하단면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용기(110) 내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공간(14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펌핑부(150)는, 상기 고정부(120) 내측에 장착되며 중앙에는 배출공(151a)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51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출안내공(151b)이 형성되는 펌핑부재(151)가 구비되고, 상기 펌핑부재(151)의 상면에 장착되어 배출공(151a)을 개폐하도록 개폐공(152a)이 형성되는 개폐부재(152)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120)의 고정후크(122)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결합홈(153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53a)의 상단부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고정후크(122)에 회전결합되도록 결합턱(153b)이 형성되는 상부캡(153)이 구비되고, 상기 펌핑부재(151)와 고정부(120)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15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상부캡(153)의 내측 상면에 형성되는 장착홈(155)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캡(153)의 회전시 펌핑부재(151)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펌핑부재(1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장착홈(155)에 장착되는 장착돌기(15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진공 해제부(160)는, 상기 고정부(120)에 형성되는 진공 해제공(161)에 스프링(163)의 탄력으로 작동하는 하부 진공 해제핀(162)이 장착되고 상기 하부 진공 해제핀(162)은 패킹(164)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부캡(153)에 형성되는 안내공(165)에 스프링(167)의 탄력으로 작동하면서 하부 진공 해제핀(162)을 가압하여 용기(110)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상부 진공 해제핀(166)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 진공 해제핀(166)은 패킹(16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진공 해제부(160)는 용기(110) 내부의 진공시 하부 진공 해제핀(162)과 상부 진공 해제핀(166)이 엇갈리게 위치되고 용기(110)의 진공 유지시에는 하부 진공 해제핀(162)과 상부 진공 해제핀(166)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20) 내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1)에 체크밸브(132)를 결합시킨다.
상기 체크밸브(132) 상부의 고정몸체(121)에 지지부재(133)를 안착시킨 후, 상기 지지부재(133)에 형성된 통공(133a)으로 고정스크류(134)를 결합하여 지지부재(133)를 고정몸체(121)에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부재(133)의 하단부는 체크밸브(132)의 상부에 근접하도록 위치하여 체크밸브(132)가 관통공(131)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며, 상기 통공(133a)은 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133a)의 일측은 고정스크류(134)가 고정되며 나머지 타측은 공기가 통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의 하부에는 유입 방지부(140)의 캡(141)이 장착된다.
상기 캡(141)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돌기(142)가 형성되어 고정부(120)의 외주면과의 틈새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캡(141)의 내부의 바닥면에는 고정부(120)의 하단면과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안내공간(1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의 고정몸체(121) 내부에는 작동공간(121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121a)의 외측으로는 상기 작동공간(121a)과 격리되어 형성되는 진공 해제공(161)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진공 해제공(161)의 상부에는 스프링(163)이 장착된 하부 진공 해제핀(162)이 결합되며, 상기 진공 해제공(161)의 하부에 패킹(164)을 위치시킨 후, 하부 진공 해제핀(162)의 하단부에 패킹(164)을 장착하여 하부 진공 해제핀(162)이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펌핑부(150)의 상부캡(153)에 형성된 안내공(165)의 상부에는 스프링(167)이 장착된 상부 진공 해제핀(166)이 결합되며, 상기 안내공(165)의 하부에 패킹(168)을 위치시킨 후, 상부 진공 해제핀(166)의 하단부에 패킹(168)을 장착하여 상부 진공 해제핀(166)을 안내공(165)에 결합시킨다.
또한, 펌핑부(150)의 펌핑부재(151) 상면에 형성된 배출공(151a)에 개폐부재(152)를 안착시킨 후, 상기 상부캡(153)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장착홈(155)에 펌핑부재(151)에 형성된 장착돌기(156)를 장착하여 펌핑부재(151)를 상부캡(153)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캡(153)에 진공 해제부(160)와 펌핑부재(151)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공간(121a) 내부에 탄성부재(154)를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펌핑부재(151)를 작동공간(121a)으로 긴밀하게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펌핑부재(151)는 탄성부재(154)를 압축하면서 결합되며, 고정부(120)에 형성된 고정후크(122)는 상부캡(153)의 내측 하단부에 접촉되어 탄력있게 변형됨과 동시에 상부캡(153)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153a)에 결합된다.
상기 펌핑부(150)가 고정부(120)에 고정되면, 용기(110) 내부에 음료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한다.
상기 고정부(120)를 용기(11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부(120)를 용기(110) 내주면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부(120)의 하단부에 장착된 실링부재가 용기(110) 내주면에 밀착고정되어 진공 텀블러(100)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용기(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부(120)의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용기(110) 내주면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진공 텀블러(10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 내부를 진공시에는, 상부캡(153)을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상부캡(153)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153a)이 고정후크(122)를 따라 안내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캡(153) 내측에 장착된 펌핑부재(151)가 작동공간(121a) 내주면을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펌핑부재(151)는 탄성부재(154)를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또한, 공기 배출부(130)의 체크밸브(132)는 펌핑부재(151)의 가압으로 인해 하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므로 관통공(131)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작동공간(121a)에 남아있는 공기는 작동공간(121a)의 내부 용적이 작아지면서 강한 압력이 발생하게 되어 배출공(151a)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개폐부재(152)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개폐부재(15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안내공(151b)을 통과하여 상부캡(153)과 고정몸체(12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캡(153)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캡(153)과 펌핑부재(151)는 탄성부재(154)의 탄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공간(121a)의 내부압력은 낮아진 상태이고 용기(110)의 내부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아진 상태이므로 용기(110) 내부의 공기가 체크밸브(132)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용기(110) 내부의 공기는 고정부(120) 하부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형성된 틈새와 안내공간(143)을 통과하게 됨과 동시에 관통공(13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공기는 지지부재(133)의 통공(133a)을 통해 작동공간(121a)으로 배출된다.
상기 상부캡(153)과 펌핑부재(151)가 상승완료되면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부캡(153)을 가압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용기(11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기(11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킨 후, 용기(110)의 진공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캡(153)을 고정부(120)에 압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캡(15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부캡(153)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턱(153b)이 고정부(120)에 형성된 고정후크(122)에 걸림설정되면서 상부캡(153)이 고정부(120)에 고정되면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고정부(120)의 진공 해제공(161)에 장착된 하부 진공 해제핀(162)의 상부에는 상부캡(153)의 안내공(165)에 장착된 상부 진공 해제핀(166)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기(110)의 진공을 유지한 상태에서 진공을 해제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캡(153)에 형성된 안내공(165)에 장착된 상부 진공 해제핀(166)을 하부로 가압한다.
상기 상부 진공 해제핀(166)은 스프링(167)의 탄력에 의해 하강하여 하부 진공 해제핀(162)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진공 해제핀(162)은 스프링(163)의 탄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진공 해제공(161)을 개방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진공 해제공(161)을 통해 용기(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1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질 경우, 유입 방지부(140)의 캡(141) 내부에 형성된 안내공간(143)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용기(1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펌핑부(15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므로 안정적이면서도 펌핑부(15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진공 텀블러 110: 용기
120: 고정부 121: 고정몸체
122: 고정후크 130: 공기 배출부
131: 관통공 132: 체크밸브
133: 지지부재 134: 고정스크류
140: 유입 방지부 141: 캡
142: 돌출리브 143: 안내공간
150: 펌핑부 151: 펌핑부재
152: 개폐부재 153: 상부캡
154: 탄성부재 155: 장착홈
156: 장착돌기 160: 진공 해제부
161: 진공 해제공 162: 하부 진공 해제핀
163: 스프링 164: 패킹
165: 안내공 166: 상부 진공 해제핀
167: 스프링 168: 패킹

Claims (9)

  1. 내부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장착되어 내부에 공기 배출부가 고정되며 상부에는 펌핑부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어 펌핑부의 작동에 의해 관통공을 개폐하면서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용기 내부의 공기배출을 안내하며 상기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질 경우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시켜 내용물이 펌핑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유입 방지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며 용기의 진공시에는 상부캡을 회전시켜 결합턱이 고정후크로부터 이탈되게 한 후 상부캡의 가압으로 펌핑부재가 작동동간 내에서 탄력있게 작동하면서 용기 내부를 진공시키며 진공 유지시에는 상부캡을 가압회전시켜 결합턱이 고정후크에 결합되게 하는 펌핑부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진공 해제공에 하부 진공 해제핀이 긴밀하게 장착되며 용기의 진공 해제시에는 상·하부 진공 해제핀의 가압으로 진공 해제공을 개방시켜 용기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 해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텀블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는,
    상기 용기 상부의 내주면에 실링부재에 의해 긴밀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텀블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 배출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 상부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체크밸브를 지지하면서 용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방사상으로 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통공에 결합되어 지지부재를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텀블러.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텀블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입 방지부는,
    상기 고정부 하부에 장착되는 캡과;
    상기 캡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캡과 고정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돌출리브와;
    상기 캡 내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고정부 하단면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용기 내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공간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텀블러.
  6. 청구항 1에 있어서, 펌핑부는,
    상기 고정부 내측에 장착되며 중앙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출안내공이 형성되는 펌핑부재와;
    상기 펌핑부재의 상면에 장착되어 배출공을 개폐하도록 개폐공이 형성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후크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상단부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고정후크에 회전결합되도록 결합턱이 형성되는 상부캡과;
    상기 펌핑부재와 고정부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텀블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의 내측 상면에 형성되는 장착홈과;
    상기 상부캡의 회전시 펌핑부재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펌핑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장착홈에 장착되는 장착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텀블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진공 해제부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진공 해제공에 스프링의 탄력으로 작동하는 하부 진공 해제핀이 장착되고 상기 하부 진공 해제핀은 패킹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부캡에 형성되는 안내공에 스프링의 탄력으로 작동하면서 하부 진공 해제핀을 가압하여 용기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상부 진공 해제핀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 진공 해제핀은 패킹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텀블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공 해제부는 용기 내부의 진공시 하부 진공 해제핀과 상부 진공 해제핀이 엇갈리게 위치되고 용기의 진공 유지시에는 하부 진공 해제핀과 상부 진공 해제핀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텀블러.
KR1020160128869A 2016-10-06 2016-10-06 진공 텀블러 KR10186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69A KR101863201B1 (ko) 2016-10-06 2016-10-06 진공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69A KR101863201B1 (ko) 2016-10-06 2016-10-06 진공 텀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158A true KR20180038158A (ko) 2018-04-16
KR101863201B1 KR101863201B1 (ko) 2018-05-31

Family

ID=6208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869A KR101863201B1 (ko) 2016-10-06 2016-10-06 진공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163B1 (ko) * 2023-08-16 2024-01-24 박대한 유체 펌프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658A (ko) 2020-03-16 2021-09-27 주식회사 시암 텀블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445A (ja) * 1999-04-19 2000-10-31 Eguchi Hideo 真空容器の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163B1 (ko) * 2023-08-16 2024-01-24 박대한 유체 펌프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201B1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8500B2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8469227B2 (en) Device to enhance and prolong a hot beverage drinking experience
US20060180591A1 (en) Internal cover for enclosing container contents
US9179796B2 (en) Beverage making container for placement onto a cup
AU2003230991A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KR101542590B1 (ko) 역립타입 용기
US10737866B2 (en) Bottle cap structure
JP5084593B2 (ja) 真空保存装置
KR200480377Y1 (ko) 텀블러 뚜껑
KR101863201B1 (ko) 진공 텀블러
KR20190002991A (ko) 분리형 진공 텀블러
KR101664779B1 (ko) 진공흡착수단을 갖춘 용기
US9868626B2 (en) Beverage dispenser
KR101785053B1 (ko) 진공 텀블러
CN113800086A (zh) 折叠式吸管杯用盖
CN112888637B (zh) 可密封盖和包括所述盖的容器
KR101875498B1 (ko) 텀블러 뚜껑
JP2003125912A (ja) ポットの栓構造
KR10174261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JP4683139B2 (ja) 電動式エアーポット
KR101833259B1 (ko) 셀프진공용기
KR20190072281A (ko) 진공텀블러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JP5099606B2 (ja) 電動加圧注出式液体容器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101844784B1 (ko) 진공텀블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