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713A -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713A
KR20180037713A KR1020160128233A KR20160128233A KR20180037713A KR 20180037713 A KR20180037713 A KR 20180037713A KR 1020160128233 A KR1020160128233 A KR 1020160128233A KR 20160128233 A KR20160128233 A KR 20160128233A KR 20180037713 A KR20180037713 A KR 20180037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pp
specific
tim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078B1 (ko
Inventor
조재환
송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04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 G06F11/3612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by runtim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동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사람이 지켜보면서 카운팅하는 방식이나, 스톱워치/타이머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에 비해 정확성과 적절성을 제공하며, 측정에 따른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End-to-End delay of appl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동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딩 시간 측정을 위해 프로그램 실행 확인 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실행 확인 신호 검출 방식은 단말기 처리 우선 순위 등에 의해 실제 사람이 체감하는 로딩 시간과 차이가 있다.
또한, 측정자가 눈으로 보고 로딩 시간을 측정하거나, 측정자가 스톱워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로딩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나, 측정자의 인지자체에 의한 지연 시간이 발생함에 따라 실제 로딩 시간과 차이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8551호 [명칭: 페이지의 로딩 소요시간 측정을 위한 위젯과 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로딩 소요시간을 포인트로 전환하는 방법 및 이들의 위한 기록매체]
본 발명의 목적은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동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준 화면 내에서 동적 변화 영역이 포함되어 기준 화면의 일부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기준 화면과 유사한 화면을 검색하여, 앱 실행 시점부터 검색된 유사한 화면의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기준 화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자동으로 닫고 지연 시간을 재측정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은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에 있어서, 영상 캡쳐부에 의해, E2E 지연 측정 장치 내의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캡쳐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캡쳐된 동영상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확인된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 및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 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상기 특정 앱의 E2E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특정 앱의 E2E 지연 시간을 출력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캡쳐된 동영상은, 동영상 이외에, 캡쳐 시작 시점부터 캡쳐 종료 시점까지의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동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는,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에 미리 설치된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에 미리 구비된 특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시작하는 과정; 및 상기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다시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버튼이 다시 선택될 때,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화면이 변경된 상태일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준 화면에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검출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화면이 변경된 상태일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누적 저장된 복수의 기준 화면에 대해서 공통 부분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캡쳐된 동영상 중에서 상기 추출된 공동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검출된 공통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상기 기준 화면이 확인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화면의 UI 구조를 분석하여 팝업 화면 및 공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팝업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팝업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팝업 정보에 포함된 팝업 화면 및 공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닫는 과정;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 내의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다기 캡쳐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에 있어서, E2E 지연 측정 장치 내의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캡쳐하는 영상 캡쳐부;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 및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 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상기 특정 앱의 E2E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특정 앱의 E2E 지연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영상 캡쳐부는,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에 미리 설치된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에 미리 구비된 특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시작하며, 상기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다시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버튼이 다시 선택될 때,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화면이 변경된 상태일 때, 상기 기준 화면에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화면이 변경된 상태일 때,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누적 저장된 복수의 기준 화면에 대해서 공통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중에서 상기 추출된 공동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공통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상기 기준 화면이 확인되지 않을 때,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화면의 UI 구조를 분석하여 팝업 화면 및 공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팝업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팝업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팝업 정보에 포함된 팝업 화면 및 공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닫으며, 상기 영상 캡쳐부는,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 내의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다기 캡쳐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동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사람이 지켜보면서 카운팅하는 방식이나, 스톱워치/타이머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에 비해 정확성과 적절성을 제공하며, 측정에 따른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 화면 내에서 동적 변화 영역이 포함되어 기준 화면의 일부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기준 화면과 유사한 화면을 검색하여, 앱 실행 시점부터 검색된 유사한 화면의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기준 화면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앱 지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기준 화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자동으로 닫고 지연 시간을 재측정함으로써, 측정에 따른 신뢰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캡쳐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2E 지연 측정 장치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는 영상 캡쳐부(100), 저장부(200), 표시부(300), 음성 출력부(400) 및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영상 캡쳐부(100)는 E2E 지연 측정 장치(10) 내의 표시부(300)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캡쳐(또는 획득/녹화/기록/저장)한다. 이때, 캡쳐되는 동영상은 동영상 이외에, 캡쳐 시작 시점부터 캡쳐 종료 시점까지의 시각 정보(또는 현재 시각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캡쳐되는 동영상은 MPEG4 MOV, MPEG4 MP3 등의 다양한 파일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파일 포맷으로 설정된 상태이고, MPEG-4, H.264 등의 다양한 영상 코덱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코덱으로 설정된 상태이고, 2000KBps, 5000KBps 등의 다양한 영상 품질 중 어느 하나의 영상 품질로 설정된 상태에서 캡쳐될 수 있다.
즉,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미리 설치된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선택(또는 클릭/터치)되거나 또는,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미리 구비된 특정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 캡쳐부(100)는 표시부(300)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시작한다.
또한, 해당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다시 선택되거나 또는, 특정 버튼이 다시 선택되는 경우, 영상 캡쳐부(100)는 표시부(300)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종료한다. 이때, 해당 영상 캡쳐를 위한 앱과 관련하여 해당 특정 버튼이 연동된 상태로, 해당 특정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 캡쳐부(100)에서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을 통해 표시부(300)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 시작 기능 및 종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동영상을 캡쳐하기 이전, 동영상 캡쳐 시작 이후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을 실행하기 이전, 동영상 캡쳐 시작 이후 해당 특정 앱을 실행한 이후 등의 경우에 있어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상태인 경우, 영상 캡쳐부(100)는 제어부(500)와의 연동에 의해 해당 동영상 캡쳐시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인지하고, 제어부(500)에 의해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자동으로 닫은 상태에서 동영상을 캡쳐한 상태일 수도 있다.
즉, 특정 앱과 관련하여 팝업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부(500)에 의해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인지하고,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자동으로 닫은 상태에서, 영상 캡쳐부(100)는 동영상을 다시 캡쳐한다.
저장부(20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00)는 E2E 지연 측정 장치(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저장부(200)는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E2E 지연 측정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E2E 지연 측정 장치(1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E2E 지연 측정 장치(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부(200)에 저장되고,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설치되어, 제어부(500)에 의하여 E2E 지연 측정 장치(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2E 지연 측정 장치(1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2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영상 캡쳐를 위한 영상 캡쳐 앱, 쇼핑 정보 제공을 위한 쇼핑 앱 등의 다양한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또는 설치)한다.
표시부(3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0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30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3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영상 캡쳐를 위한 영상 캡쳐 앱, 쇼핑 정보 제공을 위한 쇼핑 앱 등의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한다.
음성 출력부(400)는 제어부(50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 출력부(40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400)는 제어부(50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음성 출력부(400)는 제어부(500)에 의해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의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음성 출력부(400)는 제어부(500)에 의해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설치된 영상 캡쳐를 위한 영상 캡쳐 앱, 쇼핑 정보 제공을 위한 쇼핑 앱 등의 실행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부(500)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저장부(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50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20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0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20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서버(미도시)와의 연동에 의해, 해당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의 사용자에 대한 서버로의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제어부(500)는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이메일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서버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에 의해, 제어부(500)는 생년월일, 남/여 정보, 전화번호, 이메일, 비밀번호, 이름, 주소 등의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캡쳐를 위한 영상 캡쳐 앱, 쇼핑 정보 제공을 위한 쇼핑 앱 등의 다양한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을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설치(또는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영상 캡쳐부(100)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또는 이미지)을 확인하고, 확인된 해당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또는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영상 캡쳐부(100)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200)에 미리 저장된(또는 설정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해당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앞서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또는 검출)한다.
이때, 기준 화면(또는 메인 화면/목표 화면)은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최초 설정 시 관리자 등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한 기준 화면이 변경된 경우, 제어부(500)는 캡쳐된 동영상 중에서, 기준 화면에서 애니메이션, 이미지 등이 변경되는 가변 영역(또는 변동 영역)을 제외하고, 기준 화면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포함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하고, 검출된 해당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한 기준 화면이 변경된 경우, 제어부(500)는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누적 저장된(또는 데이터베이스화된) 복수의 기준 화면에 대해서 공통 부분을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캡쳐된 동영상 중에서, 추출된 공통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하고, 검출된 해당 공통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500)는 기준 화면이 변경된 상태이더라도 해당 기준 화면과 가장 유사한 화면을 찾고, 찾은 가장 유사한 화면을 기준 화면으로 설정(또는 업데이트)하고, 해당 가장 유사한 화면을 검출한 시점을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로 확인(또는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어부(500)는 기준 화면이 변경되는 상태를 고려하여, 누적 저장되는 기준 화면에 대한 학습 기능을 수행하고, 학습 기능 수행에 따라 가변 영역이 동적으로 변하더라도 고정 영역 검출을 통해 앱 실행 로딩 완료 시점을 정확히 검출하여, 기본 화면 검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사 검색 등을 통해서도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화면이 확인(또는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500)는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한 화면의 UI 구조를 분석하여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의 팝업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특정 앱과 관련하여 팝업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부(500)는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인지하고,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자동으로 닫는다.
또한, 제어부(500)는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또는 이미지)을 확인하고, 확인된 해당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하고,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200)에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확인 결과, 특정 앱과 관련하여 팝업 정보가 없는 경우, 제어부(500)는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한 E2E 지연 측정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300) 및/또는 음성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확인된(또는 검출된)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 및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 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앱의 E2E 지연 시간을 산출(또는 획득)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산출된 앱의 E2E 지연 시간을 표시부(300) 및/또는 음성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연 시간 측정 장치(10)는 기계적 로딩 시간의 측정이 아니라 사람이 체감하는 로딩 시간(또는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앱(또는 단말 상의 아이콘)을 터치한 후 실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이 완전히 로딩되었다고 느끼는 시간을 검출하는 것으로, 사람이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경우(예를 들어 사람이 눈으로 보고 로딩 시간을 측정하는 경우) 및 타이머를 통해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경우(예를 들어 기계식 타이머를 스마트 폰에서 동작시키고 어플리케이션 로딩이 완료되는 신호를 받을 때를 확인하여 로딩 시간을 측정하는 경우)에 비해서 사람의 체감 환경에 가장 가까운 지연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 1]은 갤럭시 노트 5 단말(SM-N920S)을 통해 앱 실행에 따른 지연 시간을 사람이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또는 사람 측정), 단말 상의 타이머를 통해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또는 타이머 측정) 및 본 발명에 따른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또는 본 발명 측정)에 따라 각각 10회에 걸쳐 지연 시간을 측정한 결과는 나타낸 것이다.
회 차 사람 측정 타이머 측정 본 발명 측정
1 1.9 4.710 1.630
2 1.71 4.737 1.624
3 1.77 4.696 1.676
4 1.84 4.655 1.687
5 1.77 4.706 1.725
6 1.71 4.701 1.655
7 1.84 4.899 1.676
8 1.77 4.665 1.617
9 1.84 4.659 1.576
10 1.83 4.764 1.742
평 균 1.798 4.719 1.661
표준 편차 0.0620 0.0719 0.0509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은 사람 측정의 결과와 비슷하다. 이때, 사람 측정의 결과는 사람 인지 자체의 지연 시간(예를 들어 평균 250ms)을 감안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의 결과에 비해 지연 시간이 증가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 측정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로딩 신호를 측정함에 부하 등의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의 결과에 비해 지연 시간이 증가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E2E 지연 측정 장치(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서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통신부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이,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동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기준 화면 내에서 동적 변화 영역이 포함되어 기준 화면의 일부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기준 화면과 유사한 화면을 검색하여, 앱 실행 시점부터 검색된 유사한 화면의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기준 화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자동으로 닫고 지연 시간을 재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 캡쳐부(100)는 E2E 지연 측정 장치(10) 내의 표시부(300)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캡쳐(또는 획득/녹화/기록/저장)한다. 이때, 캡쳐되는 동영상은 동영상 이외에, 캡쳐 시작 시점부터 캡쳐 종료 시점까지의 시각 정보(또는 현재 시각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캡쳐되는 동영상은 MPEG4 MOV, MPEG4 MP3 등의 다양한 파일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파일 포맷으로 설정된 상태이고, MPEG-4, H.264 등의 다양한 영상 코덱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코덱으로 설정된 상태이고, 2000KBps, 5000KBps 등의 다양한 영상 품질 중 어느 하나의 영상 품질로 설정된 상태에서 캡쳐될 수 있다.
즉,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미리 설치된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선택(또는 클릭/터치)되거나 또는,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미리 구비된 특정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 캡쳐부(100)는 표시부(300)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시작한다.
또한, 해당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다시 선택되거나 또는, 특정 버튼이 다시 선택되는 경우, 영상 캡쳐부(100)는 표시부(300)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종료한다. 이때, 해당 영상 캡쳐를 위한 앱과 관련하여 해당 특정 버튼이 연동된 상태로, 해당 특정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 캡쳐부(100)에서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을 통해 표시부(300)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 시작 기능 및 종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설치된 영상 캡쳐를 위한 영상 캡쳐 앱과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구비된 홈 버튼 3초 이상 터치가 연동된 상태에서, 홈 버튼이 3초 이상 터치될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캡쳐부(100)는 해당 홈 버튼과 연동된 영상 캡쳐 앱에 의해,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제 1 동영상 캡쳐를 시작(310)한다. 또한, 다시 홈 버튼이 3초 이상 터치될 때, 영상 캡쳐부(100)는 해당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제 1 동영상 캡쳐를 종료(320)한다(S210).
이후, 제어부(500)는 영상 캡쳐부(100)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E2E 지연 측정 장치(10)에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또는 이미지)을 확인하고, 확인된 해당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또는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영상 캡쳐부(100)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200)에 미리 저장된(또는 설정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해당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앞서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또는 검출)한다.
이때, 기준 화면(또는 메인 화면/목표 화면)은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최초 설정 시 관리자 등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캡쳐된 제 1 동영상에서 앱 실행 스크립트에 따른 쇼핑 앱이 실행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확인된 쇼핑 앱이 실행되는 시점(330)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6년 9월 1일 오후 1시 30분 00.000초)를 확인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캡쳐된 제 1 동영상에서 도 4에 도시한 해당 쇼핑 앱과 관련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340)에서의 앱 실행 로딩 종료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6년 9월 1일 오후 1시 30분 1.660초)를 확인한다.
또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한 기준 화면이 변경된 경우, 제어부(500)는 캡쳐된 동영상 중에서, 기준 화면에서 애니메이션, 이미지 등이 변경되는 가변 영역(또는 변동 영역)을 제외하고, 기준 화면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포함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하고, 검출된 해당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화면이 다양한 상품과 관련한 상품 이미지, 상품 설명 등으로 구성되는 가변 영역(510)과, 이벤트 종료 시각으로 구성되는 고정 영역(520)을 포함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영역(610)에 포함되는 상품 이미지, 상품 설명 등이 변경된 경우, 제어부(500)는 캡쳐된 제 1 동영상 중에서, 이벤트 종료 시각을 표시하는 고정 영역(620)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하고, 검출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한 기준 화면이 변경된 경우, 제어부(500)는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누적 저장된(또는 데이터베이스화된) 복수의 기준 화면에 대해서 공통 부분을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캡쳐된 동영상 중에서, 추출된 공통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하고, 검출된 해당 공통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5와 도 6과 같이 기준 화면이 변경된 상태일 때, 제어부(500)는 도 5에 도시된 제 1 기준 화면과 도 6에 도시된 제 2 기준 화면에서 공통 부분인 이벤트 종료 시각을 표시하는 고정 영역(520, 620)을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캡쳐된 제 1 동영상 중에서, 추출된 공통 부분인 이벤트 종료 시각을 표시하는 고정 영역(520, 620)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유사 검색 등을 통해서도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화면이 확인(또는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500)는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한 화면의 UI 구조를 분석하여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의 팝업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특정 앱과 관련하여 팝업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부(500)는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인지하고,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자동으로 닫는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10)가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 체제인 경우, 해당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SDK 툴인 uiautomatorviewer를 통해 팝업 화면을 자동으로 닫는다.
또한, 영상 캡쳐부(100)는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이 닫힌 상태에서 동영상을 다시 캡쳐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또는 이미지)을 확인하고, 확인된 해당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하고,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200)에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확인 결과, 특정 앱과 관련하여 팝업 정보가 없는 경우, 제어부(500)는 해당 특정 앱과 관련한 E2E 지연 측정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300) 및/또는 음성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한다(S220).
이후, 제어부(500)는 확인된(또는 검출된)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 및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 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앱의 E2E 지연 시간을 산출(또는 획득)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산출된 앱의 E2E 지연 시간을 표시부(300) 및/또는 음성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한다.
일 예로, 제어부(500)는 확인된 앱 실행 로딩 종료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6년 9월 1일 오후 1시 30분 1.660초) 및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6년 9월 1일 오후 1시 30분 00.000초) 간의 차이 1.660초를 산출하여 해당 쇼핑 앱의 E2E 지연 시간(예를 들어 1.660초)을 산출하고, 산출된 해당 쇼핑 앱의 E2E 지연 시간(예를 들어 1.660초)을 표시부(300) 및/또는 음성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한다(S2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서버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서버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서버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동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여, 사람이 지켜보면서 카운팅하는 방식이나, 스톱워치/타이머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에 비해 정확성과 적절성을 제공하며, 측정에 따른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준 화면 내에서 동적 변화 영역이 포함되어 기준 화면의 일부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기준 화면과 유사한 화면을 검색하여, 앱 실행 시점부터 검색된 유사한 화면의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여, 기준 화면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앱 지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기준 화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팝업 화면, 공지 사항 화면 등을 자동으로 닫고 지연 시간을 재측정하여, 측정에 따른 신뢰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동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동영상을 근거로 앱 실행 시점부터 기준 화면 로딩 완료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사람이 지켜보면서 카운팅하는 방식이나, 스톱워치/타이머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에 비해 정확성과 적절성을 제공하며, 측정에 따른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지연 시간 측정 분야, 단말 분야, 서버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E2E 지연 측정 장치 100: 영상 캡쳐부
200: 저장부 300: 표시부
400: 음성 출력부 500: 제어부

Claims (13)

  1.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에 있어서,
    영상 캡쳐부에 의해, E2E 지연 측정 장치 내의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캡쳐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캡쳐된 동영상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확인된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 및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 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상기 특정 앱의 E2E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특정 앱의 E2E 지연 시간을 출력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된 동영상은,
    동영상 이외에, 캡쳐 시작 시점부터 캡쳐 종료 시점까지의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는,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에 미리 설치된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에 미리 구비된 특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시작하는 과정; 및
    상기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다시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버튼이 다시 선택될 때,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화면이 변경된 상태일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준 화면에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검출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화면이 변경된 상태일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누적 저장된 복수의 기준 화면에 대해서 공통 부분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캡쳐된 동영상 중에서 상기 추출된 공동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검출된 공통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상기 기준 화면이 확인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화면의 UI 구조를 분석하여 팝업 화면 및 공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팝업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팝업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팝업 정보에 포함된 팝업 화면 및 공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닫는 과정;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 내의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다기 캡쳐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방법.
  7.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에 있어서,
    E2E 지연 측정 장치 내의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캡쳐하는 영상 캡쳐부;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 및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 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상기 특정 앱의 E2E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특정 앱의 E2E 지연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된 동영상은,
    동영상 이외에, 캡쳐 시작 시점부터 캡쳐 종료 시점까지의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캡쳐부는,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에 미리 설치된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에 미리 구비된 특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시작하며, 상기 영상 캡쳐를 위한 앱이 다시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버튼이 다시 선택될 때,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 캡쳐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화면이 변경된 상태일 때, 상기 기준 화면에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고정 영역이 포함된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화면이 변경된 상태일 때,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누적 저장된 복수의 기준 화면에 대해서 공통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중에서 상기 추출된 공동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공통 부분이 포함된 다른 특정 화면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상기 기준 화면이 확인되지 않을 때,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화면의 UI 구조를 분석하여 팝업 화면 및 공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팝업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한 팝업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팝업 정보에 포함된 팝업 화면 및 공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닫으며,
    상기 영상 캡쳐부는,
    상기 E2E 지연 측정 장치 내의 표시부의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다기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캡쳐부에 의해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시작 시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다시 캡쳐된 동영상에서 상기 특정 앱과 관련하여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내에서 상기 확인된 기준 화면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앱 실행 로딩 완료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KR1020160128233A 2016-10-05 2016-10-05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87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233A KR101874078B1 (ko) 2016-10-05 2016-10-05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233A KR101874078B1 (ko) 2016-10-05 2016-10-05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713A true KR20180037713A (ko) 2018-04-13
KR101874078B1 KR101874078B1 (ko) 2018-07-03

Family

ID=6197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233A KR101874078B1 (ko) 2016-10-05 2016-10-05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329A (ko) * 2018-08-22 2020-03-03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응답 시간 확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769B1 (ko) 2013-09-23 2014-12-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응답시간 측정 장치, 응답시간 측정 시스템 및 응답시간 측정 방법
KR101681627B1 (ko) 2016-04-19 2016-12-01 주식회사 자이솜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329A (ko) * 2018-08-22 2020-03-03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응답 시간 확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078B1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27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wireless access point
KR102088018B1 (ko) 전자 기기간 연동 방법 및 장치
CN110537165A (zh) 一种显示方法及装置
KR102173242B1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US10185530B2 (en) Contents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6283749B2 (ja) 機器接続を促す方法および装置
EP3131302A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video content
US9544536B2 (en) Video call method in packet-switched network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6063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review data
KR20170098110A (ko) 임베디드 심 운용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177802B1 (ko) 멀티 심이 구비된 전자 장치 및 방법
EP3190802A1 (en)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5196656A1 (zh) 通知消息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874078B1 (ko)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EP3001652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550260A (zh) 图片显示方法及装置
US10223383B2 (en) User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5038180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alarm mode
CN110831114A (zh) 与无线设备的连接方法、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101683747B1 (ko)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85072B1 (ko) 전자 기기간 연동 방법 및 장치
KR102227517B1 (ko) IoT 기반의 IP 카메라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763023B2 (e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432231B2 (en) AC barr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102202648B1 (ko) 컨텐츠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