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686A - 질성형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질성형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686A
KR20180037686A KR1020160128154A KR20160128154A KR20180037686A KR 20180037686 A KR20180037686 A KR 20180037686A KR 1020160128154 A KR1020160128154 A KR 1020160128154A KR 20160128154 A KR20160128154 A KR 20160128154A KR 20180037686 A KR20180037686 A KR 20180037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ginal
implant
insertion hole
vaginal wall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259B1 (ko
Inventor
원영석
Original Assignee
원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석 filed Critical 원영석
Priority to KR102016012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2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질벽에 장착되어 질강을 축소하는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일단부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 및 타단부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 및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타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삽입홀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홀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따르면, 시술자가 삽입홀에 고정돌기를 끼우는 체결 방식으로 간편하게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질벽에 장착할 수 있어, 번거롭던 수술 과정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따르면,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제공하는 탄성을 시술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체크하여 조절할 수 있고, 시술 후 매듭 풀림 문제 또는 매듭 끊어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술 후의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질벽의 보다 넓은 영역에 균일한 힘을 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성형용 임플란트 {Implant for Vaginoplasty}
본 발명은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편하게 질벽에 장착되어 질강을 축소하는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질 성형수술은 출산 등으로 인하여 느슨해진 질벽과 골반 안쪽 근육들을 예전 상태로 회복시켜 주는 성형술이다. 최근, 이러한 성형수술에 사용되어 느슨해진 질벽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느슨해진 질벽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인체에 삽입되어 질벽을 둘러싸도록 장착된다. 이때 종래의 임플란트는 양단부가 서로 매듭지어 묶이는 형태로 고정되거나 양단부가 의료용 실에 의해 묶이는 형태로 질벽에 장착되곤 하였다.
이렇게 종래의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경우, 인체의 일부만을 절개하여 수술하는 실정상 시술자가 임플란트에 매듭을 형성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 있었고, 질벽에 제공되는 탄성이 오직 시술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조절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묶인 매듭이 질벽의 움직임에 의해 풀려 재수술을 해야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곤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듭이 쉽게 풀리지 않도록 풀림방지돌기가 형성된 임플란트가 개발되기도 하였고 (관련 특허문헌 1 참조), 중공의 임플란트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관련 특허문헌 2 참조).
하지만, 이러한 개선된 임플란트 역시 묶이는 형태로 고정되는 원리를 벗어나지 못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매듭 풀림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시술자가 수술 중에 매듭을 형성하기 힘들다는 문제점과 시술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서만 탄성이 조절된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
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5-0004430 호 (발명의 명칭 : 질성형용 임플란트) 2. 한국 특허등록 제 10-0897713 호 (발명의 명칭 : 질성형용 튜브형 임플란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술자가 간편하게 질벽에 장착할 수 있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제공하는 탄성을 시술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시술시 매듭 끊김 문제와 시술 후 매듭 풀림 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균일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일단부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 및 타단부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 및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타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삽입홀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홀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돌기는 복수 개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돌기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삽입홀은 복수 개 형성되고, 각각의 삽입홀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질벽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질벽과 접촉하는 부분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설정된 너비는 4mm 이상 6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질벽과 접촉하는 평평한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지점에서 상기 일단부 쪽 방향으로의 외측 영역 및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지점에서 상기 타단부 쪽 방향으로의 외측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삽입홈과 상기 고정돌기의 사이에서 배치되고, 상기 질벽과 접촉하는 평평한 부분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극돌기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따르면, 시술자가 삽입홀에 고정돌기를 끼우는 체결 방식으로 간편하게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질벽에 장착할 수 있어, 번거롭던 수술 과정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따르면, 삽입홀에 고정돌기를 끼워 질벽에 위치시킴에 있어,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제공하는 탄성을 효과적으로 체크하여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체결 구조 및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시술 후 체결구조 또는 매듭의 풀리는 문제와 시술시 매듭이 끊어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접촉부를 넓게 형성함으로써, 임플란트가 질벽의 보다 넓은 영역에 균일한 힘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조를 통해 파생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삽입홀과 고정돌기가 체결되는 방식을 예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중, 질벽과 접촉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걸림돌기가 수술도구의 고리에 걸린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삽입홀과 고정돌기가 체결되는 방식을 예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중, 질벽과 접촉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걸림돌기가 수술도구의 고리에 걸린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일단부 (101) 쪽에 형성된 삽입홀 (110), 타단부 (102) 쪽에 형성된 고정돌기 (120)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다수의 홀 (130), 걸림돌기 (140) 및 자극돌기 (1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탄성을 가지는 줄의 형태로서, 질벽 (1) 을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질강을 축소하는 탄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타단부 (102) 가 삽입홀 (110) 에 삽입되면서 타단부 (102) 쪽에 형성된 고정돌기 (120) 가 삽입홀 (110) 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질벽 (1) 에 장착된다.
이때, 삽입홀 (110) 및 고정돌기 (120) 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의 타단부 (102) 가 삽입홀 (110) 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고정돌기 (120) 가 삽입홀 (110) 에 걸리지 않고 삽입될 수 있지만, 타단부 (102) 가 삽입홀 (110) 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는 고정돌기 (120) 가 삽입홀 (110) 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삽입홀 (110) 및 고정돌기 (120) 가 체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홀 (110) 에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로부터 돌출된 고정돌기 (120) 가 끼워져 걸리는 방식으로 삽입홀 (110) 과 고정돌기 (120) 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 (120) 는 도 4의 (a)과 같이,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타단부가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 (A) 쪽의 면 (121) 은 완만히 경사지게 형성되고,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타단부가 삽입홀에서 이탈되는 방향 (B) 쪽의 면 (122) 은 타단부가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 (A) 쪽의 면 (121) 보다 급격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 (110) 및 고정돌기 (120) 가 이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타단부가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 (A) 으로는 고정돌기 (120) 가 삽입홀 (110) 에 걸리지 않고 삽입될 수 있지만, 타단부가 삽입홀에서 이탈되는 방향 (B) 으로는 고정돌기 (120) 가 삽입홀 (110) 에 걸리게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매듭이나 부재 없이도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의 타단부 (102) 가 삽입홀 (110) 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고,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안정적으로 질벽 (1) 에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돌기는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삽입홀에서 이탈되는 방향 (B) 쪽의 면 (122) 의 형상이 변형될 수도 있다. 도 4의 (b) 를 참조하면, 타단부가 삽입홀에서 이탈되는 방향 (B) 쪽의 면 (122) 이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도 4의 (c)와 같이, 타단부가 삽입홀에서 이탈되는 방향 (B) 쪽의 면 (122) 이 타단부가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 (A) 쪽의 면 (121) 과 톱니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돌기 (120) 가 이러한 변형된 형태로 형성되면, 타단부가 삽입홀에서 이탈되는 방향 (B) 으로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고정돌기 (120) 가 삽입홀 (110) 에 보다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한편, 삽입홀 (110) 및 고정돌기 (120) 의 구조는 도 2 및 도 4에 예시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의 타단부 (102) 가 삽입홀 (110) 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고정돌기 (120) 가 삽입홀 (110) 에 걸리지 않고 삽입될 수 있도록 하되, 타단부 (102) 가 삽입홀 (110) 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는 고정돌기 (120) 가 삽입홀 (110) 에 걸리도록 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른 형상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2 및 도 4에는 삽입홀 (110) 이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를 관통하는 단순한 홀의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삽입홀 (110) 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홀 (110) 은 삽입홀 (110) 에 고정돌기 (120) 가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고정돌기 (120) 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종래의 양단부를 매듭지어 묶거나 별도의 의료용 실을 사용하여 매듭을 형성하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 와 달리, 삽입홀 (110) 및 타단부 (102) 와 고정돌기 (120) 를 끼우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체결하여 질벽 (1) 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번거롭던 수술 과정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삽입홀 (110) 및 고정돌기 (120) 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에 각각 복수 개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돌기 (120) 와 삽입홀 (110) 은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의 길이 방향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삽입홀 (110) 이 2개, 고정돌기 (120) 가 8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각각의 개수 및 간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100) 에 복수 개의 고정돌기 (120) 와 삽입홀 (110) 이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이를 사용하는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질강의 직경에 따라 몇 번째의 고정돌기 (120) 까지 삽입홈 (110) 에 체결할 것인지를 계획하여 시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양단부를 묶어 매듭을 형성하거나 의료용 실로 매듭을 형성하는 방식의 종래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 는, 어느 지점에서 매듭을 형성하여야 피시술자의 질강의 직경에 적합한 것인지에 대하여 계측할 수 있는 구조가 전혀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의 경우 각각의 고정돌기 (120)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고정돌기 (120) 를 삽입홈 (110) 에 더 통과시키게 되면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형성하는 둘레의 직경이 어느 정도 작아지는지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게 되므로,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질강의 직경에 따라 질벽 (1) 에 적절한 탄성을 가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매듭을 형성한 후 질벽 (1) 에 장착하는 경우, 질강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시술자가 체크하여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다수의 고정돌기 (120) 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정돌기 (120) 를 삽입홈 (110) 에 끼우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를 질벽 (1) 에 장착함에 있어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질벽 (1) 에 가하는 탄성을 효과적으로 체크하여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다만, 종래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 는 매듭을 형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번 매듭을 형성한 이후에는 다시 질벽 (10 에 가하는 탄성을 조절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구조라는 한계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프란트 (100) 에 따르면, 시술자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숙련도에 의해서만 질벽 (1) 에 가해지는 탄성이 조절될 수 밖에 없었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 는 매듭을 형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술시 임플란트의 매듭을 형성하기 위하여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임플란트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고정돌기 (120) 를 삽입홈 (110) 에 끼우는 방식으로서, 묶는 방식과는 전혀 상이한 방식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시술 중에 임플란트 (100) 가 끊어지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를 질벽 (1) 에 장착하는 경우, 2개의 삽입홀 (110) 에 연속하여 고정돌기 (120) 를 체결할 수 있다.
2개의 삽입홀 (110) 에 연속하여 고정돌기 (120) 를 체결하면, 단순히 양단부를 묶어 매듭을 형성하던 종래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 의 체결 방식에 비해 체결의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 를 사용하면,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수 회 반복하여 매듭을 형성할 수 밖에 없었다.
반면,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를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삽입홀 (110) 에 연속하여 고정돌기 (120) 를 끼우는 방식으로 체결 부분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체결 부분의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2개의 삽입홀 (110) 에 연속하여 고정돌기 (120) 를 체결하여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를 사용하면, 질벽 (1) 의 움직임에 의해 예기치 않게 어느 하나의 체결부분이 풀린다 하더라도 다른 체결부분이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질벽 (1) 에서 이탈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고정돌기 (120) 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 (120) 가 환형으로 형성되면 삽입홀 (110) 과 고정돌기 (120) 의 사이에 걸리는 힘이 360도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고정돌기 (120) 가 삽입홀 (110) 에 보다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다.
다만, 고정돌기 (120) 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돌기 (120) 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의 일부분에서만 돌출되어 삽입홀 (110) 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질벽 (1) 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질벽 (1) 과 접촉하는 부분 (이하, 접촉부 (103)) 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 (103) 는 삽입홀 (110) 과 고정돌기 (120) 사이의 영역으로서,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질벽 (1) 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질벽 (1) 과 접촉하여 탄성을 제공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접촉부 (103) 는 질 (1) 의 넓은 영역으로 균일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의 접촉부 (103) 를 제외한 다른 부분보다 넓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촉부의 기설정된 너비는 4mm 이상 6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이러한 접촉부 (103) 의 넓은 형상으로 질벽 (1) 의 넓은 영역에 균일한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 가 질벽이 얇아진 부위 에서 질강 내부로 노출된다거나 질벽의 협소한 영역에서만 질벽에 힘을 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접촉부 (103) 에 형성된 다수의 홀 (130) 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 (103) 에 형성된 홀 (130) 은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질벽 (1) 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질벽 (1) 의 조직이 삽입되는 곳으로서, 시술 이후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질벽 (1) 과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촉부 (103) 의 홀 (130) 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질벽 (1) 과 닿는 접촉부 (103) 의 면에 형성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도 5에서는 접촉부 (103) 의 홀 (130) 이 2열로 균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접촉부 (103) 의 홀 (130) 에 질벽 (1) 의 조직이 삽입되어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면 홀 (130) 의 크기 및 배치는 도시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삽입홈 (110) 이 형성된 지점에서 일단부 (101) 쪽 방향으로의 외측 영역과 고정돌기 (120) 가 형성된 지점에서 타단부 (102) 쪽 방향으로의 외측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걸림돌기 (140) 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 (140) 는 질 성형수술시 사용하는 수술도구 (200) 의 고리 (210) 에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 질 성형 수술시, 시술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술도구 (200) 를 사용하여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를 인체에 삽입하고 피시술자의 질에 근접하도록 위치시켜,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질벽 (1) 을 둘러싸도록 한다.
이때, 질은 인체의 내부 기관이고 인체의 일부만을 절개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실정상,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수술도구 (200) 의 고리 (210) 에 안정적으로 걸려서 시술자의 의도대로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걸림돌기 (140) 를 포함함으로써, 시술자의 편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수술의 안정성까지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걸림돌기 (140) 의 형상은 상술한 고정돌기 (120) 의 형상과 같이 형성될 수 있고, 그 크기는 수술도구 (200) 의 고리 (210) 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자극돌기 (1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극돌기 (150) 는 삽입홈 (110) 과 고정돌기 (120) 의 사이인 접촉부 (103) 에서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3과 같이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질벽 (1) 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자극돌기 (150) 는 그 위치에 대응되는 질벽 (1) 을 눌러 질을 자극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이러한 자극돌기 (150) 는 여성의 성감대인 지스팟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성기능 장애 개선의 효과를 얻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자극돌기 (150) 는 볼륨감과 탄성력을 가져 질벽 (1) 에 장착되어 질벽 (1) 의 10시 및 2시 방향에 위치한 지스팟을 효과적으로 자극시킬 수 있다.
자극돌기 (150) 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 (151) 이 형성될 수 있다.
자극돌기 (150) 에 형성된 홀 (151) 은 홀 (151) 의 중심축 방향으로 자극돌기 (150) 가 수축하고 이완하는 동작을 개선해 줌으로써, 홀 (151) 이 형성되지 않은 자극돌기에 비하여 자극돌기 (150) 가 보다 효과적으로 질벽 (1) 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극돌기 (150) 에 형성된 홀 (151) 은 상술한 접촉부 (103) 의 홀 (130) 과 동일하게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질벽 (1) 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질벽 (1) 의 조직이 자극돌기 (150) 의 홀 (151) 에 삽입되어 시술 이후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에 자극돌기 (150) 가 2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각각의 자극돌기 (150) 에 하나의 홀 (151) 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자극돌기 (150) 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자극돌기의 형상은 구형, 다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 (100) 는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가지고 인체에 무해한 공지의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질벽
100 ... 질성형용 임플란트
101 ... 일단부
102 ... 타단부
103 ... 접촉부
110 ... 삽입홀
120 ... 고정돌기
130 ... 홀
140 ... 걸림돌기
150 ... 자극돌기
200 ... 수술도구
210 ... 고리

Claims (12)

  1. 탄성을 가지는 줄의 형태로 질벽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질강을 축소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일단부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 및 타단부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 및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타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삽입홀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복수 개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돌기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을 복수 개 형성되고,
    각각의 삽입홀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5. 제1항에 있어서,
    질벽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질벽과 접촉하는 부분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너비는 4mm 이상 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질벽과 접촉하는 평평한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지점에서 상기 일단부 쪽 방향으로의 외측 영역 및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지점에서 상기 타단부 쪽 방향으로의 외측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상기 고정돌기의 사이에서 배치되고, 상기 질벽과 접촉하는 평평한 부분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돌기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12.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KR1020160128154A 2016-10-05 2016-10-05 질성형용 임플란트 KR101893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154A KR101893259B1 (ko) 2016-10-05 2016-10-05 질성형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154A KR101893259B1 (ko) 2016-10-05 2016-10-05 질성형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686A true KR20180037686A (ko) 2018-04-13
KR101893259B1 KR101893259B1 (ko) 2018-08-29

Family

ID=6197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154A KR101893259B1 (ko) 2016-10-05 2016-10-05 질성형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587A1 (ko) * 2022-01-24 2023-07-27 주식회사 바이올렛드림 질성형용 임플란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979A (ko) * 1999-12-23 2001-07-05 이계안 합성수지제 묶음띠
KR100897713B1 (ko) 2008-11-03 2009-05-15 구태훈 질성형용 튜브형 임플란트
KR20140000875A (ko) * 2012-06-26 2014-01-06 유원식 질 성형 임플란트용 시술 도구
KR20150004430U (ko)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질성형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979A (ko) * 1999-12-23 2001-07-05 이계안 합성수지제 묶음띠
KR100897713B1 (ko) 2008-11-03 2009-05-15 구태훈 질성형용 튜브형 임플란트
KR20140000875A (ko) * 2012-06-26 2014-01-06 유원식 질 성형 임플란트용 시술 도구
KR20150004430U (ko)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질성형용 임플란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587A1 (ko) * 2022-01-24 2023-07-27 주식회사 바이올렛드림 질성형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259B1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1300B2 (ja) 組織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9233221B2 (en) Bite block
CN105559946B (zh) 肱二头肌肌腱固定术锚植入物
ES2355385T3 (es) Tapones de cierre para una abertura en una pared de un vaso o bien órgano hueco.
TWI605842B (zh) 用於插入醫療縫線的裝置及含有其的用於插入醫療縫線的手術套組
JP2013518688A (ja) 縫合糸アンカー
JP2012521221A (ja) 胸骨を修復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A009163B1 (ru) Фланцевые окклюзи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KR101533074B1 (ko)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KR10152516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기구
WO2017052069A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구
KR101893259B1 (ko) 질성형용 임플란트
CN105748193A (zh) 一种可调节青光眼引流管
WO2012079450A1 (zh) 脑部电极导线固定辅助装置
KR200481343Y1 (ko) 질성형용 임플란트
KR100897713B1 (ko) 질성형용 튜브형 임플란트
CA2945424C (en) Gauze pad holder for post-surgical intraoral use
CN205849639U (zh) 一种可调节青光眼引流管
KR102263933B1 (ko) 경구개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KR101479598B1 (ko) 치과용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KR20140120720A (ko) 매선용 도구
KR101897702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장치
KR20220005943A (ko) 질성형용 임플란트
KR101164488B1 (ko)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KR101410760B1 (ko) 치열 교정용 고정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